KR101021888B1 -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1888B1 KR101021888B1 KR1020080069207A KR20080069207A KR101021888B1 KR 101021888 B1 KR101021888 B1 KR 101021888B1 KR 1020080069207 A KR1020080069207 A KR 1020080069207A KR 20080069207 A KR20080069207 A KR 20080069207A KR 101021888 B1 KR101021888 B1 KR 101021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input
- portable digital
- digital terminal
- output device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 및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들의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들에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들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며, 상기 로딩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와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을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wherein th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es: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having a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detach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 storage part for storing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nd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a portable digital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a symbol, loading driving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from the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the connect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by the loaded driving program. It features. Accordingly,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to enable interworking,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PDA, POS 시스템 Portable Digital Terminal, PDA, POS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와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를 서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 which a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re interoperable.
휴대용 디지털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는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전자 기기로서, 소형, 경량으로 개인의 휴대가 가능하며, 디지털 정보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ombines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It is compact, lightweight, portable, and equipped with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Can be.
최근, 전자 부품의 소형·집적화 및 무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는 보다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 휴대기기로서 개인 일정 계획, 사전, 이메일, 휴대 전화 등 생활 전반에 걸쳐 활용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산업용으로도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모바일 POS 시스템도 그 일례이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iniaturization and integ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digital terminals have been able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e throughout life, and the use of portable digital terminals for industrial use is also increasing. Mobile POS systems are one example.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는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유지하기 위 해서 주로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능만이 구현되어 있어, IC 카드 리더기,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프린터 등 외부의 여러 종류의 입출력 기기와의 연동 사용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여러 종류의 입출력 기기와의 연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advantages of small size and light weight, such a portable digital terminal mainly implements only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functions, and thus can be used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such as IC card readers, RFID readers, barcode readers, and printers. If interworking is required, interworking with these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may occu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가 모바일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와 자유롭게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in which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can freely interoperat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in a mobile environmen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 및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들의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들에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들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며, 상기 로딩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having a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detach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 storage part for storing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nd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a portable digital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a symbol, loading driving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from the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the connect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by the loaded driving program. It features.
전술한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은,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모바일 프린터를 포함한다. Th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described above include an RFID reader, a barcode reader, and a mobile printer.
또한, 상기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은, 각각 자신의 장치 종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에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된 경우 상기 장치 식별코드를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장치 식별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장치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해석된 장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한다.In addition, th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each include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 device type of the device, and outputs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wh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When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in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interprets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and loads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devic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storage unit.
여기서, 상기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알리기 위한 연결상태 알림신호를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연결상태 알림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연결상태 알림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가 연결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의 상기 장치 식별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장치 식별코드를 해석하고 상기 해석된 장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한다.Here, th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and output devices, when connected to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via the first connection unit, outputs a connec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for informing the connection state to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When the connec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by the connec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an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When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is input,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interpreted, and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interpreted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loaded from the storage unit.
전술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의 종류에 따라 내부 전원을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로 출력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원이 제공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원을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원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The controller of the above-described portable digital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internal power to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ower is provided,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s output to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is operated by the input power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상기 외부 입출력기기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제2 연결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unit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standard.
또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는 POS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PDA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PDA for implementing a POS system.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단말기는,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에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연결부; 상기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며, 상기 로딩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terminal.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terminal, th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and output devic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riving program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gnize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o load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from the storage unit, and to control the recognized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by the loaded driving program. Characterized in having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1)은, 외부 입출력기기(100)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된 외부 입출력기기(100)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와 연결가능한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100) 중 하나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input /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출력기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external input /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출력기기(100)는, 제1 연결부(110) 및 제어부(120)를 구비한다.The external input /
제1 연결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112), 신호출력부(114), 전원입력부(1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10)는 제2 연결부(21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와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제1 통신부(112)는 제2 연결부(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1 통신부(112)는 사전에 정해진 데이터 통신 규격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112)는 UART, I2C, SPI, USB 등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마련된다.The
신호출력부(114)는 후술하는 제2 연결부(210)와 연결된 경우, 신호출력부(114)는 연결상태 알림신호 및 장치 식별코드를 제2 연결부(210)에 출력한다. 여기서, 연결상태 알림 신호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에 외부 입출력기기(100)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고, 장치 식별코드는 외부 입출력기기(100)에 사전에 정해진 장치 고유의 식별코드로서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마련된다.When the
전원입력부(116)는, 제2 연결부(210)를 통해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이 출력된 경우, 이 출력된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처 리한다. 즉, 외부 입출력기기(100)가 자체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이고 제1 연결부(110)로부터 전원이 출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자체 전원을 사용할 것인지 제1 연결부(11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고, 입력된 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선택된 전원이 외부 입출력기기(1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외부 입출력기기(100)가 자체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제1 연결부(11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사용하여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동작시킨다.When the power is output from the portable
제어부(120)는, 전술한 제1 연결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구동시킨다. The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the portable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는 제2 연결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를 구비한다.The portable
제2 연결부(210)는 제2 통신부(212), 신호입력부(214), 전원출력부(216)를 구비하며, 제1 연결부(11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외부 입출력기기(200)와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제2 통신부(212)는 제1 통신부(11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2 통신부(212)는 전술한 제1 통신부(112)와 대응되게 마련된다. 즉, 제2 통신부(212)는 UART, I2C, SPI, USB 등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마련된다.The
신호입력부(214)는 제1 연결부(110)의 신호출력부(114)와 연결되어 연결상태 알림신호 및 장치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230)에 출력한다.The
전원출력부(216)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제1 연결부(110)의 전원입력부(116)로 전원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다음, 도 1를 참조하여,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의 저장부(22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저장부(220)는, 제2 연결부(210)와 연동 가능한 외부 입출력기기(100)들에 각각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즉, 저장부(220)는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모바일 프린터 등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에 대한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저장부(220)는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한 플레쉬메모리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구동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외부 입출력기기(100)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대부분 응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에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Such a driving program includes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each external input /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20)의 제어부(230)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제어부(230)는, 전술한 제2 연결부(210)를 통해 외부 입출력기기(100)가 연결되면, 제2 연결부(21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들에 의해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 기(10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저장부(220)로부터 추출한다.When the external input /
그리고, 제어부(230)는 추출된 구동프로그램을 제2 연결부(210)의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외부 입출력기기(100)에 전송한다.The
제어부(230)는, 인식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 종류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원을 내부 전원으로부터 추출하여 제2 연결부(210)의 전원출력부(216)를 통해 외부 입출력기기(100)로 출력한다.When the
전술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20)는 휴대가 용이한 PDA 단말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PDA 단말기는 개인용 및 산업용으로 활용범위가 넓은 전자기기이다. 특히, 대형마트, 백화점 및 물류창고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휴대가 용이한 PDA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모바일 POS 제품과 용이하게 연동될 수 있는 PDA 단말기가 요구된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20)는 휴대성과 다른 모바일 POS 제품과의 연동성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모바일 POS 시스템 구축에 적합한 단말기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able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와 외부 입출력기기(100) 사이의 연결이 성공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를 통하여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1)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부(240)와 입력키(250)를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를 도시한 것이고, (b)는 IC 카드 리더기를 도시한 것이며, (c)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를 IC 카드 리더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3A illustrates a portable
도 3의 (c) 및 도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의 제어부(230)의 동작을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먼저, 제어부(230)는 제2 연결부(210)를 통해 입력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410). 즉, 제어부(230)는, 제2 연결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연결상태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First, the
S410 단계에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30)는 연결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가 무엇인지 결정한다(S420). 즉, 제어부(230)는 제2 연결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장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를 결정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connection, the
다음, 제어부(230)는, 저장부(220)로부터 S420 단계에서 결정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을 탐색하여 로딩하고, 결정된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종류에 따라 전원의 공급여부 및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결정한다(S430). 여기서, 구동프로그램은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의 이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Next, the
다음, 제어부(230)는, S430 단계에서 결정된 전원을 제2 연결부(210)를 통해 외부 입출력기기(100)로 출력하고, 로딩된 구동프로램을 수행하여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초기화 한다(S440). Next, the
다음, S440 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40)에 외부 입출력기기(100)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입력키(250)를 이용하여 작업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30)는 외부 입출력기기(100)가 선택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450).Next, when the user interface for use of the external input /
즉, 입력키를 통해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에 저장된 일부 정보를 프린터 하는 작업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30)는 선택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외부 입출력기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프린터 하도록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구동시킨다.That is, when a job for printing some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ke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1)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외부 입출력기기(100)를 하나의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 휴대용 디지털단말기(200)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rive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 /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은, PDA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단말기를 다양한 외부 입출력기기와 연동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생활 전반의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하고, POS 시스템 등 산업분야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general mobile environment in which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uch as a PDA needs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s, and can be used in industrial fields such as a POS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단말기 시스템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a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portable digita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외부 입출력기기 110 : 제1 연결부100: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110: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 제어부 200 : 휴대용 디지털단말기120: control unit 200: portable digital terminal
210 : 제2 연결부 220 : 저장부210: second connection unit 220: storage unit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230: control unit 240: display unit
250 : 입력키 250: input key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207A KR101021888B1 (en) | 2008-07-16 | 2008-07-16 |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207A KR101021888B1 (en) | 2008-07-16 | 2008-07-16 |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638A KR20100008638A (en) | 2010-01-26 |
KR101021888B1 true KR101021888B1 (en) | 2011-03-18 |
Family
ID=4181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9207A KR101021888B1 (en) | 2008-07-16 | 2008-07-16 |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1888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2705A (en) * | 2004-04-28 | 2004-06-23 | 주식회사 모바일터치 | Auto USB gender for connecting between PC and peripheral equipment |
KR20050040549A (en) * | 2003-10-29 | 2005-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station for cognizing the external apparatus using the universal serial bus port |
-
2008
- 2008-07-16 KR KR1020080069207A patent/KR10102188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0549A (en) * | 2003-10-29 | 2005-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station for cognizing the external apparatus using the universal serial bus port |
KR20040052705A (en) * | 2004-04-28 | 2004-06-23 | 주식회사 모바일터치 | Auto USB gender for connecting between PC and peripheral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638A (en) | 2010-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10412B2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configuration of paired scanner | |
US9959495B2 (en) | Portable data terminal | |
US8376217B2 (en) | Method of barcode sequencing when area imaging | |
EP2901262A1 (en) |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managing a soft keyboard on a mobile terminal connected with a handheld electro-optical reader via a bluetooth® paired connection | |
CN104137035A (en) | Gesture and motion operation control for multi-mode reading devices | |
US8919648B2 (en) | Barcode and RFID reading apparatus | |
JP2005086901A (en) | Wiring control system | |
US8493243B2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 |
KR10080164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per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21888B1 (en) | Portable digital terminal and portable digital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170024027A1 (en) | Input device | |
US2019001899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onfiguration of indicia readers | |
US11138393B2 (en) | Multi-mode NFC/RFID scanning | |
JP5573280B2 (en) |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KR102636196B1 (en) | Multib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 |
JP2011008458A (en) | Mobile terminal management system | |
JP4779373B2 (en) | Work support system | |
JP5720809B2 (en) |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JP7492341B2 (en) | Radio tag reader and program | |
JP5471712B2 (en) |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TWI749291B (en) | Rfid reader and power setting method thereof | |
KR20140083705A (en) | Tag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 |
JP4475219B2 (en) | Portable information reader | |
CN111611816A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ing device and power setting method thereof | |
CN115698973A (en) | Electronic device, determination system,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