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070B1 -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070B1
KR101021070B1 KR1020057001755A KR20057001755A KR101021070B1 KR 101021070 B1 KR101021070 B1 KR 101021070B1 KR 1020057001755 A KR1020057001755 A KR 1020057001755A KR 20057001755 A KR20057001755 A KR 20057001755A KR 101021070 B1 KR101021070 B1 KR 10102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quence
program
classification
key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282A (ko
Inventor
라리타 아그니호트리
네벤카 디미트로바
스리니바스 구타
동기 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2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 하에서,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결정된다. 종류가 결정되면, 각각의 시퀀스는 분류가 부여된다. 분류는 시퀀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부여된다.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키프레임은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에서 사용되도록 시퀀스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CONTENT-BASED TABLE OF CONTE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시퀀스로부터의 키 프레임이 시퀀스 내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해 선택되도록 한다.
컴퓨터 및 오디오/비디오 기술의 빠른 등장과 함께, 소비자들에게 소비자 가전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추가의 기능성이 점점 더 제공되었다. 특히, 케이블이나 위성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시청하기 위한 셋-탑 박스와 같은 디바이스와, 프로그램들을 기록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레코더(예컨대, TIVO)는 많은 가정에 널리 보급되었다. 소비자에게 증가된 기능성을 제공함에 있어서, 많은 요구가 다루어진다. 하나의 그러한 요구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 표에 접근하려는 소비자의 욕구이다. 콘텐트 표는 예를 들어 소비자가 이미 시작한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시작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프로그램이 시작한 지 얼마나 됐는지와, 어떤 시퀀스가 일어났는지를 알기 위해 콘텐트 표를 참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 표를 인덱스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불행히, 어떠한 현존하는 시스템도 콘텐트 표가 프로그램의 콘텐트에 근거해 생성되도록 하지 않는다. 특히, 어떠한 현존하는 시스템도 콘텐트 표가 프로그램의 결정된 종류와 각 시퀀스의 분류에 근거해 선택된 키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되도록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약 프로그램이 "살인 시퀀스"를 가진 "공포 영화"라면, "공포 영화" 내의 이것이 "살인 시퀀스"라는 사실 때문에 어떤 키프레임은(예컨대, 제 1 프레임 및 제 5 프레임) 시퀀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살인 시퀀스"로부터 선택된 키프레임은 프로그램 내의 "대화 시퀀스"로부터 선택된 것들과 다를 수 있다. 어떠한 현존하는 시스템도 그러한 기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전의 시각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이 범위에서, 결정될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분류될 프로그램 안의 각 시퀀스에 대한 필요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여전히, 콘텐트 표에 대한 적절한 키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적용될 규칙의 세트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종류를 분류 및 키프레임과 상관하기 위한 규칙의 세트에 대한 필요 또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 하에,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결정된다. 종류가 결정되면, 각 시퀀스는 분류 가 부여된다. 분류는 시퀀스 안의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해 부여된다.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해, 키프레임(또한 키 요소나 키 조각으로 알려져 있음)이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퀀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1)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2) 콘텐트에 근거해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 (3)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해 시퀀스 내에서 키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4) 키프레임에 근거해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상기 방법은, (1) 복수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퀀스는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2)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스에 분류를 부여하는 단계, (3) 규칙의 세트를 적용함으로써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4) 키프레임에 근거하여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1)복수의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종류 시스템, (2)콘텐트에 근거해 프로그 램의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시스템, (3)종류 및 분류에 근거해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 시스템, (4)키프레임에 근거해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표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기록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1)복수의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2)콘텐트에 근거한 프로그램의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3)종류 및 분류에 근거한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4)키프레임에 근거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성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트 프로세싱 시스템을 가지는 컴퓨터화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류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예시적인 콘텐트의 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정 파라미터를 묘사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단순히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 만을 묘사하도록 의도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 하에,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결정된다. 종류가 결정되면, 각각의 시퀀스는 분류가 부여된다. 분류는 시퀀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부여된다.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키프레임(예컨대, 키 조각 또는 키 요소로도 알려짐)은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에서 사용되는 시퀀스로부터 선택된다.
이제 도 1을 참조로,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이 도시되었다.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하는 프로그램(34)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었다. 전형적인 예는 케이블 또는 위성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셋-탑 박스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레코더(예컨대, TIVO)를 포함한다. 추가로, 여기서 사용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이란 용어는 텔레비전 쇼, 영화, 프레젠테이션 등과 같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 콘텐트의 어떠한 장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프로그램(34)은 전형적으로 각각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 콘텐트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또는 요소(38)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36)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중앙 처리 유닛(CPU)(12), 메모리(14), 버스(16),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8), 외부 디바이스/리소스(20) 및 데이터베이스(22)를 포함한다. CPU(12)는 단일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거나, 예컨대, 클라이언트 및 서버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메모리(14)는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데이터 캐시, 데이터 객체 등을 포함한, 어떠한 알려진 형태의 데이터 저장 및/또는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CPU(12)와 비슷하게, 메모리(14)는, 하나 이상의 형태의 데이터 저장을 포함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소에 상주할 수 있거나,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물리적 시스템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8)는 외부 소스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어떠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리소스(20)는, 스피커, CRT, LED 스크린, 휴대 디바이스,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시스템, 음성 출력 시스템, 프린터, 모니터, 팩스, 호출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알려진 형태의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6)는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의 각 요소들 사이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고, 같은 방식으로, 전기적, 광학적, 무선 등을 포함한, 어떠한 알려진 형태의 전송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캐시 메모리, 통신 시스템,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은 컴퓨터화된 시스템(10) 안에 통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위한 저장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다른 것보다, 프로그램, 분류 파라미터, 규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22)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나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22)는, 예를 들어,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또는 저장 영역 네트워크(SAN)(미도시)에 걸쳐 분산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2)는 또한 당업자가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해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콘텐트 프로세싱 시스템(24)(프로그램 제품으로 도시)은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의 메모리(14)에 저장된다. 도시된 것처럼, 콘텐트 프로세싱 시스템(24)은 종류 시스템(26), 분류 시스템(26), 프레임 시스템(30), 및 표 시스템(32)을 포함한다. 위에 나타난 것처럼, 콘텐트 프로세싱 시스템(24)은 프로그램(34)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한다. 콘텐트 시스템(10)이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방식으로 도시된 것처럼 구분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교시는 어떠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고, 어떠한 특정 시스템, 모듈 등의 일부로서 도시된 기능들은 다른 시스템, 모듈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34)이 제공되면, 종류 시스템(26)은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프로그램(34)이 "공포 영화"라면, 종류 시스템(26)은 "공포"로 종류를 결정할 것이다. 이 범위로, 종류 시스템(26)은 프로그램(34)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비디오 가이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류는 프로그램(34)과 함께 데이터로(예컨대, 헤더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류 시스템(26)은 헤더로부터 종류를 읽을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34)의 종류가 결정되면, 분류 시스템(28)은 각각의 시퀀스(36)를 분류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류는 각 프레임 내의 콘텐트를 검토하는 것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분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특정 분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분류 시스템(28)의 더 상세한 블록도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분류 시스템(28)은 비디오 검토 시스템(50), 오디오 검토 시스템(52), 텍스트 검토 시스템(54), 및 부여 시스템(56)을 포함한다. 비디오 검토 시스템(50) 및 오디오 검토 시스템(52)은 각각의 시퀀스의 분류를 결정하는 시도에서 각각의 시퀀스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트를 검토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검토 시스템(52)은 각 시퀀스에서 새어나오는 것을 결정하는 시도에 있어서, 대화, 폭발, 박수 소리, 농담, 음량 레벨, 음성 고조 등을 검토할 수 있는 반면, 비디오 검토 시스템(50)은 얼굴의 표정, 배경, 시각적 효과 등을 검토할 수 있다. 텍스트 검토 시스템(54)은 각 시퀀스 내의 텍스트 콘텐트를 검토할 것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검토 시스템은 자막 또는 시퀀스 중의 대화로부터 텍스트 콘텐트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텍스트 검토 시스템(54)은 텍스트 콘텐트를 도출/추출하기 위한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검토로부터 수집된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콘텐트(데이터)는 각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22) 안의 분류 파라미터에 적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34)이 "공포 영화"라고 가정하자. 또한 프로그램(34) 안의 특정 시퀀스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칼로 찌르는 것을 보여주는 비디오 콘텐트와 비명으로 구성된 오디오 콘텐트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분류 파라미터들은 일반적으로 종류를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분류와 상관한다. 이 예에서, 분류 파라미터들은 "살인 시퀀스"의 분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분류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류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텍스트 콘텐트 분류
공포
영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죽이려고 힘을 행사. 대화는 비명, 20 데시벨 이상의 데시벨 레벨 죽임, 살인 살인 시퀀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추적. 대화는 거친 숨소리. 폭발이 일어남. 시퀀스에 대한 음악은 빠른 템포. 멈춤, 추적. 추적 시퀀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체포. 대화는 평범. 시퀀스에 대한 음악은 느린 템포. 체포, 포획. 체포 시퀀스
시퀀스에 대한 분류가 결정되면, 분류는 부여 시스템(54)을 통해 대응하는 시퀀스에 부여될 것이다. 상기 분류 파라미터들이 단지 예시적이 되도록 의도되었고 많은 등가의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시퀀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많은 접근 방식이 취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998년 ICIP'98의 회보, 3권, 페이지 536 내지 540에 개시된(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됨) "확률적인 멀티미디어 객체(멀티젝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인덱싱과 검색에 대한 신규한 접근 방식"이라 명칭된, M. R. 네페이드 등에 의해 개시된, 방법은 본 발명 하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각 시퀀스가 분류된 후, 프레임 시스템(30)(도 1)은 콘텐트의 표(40)에 대해 사용되어야 할 각 시퀀스로부터의 키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22) 안의 규칙의 세트(즉, 하나 이상의 규칙)에 접근할 것이다. 특히, 콘텐트의 표(40)는 각 시퀀스로부터의 대표적인 키프레임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할 것이다. 시퀀스를 가장 잘 하이라이트하는 키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해, 프레임 시스템(30)은, 결정된 분류 및 적절한 키프레임과 함께, 결정된 종류로 맵핑시키는(즉, 상관하는) 규칙의 세트를 적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종류의 프로그램 내의 임의의 종류의 조각은 조각의 시작과 마지막으로부터 취해진 키프레임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내어진다. 상기 규칙은 시퀀스의 종류, 분류 및 가장 연관된 부분들(키프레임) 사이의 맵핑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 프로그램(34)이 "공포 영화"이라면, 적용될 수 있는 맵핑 규칙의 예시적인 세트가 아래에 도시되었다.
종 류 분 류 키프레임
공포 영화 살인 시퀀스 A 및 Z
추적 시퀀스 M
체포 시퀀스 A, M, 및 Z
그래서, 예를 들어, 만약 프로그램(34)이 "공포 영화"이고, 시퀀스 중 하나가 "살인 시퀀스"라면, 규칙의 세트는 시퀀스의 시작과 마지막이 가장 중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키프레임(A, Z)은 콘텐트의 표에 사용되도록 검색(예를 들어, 복사, 참조 등)될 것이다. 위에 도시된 분류 파라미터들과 비슷하게, 위에서 설명된 규칙들의 세트는 단순히 예시적인 목적이며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규칙에 대해 어떤 키프레임이 이상적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위에 도시된 것처럼,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키프레임은 시퀀스 분류(형태), 오디오 콘텐트(예를 들어, 침묵, 음악 등), 비디오 콘텐트(예를 들어, 장면에서의 얼굴의 수), 카메라 움직임{예를 들어, 팬(pan), 줌(zoom), 틸트(tilt) 등} 및 종류에 근거해 선택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키프레임은 어느 시퀀스가 프로그램에 대해 가장 중요한지를(예를 들어, "공포 영화"에 대해서 "살인 시퀀스") 먼저 결정하고, 그런 후, 이러한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 어느 키프레임이 가장 중요한지를 결정함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을 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의 프레임 디테일(frame detail) 계산을 구현할 수 있다:
프레임 디테일 = 0, 만약 (모서리(edge)의 수 + 패턴 무늬(texture) + 객체의 수) < 임계치1
1, 만약 임계치1 < (모서리의 수 + 패턴 무늬 + 객체의 수) < 임계치2
0, 만약 (모서리의 수 + 패턴 무늬 + 객체의 수) > 임계치2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키프레임들이 선택된 후, 표 시스템(32)은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해 키프레임을 사용할 것이다. 도 3을 참조로, 예시적인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40)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콘텐트 표(40)는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목록(6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목록(60)은 (대응하는 시퀀스 분류를 전형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시퀀스 제목(62)과 대응하는 키프레임(64)을 포함한다. 키프레임(64)은 종류 및 분류에 비추어 각각의 시퀀스에 적용되는 규칙들의 (즉, 하나 이상의)세트에 근거하여 선택된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예시된 규칙의 세트를 이용하여, (즉, 시퀀스가 "살인 시퀀스"로서 분류되기 때문에)"시퀀스II-제시카의 살인"에 대한 키프레임은 시퀀스의 프레임 1 및 5일 것이다. 원격 제어기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목록에서 키프레임(64)을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특정 시퀀스의 빠른 개요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한 콘텐트 표(40)는 프로그램을 빨리 검색(browsing)하고, 프로그램 안의 특정 지점으로 점프하고,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시청하는 것과 같은 많은 이유로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프로그램(34)이 케이블 텔레비젼 네트워크 상에서 보여주는 "공포 영화"라면, 사용자는 프로그램(34)에 대한 콘텐트 표(40)에 접근하기 위해 셋-탑 박스에 대한 원거리 제어기를 활용할 수 있다. 접근되면, 사용자는 이미 통과한 시퀀스에 대한 키프레임(64)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그램들로부터 프레임을 선택한 이전 시스템은 (본 발명이 하는 것과 같이)프로그램의 콘텐트에 실제로 의존하는데 실패했다. 도 3에 도시된 콘텐트 표(40)가 단지 예시적이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콘텐트 표(40)가 또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로, 방법(100)의 순서도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방법(100)의 제 1 단계(102)는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 2 단계(104)는 콘텐트에 근거해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 3 단계(106)는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 4 단계(108)는 키프레임에 근거해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된다. 어떠한 종류의 컴퓨터/서버 시스템-또는 위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다른 장치가- 적절하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전형적인 조합은, 로드되고 실행되었을 때, 여기서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화된 시스템(10)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진 범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성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특정 용도의 컴퓨터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 개시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성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로드되었을 때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안에 내장될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시스템이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경우 후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된 명령의 세트의 어떠한 언어, 코드나 주석으로 된 어떠한 표현을 의미한다: (a)또 다른 언어, 코드 또는 주석으로의 변환; 및/또는 (b)다른 재질 형태로의 재생.
앞서나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본 발명을 정확히 개시된 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았으며, 명백하게, 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는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이 기술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키프레임에 근거하여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은 종류를 분류 및 키프레임과 상관하는 규칙의 세트를 적용함으로써 확인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가,
    각각의 시퀀스의 콘텐트를 검토하는 단계, 그리고
    분류를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스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는 시퀀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 및 오디오 콘텐트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콘텐트의 표가 오디오 콘텐트, 비디오 콘텐트 또는 텍스트 콘텐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데이터베이스 안의 규칙의 세트를 접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시퀀스에 대한 키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해 분류와 함께 종류를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브라우즈하기 위해 콘텐트 표를 조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 법.
  10. 제 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내의 특정 시퀀스에 접근하기 위해 콘텐트 표를 조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에 접근하기 위해 콘텐트 표를 조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퀀스가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분류를 비디오 콘텐트, 오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스에 부여하는 단계,
    규칙의 세트를 적용함으로서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키프레임에 근거하여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의 비디오 콘텐트와 오디오 콘텐트를 검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는 상기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의 세트는 종류를 분류 및 키프레임과 상관시키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는 방법.
  16.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콘텐트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종류 시스템,
    상기 콘텐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시스템,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에서 키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 시스템, 그리고
    상기 키프레임에 근거하여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표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은, 종류를 분류 및 키프레임과 상관시키는 규칙의 세트를 적용함으로써 확인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시스템은,
    상기 시퀀스 내의 오디오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오디오 검토 시스템,
    상기 시퀀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비디오 검토 시스템,
    상기 시퀀스 내의 텍스트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텍스트 검토 시스템, 그리고
    상기 오디오 콘텐트, 상기 비디오 콘텐트 및 상기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스에 분류를 부여하기 위한 부여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표는 적용 단계로부터 결정된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 16항에 있어서, 적용 단계 이전에, 데이터 베이스 안의 규칙의 세트에 접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21.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해 기록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되었을 때,
    콘텐트의 복수의 시퀀스를 가지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콘텐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각각의 시퀀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종류 및 분류에 근거하여 시퀀스 내의 키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그리고
    상기 키프레임에 근거하여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은, 종류를 분류 및 키프레임과 상관시키는 규칙의 세트를 적용함으로써, 확인되는, 프로그램 제품.
  23. 제 21항에 있어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시퀀스 내의 오디오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시퀀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시퀀스 내의 텍스트 콘텐트를 검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그리고
    오디오 콘텐트, 비디오 콘텐트, 및 텍스트 콘텐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퀀 스에 분류를 부여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표는 적용하는 단계로부터 결정된 상기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25. 제 21항에 있어서, 적용하는 단계 이전에, 데이터 베이스 안의 규칙의 세트에 접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KR1020057001755A 2002-08-01 2003-07-17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KR101021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10,521 2002-08-01
US10/210,521 US20040024780A1 (en) 2002-08-01 2002-08-01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content-based table of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282A KR20050029282A (ko) 2005-03-24
KR101021070B1 true KR101021070B1 (ko) 2011-03-11

Family

ID=3118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55A KR101021070B1 (ko) 2002-08-01 2003-07-17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24780A1 (ko)
EP (1) EP1527453A1 (ko)
JP (1) JP4510624B2 (ko)
KR (1) KR101021070B1 (ko)
CN (1) CN100505072C (ko)
AU (1) AU2003247101A1 (ko)
WO (1) WO2004013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6475B2 (en) * 2005-01-10 2014-04-2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able of contents and reference determination
US8302002B2 (en) * 2005-04-27 2012-10-30 Xerox Corporation Structuring document based on table of contents
US7743327B2 (en) * 2006-02-23 2010-06-22 Xerox Corporation Table of contents extraction with improved robustness
US7890859B2 (en) * 2006-02-23 2011-02-15 Xerox Corporation Rapid similarity links computation for table of contents determination
US20080065671A1 (en) * 2006-09-07 2008-03-13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d labeling organizational tables in a document
CN101359992A (zh) * 2007-07-31 2009-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类别请求方法、确定方法、交互方法及装置
US9224041B2 (en) * 2007-10-25 2015-12-29 Xerox Corporation Table of contents extraction based on textual similarity and formal aspects
KR101859412B1 (ko) * 2011-09-05 2018-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변환장치 및 컨텐츠변환방법
CN104105003A (zh) * 2014-07-23 2014-10-15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KR101650153B1 (ko) * 2015-03-19 2016-08-23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편집 장치
CN107094220A (zh) * 2017-04-20 2017-08-25 安徽喜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录播系统及方法
US11589120B2 (en) * 2019-02-22 2023-02-21 Synaptics Incorporated Deep content tagging
CN113434731B (zh) * 2021-06-30 2024-01-1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音乐视频流派分类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471A1 (en) 2000-12-21 2002-06-2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summary of a video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71A (en) * 1868-10-27 Improvement in printing-presses
JPH06333048A (ja) * 1993-05-27 1994-12-02 Toshiba Corp 動画像処理装置
US5635982A (en) * 1994-06-27 1997-06-03 Zhang; Hong J. System for automatic video segmentation and key frame extraction for video sequences having both sharp and gradual transitions
WO1996017313A1 (en) * 1994-11-18 1996-06-06 Orac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multimedia information streams
US5708767A (en) * 1995-02-03 1998-01-1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browsing based on content and structure
JP3407840B2 (ja) * 1996-02-13 200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要約方法
JP3131560B2 (ja) * 1996-02-26 2001-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動画像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動画像情報検出装置
JP3341574B2 (ja) * 1996-03-11 2002-11-05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10232884A (ja) * 1996-11-29 1998-09-02 Media Rinku Syst:Kk 映像ソフトウェア処理方法及び映像ソフトウェア処理装置
US6263507B1 (en) * 1996-12-05 2001-07-17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Browser for use in navigating a body of information,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browsing information represented by audiovisual data
US5956026A (en) * 1997-12-19 1999-09-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hierarchical summarization and browsing of digital video
US7178107B2 (en) * 1999-09-16 2007-0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identification prescriptions
US7181757B1 (en) * 1999-10-11 2007-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deo summary description scheme and method and system of video summary description data generation for efficient overview and browsing
JP4304839B2 (ja) * 2000-07-13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044572A (ja) * 2000-07-21 2002-02-08 Sony Corp 情報信号処理装置及び情報信号処理方法および情報信号記録装置
US20020157116A1 (en) * 2000-07-28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ext and content bas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multimedia segmentation and indexing
JP2002152690A (ja) * 2000-11-15 2002-05-24 Yamaha Corp シーン切換点検出方法、シーン切換点提示装置、シーン切換点検出装置、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装置
JP2002199333A (ja) * 2000-12-27 2002-07-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471A1 (en) 2000-12-21 2002-06-2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summary of a video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7453A1 (en) 2005-05-04
US20040024780A1 (en) 2004-02-05
CN1672210A (zh) 2005-09-21
KR20050029282A (ko) 2005-03-24
AU2003247101A1 (en) 2004-02-23
WO2004013857A1 (en) 2004-02-12
JP4510624B2 (ja) 2010-07-28
CN100505072C (zh) 2009-06-24
JP2005536094A (ja)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6007B2 (en) Distributed and tiered architecture for content search and content monitoring
KR100915847B1 (ko) 스트리밍 비디오 북마크들
US7181757B1 (en) Video summary description scheme and method and system of video summary description data generation for efficient overview and browsing
US66975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browsing and editing by employing audio
US20110289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video program material via dvs or sap data
KR101021070B1 (ko) 콘텐트-기반 콘텐트 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US20140245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media content
US20030123850A1 (en) Intelligent news video brow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Dimitrova et al. Video keyframe extraction and filtering: a keyframe is not a keyframe to everyone
JP2004274768A (ja) 注釈付きビデオファイルを生成する方法
WO2001027876A1 (en) Video summary description scheme and method and system of video summary description data generation for efficient overview and browsing
JP2007012013A (ja) 映像データ管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152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mmaries of a multimedia file
US103211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edia file identifiers and likelihood of media file relationships
JP2009111938A (ja) 情報編集装置、情報編集方法、情報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16310B1 (ko) 오디오 신호처리 기반의 음악 및 동영상간의 교차 추천 시스템 및 방법
EP185801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file reproduce method
US20140307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enr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Lu et al. Semantic video summarization using mutual reinforcement principle and shot arrangement patterns
EP21363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media descriptors
KR102308893B1 (ko) 인식 메타를 이용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2384263B1 (ko) 음성 인덱싱을 이용한 비디오 가공 방법 및 장치
Fernández Chappotin Design of a player-plugin for metadata visualization and intelligent navigation
KR20160013039A (ko) 파일의 분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842882A (zh) 一种音视频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