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253B1 -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253B1
KR101019253B1 KR1020080133929A KR20080133929A KR101019253B1 KR 101019253 B1 KR101019253 B1 KR 101019253B1 KR 1020080133929 A KR1020080133929 A KR 1020080133929A KR 20080133929 A KR20080133929 A KR 20080133929A KR 101019253 B1 KR101019253 B1 KR 10101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transmission
broadcast
retransmission system
digit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280A (ko
Inventor
장세진
이석필
이종설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2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6Arrangements for schedul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6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repeated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에 섞여서 수신되는 프로그램가이드 정보와 서버운영자의 판단을 근거로 하여 필요한 시간에만 재전송 장비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전송 장비의 소비 전력을 절감함과 함께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는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으로부터 수신한 RF 형태의 디지털방송 신호를 국부적인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재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온/오프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재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프로그램 테이블을 분석하여 방송 신호가 없는 시간대를 파악한 후에 그 시간대에는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 관리모듈을 구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재전송, 아파트, 전원, 제어, 절전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Power Supply Administration App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Re-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전송 장비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함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송 재전송 장비는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공동주택의 방송실이나 사내 방송실 등에서 사용되는 장비로써 공동주택이나 회사의 구성원들이 다양한 방송, 예를 들어 아날로그 지상파, 위성 또는 케이블 방송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서 잡음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RF 신호 형태 재처리하여 전송하는 장비이다.
한편,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경우에도 지상파 안테나, 위성 안테나 또는 케이블과 같은 각종 매체를 통해 수신한 RF 형태의 디지털방송 신호를 다시 아파트 단지내 또는 회사내 등과 같은 국부적인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특정 채널의 RF 신호로 재처리, 즉 수신·복조 -> RF 결합 -> 주파수 변경 및 증폭한 후에 재전송하는바, 이 신호를 수신한 각 사용자는 셋탑박스와 같이 자신의 수신 장치에 맞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옥상에 설치되어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방송 신호를 포착하는 공시청 안테나(10), 공시청 안테나(10)에 의해 포착되거나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RF 형태의 각종 디지털방송 신호에서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만을 수신하는 튜너(22)와 튜너(22)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or)하는 복조기(24)로 이루어진 프론트엔드부(Front-end)(20) 및 복조된 각종 방송 신호를 변조하여 동일 채널이나 다른 채널 주파수로 변경하는 업컨버터(Up-Converter)(32), 업컨버터(32)에서 출력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적으로 결합하는 RF 결합기(RF Combiner)(34), RF 결합기(34)를 통해 결합된 방송 신호를 적절한 신호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36)로 이루어진 방송신호 재처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재처리된 방송 신호는 RF 분배기(60)를 통해 분배된 후에 케이블을 통해서 각 가정에 전송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에는 또한 프론트엔드부(20)를 통해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MPEG2-TS(Transport Stream) 형태의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Demuxing)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디먹스(42), 디먹스(42)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신장)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함께 부가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여기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이하 간단히 '프로그램가이드' 정보라 한다) 생성하는 디코 더(44)로 이루어진 백엔드부(40) 및 백엔드부(40)의 디코더(44)에서 생성된 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테이블을 구성하는 가이드 데이터 추출기(52)와 홈쇼핑 방송과 같은 쌍방향 방송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응답데이터를 해당 방송과 동기화하거나 디먹스(42)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 데이터, 즉 프로그램가이드를 동기화하는 AV/데이터 방송 동기화기(54)로 이루어진 데이터추출/동기화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을 수신한 후에 재처리하여 전송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 장비의 특성상 방송 신호가 없거나 또는 방송시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무조건 24시간 가동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서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송 신호에 섞여서 수신되는 프로그램가이드 정보와 서버운영자의 판단을 근거로 하여 필요한 시간에만 재전송 장비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전송 장비의 소비 전력을 절감함과 함께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는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으로부터 수신한 RF 형태의 디지털방송 신호를 국부적인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재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온/오프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재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프로그램 테이블을 분석하여 방송 신호가 없는 시간대를 파악한 후에 그 시간대에는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 관리모듈을 구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사용자의 셋탑박스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재전송 장비를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로 절환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은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입수한 선호 시청 시간대 또는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여 그 시간대에는 비록 방송시청 요구가 없더라도 재전송 장비를 미리 대기 상태로 절환시키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초기 재전송 장비 구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또한 서버 운영자가 정한 시간 방침이나 운영 규칙에 의해 정해진 시간대에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운영 타임/룰 관리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따르면, 방송 신호에 섞여서 수신되는 프로그램가이드 정보와 서버운영자의 판단 및 각 가정에서의 방송 수요 등을 근거로 하여 필요한 시간에만 재전송 장비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전송 장비의 소비 전력을 절감함과 함께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전원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공시청 안테나(10), 프론트엔드부(20), 방송신호 재처리부(30), 백엔드부(40) 및 데이터추출/동기화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공시청 안테나(20)는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옥상에 설치되어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를 포착한다. 프론트엔드부(20)를 구성하는 튜너(22)는 공시청 안테나(10)에 의해 포착되거나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RF 형태의 각종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만을 수신하고, 복조기(24)는 튜너(22)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방송신호 재처리부(30)를 구성하는 업컨버터(32)는 복조기(24)에서 복조된 각종 방송 신호를 다시 변조하여 동일 채널이나 다른 채널 주파수로 변경하고, RF 결합기(34)는 업컨버터(32)에서 출력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적으로 결합하며 증폭기(36)는 RF 결합기(34)를 통해 결합된 방송 신호를 각 가정에 분배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신호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디코더(44)와 함께 백엔드부(40)를 구성하는 디먹스(42)는 프론트엔드부(20)를 통해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MPEG2-TS(Transport Stream) 형태의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고, 디코더(44)는 디먹스(42)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신장)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함께 부가 데이터를 파싱하여 여기에 포함된 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추출/동기화부(50)를 구성하는 가이드 데이터 추출기(52)는 백엔드부(40)의 디코더(44)에서 생성된 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테이블을 구성하고 AV/데이터 방송 동기화기(54)는 쌍방향 방송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응답데이터를 해당 방송과 동기화하거나 디먹스(42)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에 프로그램가이드를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재전송 장비의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해 그 전원 온/오프 또는 대기(Stand-by)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110) 및 이러한 전원 제어기(110)를 방송 신호의 유/무, 관리자의 관리 방침 또는 사용자들의 수신 단말기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전송 장비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원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2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관리 서버(120)는 다시 가이드 데이터 추출기(32)로부터 제공받은 프로그램 테이블을 분석하여 방송 신호가 없는 시간대를 파악한 후에 그 시간대에는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전원 제어기(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 관리모듈(122), 서버 운영자가 정한 시간 방침이나 운영 규칙(Rule)에 의해 정해진 시간대에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전원 제어기(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운영 타임/룰 관리모듈(124) 및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 예를 들어 셋탑박스(100)의 각종 상태,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사용자의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재전송 장비를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로 절환하도록 전원 제어기(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126)은 또한 사용자의 셋탑박스(100)로부터 입수한 선호 시청 시간대 또는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여 그 시간대에는 비록 방송시청 요구가 없더라도 재전송 장비를 미리 대기 상태로 절환시키도록 전원 제어기(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초기 재전송 장비 구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셋탑박스(100)에는 본연의 즉 방송처리모듈(102) 이외에 그 전원 온/오프 상태나 사용자의 선호 시청 시간대 또는 선호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채널 정보나 프로그램가이드 정보 등을 관리 서버(120)에 전달하는 가이드 응용 프로그램(104)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에 사용자의 셋탑박스(100)는 일반 전화선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관리 서버(120)에 전달할 수가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 관리자는 서버운영 타임/룰 관리모듈(124)을 통해 재전송이 불필요한 시간대에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전원 제어기(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126)을 통해 미리 확인된 시청자의 서비스 요구시간 외에 시청자의 돌발적인 방송 수신 시도, 예를 들어 각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의 튜닝 시도를 검출하여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전원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시청 안테나, 20: 프론트엔드부,
22: 튜너, 24: 복조기,
30: 방송신호 재처리부, 32: RF 결합기,
34: 업컨버터, 36: 증폭기,
40: 백엔드부, 42: 디먹스,
44: 디코더, 50: 데이터추출/동기화부,
52: 가이드 데이터 추출기, 54: AV/데이터방송 동기화기,
60: RF 분배기, 70, 100: 셋탑박스,
102: 방송 처리부, 104: 가이드 응용 프로그램,
110: 전원 제어기, 140: 관리 서버,
142: 유효 프로그램가이드 관리모듈,
144: 서버운영 타이머/룰 관리모듈,
146: 사용자요구 타임테이블 관리모듈

Claims (6)

  1. 지상파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으로부터 수신한 RF 형태의 디지털방송 신호를 국부적인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재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온/오프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사용자의 셋탑박스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재전송 장비를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로 절환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을 구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재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프로그램 테이블을 분석하여 방송 신호가 없는 시간대를 파악한 후에 그 시간대에는 상기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 관리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요구 타임 테이블 관리모듈은 사용자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입수한 선호 시청 시간대 또는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여 그 시간대에는 비록 방송시청 요구가 없더라도 재전송 장비를 미리 대기 상태로 절환시키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초기 재전송 장비 구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서버 운영자가 정한 시간 방침이나 운영 규칙에 의해 정해진 시간대에 재전송 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대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운영 타임/룰 관리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KR1020080133929A 2008-12-24 2008-12-24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KR10101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29A KR101019253B1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29A KR101019253B1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280A KR20100075280A (ko) 2010-07-02
KR101019253B1 true KR101019253B1 (ko) 2011-03-04

Family

ID=4263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929A KR101019253B1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50B1 (ko) * 2012-06-11 2013-12-02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절전형 헤드엔드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26A (ko) * 1999-10-12 2000-01-15 박윤진 고분자 분체가 코팅된 금속재 활어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4372A (ko) * 2005-07-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예약녹화 및전원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26A (ko) * 1999-10-12 2000-01-15 박윤진 고분자 분체가 코팅된 금속재 활어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4372A (ko) * 2005-07-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예약녹화 및전원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280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328B2 (en) Gateway power synchronization
KR101208138B1 (ko)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수상 시스템, 및 통신 방법
EP1610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digital set-top box in standby mode
RU2427097C2 (ru) Мультимед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20070052075A (ko) 양방향 케이블 디지털 방송의 비상 사태 경보 메시지 처리방법,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US8762978B2 (en) Content receiver having a low-power mode
KR101019253B1 (ko) 디지털방송 재전송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US20050076391A1 (en) Picture display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senting commercial message
JP4579766B2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KR2007012131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력 저감 방법
KR200479642Y1 (ko) 디지털 비상방송 장치
KR20060119106A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70040005A (ko)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954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모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2541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JP2000101866A (ja) 遠隔操作機能内蔵テレビ
JPH0946654A (ja) インタラクティブ文字多重放送システム
KR20050121474A (ko) 디지털 셋탑박스의 대기 모드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83707A (ko) 오픈 케이블 수신 장치의 epg 업데이트 방법
JP2005176119A (ja) Catv用端末装置
JP2006191258A (ja) モデム内蔵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KR20080074628A (ko) 디지털 tv의 epg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70108608A (ko) 디지털 tv와 dmb 단말간 epg 연동을 통한 예약시청/녹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