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51B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751B1
KR101020751B1 KR1020100054855A KR20100054855A KR101020751B1 KR 101020751 B1 KR101020751 B1 KR 101020751B1 KR 1020100054855 A KR1020100054855 A KR 1020100054855A KR 20100054855 A KR20100054855 A KR 20100054855A KR 101020751 B1 KR101020751 B1 KR 10102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odule
solar cell
snow
power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식
이구
황창선
김우진
임선아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Priority to KR102010005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02S40/12Means for removing sn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용가측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와,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과 인버터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작업자에 의해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계통 전원, 배터리 전원의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고, 작업자의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치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이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제설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눈의 하중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통상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 모듈에 응집된 눈의 낙설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Snow removal apparatus for 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태양전지의 집합체로 태양전지가 직렬로 연결되어 원하는 기전력을 얻을 수 있고 태양광을 집광하고 외부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태양전지 모듈에 집광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서, 화석원료를 바탕으로 하는 기존 에너지원과는 달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의 위험성을 초래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이며 무궁무진한 태양광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고갈의 염려도 없다.
태양에너지의 이용은 입지조건이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기술혁신에 따른 원가절감과 효율성 제고로 발전단가가 하락하였으며, 향후 박막형 태양전지 등의 기술개발로 발전단가는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급등하는 유가 환경과 맞물려 자원안보의 관점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집광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면적의 태양전지 모듈이 외기에 노출되는데, 도시지역에서는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등의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은 여타 신 재생 에너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른 일정한 전력공급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데, 태양광을 집광할 수 없는 야간에는 전력을 생산할 수 없으며,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일수와 계절별로도 출력량이 달라진다. 북반구의 경우, 태양의 일중고도는 6월에 가장 높고, 12월에 가장 낮으므로 동절기에는 태양광의 집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태양광 발전의 평균출력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동절기에 발생하는 강설은 태양광 발전에 매우 치명적인 출력하락을 야기한다. 강설일 당일은 날씨가 흐린 경우가 많아 태양광 발전의 출력발생이 힘들지만,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적설 상태로 인해 강설 이후 맑은 날씨가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출력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눈이 내릴 경우 브러시 등의 제설기구를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 표면을 기계적으로 닦으면서 제설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는 폭설에 대비하지 못하여 눈의 하중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이 파손될 수 있으며, 태양전지 모듈의 일부가 눈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가동이 되면 태양전지 모듈이 부분적으로 파손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시스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일정량 이상의 눈이 내리면 태양전지에 제설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여 태양전지가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용가측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와,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과 인버터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작업자에 의해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그리고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고, 작업자의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치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이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제설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는,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태양전지 모듈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용가측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와, 무게감지센서 또는/및 습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무게 또는/및 습도를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적설 상태를 확인하며, 적설 상태가 확인되면 제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과 인버터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설제어신호에 따라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그리고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고,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설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치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이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제설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는,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되,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로 차등된 제설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에 따르면, 일정량 이상의 눈이 내리면 태양전지 모듈로 전류를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눈의 하중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 모듈에 응집된 눈의 낙설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태양전지 모듈(110), 스위치(120), 인버터(130), 수용가측 부하(140), 계통 전원(150)(또는/및 배터리 전원(160)), 제설전력 공급부(170) 등을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110)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외부에 구비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터(130)로 공급한다.
스위치(120)는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110)과 인버터(130)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작업자에 의해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태양전지 모듈(110)과 인버터(130)의 연결을 차단하여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 공급부(170)의 제설전력이 태양전지 모듈(11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한다.
인버터(130)는 스위치(1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1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수용가측 부하(140)로 공급하여 안정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설전력 공급부(170)는 계통 전원(150)(외부 전원으로서, 태양광 발전이 수행되지 않는 야간이나 태양광 발전 전력이 부족할 경우 수용가측 부하(140)로 유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 또는/및 배터리 전원(160) 등의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계통 전원(150) 또는/및 배터리 전원(160)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치(1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10)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이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170)는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태양전지 모듈(110)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110)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한다. 전기전도도의 측정은 도면상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태양전지 모듈(110)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110)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제설전력 공급부(170)는, 태양전지 모듈(110)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110)로 공급한다. 그리고 외부 전원으로는 계통 전원(150)과 배터리 전원(160)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이 두 가지의 전원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는 스위치(120)가 태양전지 모듈(110)과 인버터(130)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태양전지 모듈(1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인버터(130)로 공급되고, 인버터(130)에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수용가측 부하(140)에서 안정적인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정상동작 상태에서 적설이 시작되어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에 눈이 쌓이고, 이를 제설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설스위치를 조작하면, 스위치(120)는 태양전지 모듈(110)과 인버터(130)의 연결을 차단하여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 공급부(170)와 태양전지 모듈(110)을 연결한다.
그러면 계통 전원(150) 또는/및 배터리 전원(160) 등의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는 제설전력 공급부(170)에서 스위치(1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10)로 제설전력이 공급되고, 이 제설전력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설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170)는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까지 태양전지 모듈(110)로 제설전력을 계속 공급하여 제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눈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110)의 표면이 발열되도록 하며, 전기전도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제설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110)로 공급되는 제설전력을 중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토대로 제설작업이 완료된 이후, 작업자가 태양광 발전을 위하여 스위치 조작을 수행하면, 스위치(120)는 제설전력 공급부(160)와 태양전지 모듈(110)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전지 모듈(110)과 인버터(130)의 연결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태양광 발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한 도 1의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수동제설방식이 아닌, 자동제설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태양전지 모듈(210), 스위치(220), 인버터(230), 수용가측 부하(240), 계통 전원(250)(또는/및 배터리 전원(260)), 감지센서(270), 제어부(280), 제설전력 공급부(290) 등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 모듈(210)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외부에 구비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터(230)로 공급한다.
스위치(220)는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210)과 인버터(230)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어부(280)로부터 제설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태양전지 모듈(210)과 인버터(230)의 연결을 차단하여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 공급부(290)의 제설전력이 태양전지 모듈(21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한다.
인버터(230)는 스위치(2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21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수용가측 부하(240)로 공급하여 안정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270)는 통상적으로 무게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를 무게, 습도를 토대로 감지하며, 감지신호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제어부(280)는 감지센서(27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를 확인하며, 적설 상태가 확인되면 제설을 수행하기 위한 제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20)와 제설전력 공급부(290)로 출력한다.
제설전력 공급부(290)는 계통 전원(250) 또는/및 배터리 전원(260) 등의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으며, 제어부(280)로부터 인가되는 제설제어신호에 따라 계통 전원(250) 또는/및 배터리 전원(260)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치(2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210)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이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290)는,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210)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한다. 전기전도도의 측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210)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210)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제설전력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10)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태양전지 모듈(210)로 공급하게 되는데,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10)로 차등된 제설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는 스위치(220)가 태양전지 모듈(210)과 인버터(230)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태양전지 모듈(2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인버터(230)로 공급되고, 인버터(230)에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수용가측 부하(240)에서 안정적인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정상동작 상태에서 적설이 시작되어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 눈이 쌓이면, 무게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된 감지센서(270)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제어부(280)에서는 감지센서(27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210) 표면의 적설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 제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20)와 제설전력 공급부(290)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위치(220)는 제어부(280)의 제설제어신호를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210)과 인버터(230)의 연결을 차단하여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 공급부(290)와 태양전지 모듈(210)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계통 전원(250) 또는/및 배터리 전원(260) 등의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는 제설전력 공급부(290)에서 스위치(220)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210)로 제설전력이 공급되고, 이 제설전력을 토대로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설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설전력 공급부(290)는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까지 태양전지 모듈(210)로 제설전력을 계속 공급하여 제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눈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이 발열되도록 하며, 전기전도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제설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태양전지 모듈(210)로 공급되는 제설전력을 중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설전력 공급부(290)는 태양전지 모듈(210)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10)로 차등된 제설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토대로 제설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280)는 스위치(2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설전력 공급부(290)와 태양전지 모듈(210)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전지 모듈(210)과 인버터(230)의 연결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태양광 발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 태양전지 모듈 120, 220 : 스위치
130. 230 : 인버터 140, 240 : 수용가측 부하
150, 250 : 계통 전원 160, 260 : 배터리 전원
170, 290 : 제설전력 공급부 270 : 감지센서
280 : 제어부

Claims (6)

  1.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용가측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인버터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작업자에 의해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을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그리고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고, 작업자의 제설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이 상기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제설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전력 공급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전력 공급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4.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용가측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
    무게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 또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습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무게 및 습도, 또는 무게 또는 습도를 토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적설 상태를 확인하며, 적설 상태가 확인되면 제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인버터를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설제어신호에 따라 태양광 발전을 중지하고 제설전력을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그리고
    외부 전원과 연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설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이 상기 제설전력에 의해 눈이 녹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제설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제설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의 제설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제설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전력 공급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저항값을 토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전력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전에 설정한 제설전력을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공급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쌓이는 적설 상태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 차등된 제설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KR1020100054855A 2010-06-10 2010-06-10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KR10102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855A KR101020751B1 (ko) 2010-06-10 2010-06-10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855A KR101020751B1 (ko) 2010-06-10 2010-06-10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751B1 true KR101020751B1 (ko) 2011-03-09

Family

ID=4393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855A KR101020751B1 (ko) 2010-06-10 2010-06-10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62B1 (ko) * 2012-06-15 2012-11-16 김정혁 도로용 무인 제설장치
KR101819328B1 (ko) * 2016-04-05 2018-01-17 주식회사 럭스코 제설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KR20190032089A (ko) * 2017-09-19 2019-03-27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7376A (ja) * 2000-03-13 2001-09-21 Omron Corp 太陽光発電システム、太陽電池パネル
JP2004039753A (ja) * 2002-07-01 2004-02-05 Fujisash Co 融雪機能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7376A (ja) * 2000-03-13 2001-09-21 Omron Corp 太陽光発電システム、太陽電池パネル
JP2004039753A (ja) * 2002-07-01 2004-02-05 Fujisash Co 融雪機能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制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62B1 (ko) * 2012-06-15 2012-11-16 김정혁 도로용 무인 제설장치
KR101819328B1 (ko) * 2016-04-05 2018-01-17 주식회사 럭스코 제설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KR20190032089A (ko) * 2017-09-19 2019-03-27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12724B1 (ko) * 2017-09-19 2019-08-21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826427B2 (en) 2017-09-19 2020-11-03 Solasido Korea Co., Ltd. De-icing device for solar pane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4627B2 (ja) 太陽電池付屋根の融雪装置および融雪制御方法
CN109818565B (zh) 一种光伏电池板自动清除积雪装置和方法
WO2011149116A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KR10102075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설장치
CN201663461U (zh) 一种风光电互补电源装置
CN101514826A (zh) 太阳能驱动的空调装置及其驱动方法
Belhadj-Yahya Performance monitoring of solar stand alone power systems
CN102410607B (zh) 一种风能光能互补变频空调控制系统
CN1967989A (zh) 太阳能光伏电池大启动电流的供电系统
KR100961834B1 (ko)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58794A (ko)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최적 경관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647345B1 (ko) 모니터링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JP6372467B2 (ja) 融雪装置
CN103259312A (zh) 一种新型风光互补发电系统
CN102020323A (zh) 一种太阳能发电的分散式污水处理系统
KR20210084844A (ko) 태양광 패널 이물질 제거 시스템
CN107846189B (zh) 一种基于最大电流检测的光伏水泵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86578B1 (ko) 에너지 저장 기능을 가진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819328B1 (ko) 제설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CN213093883U (zh) 光伏发电储能系统的多功能自动切换装置
JP5659734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12290661A (zh) 光伏发电储能系统的多功能自动切换装置及自动切换方法
Jianqiang et al. Design and experience of grid-connecting photovoltaic power system
CN110571785A (zh) 一种直流微电网控制系统
JP2014029915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