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068B1 -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068B1
KR101021068B1 KR1020090043558A KR20090043558A KR101021068B1 KR 101021068 B1 KR101021068 B1 KR 101021068B1 KR 1020090043558 A KR1020090043558 A KR 1020090043558A KR 20090043558 A KR20090043558 A KR 20090043558A KR 101021068 B1 KR101021068 B1 KR 10102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net
length
farm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508A (ko
Inventor
조기채
이진호
강덕영
강희웅
박영제
전제천
박광재
이종윤
김문환
나시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4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0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민어과 어류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그물(網目)코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8 ~ 1.2 cm인 무결절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5 ~ 6 km 지점에 2.0 ~ 2.5 km 길이로 포물선 모양으로 설치하고, 그물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가 될 때 그물망 내에서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막이 시설을 이용하여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스트레스 및 상처를 주지 않고 살아있는 자연산 어류를 수중에서 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참조기의 종 보존과 양질의 수정란 확보에 의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참조기의 양식 산업화를 이룰 수 있어 1만톤의 수입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민어과 어류, 참조기, 양식방법

Description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Method for breeding of Family Sciaenidae}
본 발명은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그물코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8 ~ 1.2 cm인 무결절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5 ~ 6 km 지점에 2.0 ~ 2.5 km 길이로 포물선 모양으로 설치하고, 그물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가 될 때 그물망 내에서 참조기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양식산업은 1970년대 남해안을 중심으로 방어와 참돔양식이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후반기부터는 넙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이 시작하면서 육상시설을 이용한 생산시스템의 다양화와 종묘생산기술개발의 발달로 생산량의 증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양식의 대상 종은 넙치, 조피볼락, 참돔, 돌돔, 감성돔, 등 일부의 어종에 국한되어 있으며, 또한 사육기간도 제한되어 있어 다양한 양식품종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조기는 떼를 지어 북상하는 회유성(3월 하순~4월 중순경에는 전북 위도, 4월 하순~5월 중순까지는 연평도, 6월 상순경에는 압록강 태화도)어종으로서 성질이 급하고, 공기 중에 노출되면 부레의 파열과 작은 상처에도 쉽게 폐사하는 생태학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해안의 특산 고급어류로 알려져 있는 참조기(굴비)는 원기를 돋우는 생선으로 알려져 왔으며, 활어와 달리 냉동이나 말린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비용이 절감되고 요리가 간편하여 선물용이나 제수용으로 꾸준한 소비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예로부터 고급 수산가공식품으로서 국민들의 건강식품으로 널리 인식되어 왔다. 참조기의 어획량은 1960년대 3 ~ 5만톤으로 멸치, 참치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으나,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남획과 해양환경오염 및 간척사업 등으로 7천여톤으로 감소되어 어류 자원이 급격히 고갈되어 있는 실정이다. 수산물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장 및 산란장의 보호와 함께 자원조성증강을 위한 인공종묘생산 방류사업이나 양식사업을 통한 적극적인 자원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개막이 시설은 물고기를 잡는 전통 어로 방법의 하나로서,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고랑을 막아 물고기를 잡는 방법으로 바닷물이 많이 들고 많이 빠지는 봄과 가을에 주로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를 잡는데 사용하여 왔다.
참조기의 양식방법 확립을 위하여는 양질의 수정란 확보로 인공종묘생산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참조기는 현재까지 살아있는 자연산 친어를 확보하지 못해 참조기의 대량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구명하지 못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개막이 시설을 이용한 민어과 어류의 채포 방법이 살아있는 자연산 친어를 획득하여 참조기의 자원조성회복과 양식산업화를 이룩하기 위한 양식 방법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의 양식 대상 어종은 넙치, 조피복락, 참돔 등 일부 어종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사육기간도 제한되어 왔다. 특히 민어과 어류 중 참조기는 성질이 급한 어종으로서 공기 중에 노출될 때 발생되는 부레의 파열 및 작은 상처에도 쉽게 폐사하여 양식이 불가능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참조기를 포함한 민어과 어류의 인공 종묘 생산기술 개발을 통한 양식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그물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8 ~ 1.2 cm인 무결절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5 ~ 6 km 지점에 2.0 ~ 2.5 km 길이로 포물선 모양으로 설치하고, 그물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가 될 때 그물망 내에서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민어과 어류 양식방법은 쉽게 폐사하여 살아있는 자연산 민어과 어류의 어미 확보 및 실내 먹이 순치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양식이 불가능하였던 참조기의 인공종묘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민어과 어류의 종 보존과 양질의 수 정란 확보에 의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민어과 어류 중 참조기의 양식 산업화를 이룰 수 있어 1만톤의 수입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물코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8 ~ 1.2 cm인 무결절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5 ~ 6 km 지점에 2.0 ~ 2.5 km 길이로 포물선 모양으로 설치하고, 그물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가 될 때 그물망 내에서 민어과 어류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민어과 어류의 양식을 위한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살아있는 자연산 친어를 안전하게 확보하는 것이다. 민어과 어류는 생리생태학적으로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레가 튀어나오거나 파열되어 생존이 매우 어려운 어종이다. 일반적으로 채나 그물을 직접 사용하는 어류의 어획방법으로는 채포과정에서 심한 상처와 스트레스, 공기 중 노출 등으로 살아있는 자연산 참조기 친어를 확보할 수가 없다. 또한, 참조기는 살아있는 자연산 참조기는 인위적인 먹이공급에 순치되지 않고, 수온에 민감하여 양식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민어과 어류의 생태적 특성에 알맞게 설계 제작한 개막이 시설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자연산 참조기를 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참조기 양식 방법이다.
본 발명은 무결절 그물망 재질을 사용하여 그물코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8 ~ 1.2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로 및 세로 1 cm인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모양을 형성하도록 그물망의 길이 2.0 ~ 2.5 km, 높이 1 ~ 1.2 m로 제작하여 만든 개막이 시설을 이용한다. 그물코가 결절이 있거나, 그물코의 크기가 0.8 cm 이하인 경우는 참조기가 상처를 입기 쉽고, 그물코의 크기가 1.2 cm 이상인 경우는 어류의 머리부분이 그물코에 끼거나, 그물코 사이로 어류가 빠져나가 어류를 채포하는 것이 어렵고, 어류가 채포되어도 모두 죽게된다 (생존율 0 %). 개막이 시설은 길이 3 ~4 m, 직경 40 ~100 mm인 말목을 2 ~ 3m 간격으로 박은 후, 간조 시에 연안육지로부터 5 ~ 6 km 지점에 포물선 모양을 형성하도록 설치한다. 말목은 땅속으로 깊이 1.3m 이상으로 박는 것이 바람직하나, 밀물 또는 썰물에 따라 바닷물이 빠져나갈때 뽑히지 않을 정도로 튼튼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고정된 말목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질로 된 고리를 그물망과 연결하여 그물망이 형성되도록 한다.
만조 시가 되면 수심이 5 m 이상으로 되면서 참조기를 포함한 어류가 연안까지 들어오게 된다. 간조 시에는 다시 썰물을 따라 빠져 나가던 민어과 어류가 개막이 그물에 빠져나가지 못하고 주변에 유영을 하게 된다. 이 때 개막이 그물망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범위가 될 때 수중 채포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개막이 시설의 주변 수심이 제시한 수심보다 낮으면 어류가 상처를 많이 입고, 높으면 채포를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개막이 시설을 이용하여 채포할 수 있는 어류는 보구치, 흑조기, 황강달이, 눈강달이, 민태, 민어, 꼬마민어, 수조기, 부세, 참조기와 같이 민어과 어류인 것이 바람직하나, 특히 참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포 방법으로 채집된 민어과 어류를 갯벌에서의 수송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어패류 수송차로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닷물이 빠져나간 갯벌은 일반적인 바퀴의 수송차는 바퀴가 갯벌에 빠져 이동할 수가 없다. 어패류 수송차는 수조, 수조에 연결되는 무한궤도바퀴, 무한궤도바퀴를 구동하는 엔진 및 수조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패류 수송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패류가 담기는 수조(200)와, 상기 수조(200)에 연결되는 무한궤도바퀴(300)와, 상기 무한궤도바퀴(300)를 구동하는 엔진(400)과, 상기 수조(200)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수조(20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어패류가 담긴다.
수조(200)는 가로 1600mm, 세로1580mm, 높이 680mm로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 격벽이 설치되어,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조(200)의 두 부분에 담겨지는 물이 섞 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밸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로 인해 수조(200)의 두 부분의 수온 또는 해수 조건을 다르게 하거나, 두 부분의 수온 또는 해수 조건을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조(200)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수조(200)에는 40mm의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수조(200)를 지지하는 받침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받침대(100)는 수조(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타 실험장비가 놓여지고 및 연구원이 탑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어패류 수송차는 수조(200)를 개폐하는 덮개(210)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광막(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210)는 두개가 구비되어 수조(200)에서 상기 격벽으로 인해 형성된 두개의 공간을 각각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210)는 수조(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비되거나, 수조(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덮개(210)의 상면에는 덮개(210)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차광막(600)은 수조(2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받침대(100)에 설치된다.
차광막(600)은 받침대(100)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620)와, 제2지지대(6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차광막(600)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610)와, 제1지지대(610)의 높이를 고정하는 로킹부재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로킹부재는 볼트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620)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제1지지대(610)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제1지지대(61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볼트를 구멍에 끼워넣어 제1지지대(6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지지대(620)는 받침대(100)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120)에 삽입되어 받침대(100)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막(600) 비 사용시에는 제2지지대(620)를 삽입부(1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차광막(600)의 높이가 조절되어, 태양의 고도 및 주위 여건에 따라 차광막(6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햇빛이나 외부 이물질 및 눈, 비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광막(60)에는 조명장치(170)가 설치되어, 밤에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장치(170)는 차광막(6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필요한 곳에 조명이 비춰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210) 및 차광막(600)으로 인해 어패류의 공기중 노출을 방지하고 어패류가 수송중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무한궤도바퀴(300)는 받침대(100)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200)에 연결된다.
무한궤도바퀴(300)는 강판제(鋼板製)의 판을 체인 모양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앞·뒤바퀴에 벨트처럼 걸어 동력으로 회전시켜서 주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살아있는 자연산 민어과 어류를 활 새우류의 먹이로 먹이 순치하고, 12 ~ 15 ℃의 온도에서 성성숙 호르몬을 투여하여 성성숙 및 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성성숙 유도 호르몬은 통상적으로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tH (Gonadotrophic Hormone),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등이 사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성성숙 유도를 위해서 HCG, GnRH의 2종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참조기의 경우에는 GnRH (Sigma, USA)만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결코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 참조기의 실내 먹이순치 및 월동사육관리
채포되어 수송된 참조기의 먹이순치를 위하여 자연산 참조기의 위 속에 소화되지 않고 남은 내용물 중 새우류가 많은 것을 확인하고, 선 새우류(길이 3 ~ 4 cm)를 공급하여 매일 09시부터 22시까지 2시간 간격으로 30일 동안 먹이를 공급하여 실내 먹이순치를 시행하였다.
참조기는 월동을 한 후 산란장으로 다시 이동하는 생태학적 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환경조건을 갖추어주기 위하여 수온이 12 ℃로 동절기에는 30,000 Kcal 보일러 시스템으로 월동사육수온을 12 ~ 15 ℃의 온도를 유지하여 사육하였다.
실시예 2. 성성숙에 의한 자연산란 유도
상기 12 ~ 15 ℃의 온도에서 먹이순치되고 사육된 참조기는 암수를 구분하여 복강에 GnRH 0.1 mg/kg, HCG 500 IU/kg의 농도로 성성숙 호르몬제를 투여하였다. 실내 탱크에서 참조기의 산란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바닥에 진흙과 모래를 깔아서 자연과 유사하게 하여 HDW-700A 카메라에 적외선 필터를 부착하여 산란행동 관찰하여, 수온 및 염분에 따른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수온에 따른 부화율 조사는 대조구를 자연수온인 22.4 ℃로 하였으며, 실험구는 15, 20, 25, 30 ℃에서 2반복으로 각각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부화율은 자연수온 대조구가 51.1%로 가장 높았으며, 25℃ 실험구가 44.5%, 20℃ 실험구가 37.5%, 15℃ 실험구가 3.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 30℃ 실험구에서는 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참조기의 수정란 부화시 최적의 염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연해수의 염분 27을 대조구로 하여 염분 5, 10, 20, 30 psu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염분별 부화율 측정결과는 30 psu 실험구에서 49.7%로 자연 염분 실험구인 27 psu실험구의 41.5%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와 30 psu 실험구를 제외한 다른 실험구에서는 수정란이 100% 폐사하 여 부화율이 0%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참조기의 생존율 조사
참조기의 수온, 염분 및 밀도에 따른 생존율 조사는 길이 20.2 ± 0.18 mm, 중량 0.05 ~ 0.12 g의 치어 800마리를 사용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참조기의 수온에 따른 생존율 조사는 대조구를 자연수온인 22.4 ℃로 하여 실험구 15, 20, 25, 30 ℃에서 각각 10일간 3 반복 생존율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0일 후 자치어의 생존율은 자연수 실험구가 73.±4.2%로 가장 높았으며, 25℃ 실험구가 55.0.±4.2%, 20℃ 실험구가 37.0±1.4% 그리고 15℃와 30℃ 실험구는 7.0±4.2%로 동일한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염분에 따른 생존율 조사를 위해 전장 25.1 mm의 자치어를 각 2 ℓ 수조당 10마리를 수용하여 3 반복으로 자연해수 염분인 27 psu 대조구와 실험구의 염분 5, 10, 20, 30 psu에서 10일간 염분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염분별 생존율은 염분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5 psu 실험구의 생존율은 90.0±10.0%, 10 psu 실험구는 50.0±26.5%, 20 psu 실험구는 40.0±10.0%, 27 psu 대조구는 23.3±20.8%, 30 psu 실험구는 6.7±11.5% 순으로 나타났다.
밀도별 실험에 사용된 치어의 전장은 평균 20.2±0.18 mm, 중량 0.07 g의 치어를 10 ℓ 수조에 5, 10, 15, 20, 25마리씩 각각 수용하여 30일간 생존율을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에 따른 생존율은 5마리(100±0.0%)> 25마리(90.7±6.1%)> 10마리(83.3±5.8%)=20마리(83.3±11.5%)> 15마리(80.0±6.7%)순으로 나타났다. 10 ℓ에 25마리를 수용한 실험구에서 사육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수온충격에 대한 참조기의 영항
저수온 반응 실험을 위하여 130 ℓ수조에 얼음을 사용하여 3, 5, 7, 9, 11 로 수온을 조절한 후 수온 13 에서 월동사육 중인 길이 16 ~17 cm, 중량 60 ~ 65 g의 치어를 수조당 10마리씩 넣고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온충격에 대한 반응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1℃와 9℃에서는 개체의 활력반응과 폐사는 없었으나, 수온 5℃와 3℃로 수온을 급강하시킨 실험구에서는 21~22시간 만에 전량 폐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 수송차 사시도이다.
100 : 받침대 200 : 수조
210 : 덮개 300 : 무한궤도바퀴
400 : 엔진 500 : 산소공급부
110 : 운전대 600 : 차광막
610 : 제1지지대 620 : 제2지지대

Claims (5)

  1. 그물코의 크기가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0.8 ~ 1.2 cm인 무결절 그물망을 연안으로부터 5 ~ 6 km 지점에 2.0 ~ 2.5 km 길이로 포물선 모양으로 설치하고, 그물 주변의 수심이 40 ~ 60 cm 가 될 때 그물망 내에서 참조기를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민어과 어류는 참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수조, 수조에 연결되는 무한궤도바퀴, 무한궤도바퀴를 구동하는 엔진 및 수조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포함하는 어패류 수송차로 운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성성숙 및 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성성숙 및 산란 유도 단계는 12 ~ 15 ℃의 온도를 유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43558A 2009-05-19 2009-05-19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KR10102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558A KR101021068B1 (ko) 2009-05-19 2009-05-19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558A KR101021068B1 (ko) 2009-05-19 2009-05-19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508A KR20100124508A (ko) 2010-11-29
KR101021068B1 true KR101021068B1 (ko) 2011-03-15

Family

ID=4340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558A KR101021068B1 (ko) 2009-05-19 2009-05-19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02B1 (ko) * 2011-03-24 2013-08-30 전라남도 살아있는 멸치 순치 및 사육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08B1 (ko) 2003-04-08 2005-07-01 대한민국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08B1 (ko) 2003-04-08 2005-07-01 대한민국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02B1 (ko) * 2011-03-24 2013-08-30 전라남도 살아있는 멸치 순치 및 사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508A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kunhi Fish culture in India
New Freshwater prawn farming
CN100506033C (zh) 大鲵仿生态人工驯养繁殖方法
Nicosia et al. Homarid lobster hatcheries: their history and role in research, management, and aquaculture
KR101304951B1 (ko) 동자개 조기종묘생산 방법
CN112655612B (zh) 一种全生活史增殖移植热带海参种群的方法
CN102919186A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KR101021068B1 (ko) 민어과 어류의 양식 방법
JPH0775497B2 (ja) ドジョウの産卵育成方法及びその装置
Ohs et al. Species profile: pigfish, Orthopristis chrysoptera.
Grati et al. Releasing of the European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Linnaeus) in the Adriatic Sea: Large-volume versus intensively cultured juveniles
Mathew et al. Breeding of False Gharial (Tomistoma schlegelii) at Zoo Negara, Malaysia
Kerby The striped bass and its hybrids
Philipose et al. Handbook on Opensea Cage Culture
Wheeler Experimental rearing of postlarval brown shrimp to marketable size in ponds
Oliver et al. Seahorses and Pipefish
Kamei et al. Breeding and larval rearing of juvenile of Burmese loach, Lepidocephalichthys berdmorei (blyth, 1860): a new candidate species for aquaculture.
Sharmin et al. Induced spawning and larval rearing of endangered species Nandus nandus (Hamilton) in cemented cistern using pituitary hormone injection
Gopakumar Overview of mariculture
Ignatiou et al. Package of Aquaculture practices
Bensam et al. Seed production and commercial culture of the seabass, Lates calcarifer (Bloch) at Singapore and its lessons for India
Suseelan The prawn culture practices in salt-pan reservoirs at Manakkudy near Cape Comorin
Komugisha et al. Better management practices for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spawning and fingerling product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atsyuk et al. Ways to improve commodity fish production
Mathew Spontaneous spawning of Epinephelus tauvina (Forskal) in cap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