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840B1 -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 Google Patents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840B1
KR101019840B1 KR1020090061961A KR20090061961A KR101019840B1 KR 101019840 B1 KR101019840 B1 KR 101019840B1 KR 1020090061961 A KR1020090061961 A KR 1020090061961A KR 20090061961 A KR20090061961 A KR 20090061961A KR 101019840 B1 KR101019840 B1 KR 10101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abric
half roller
winding machine
fabric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12A (ko
Inventor
시흐-치 첸
Original Assignee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9006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8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18Collapsible 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직물 와인딩 머신에 장착되어 직물을 권취하는 롤러는 직물을 권취하는 동안 직물이 뒤틀리고 긴 구조 때문에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종래 롤러들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롤러는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을 갖고,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를 포함하며,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는 하나의 단부에서 상호 대응되고 결합가능한 제1 위치조절부와 제2 위치조절부를 각각 구비한다. 양단에서의 직경이 크므로 직물은 뒤틀림없이 롤러에 권취될 수 있다. 롤러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설계는 각각의 부분의 길이를 더 짧게 하고 권취된 직물 다발로부터 롤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롤러는 직물의 권취 및 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절반 롤러, 제2 절반 롤러, 제1 위치조절부, 제2 위치조절부

Description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ROLLER STRUCTURE FOR FABRIC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편물 기계에 사용되는 직물 와인딩 머신의 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직물 와인딩 머신은 원형 편물 기계 아래에 위치되어 원형 편물 기계에 의해 니트 다발로 짜인 직물을 권취하도록 롤러를 구동한다. 관련 기술들은 대만 특허 번호 M348770, M307018 및 M303921에서 참조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원형의 롤러를 개시한다. 직물 와인딩 작업이 끝난 후 롤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롤러의 외경은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직물 와인딩 동안 롤러의 표면과 직물 간의 불충분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의 표면은 매끄럽지 않게, 즉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원형 롤러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더라도, 매끄럽지 않은, 즉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표면이 롤러와 직물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롤러의 제거를 어렵게 한다.
직물의 와인딩은 용이하나 롤러의 제거가 어려운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만 특허 번호 I296293와 I248485 같은 향상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이들도 모두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을 갖는 롤러를 제공하지만, 롤러의 외표면이 원형이라기 보다 복수의 평면들로 이루어진 다각형이다. 그러한 구조는 미끄럼 방지 표면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직물 와인딩 동안 마찰을 증가시키는 표면각들을 갖고, 표면들도 매끄러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된 롤러는 직물 와인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거 또한 더 작아진 마찰 때문에 더 쉽다.
다각형 롤러는 원형 롤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 여전히 실제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점들을 갖는다.
1. 롤러의 길이가 길어서 결과적으로 롤러와 직물 간의 접촉 영역이 더 크다. 롤러와 직물 간의 마찰도 역시 더 크다. 롤러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다발 중간의 직물은 롤러를 제거하는 동안 쉽게 잡아 당겨진다. 그로 인해, 롤러의 제거가 곤란하다.
2. 롤러의 외경은 하나의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직물 와인딩 머신이 회전하여 롤러가 직물을 권취하도록 구동시킬 때, 직물 와인딩 머신의 회전 때문에 직물이 뒤틀리는 경향이 있다. 직물의 전체 다발을 폐기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의 제거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롤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권취 작업 동안 직물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직물이 롤러에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물 와인딩 머신에서 직물을 권취하는데 사용되는 롤러를 제공한다. 롤러는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들을 갖는다.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를 포함한다.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는 제1 위치조절부와 제2 위치조절부를 각각 구비하고, 제1 위치조절부와 제2 위치조절부는 하나의 단부에서 상호 대응되고 결합가능하여 롤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는 직물과의 더 작은 접촉 영역을 제공하므로 롤러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게다가, 롤러의 외경들이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직물 권취 작업 동안 직물은 뒤틀림없이 롤러의 중앙부에 한정된다. 따라서, 직물은 롤러에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는 복수의 평면 및 매끄러운 표면들로 이루어진 다각형 외벽들로 형성된다. 다각형 구조는 롤러와 직물 간의 마찰을 증가시켜 직물 권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외벽들의 매끄러운 표면들은 마찰 저항을 줄여 롤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종래 기술들에 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많은 이로움들을 제공한다.
1. 롤러의 제거가 더 쉽고 시간이 덜 들고, 작업 효율성이 증가한다.
2. 직물 권취 작업의 질이 향상된다.
전술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직물 와인딩 머신(fabric winding machine)용 롤러(20)를 제공한다. 롤러(20)는 직물 와인딩 머신(10)에 장착되어 직물을 권취한다. 롤러(20)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절반 롤러(half roller)(21)와 제2 절반 롤러(22)를 포함하고,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는 제1 위치조절부(positioning portion)(211)와 제2 위치조절부(221)를 각각 구비하며, 제1 위치조절부(211)와 제2 위치조절부(221)는 하나의 단부에서 상호 대응되고 롤러(20) 전체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가능하다. 롤러(20)는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을 갖는다. 즉, 제1 절반 롤러(21)의 직경은 제1 위치조절부(211)로부터 직물 와인딩 머신(10)에 고정된 하나의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제2 절반 롤러(22)도 마찬가지로 제2 절반 롤러(22)의 직경 역시 제2 위치조절부(221)로부터 직물 와인딩 머신(10)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위치조절부(211)와 제2 위치조절부(221)는 상호 짝을 이루고 결합가능한 버팀대(strut)와 홈통(trough)이다.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는 복수의 평면들로 구성된 다각형 구조로 형성된 외벽들을 가지므로 직물 권취를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롤러(20)에 미끄럼 방지 표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의 외벽들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어 롤러(20)와 그와 접하는 직물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롤러(2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롤러(20)는 양단에서의 직경이 더 크므로, 롤러(20)에 권취된 직물의 뒤틀림이 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직물은 롤러(20)에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직물 권취 작업이 끝나고 롤러(20)가 제거되어야 할 때, 먼저 제1 위치조절부(211)의 버팀대를 제2 위치조절부(221)의 홈통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 절반 롤러(21)를 제거한다. 버팀대는 제1 절반 롤러(21)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제1 절반 롤러(21)의 제거 동안 버팀대와 직물(3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그들 사이의 접촉과 발생되는 마찰 저항이 더 작다. 따라서, 제1 절반 롤러(21)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그후, 제2 절반 롤러(22)도 제거되어 롤러(20)의 제거를 완료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주로 롤러(20)를 상호 결합가능한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로 나눈다.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가 롤러(20)의 절반씩의 길이로 형성되고 직물(30)의 양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제1 절반 롤러(21)와 제2 절반 롤러(22)는 각각 직물(30)과 더 작은 접촉 영역을 형성하고 롤러(20)는 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롤러(20)의 외경은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권취된 직물(30)은 직물 권취 작업 동안 뒤틀림없이 롤러(20)의 중앙부에 한정되어 직물(30)이 롤러(20)에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다.
요컨대, 종래 기술들에 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많은 이로움들을 제공한다.
1. 롤러의 제거가 더욱 쉽고 시간이 덜 들므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2. 직물 권취 작업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의 변형들 뿐만 아니라 그 다른 실시예들 역시 당업자에게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작동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개략도들이다.

Claims (7)

  1. 직물 와인딩 머신(fabric winding machine)에 장착되어 직물을 권취(roll up)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에 있어서,
    제1 위치조절부(positioning portion)와 제2 위치조절부를 각각 구비한 제1 절반 롤러(half roller)와 제2 절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조절부와 상기 제2 위치조절부는 하나의 단부에서 상호 대응하고 결합가능하여 양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을 가진 롤러의 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조절부와 상기 제2 위치조절부는 상호 짝을 이루고 결합가능한 버팀대(strut)와 홈통(troug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 롤러와 상기 제2 절반 롤러는 매끄러운 표면들로 형성된 외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 롤러와 제2 절반 롤러의 상기 외벽들은 복수의 평면들로 구성된 다각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 롤러와 상기 제2 절반 롤러는 복수의 평면들로 구성된 다각형 구조로 형성된 외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 롤러와 상기 제2 절반 롤러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 롤러는 상기 제1 위치조절부가 형성된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반 롤러는 상기 제2 위치조절부가 형성된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다른 외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KR1020090061961A 2009-07-08 2009-07-08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KR10101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61A KR101019840B1 (ko) 2009-07-08 2009-07-08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61A KR101019840B1 (ko) 2009-07-08 2009-07-08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2A KR20110004512A (ko) 2011-01-14
KR101019840B1 true KR101019840B1 (ko) 2011-03-04

Family

ID=4361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61A KR101019840B1 (ko) 2009-07-08 2009-07-08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0033A (zh) * 2021-11-06 2021-12-24 绍兴市中立钢业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车型的自动洗车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333B1 (ko) 2003-04-01 2005-06-10 한종상 비닐원단의 자동 권취장치
KR100495768B1 (ko) 2005-03-31 2005-06-17 허남일 직조원단 권취용 지관
KR100517436B1 (ko) 2001-09-04 2005-09-28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개선된 원형 편직기용 급사 기구
KR20090044626A (ko) * 2007-11-01 2009-05-07 오태진 원단 권취기의 초기 원단 권취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36B1 (ko) 2001-09-04 2005-09-28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개선된 원형 편직기용 급사 기구
KR100494333B1 (ko) 2003-04-01 2005-06-10 한종상 비닐원단의 자동 권취장치
KR100495768B1 (ko) 2005-03-31 2005-06-17 허남일 직조원단 권취용 지관
KR20090044626A (ko) * 2007-11-01 2009-05-07 오태진 원단 권취기의 초기 원단 권취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2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25436U (zh) 一种编织布摩擦收卷机
KR101532739B1 (ko) 실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019840B1 (ko) 직물 와인딩 머신용 롤러 구조
JP2006246825A (ja) 海苔養殖網の養生処理装置
KR101622623B1 (ko) 케이블 드럼
KR102126961B1 (ko) 원통형 전선릴의 가이드 장치
CN204125642U (zh) 整经纱架
CN100396840C (zh) 扁丝缠绕扩幅辊
US7954751B2 (en) Roller structure for fabric winding machine
EP2263960B1 (en) Roller structure for fabric winding machine
JP6371079B2 (ja) 長尺物巻き取り装置
CN206857806U (zh) 一种快速更换卷绕轴装置
JP2011011897A (ja) 布巻取り機の巻取りロッド構造
CN102619014A (zh) 经编机扩布装置
JP2019110687A (ja) 延線装置における延線ドラムの滑りキーとシューチェンの係止構造
CN208884171U (zh) 一种ω型槽辊装置
CN220665560U (zh) 整经倒筒机平筒
CN202626536U (zh) 经编机扩布装置
CN208884172U (zh) 一种u型槽辊装置
KR100841025B1 (ko) 드럼형 게양장치
JP2014165991A5 (ko)
CN218201320U (zh) 一种丝绸加工用收卷纠偏装置
JP7339651B2 (ja) 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2275A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及び柄経糸用部分整経機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CN215924043U (zh) 一种免管芯收放卷缩胀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