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34B1 -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34B1
KR100961834B1 KR1020100008194A KR20100008194A KR100961834B1 KR 100961834 B1 KR100961834 B1 KR 100961834B1 KR 1020100008194 A KR1020100008194 A KR 1020100008194A KR 20100008194 A KR20100008194 A KR 20100008194A KR 100961834 B1 KR100961834 B1 KR 10096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discharge
serial numb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집
Original Assignee
김동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집 filed Critical 김동집
Priority to KR102010000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02J7/0071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in response to charge current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전력공급원을 가지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절체하는 충전 선택부; 상기 충전 선택부의 절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으로 충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충전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부하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방전 선택부; 및 상기 제1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일련번호가 부여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선택하여 충전하고 충전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를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여 부하에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riving by multiple power source}
본 발명은 복수 전력공급원을 가지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 전력공급원을 가지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정격출력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에서 일시적으로 정격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때 시스템이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고 정격 이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스템 운영자로 하여금 정격 이상의 과부하에 대한 대응조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및 천연 가스와 같은 화석에너지이며, 이러한 화석에너지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언젠가는 고갈되고 여러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는 여러 종류가 있는바,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조력,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풍력, 그리고 땅속의 열을 이용하는 지열 등이 있으며, 이들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태양에너지가 있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 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 등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 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발전이라고 한다.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햇빛을 직접 전기로 바꿀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햇빛이 비추는 곳 어디에서나 전기를 얻을 수 있고, 다른 방식과는 달리 대기오염이나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전혀 없는 깨끗한 에너지원이다. 또한, 연료의 수송과 발전설비의 유지관리가 거의 불필요하며, 수명이 길고 설비규모의 선택과 설치 공사가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모듈 속에서 그 효율이 약간 떨어져 태양 광을 받으면 태양 광의 에너지 중 약 10-15%만이 전기로 변환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태양 광 발전설비는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을 여러 개 합쳐서 이용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비나 눈 또는 구름 등에 의해 햇빛이 비치지 않는 날과 밤에는 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일사량의 강도에 따라 불균일한 직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풍력에너지를 풍차에 의해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기를 돌려 발전하는 풍력발전이 있으며, 그 종류로는 교류의 풍력발전기를 직접 전력계통에 이용하는 직접이용 시스템과 풍력발전기의 전기를 축전지에 축적하여, 전력계통에 병렬하는 축전이용 시스템의 2가지가 있다.
전자는 풍력변화의 영향을 직접 받는데 비해, 후자는 풍력이 변동하여도 축전지로 보충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비가 비싸다. 풍력에너지를 동력원에 이용한 대표적인 예는 네덜란드의 풍차인데, 미국, 영국에서는 100~1,000kW급이 이미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폐기물을 수반하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서, 개인적 규모로는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이 강한 외딴섬 같은 곳에서 풍력이 등대의 발전용으로 쓰이고 있다.
상기의 풍력발전은 발전설비가 다른 발전설비에 비해 매우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발전에 따른 별도의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풍력발전은 바람의 속도가 항상 일정하게 불어오는 해안가 또는 고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5m 이상의 높이로 지주가 고정 설치되고, 이 지주의 상단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갖추어진 발전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바람의 속도와 양이 일정하지 않은 곳에서는 발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태양광 또는 풍력 등의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한번 설치되면 설치된 시스템은 부하에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과 정격 전력 등이 설계 사양으로서 결정되면 변경이 곤란하며 그 장비의 교체 등이 어렵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들은 예측이 곤란하며 때에 따라서는 최대 전력 이상의 부하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부하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전력이 반드시 필요한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크 부하 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동하여 상용전원과 병렬 운전하여 부하에 전원 공급되지 않는 정전 사고 방지하고 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용의 전원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고가이어서 설치될 수 있는 곳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 장치 등의 비상 발전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는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이상의 과부하시에 일시에 부하를 차단하지 않고서도 순간 과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제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를 운전함에 있어 예측되지 않은 과부하에 대해서도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으면서도 과부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부하 보호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절체하는 충전 선택부; 상기 충전 선택부의 절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으로 충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충전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부하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방전 선택부; 및 상기 제1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일련번호가 부여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선택하여 충전하고 충전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를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여 부하에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력공급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 선택부를 절체하고, 상기 충전부의 각 배터리의 상태 및 부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부하의 입력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소정의 시간간격 동안에만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전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부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방전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일련번호가 부여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선택하여 충전하며, 상기 방전 선택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를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전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하며 각 배터리의 전압을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방전 선택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를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 선택부는 상기 방전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하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상기 방전 배터리를 선정함에 있어 증가된 일련번호에 동일하게 일련번호를 증가하여 충전 배터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배터리와 상기 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는 k이며, 충전 배터리와 방전 배터리는 하기와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q = (m + k) mod (N)
단,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 중 제m번째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m번째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m번째 배터리가충전 배터리가 되고 상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가 방전 배터리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m과 k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q = (m + k) mod (N)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k: 충전중인 배터리와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
한편 상기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m + r) mod (N)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m + k + r) mod (N)의 일련번호를 가지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m + r) mod (N)번째 배터리가 충전 배터리가 되고 상기 제(m + k + r) mod (N)번째 배터리가 방전 배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m과 k 및 r은 하기 식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m’= (m + r) mod (N)
q’= (m + k + r) mod (N)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이전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m’: 현재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q’: 현재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1 ~ N)
k: 충전중인 배터리와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
r = 1 ~ N-1 사이의 정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는 충전 배터리와 방전 배터리를 선택함에 있어 배터리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충전 배터리와 방전 배터리 사이에 일정한 일련 번호의 차이를 두고 쌍으로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즉, 하나의 배터리가 충전으로 선택되는 경우, 쌍으로서 결합된 배터리는 방전 배터리로 선택되도록 하여 배터리 상태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예측되지 않은 과부하에 대해서도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으면서도 과부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부하 보호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하에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 외부 상용 전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전체 시스템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에서 과부하 상태인 경우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280)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로 태양광 또는 태양열 발전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과 풍력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 수력 등에 의해서 생산되는 전력 및 예비전원을 상용전력을 전력공급원으로 한다. 상기의 전력 공급원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면 본 발명의 전력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전력을 변환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생산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전력변환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 전력공급원(280)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충전 선택부(220)에 의해 절체되어 N개의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입력되어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에서 충전 선택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전력공급원(28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공급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가 좋지 않은 경우, 태양광 또는 태양열 발전은 전력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전력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풍력 또는 수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날씨가 좋으면서도 풍량이 충분한 경우 태양광 또는 태양열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풍력에 의한 전력 생산량도 충분하므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공급원으로 태양광 또는 태양열, 풍력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선택 기준은 지역 및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선택 기준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충전 선택부(220)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전압에 따라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을 위한 배터리로 잠정적으로 선택하나, 최종적으로 충전 대상이 되는 배터리로 선택되기 위해서는 하기의 방전 선택부(240)에 의해 선택되는 배터리의 조건에 만족되어야 한다.
즉, 상기 방전 선택부(240)는 상기 충전 대상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를 가지는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부하(26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선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전 대상 배터리와 방전 대상 배터리가 항상 일정한 일련번호의 차이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충전 대상 배터리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충전 대상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충전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를 가지는 방전 대상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측정하여 두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 충전 대상 배터리에 충전을 개시하며 또한 방전 대상 배터리는 부하(26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공급원(310)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도로 기본적인 도 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일시적으로 증가된 부하(360)에 대해 시스템을 다운시키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 증가된 부하(36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가 부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에 연결된 제1방전 선택부(351)의 출력단에는 출력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검출부(34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류 검출부(340)는 방전 중인 배터리가 부하(360)에 공급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측정된 값을 과전류 검출부(390)에 공급한다. 상기 과전류 검출부(390)는 상기 측정된 전류값이 소정 이상인 경우 즉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방전 중인 배터리에 의해 부하(360)에 지속적으로 과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가 소손 될 가능성이 매우 크게 되므로 이를 제어부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방전 중인 배터리가 과부하에 대해 과전류를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도 과부하 상태인 부하(360)에 대해서도 일정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부하 중에 반드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부하가 있을 수 있으며 과부하 상태라고 해서 전력 공급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부하에 대해 전력을 차단하게 되면 전력이 반드시 필요한 부하 역시 전력이 차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별도로 구비한다는 것은 시스템 설치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시스템 구성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부하가 일시적으로 과부하 상태가 되는 경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과부하 상태가 되지 않으면서도 과부하 상태인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과전류 검출부(390)에서 부하(360)에 공급되는 전력이 과부하 즉 과전류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현재 방전 중인 배터리를 제외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방전이 가능한 전압이 검출되는 배터리를 부하(36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가능한 레벨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38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전력변환부(380)의 출력을 상기 방전 중인 배터리의 출력과 제2방전 선택부(352)를 통해 병렬로 연결하여 부하(36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과부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안정성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만 과부하를 대응하도록 부하(360) 측에 타이머(361)를 두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시간 간격 또는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 동안만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과부하 상태를 조치할 수 있는 시간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방송으로 불필요한 전기기구 등을 제거하도록 요청하고 사용자가 불필요 전기기구 등을 차단할 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구동되면,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할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해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게 되는데(410), 예를 들어 m번째 일련번호를 가지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 완료가 아닌 경우, m번째 배터리를 충전을 하기 위한 배터리로 잠정적으로 선정한 다음(411), (m+k)mod(N)번째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측정한다(412).
본 발명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설명에서와 같이 충전 배터리와 방전 배터리를 쌍으로 지정하여 충전 조건과 방전 조건이 모두 일치되는 경우에만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k는 충전 배터리와 방전 배터리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차이이다.
이에 따라 (m+k)mod(N)번째 배터리의 방전 전압이 방전 가능한 경우(413), m번째 배터리는 충전을 수행하며, (m+k)mod(N)번째 배터리는 방전을 수행한다(414).
상기에서 m번째 배터리를 충전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411), m+1번째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여(420)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을 하는지 확인한다. 즉 충전이 필요하다고 하는 경우(421),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방전 대상 배터리 즉, (m+k+1)mod(N)의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측정하여(422) 방전 가능한 경우(423) 상기와 같이 m+1번째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는 충전 배터리가 되며, (m+k+1)mod(N)번째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는 방전 배터리가 된다(424).
상기에서 배터리의 개수가 N이라고 할 때, m은 1에서 N까지이며, k는 m과 동일한 숫자이어서는 아니 되므로 1에서 N-1까지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련번호에 따라 쌍으로 결정된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을 수행함에 있어 부하가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시스템을 다운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갑자기 증가된 부하에 대응하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의 출력 측에는 출력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검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방전 중인 배터리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510) 이를 과전류 검출부에 제공한다.
과전류 검출부는 상기 측정 전류값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과전류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511), 현재 방전 중인 배터리를 제외한 다음 일련번호의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522) 방전이 가능한 전압인 경우 전력변환용 배터리로 선정한다(523).
또한 상기 선정된 배터리의 전력을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가능한 레벨로 전력변환부를 통해 변환한다(524).
상기 전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력을 제2방전 선택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방전 선택부는 제어부에 제어에 의하여 상기 방전 중인 배터리와 상기 전력변환된 전력을 합성하여 부하에 공급한다(525).
만일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 결과 방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다음 일련번호의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530) 방전이 가능한 전압인 경우 전력변환용 배터리로 선정한다(531).
또한 상기 선정된 배터리의 전력을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가능한 레벨로 전력변환부를 통해 변환한다(532).
상기 전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력을 제2방전 선택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방전 선택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방전 중인 배터리와 상기 전력변환된 전력을 합성하여 부하에 공급한다(533).
한편 과부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안정성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만 과부하를 대응하도록 부하 측에 타이머를 두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시간 간격 또는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 동안만 동작하도록 한다(520).
즉, 상기 과전류 검출부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 또는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며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521)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해 상기 타이머 이후에도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에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방전 선택부를 개방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그러나 만일 과전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부하에 잉여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하게 되므로 전력변환부 입력측에 구비된 전력변환 스위치를 개방하여 전력변환부의 동작을 중지한다.
도 5는 충전 및 방전 배터리가 3개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배터리가 N개인 경우에도 확장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므로 배터리가 N개인 경우의 흐름도의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과부하 상태를 조치할 수 있는 시간이면 충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방송으로 불필요한 전기기구 등을 제거하도록 요청하고 사용자가 불필요 전기기구 등을 차단할 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하다.
210: 입력 선택부 220: 충전 선택부 230: 제어부
240: 방전 선택부 250: 타이머 260: 부하
270: 충전부 280: 복수 전력공급원 310: 복수 전력공급원
320: 입력 선택부 330: 충전 선택부 340: 전류 검출부
351: 제1방전 선택부 352: 제2방전 선택부 360: 부하
361: 타이머 370: 전력변환 스위치
380: 전력변환부 390: 과전류 검출부

Claims (14)

  1.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공급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절체하는 충전 선택부;
    상기 충전 선택부의 절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전력공급원의 전력으로 충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충전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부하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방전 선택부; 및 상기 제1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일련번호가 부여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일련번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선택하여 충전하고 충전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각 배터리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충전이 요구되는 배터리와 일련번호가 소정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를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여 부하에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 선택부의 출력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출력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부하에 과전류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전류 검출부;
    상기 과전류 검출부의 검출 결과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의 각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도록 하는 전력변환 스위치; 및
    상기 전력변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소정의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 선택부를 절체하고,
    상기 충전부의 각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부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입력단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시간 동안에만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과전류 검출부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 구동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전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부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방전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 선택부는 상기 방전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일련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방전 배터리로 선택하며,
    상기 충전 선택부는 상기 방전 배터리를 선택함에 있어서 증가되는 일련번호와 동일한 일련번호로 증가시키면서 충전 배터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1방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는 k이며, 상기 충전 배터리와 상기 방전 배터리는 하기와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q = (m + k) mod (N)
    단,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11.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일련번호가 부여된 배터리 중 제m번째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m번째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m번째 배터리가충전 배터리가 되고 상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가 방전 배터리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단, m과 k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q = (m + k) mod (N)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k: 충전중인 배터리와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m + r) mod (N)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충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m + k + r) mod (N)의 일련번호를 가지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m + r) mod (N)번째 배터리가 충전 배터리가 되고 상기 제(m + k + r) mod (N)번째 배터리가 방전 배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단, m, k와 r은 하기 식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m’ = (m + r) mod (N)
    q’= (m + k + r) mod (N)
    N: 전체 배터리의 개수
    m: 이전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 1 ~ N)
    m’: 현재 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m’= 1 ~ N)
    q: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 1 ~ N)
    q’: 현재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q’= 1 ~ N)
    k: 충전중인 배터리와 방전중인 배터리의 일련번호의 차이
    r = 1 ~ N-1 사이의 정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m번째 배터리가 충전 배터리가 되고 상기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가 방전 배터리가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방전 중인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류가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 중인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와 다른 일련 번호를 가지는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방전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소정의 레벨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력을 상기 방전 중인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방전 선택부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중인 제(m + k) mod (N)번째 배터리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 만료 후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전력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08194A 2010-01-29 2010-01-29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6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94A KR100961834B1 (ko) 2010-01-29 2010-01-29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94A KR100961834B1 (ko) 2010-01-29 2010-01-29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834B1 true KR100961834B1 (ko) 2010-06-08

Family

ID=4236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194A KR100961834B1 (ko) 2010-01-29 2010-01-29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02B1 (ko) * 2010-10-25 2011-05-2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터리―어레이를 사용한 전원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038156B1 (ko) * 2011-02-24 2011-05-31 김태현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JP2011254696A (ja) * 2010-06-01 2011-12-15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05994B1 (ko) * 2010-06-08 2012-11-28 정기범 자동 충전 시스템
KR102324322B1 (ko) * 2021-06-11 2021-11-10 김종진 도로결빙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7B1 (ko) * 2002-04-24 2004-10-14 헥스파워시스템(주)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54896B1 (ko) * 2003-12-12 2004-11-06 (주)엘시스텍 태양광 가로등 및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개별모듈 충방전 제어시스템
KR100704963B1 (ko) * 2006-04-04 2007-04-09 (주) 피에스디테크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7B1 (ko) * 2002-04-24 2004-10-14 헥스파워시스템(주)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54896B1 (ko) * 2003-12-12 2004-11-06 (주)엘시스텍 태양광 가로등 및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개별모듈 충방전 제어시스템
KR100704963B1 (ko) * 2006-04-04 2007-04-09 (주) 피에스디테크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696A (ja) * 2010-06-01 2011-12-15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05994B1 (ko) * 2010-06-08 2012-11-28 정기범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037202B1 (ko) * 2010-10-25 2011-05-2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터리―어레이를 사용한 전원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038156B1 (ko) * 2011-02-24 2011-05-31 김태현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102324322B1 (ko) * 2021-06-11 2021-11-10 김종진 도로결빙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6891B2 (en) Energy storage system connected to a grid and multiple power generation modu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46670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97259B1 (ko) 전력 저장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RU2475920C2 (ru)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торая максимизирует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озобновляемой энергии
CN102593956B (zh) 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56533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43909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93224B1 (ko)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 장치
JP4850019B2 (ja) 電力系統に接続された自家発電設備における蓄電池設備および蓄電池設備の運転方法
US20120256487A1 (en) Charge/Discharge System
EP1610571A2 (en) Radio base station for mobile cellular telephony fed by wind energy source
JP2013085459A (ja) 電力貯蔵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55389A (ko) 전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KR20110084751A (ko) 전력 저장 장치와 그 동작 방법 및 전력 저장 시스템
JP2012039821A (ja) 発電システムの電力変動緩和装置および電力変動緩和方法
KR102019087B1 (ko) 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961834B1 (ko)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 구동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1985578U (zh) 风光互补移动应急供电系统
KR201501066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JP2017121171A (ja) 蓄電池充放電システム及び系統連系システム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522814A (zh) 一种风能和太阳能互补的分布式发电装置
JP2016015864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電力制御方法
WO2016056315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そ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KR101923904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