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439B1 -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439B1
KR101019439B1 KR1020080093351A KR20080093351A KR101019439B1 KR 101019439 B1 KR101019439 B1 KR 101019439B1 KR 1020080093351 A KR1020080093351 A KR 1020080093351A KR 20080093351 A KR20080093351 A KR 20080093351A KR 101019439 B1 KR101019439 B1 KR 10101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le
pile
fixing
shee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249A (ko
Inventor
정석태
장용석
조우준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4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쉬트파일이 그 내부공간(S)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공간(S)에는 구동원(250,250')이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일이송유닛(200), 그리고 상기 구동원(250,250')에 연결되는 파일고정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일고정유닛(300)에는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의 내부공간(S)에 삽입된 쉬트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305)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원(250,250')에 의해 파일이송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을 나머지 쉬트파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쉬트파일, 강널말뚝, 분리장치

Description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Seperating apparatus for sheet-piles and seperating method for sheet-piles using this}
본 발명은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된 상태의 쉬트파일 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쉬트파일 분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에서 시행되는 지하터파기나, 가물막이, 또는 도로확장 등의 공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지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쉬트파일(sheet pile;강널말뚝이라고도 한다)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쉬트파일공법은 다수개의 쉬트파일을 서로 맞물려 영구적 또는 일시적 벽체를 만들어, 횡방향의 외력에 저항시켜 흙막이벽 또는 차수벽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다수개의 쉬트파일이 맞물려 있는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쉬트파일(1,3,5,7)은 하나의 벽체를 형성하여 지반(S) 깊숙히 삽입된다. 상기 쉬트파일(1,3,5,7)을 지반(S) 내부로 삽입하는 방법 에는 쉬트파일을 직타하여 지반(S)에 강제삽입시키는 항타(직타)공법과, 압인인발기에 의해 쉬트파일(1,3,5,7)을 점차적으로 지반(S)에 삽입시키는 유압식공법이 있다.
이때, 상기 쉬트파일(1,3,5,7)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양단에는 인접한 쉬트파일(1,3,5,7)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리브(1',3',5',7')가 구비된다. 즉, 서로 인접한 쉬트파일(1,3,5,7)의 체결리브(1',3',5',7') 사이가 걸어져 쉬트파일(1,3,5,7)이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쉬트파일(1,3,5,7)에 의한 일종의 벽체를 형성한 상태로 토목공사가 진행되고, 토목공사가 완결되면 상기 쉬트파일(1,3,5,7)은 지반(S)으로부터 분리되어 재활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쉬트파일(1,3,5,7)을 지반(S)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쉬트파일(1,3,5,7)이 연결된 상태로 한꺼번에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상기 쉬트파일(1,3,5,7) 조립체가 지반(S)에 매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리브(1',3',5',7')가 휘어져 서로 인접한 쉬트파일(1,3,5,7) 사이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쉬트파일(1,3,5,7)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지반(S)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쉬트파일(1,3,5,7)의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쉬트파일(1,3,5,7) 사이를 각각 분리하는 후 작업을 거쳐 각각의 쉬트파일(1,3,5,7)을 재활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쉬트파일(1,3,5,7)은 그 크기가 매우 크므로, 휘어진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쉬트파일(1,3,5,7)을 분리하는 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결합되어 지반으로부터 분리된 복수개의 쉬트파일을 각각의 쉬트파일로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들을 분리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에 있어서,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이 그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구동원이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일이송유닛과,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파일이송유닛과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쉬트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을 나머지 쉬트파일로부터 분리하는 파일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일이송유닛은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골격을 형성하고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입출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의 일단이 지지되며, 상 기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원이 입출되는 구동원출입구 및 상기 파일고정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쉬트파일이 배출되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에 인접한 쉬트파일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인입구와 연통되는 간섭방지구가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원은 일측은 상기 케이스의 제1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파일고정유닛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쉬트파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파일고정유닛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헤드와,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상기 이동헤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쉬트파일을 상기 구동원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양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제1고정블록과 제2고정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의 제1고정블록에는 제1고정잭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고 정블록에는 가동잭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고정잭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파일고정유닛의 이동헤드에는 상기 고정부의 제1고정블록 및 제2고정블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들을 분리하는 쉬트파일 분리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쉬트파일이 프레임을 따라 안내되어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삽입된 쉬트파일 중 일부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일고정유닛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 일측에 지지되는 제2단계와, 상기 파일이송유닛에 설치된 구동원이 이동하여 상기 파일고정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쉬트파일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단계에 이어, 상기 파일고정유닛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제5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는 상기 쉬트파일이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반복수행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으로부터 복수개의 결합된 상태의 복수개의 쉬트파일이 파일고정유닛과 파일이송유닛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어, 쉬트파일을 용이하게 서로 분리할 수 있고,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쉬트파일 분리장치에 의해 쉬트파일 사이가 한번에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이송유닛의 구동원의 반복적인 직선운동에 의해 쉬트파일이 점진적으로 분리되므로,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쉬트파일 사이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쉬트파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블록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쉬트파일의 종류 및 결합상태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쉬트파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파일이송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간섭회피구가 형성되어, 3개 이상의 쉬트파일조립체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활용도가 좋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구성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파일고정유닛이 생략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일고정유닛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Ⅴ-Ⅴ' 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쉬트파일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배경기술 및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쉬트 파일분리장치는 프레임(100)이 그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다수개의 H빔형상의 모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레임(100)은 제1측면프레임(110)과, 제2측면프레임(12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측면프레임(110,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측면프레임(110,12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제1 및 제2측면프레임(110,12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프레임(110)과 제2측면프레임(120)의 타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파일이송유닛(200)의 케이스(210)가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작업대상이 되는 쉬트 파일이 안정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쉬트파일에 분리력을 부과하는 경우 프레임(100)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강 성이 뛰어난 재질과 형태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에는 가이드플레이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쉬트파일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상면에 안착되어 파일이송유닛(200)의 케이스(210)외면까지 연장된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간(160)을 통해 쉬트파일이 파일이송유닛(200)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파일이송유닛(200)을 설명하면,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쉬트파일의 이동을 안내하고, 이와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파일고정유닛(300)을 가압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의 쉬트파일 중 파일고정유닛(300)에 의해 고정된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은 그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구동원(250,2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플레이트(150)를 따라 이동된 쉬트파일이 삽입되도록 하고, 구동원(250,250')이 그 일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다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220) 및 제2플레이트(240)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220,2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20)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S)을 향한 내면에는 구동원(250,25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 기 제1플레이트(220)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공간(160)과 연통되는 인입구(223)(도 3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서로 결합된 상태의 복수개의 쉬트파일의 삽입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입구(223)를 통해 서로 결합된 총 2개의 쉬트파일이 삽입되도록 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3개 이상의 쉬트파일이 결합된 상태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인입구(223)의 일측에 후술할 간섭회피방지구(233)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220)에는 연결플레이트(23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30)는 상기 제1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쉬트파일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220)와 제2플레이트(240) 사이에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30)의 일부(231)는 상기 제2플레이트(24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30)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220)의 인입구(223)와 연통되는 간섭방지구(233)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구(233)는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220)의 인입구(223)를 통해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쉬트파일이 연결플레이트(230)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쉬트파일이 3개 이상 결합된 상태라면, 2개는 상기 제1플레이트(220)의 인입구(223)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1개는 상기 간섭방지구(233)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도 11참조)
상기 연결플레이트(230)에는 제2플레이트(240)가 결합된다. 상기 제2플레이 트(24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레이트(220)와 이격되게 구비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220)에는 상기 결합된 다수개의 쉬트파일 중 파일고정유닛(300)에 의해 고정된 쉬트파일이 배출되는 연결구(242)와, 파일고정유닛(300)의 구동원(250,250')이 입출되는 구동원출입구(243)가 각각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240)에는 지지리브(24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47)는 파일고정유닛(300)에 의해 고정된 쉬트파일에 인접한 쉬트파일, 다시 말해 고정된 쉬트파일로부터 분리될 쉬트파일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부분이다.(도 7참조)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에는 구동원(250,25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250,250')은 파일고정유닛(30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의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원(250,250')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210)의 제1플레이트(2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240)의 구동원출입구(243)를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파일고정유닛(300)을 밀어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원(250,250')은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구동원(250,250')에는 유압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실린더로드(255)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55)는 파일고정유닛(300)의 이동헤드(301)에 결함됨으로써, 이동헤드(301)를 왕복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원(250,250')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에 삽입된 쉬트파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이는 상기 구동원(250,250')이 파일고정유닛(300)을 보다 안정적으로 밀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의 일측에는 파일고정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파일고정유닛(300)은 상기 쉬트파일 중 일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된 쉬트파일을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의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일고정유닛(300)은 상기 구동원(250,250')에 연결되는 이동헤드(301)와, 상기 이동헤드(301)에 결합되어 상기 쉬트파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305)(도 5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헤드(301)는 상기 구동원(250,25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제2플레이트(2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헤드(301)는 상기 제2플레이트(240)의 외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상으로 구성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5)는 상기 제2플레이트(240)를 마주보는 상기 이동헤드(301)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고정블록(310)과 제2고정블록(3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고정블록(310)과 제2고정블록(320) 사이에 상기 쉬트파일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블록(310)과 제2고정블록(320)에는 각각 고정잭(315)과 가동잭(325)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잭(315)은 상기 제1고정블록(3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잭(325)은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상기 고정잭(315)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305)는 상 기 가동잭(32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쉬트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헤드(301)에는 배출구(36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360)는 상기 복수개의 쉬트파일 중에서 상기 고정부(305)에 의해 고정된 쉬트파일이 통과하는 일종의 구멍으로,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의 제2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연결구(24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헤드(301)에는 배출플레이트(37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플레이트(370)는 상기 배출구(360)를 통해 점진적으로 배출되는 쉬트파일을 지지하여, 쉬트파일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헤드(301)에는 조절장치(400,4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장치(400,41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블록(310,320)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헤드(301)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블록(310,32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쉬트파일의 두께나 삽입각도가 달라지는 경우에 이에 맞추어 제1 및 제2고정블록(310,3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쉬트파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장치(400,41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블록(310,320)과 연결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의 잠김을 해제한 후에 상기 제1 및 제2고정블록(310,320)의 각도를 재조정하고, 상기 너트를 다시 죄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방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9에는 서로 결합된 2개의 쉬트파일을 서로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서로 결합된 상태의 2개의 쉬트파일(이하 '쉬트파일조립체(SP)'라 한다)을 프레임(100)의 상면을 따라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에는 가이드플레이트(150)가 구비되므로,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와 프레임(100)에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160)에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는 상기 가이드공간(160)을 통과하여 파일이송유닛(200)의 케이스(210) 일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가 계속 이동되면,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는 상기 케이스(21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220)의 인입구(223)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된다.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되어 그 선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제2플레이트(240)에 접하게 되면,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 중 하나,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된 쉬트파일은 제2플레이트(240)의 지지리브(247)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는 더 이상이 전진하지 못하고 이동을 멈추게 된다.(S1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일고정유닛(300)에 구비된 제1고정블록(310)과 제2고정블록(320) 사이에 쉬트파일(SP1,SP2) 중 하나가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고정블록(320)에 구비된 가동잭(325)이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제1고정블록(310)의 고정잭(315)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쉬트파일의 일부(SP1)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S110)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구동원(250,250')에 구비된 구동원(250,250')이 작동하여 상기 파일고정유닛(300)의 이동헤드(301)를 상기 파일구동원(250,250')의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상기 구동원(250,250')은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그 일단에 연결된 이동헤드(301)를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밀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부(305)에 의해 고정된 상기 쉬트파일 중 하나(SP1)는 상기 이동헤드(301)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쉬트파일에 인접한 다른 쉬트파일(SP2)은 상기 케이스(210)의 지지리브(247)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부(305)에 의해 고정된 쉬트파일(SP1)만이 상기 구동원(250,250')에 의해 전달된 분리력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쉬트파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S120)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은 상기 케이스(210)의 연결구(242)를 각각 통과하여 상기 이동헤드(301)의 이동거리(L2)만큼 케이스(210)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305)에 의해 상기 쉬트파일(SP1)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동잭(325)이 상기 고정잭(3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쉬트파일(SP1)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S130)
마직막으로, 상기 이동헤드(301)는 상기 구동원(250,250')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즉 상기 케이스(210)의 제2플레이트(2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헤드(301)가 이동되는 것이다.(S140)
이때, 앞서 고정부(305)에 의해 고정되었던 상기 쉬트파일(SP1)는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었으므로, 상기 이동헤드(301)를 따라 케이스(210)방향으로 복귀하지 않고 어느 정도 배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쉬트파일(SP1)은 인접한 쉬트파일(SP2)과 점진적으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는 완전히 분리되어 별개의 쉬트파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쉬트파일이 쉬트파일 분리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쉬트파일이 다수개 결합된 상태이더라도 낱개의 쉬트파일로 쉽게 만들어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쉬트파일조립체(SP)가, 도 11에서 보듯이, 3개의 쉬트파일(SP1,SP2,SP3)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먼저 하나의 쉬트파일(SP1)을 나머지 2개의 쉬트파일(SP2,SP3)로부터 분리하고, 나머지 2개의 쉬트파일(SP2,SP3)을 별개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케이스(210)를 구성하는 연결플레이트(230)에 간섭방지구(233)가 형성되어, 3개이상의 쉬트파일도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 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운송장치가 구비되어 쉬트파일 분리장치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일이송유닛(200)에는 쉬트파일(SP)의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305)의 가동잭(325)의 작동 및 구동원(250,250')의 작동이 쉬트파일(SP)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
도 1은 다수개의 쉬트파일이 맞물려 있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파일고정유닛이 생략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일고정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Ⅴ-Ⅴ'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쉬트파일 분리방법에 의해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작업순서를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3개의 쉬트파일을 분리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120: 제1 및 제2측면프레임
130: 연결프레임 150: 가이드플레이트
160: 가이드공간 200: 파일이송유닛
210: 케이스 220,240: 제1 및 제2플레이트
230: 연결플레이트 233: 간섭방지구
247: 지지리브 250,250': 구동원
300: 파일고정유닛 301: 이동헤드
305: 고정부 310,320: 제1 및 제2고정블록
315: 고정잭 325: 가동잭
360: 배출구 370: 배출플레이트
400,410: 조절장치

Claims (14)

  1.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들을 분리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에 있어서,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이 그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구동원이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일이송유닛과,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파일이송유닛과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쉬트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을 나머지 쉬트파일로부터 분리하는 파일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송유닛은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골격을 형성하고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입출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의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쉬트파일이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원이 입출되는 구동원출입구 및 상기 파일고정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쉬트파일이 배출되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된 쉬트파일에 인접한 쉬트파일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인입구와 연통되는 간섭방지구가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일측은 상기 케이스의 제1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파일고정유닛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쉬트파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고정유닛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헤드와,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상기 이동헤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쉬트파일을 상기 구동원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양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제1고정블록과 제2고정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제1고정블록에는 제1고정잭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블록에는 가동잭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고정잭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을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고정유닛의 이동헤드에는 상기 고정부의 제1고정블록 및 제2고정블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쉬트파일의 이송을 안내함을 특징으 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장치.
  13. 결합된 복수개의 쉬트파일들을 분리하는 쉬트파일 분리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쉬트파일이 프레임을 따라 안내되어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삽입된 쉬트파일 중 일부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일고정유닛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파일이송유닛의 내부공간 일측에 지지되는 제2단계와,
    상기 파일이송유닛에 설치된 구동원이 이동하여 상기 파일고정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파일이송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쉬트파일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쉬트파일 분리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이어,
    상기 파일고정유닛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제5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는 상기 쉬트파일이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반복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파일 분리방법.
KR1020080093351A 2008-09-23 2008-09-23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KR10101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351A KR101019439B1 (ko) 2008-09-23 2008-09-23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351A KR101019439B1 (ko) 2008-09-23 2008-09-23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249A KR20090021249A (ko) 2009-03-02
KR101019439B1 true KR101019439B1 (ko) 2011-03-07

Family

ID=4069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351A KR101019439B1 (ko) 2008-09-23 2008-09-23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50B1 (ko) * 2008-09-23 2011-03-08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 파일 분리장치
KR101029158B1 (ko) * 2008-09-29 2011-04-13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030A (en) 1980-05-24 1981-12-22 Hisao Inoue Steel sheet pile chuck
JPH10183621A (ja) 1996-12-26 1998-07-14 Nkk Corp 矢板引抜き装置
KR20090021250A (ko) * 2008-09-23 2009-03-02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 파일 분리장치
KR20090021251A (ko) * 2008-09-29 2009-03-02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030A (en) 1980-05-24 1981-12-22 Hisao Inoue Steel sheet pile chuck
JPH10183621A (ja) 1996-12-26 1998-07-14 Nkk Corp 矢板引抜き装置
KR20090021250A (ko) * 2008-09-23 2009-03-02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 파일 분리장치
KR20090021251A (ko) * 2008-09-29 2009-03-02 진성토건 주식회사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249A (ko) 200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68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panels
CN111236638B (zh) 组装型梁模具
KR101019439B1 (ko)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JP2009114643A (ja) 地下構造物の連結構造
KR101029158B1 (ko) 쉬트파일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쉬트파일 분리방법
KR101080962B1 (ko) 형강파일 인발기
KR101306055B1 (ko) 내력 및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구조 및 우각부 보강방법
KR20140006409U (ko) 이동식 방호벽
KR101721579B1 (ko) 세그멘트식 콘크리트지하구조물 구축용 굴착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축방법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1020450B1 (ko) 쉬트 파일 분리장치
KR102351891B1 (ko)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KR101005572B1 (ko) 간이 흙막이 구조물
JP6887358B2 (ja) 土砂構造物の受圧部材、土砂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土砂構造物の補強方法
EP1972736B1 (en) System comprising a beam, a corrugated sheet and a connector
KR200445441Y1 (ko)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KR102238982B1 (ko) 인장재 제거식 앵커체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20090035241A (ko) 소음과 진동 감소 및 강성 증가형 복공판 및 그 시공방법
KR101744332B1 (ko) 그레이팅 결속구조
JP2016113873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コンクリート函体
CN219096879U (zh) 自行车驻车抬升结构
KR101711493B1 (ko) 강판 벽체의 복원방법
KR102293260B1 (ko) 자립식 흙막이 시공을 위한 파일 연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립식 흙막이 시공을 위한 파일 조립체,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102093672B1 (ko) 일체형 콘크리트 복공체와 이의 제조방법
CN215805573U (zh) 一种抗冲击型耐磨衬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