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72B1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72B1
KR101020272B1 KR1020100099037A KR20100099037A KR101020272B1 KR 101020272 B1 KR101020272 B1 KR 101020272B1 KR 1020100099037 A KR1020100099037 A KR 1020100099037A KR 20100099037 A KR20100099037 A KR 20100099037A KR 101020272 B1 KR101020272 B1 KR 10102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ntact
ribbon
bent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72B1/ko
Priority to PCT/KR2011/005601 priority patent/WO20120502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는 양측에 배전케이블이 연결되는 하우징과, 한 쌍이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건물에 일체로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인출되는 리본을 다이오드 및 배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컨택트 레일로 구성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레일은 상기 컨택트 레일의 일측에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둥글게 벤딩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다이오드의 리드선을 삽입할 수 있는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및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택트 레일의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의 확장부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리본을 삽입할 수 있는 리본접속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Apparatus for junction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일체로 설치된 태양광 모듈로부터 인출된 리본을 다이오드 및 배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은 건물 외벽이나 창호, 차양 등과 같은 건물 외관에 태양광 모듈을 장착해서 전기를 생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보통 복층의 유리판 사이에 태양광 전지를 설치하고 생산되는 전기를 외부에 공급하기 위해 유리판 상부에 태양광 모듈 접속박스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접속박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외부 절연케이스(1)의 내부에 다이오드(2)의 양측 리드선이 고정 설치되고, 한 쌍의 접속단자(3)가 다이오드(2)의 양측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접속단자(3)에는 외부 케이블(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측 유리판 사이에 삽입설치된 태양광 모듈로부터 인출되는 리본(6)이 외부 절연케이스(1)로 인입되어 접속단자(3)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져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리본(6)을 통해 접속단자(3)에 전달되고 접속단자(3)에 연결된 다이오드(2)와 외부 케이블(5)을 통해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태양광 모듈에 구비된 리본(6)을 접속단자(3)에 연결할 때 납땜 방식을 이용했다.
즉, 접속단자(3)에 구멍(3a)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3a)을 통해 리본(6)을 인입시킨 다음 리본(6)을 일일이 접속단자(3)에 납땜으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외부 절연케이스의 내부 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납땜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비용에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납땜 불량률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연결하고자 하는 리본과 다이오드의 개수가 증가하면 더 비효율적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에서 인출되는 리본과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컨택트 레일에 접속할 때 별도의 작업 없이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접속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배전케이블이 연결되는 하우징과, 한 쌍이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건물에 일체로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인출되는 리본을 다이오드 및 배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컨택트 레일로 구성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레일은 상기 컨택트 레일의 일측에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둥글게 벤딩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다이오드의 리드선을 삽입할 수 있는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및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택트 레일의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의 확장부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리본을 삽입할 수 있는 리본접속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컨택트 레일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컨택트 레일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은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벤딩되고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이오드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및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벤딩되고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된 서브 통공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리본을 삽입할 수 있는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은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의 양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둥글게 벤딩 형성된 서브 만곡부와, 상기 서브 만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서브 절곡부와, 상기 서브 절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절곡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서브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은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의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브 연장부와, 상기 서브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서브 밀착부와, 상기 서브 밀착부로부터 상기 서브 통공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의 서브 확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다이오드를 다이오드접속 탄성편에 가압하여 삽입하고, 리본을 리본접속 탄성편에 삽입하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리본과 다이오드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접속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접속불량의 가능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접속박스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택트 레일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레일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브 컨택트 레일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브 컨택트 레일의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략 긴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h)과,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로부터 인출되는 리본(r)을 다이오드(d) 및 배전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h) 내에 장착되는 컨택트 레일(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컨택트 레일(100)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h)은 양측에 배전케이블(c)이 연결되도록 연결구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연결구는 관통된 형상을 가져 배전케이블(c)이 삽입되고, 삽입된 배전케이블(c)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있는 상기 컨택트 레일(10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 내에는 한 쌍의 컨택트 레일(100)이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며, 다이오드(d)의 의해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h)의 하측에서 인입되는 리본(r)은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하부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컨택트 레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택트 레일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레일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컨택트 레일(100)은 대략 평판의 양쪽을 접어 통로 형상을 가진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 내에 장착되며 다이오드(d)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일측에는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에 다이오드(d)의 리드선을 연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의 인접한 곳에는 리본접속 탄성편(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리본접속 탄성편(140)에는 하측으로부터 인입되는 리본(r)을 연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타측에는 배전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전케이블 접속구(1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만곡부(122), 절곡부(124), 간격유지부(12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만곡부(122)는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양쪽을 절곡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둥글게 벤딩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로 하측의 상기 절곡부(124)로 이어진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원호 형태로 벤딩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절곡부(124)는 상기 만곡부(122)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절곡부(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으나 반원과 같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2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게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된다.
또 상기 간격유지부(126)는 상기 절곡부(1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126)는 상기 절곡부(124)의 벌어짐으로 인해 다이오드(d)의 리드선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126)의 단부가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측벽에 부딪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절곡부(124)의 벌어짐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리본접속 탄성편(14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연장부(142), 밀착부(144), 확장부(14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2)는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양쪽을 절곡하여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촉한 상태로 하측의 상기 밀착부(144)로 이어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밀착부(144)는 상기 만곡부(122)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하측으로 형성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밀착부(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리본(r)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144)에 삽입된 리본(r)은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 상기 확장부(146)는 상기 밀착부(14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벌어지는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확장부(146)는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100a)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상기 확장부(146)에 리본(r)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하에서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브 컨택트 레일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브 컨택트 레일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는 상술한 컨택트 레일 한 쌍이 상기 하우징(h) 내에 이격되어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컨택트 레일(100) 사이에 서브 컨택트 레일(200)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택트 레일(100)과 하우징(h)은 상술한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서브 컨택트 레일(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은 대략 평판의 양쪽을 접어 통로 형상을 가진 것으로, 양측에 한 쌍의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이 각각 구비되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컨택트 레일(100)과 다이오드(d)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 사이에는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240)이 구비되어, 하측으로부터 인입되는 리본(r)을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은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서브 만곡부(222), 서브 절곡부(224), 서브 간격유지부(22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만곡부(222)는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의 양쪽을 절곡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둥글게 벤딩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로 하측의 상기 서브 절곡부(224)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원호 형태로 벤딩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브 절곡부(224)는 상기 서브 만곡부(222)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서브 절곡부(2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으나 반원과 같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 절곡부(22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된다.
또 상기 서브 간격유지부(226)는 상기 서브 절곡부(2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간격유지부(226)는 상기 서브 절곡부(224)의 벌어짐으로 인해 다이오드(d)의 리드선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240)도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서브 연장부(242), 서브 밀착부(244), 서브 확장부(24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연장부(242)는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의 양쪽을 절곡하여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촉된 상태로 하측의 상기 서브 밀착부(244)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서브 밀착부(244)는 상기 서브 만곡부(222)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하측으로 형성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서브 밀착부(2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리본(r)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밀착부(244)에 삽입된 리본(r)은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서브 확장부(246)는 상기 서브 밀착부(24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서브 확장부(246)는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서브 통공(200a)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상기 서브 확장부(246)에 리본(r)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은 용도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입되는 리본(r)과 장착하는 다이오드(d)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컨택트 레일 100a : 통공
120 :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122 : 만곡부
124 : 절곡부 126 : 간격유지부
140 : 리본접속 탄성편 142 : 연장부
144 : 밀착부 146 : 확장부
160 : 배전케이블 접속구
200 : 서브 컨택트 레일 200a : 서브 통공
220 :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 222 : 서브 만곡부
224 : 서브 절곡부 226 : 서브 간격유지부
240 :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 242 : 서브 연장부
244 : 서브 밀착부 246 : 서브 확장부
h : 하우징 d : 다이오드
r : 리본 c : 배전케이블
BIPV MODULE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Claims (6)

  1. 양측에 배전케이블이 연결되는 하우징(h)과, 한 쌍이 상기 하우징(h) 내에 장착되어 건물에 일체로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인출되는 리본(r)을 다이오드(d) 및 배전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컨택트 레일(100)로 구성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레일(100)은,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일측에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둥글게 벤딩 형성된 만곡부(122)와, 상기 만곡부(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절곡부(124)와, 상기 절곡부(1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124)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간격유지부(126)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다이오드(d)의 리드선을 삽입할 수 있는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 및
    상기 다이오드접속 탄성편(1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택트 레일(100)의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142)와, 상기 연장부(1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부(144)와, 상기 밀착부(144)로부터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100a)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의 확장부(146)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리본(r)을 삽입할 수 있는 리본접속 탄성편(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컨택트 레일(10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컨택트 레일(2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은(200),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벤딩되고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이오드(d)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 및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벤딩되고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된 서브 통공(200a)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리본(r)을 삽입할 수 있는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다이오드접속 탄성편(220)은,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의 양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둥글게 벤딩 형성된 서브 만곡부(222)와, 상기 서브 만곡부(2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서브 절곡부(224)와, 상기 서브 절곡부(2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절곡부(224)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서브 간격유지부(226)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본접속 탄성편(240)은,
    상기 서브 컨택트 레일(200)의 양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브 연장부(242)와, 상기 서브 연장부(2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서브 밀착부(244)와, 상기 서브 밀착부(244)로부터 상기 서브 통공(200a)을 관통하면서 벌어지는 형상의 서브 확장부(246)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KR1020100099037A 2010-10-12 2010-10-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KR10102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37A KR101020272B1 (ko) 2010-10-12 2010-10-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PCT/KR2011/005601 WO2012050298A1 (ko) 2010-10-12 2011-07-29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37A KR101020272B1 (ko) 2010-10-12 2010-10-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272B1 true KR101020272B1 (ko) 2011-03-07

Family

ID=4393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037A KR101020272B1 (ko) 2010-10-12 2010-10-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0272B1 (ko)
WO (1) WO20120502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301B1 (ko) * 2011-04-12 2013-05-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07473B1 (ko) * 2016-06-30 2017-02-20 (주) 더베스트이앤씨 발코니창문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86560B1 (ko) 2021-11-16 2023-01-10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다기능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537A (ja) 2000-02-29 2002-05-17 Kitani Denki 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100907192B1 (ko) * 2009-02-27 2009-07-10 박용래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판 연결 박스
KR100930103B1 (ko) 2008-08-08 2009-12-07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용 정션박스
JP2010028114A (ja) 2008-07-18 2010-02-04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建物一体型太陽光発電用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17B1 (ko) * 2009-08-07 2010-02-18 박용래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판 연결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537A (ja) 2000-02-29 2002-05-17 Kitani Denki 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10028114A (ja) 2008-07-18 2010-02-04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建物一体型太陽光発電用接続箱
KR100930103B1 (ko) 2008-08-08 2009-12-07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용 정션박스
KR100907192B1 (ko) * 2009-02-27 2009-07-10 박용래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판 연결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301B1 (ko) * 2011-04-12 2013-05-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07473B1 (ko) * 2016-06-30 2017-02-20 (주) 더베스트이앤씨 발코니창문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86560B1 (ko) 2021-11-16 2023-01-10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다기능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298A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CN101589511A (zh) 具有分离式壳体开口内部腔体的多功能rj连接器
KR101020272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US9349892B2 (en) Solar cell module
CN103078197A (zh) 电连接器
KR100907192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판 연결 박스
KR20100092548A (ko) 시스템 창호
CN208401130U (zh) 一种多功能金属固定框架连接器
CN211791431U (zh) 一种光伏建筑构件的联接结构及光伏建筑系统
CN207234815U (zh) 一种网络交换机
CN212434501U (zh) 一种智能复合开关
CN214898961U (zh) 一种元器件拼接结构
CN219832950U (zh) 一种电池模组用多功能集成母排
CN215268175U (zh) 一种接线盒及光伏组件
CN217036676U (zh) 预制构件及装配式建筑
CN210136667U (zh) 一种显示装置
CN211083763U (zh) 一种自由切割组装隐光铝条灯
CN213093832U (zh) 一种照明供电母线槽
CN209881032U (zh) 一种滑触线连接器
CN214664284U (zh) 一种灯具取电系统的导电结构
CN202903824U (zh) 一种led灯管老化测试的灯座结构
CN114069274B (zh) 一种接线板
CN219420719U (zh) 汇流箱和光伏电站
CN209947928U (zh) 一种拼接式走线板、电池模组及电池包
CN216351669U (zh) 背光模组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