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005A -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005A
KR20070040005A KR1020050095215A KR20050095215A KR20070040005A KR 20070040005 A KR20070040005 A KR 20070040005A KR 1020050095215 A KR1020050095215 A KR 1020050095215A KR 20050095215 A KR20050095215 A KR 20050095215A KR 20070040005 A KR20070040005 A KR 2007004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ine
receiving
video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899B1 (ko
Inventor
김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8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성이 편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dcasting)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외부의 티브이에서 제어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간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선 이외의 서로 다른 회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이동 단말기를 수신장치로 하여 티브이에서 시청하되 모든 명령을 티브이로 손쉽게 내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dcasting), 이동 단말기

Description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Controling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in TV}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에 방송 정보가 수신되는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티브이로부터 제어되는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 단자를 갖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단말기 110: 튜너
120: 방송 정보 수신부 130: 방송 정보 처리부
140: 방송 수신부 200: 티브이
210: 채널 관리부 220: 채널 정보 저장부
230: 영상 출력부 300: 제 1 회선
400: 제 2 회선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성이 편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dcasting)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외부의 티브이에서 제어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dcasting: 이하 'DMB"라 칭함)은 차세대 디지털 방송의 표준안으로 자리잡고 있는 새로운 방송기술로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기술(Digital Radio Brodcasting)을 응용하여, 엠펙-4 비디오/오디오를 함께 송신하여 휴대성이 편리한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차세대 방송기술이다.
즉, DMB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휴대성이 편리한 장비이므로 대부분의 사용용도가 차량 거치, 야외 혹은 이동중의 시청을 고려한 경우가 많다.
현재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출시되고 있으며,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위성이나 공중파를 통하여 전달된 DMB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수신기와 이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DMB 방송을 외부의 디지털 티브이 등의 영상 표시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존재하며 영상 표시 기기는 비디오나 DVD 플레이어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등을 통하여 DMB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MB 방송 컨텐츠는 공중파나 위성 혹은 케이블 방송과 특화되는 콘텐츠를 다룰 수도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영상 표시 기기로 연결하여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등과 달리 채널 변환을 하거나 채널 정보를 보는 등의 사용자가 제어하여야 하는 부분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한 후에 DMB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일이 생기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10)는 크게 튜너(11)와 방송 수신부(12)로 구성되며 이동 단말기(10)는 외부의 출력과 연결하기 위한 컴포지트(composite), 컴포넌트(component), RGB 단자 등의 외부 출력 단자(13)를 가지고 있으며, 이 외부 출력 단자(13)는 디지털 티브이(20)의 외부 입력 단자(21)(컴포지트, 컴포넌트, RGB)와 연결되어 DVD 플레이어나 VCR과 같은 기기의 입력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한다.
도 2는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티브이는 단지 이동 단말기로부터 DMB 영상/음성 신호만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채널 변경이나 프로그램 확인 시 이동 단말기를 직접 조작해야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콘텐츠는 공중파나 위성 혹은 케이블 방송과 특화되는 콘텐츠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DMB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티브이와 연결하여 시청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티브이를 멀리서 시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로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티브이 앞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를 장시간 시청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충전기까지 연결하여 충전하는 등의 불편한 작업들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입출력 단자로 연결된 티브이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브이에서 이동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한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간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선 이외의 서로 다른 회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신호는 티브이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명령과,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DMB 방송의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브이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회선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 티브이간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 되는 제 2 회선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회선을 통해서 티브이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 명령이 전달되거나,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에 방송 정보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 1 회선은 컴포지트, 컴포넌트, RGB 단자를 연결하는 회선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에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회선과,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간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회선과, DMB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 충전선을 포함하는 연결단자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DMB 단말기(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수신기)의 구성은(도시하지 않음),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와 DAB 수신기에서 수신된 채널별 엠펙-4 영상 및 음성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채널 디코더와 채널 디코더에서 처리된 엠펙-4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엠펙-4 디코더와, 엠펙-4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엠펙-4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된 엠펙-4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DAB 수신 기에서 수신된 MP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저장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DAB 디코더는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엠펙-2 오디오 신호는 별도의 신호처리 없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엠펙=4 오디오 신호는 상기 채널 디코더를 거쳐 노이즈를 제거시킨 후 엠펙-4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DAB 디코더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채널 디코더를 통해 노이즈 신호가 제거된 후 엠펙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티브이(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 1 회선(300)과 이동 단말기(100)와 티브이(200) 간의 영상/음성 신호 이외의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제 2 회선(400)이 구비되며 제 2 회선(400)을 통하여 방송 정보가 티브이(200)에 전달된다.
또한, 리모콘(도시하지 않음)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티브이(20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이동 단말기(100)에 전달되고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방송 정보가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에 방송 정보가 수신되는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DMB 방송을 선국하는 튜너(110)와 선국된 채널의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정보 수신부(120)와, 수신된 방송 정보를 파싱하는 방송 정보 처리부(130)와, 선국된 방송 채널의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 등이다.
그리고, 티브이(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 1 회선(300)과 제 2 회선(400)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선(300)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티브이에 전달하는 회선이며, 제 2 회선(400)은 이동 단말기(100)와 티브이(200)간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회선이다.
상기 제 2 회선(30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송 정보 처리부(130)에서 파싱된 방송 정보가 티브이(200)의 채널 관리부(210)를 통해 채널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며 채널 정보는 채널 번호와 연동 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 등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티브이로부터 제어되는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DMB 방송 정보는 티브이 (200)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현재 수신 가능한 DMB 방송이 티브이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티브이(200) 외부의 조작 버튼을 통하여 DMB 방송의 특정 채널을 지정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채널은 티브이(200)의 채널 관리부(210)와 이동 단말기(100)간의 데이터 신호가 제 2 회선(40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되며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튜너(110)를 조작하여 채널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변경된 채널의 방송은 튜너(110)로부터 제 1 회선(300)을 통해 티브이(200)에 전달되어, 티브이(200)의 영상 출력부(230)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시청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는 티브이(200)의 채널 관리부(210)에서 관리하는 다른 방송 채널과 같이 관리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화면에 방송정보가 출력될 때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도 다른 방송 채널과 같이 출력되며 이는 표 1과 같다.
[표 1]
아날로그 디지털 DMB
6-0
7-0 6-1 SBS
9-0 7-1 KBS2 OCN
11-0 9-1 KBS1 M.NET
13-0 11-1 MBC OnGameNet
그리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방송 채널 변환을 하게 될 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도 다른 방송 채널과 같이 채널 변환이 가능하며 아날로그 방송과 디 지털 방송, 그리고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은 채널 상하 키 등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와 티브이(200)는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회선(300)과, 데이터 통신 회선인 제 2 회선(40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티브이(200)가 이동 단말기(100)로 현재 시청 가능한 채널 정보를 요구하거나 티브이(200)가 자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채널 .../6번은 SBS/ 7번은 KBS-2/ 9번은 KBS-1/ 11번은 MBC/.... 과 같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티브이(200)는 선택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보여주도록 이동 단말기(100)에 명령을 내리면, 명령을 받은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채널로 전환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이다.
제 2 실시예 또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티브이(200)는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회선(300)과, 데이터 통신 회선인 제 2 회선(400)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자막 문자열이 티브이(200)로 전달되 면, 사용자가 티브이(200)로 명령을 내림으로써 자막이 화면에 나타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선택 가능한 외국어 목록이 전달되며, 사용자는 선택 가능한 외국어를 조회하고 특정 외국어를 선택한다.
그러면 티브이(200)는 선택된 외국어를 이동 단말기(100)로 알리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태된 외국어의 음성을 티브이(200)로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 단자를 갖춘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연결단자에는 영상/음성 신호, 데이터 송수신 신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안테나, 충전선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티브이를 멀리서 시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로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티브이 앞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를 장시간 시청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충전기까지 연결하여 충전하는 등의 불편한 작업들을 수행 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8)

  1.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간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선 이외의 서로 다른 회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티브이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명령과,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4.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DMB 방송의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 브이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브이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회선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 티브이간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 되는 제 2 회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선을 통해서 티브이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 명령이 전달되거나, 이동 단말기로부터 티브이에 방송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의 번호, 방송국 이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이름,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끝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선은 컴포지트, 컴포넌트, RGB 단자를 연결하는 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DMB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에 이동 단말기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회선과, 티브이와 이동 단말기간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회선과, DMB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 충전선을 포함하는 연결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50095215A 2005-10-11 2005-10-11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21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215A KR101219899B1 (ko) 2005-10-11 2005-10-11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215A KR101219899B1 (ko) 2005-10-11 2005-10-11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005A true KR20070040005A (ko) 2007-04-16
KR101219899B1 KR101219899B1 (ko) 2013-01-18

Family

ID=3817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215A KR101219899B1 (ko) 2005-10-11 2005-10-11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72B1 (ko) * 2007-09-05 2008-03-24 주식회사 다우비젼 지상파 dmb 비디오 채널 및 오디오 채널의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CN102917275A (zh) * 2011-08-02 2013-02-06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串流媒体播放系统及其播放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810B1 (ko) * 2003-12-29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내장 티브이 모듈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7895Y1 (ko) * 2004-12-24 2005-03-16 전자부품연구원 외부 장치에서 제어 및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방송 수신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72B1 (ko) * 2007-09-05 2008-03-24 주식회사 다우비젼 지상파 dmb 비디오 채널 및 오디오 채널의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CN102917275A (zh) * 2011-08-02 2013-02-06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串流媒体播放系统及其播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899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4604C (en) Media device
US20020097164A1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EP1848213A1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system
US20050086706A1 (en) Television system
US20090015726A1 (en) Receiver and receiv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CN102300059A (zh) 一种电视播放系统及辅助播放装置
KR101219899B1 (ko)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4015486A (ja) 放送受信装置
JP200418717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50114899A1 (en) Digital set-top box
US20070010194A1 (e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 Signals and Digital Audio Broadcasting Signals
KR100860173B1 (ko)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070035668A1 (en) Method of routing an audio/video signal from a television's internal tuner to a remote device
KR20120038124A (ko) 방송 수신 데이터 및 쌍방향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서의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00110296A1 (en) Method of watching data broadcast and a receiving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0138066Y1 (ko) 방송시청제어장치
KR100579626B1 (ko) 디지털 tv 수신기의 시간 정보 관리 방법
JP428906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操作端末装置および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システム、並びに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方法
KR100318611B1 (ko)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셋탑박스
KR100697423B1 (ko) 동적인 부화면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KR10073708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KR20050034034A (ko) Dmb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부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00035533A (ko) 방송 수신 장치
KR20090121560A (ko) 무선 멀티미디어 서버
JP200018869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