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296B1 -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296B1
KR101018296B1 KR1020100123033A KR20100123033A KR101018296B1 KR 101018296 B1 KR101018296 B1 KR 101018296B1 KR 1020100123033 A KR1020100123033 A KR 1020100123033A KR 20100123033 A KR20100123033 A KR 20100123033A KR 101018296 B1 KR101018296 B1 KR 10101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irport terminal
case
communication networ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헌일
Original Assignee
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10012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공항터미널 내 화재, 테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통행자의 대피경로를 그 정해진 상황에 맞게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9
형상을 갖는 제1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제1 상부케이스(1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공항 터미널 통행자 교차로 노면과 제1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1 보호케이스(100)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LED Bar)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내 형성된
Figure 112010079969410-pat00010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발광부(2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1 발광부(200)의 제1 전선(220)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관(300)과;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직선형상을 갖는 제2 상부케이스(410)와, 상기 제2 상부케이스(4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하부케이스(420)로 이루어져, 직선형태의 공항 터미널 통행자 노면과 제2 상부케이스(4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2 보호케이스(400)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내 형성된 직선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발광부(5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6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제2 전선(520)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관(600)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노출된 제1 및 제2 전선(220, 520)과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LED제어부(700)와;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유무선으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LED제어부(700)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800);를 구비하여, 공항 터미널 내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부(200, 500)가 통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EMERGENCY LEAD APPARATUS FOR AIRPORT TERMINAL OPERATED BY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비상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항터미널 내 화재, 테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통행자의 대피경로를 그 정해진 상황에 맞게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이라 함은 육상비행장 가운데 민간항공용으로 여객이나 화물의 항공운송에 필요한 시설과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항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시설로는 여객의 탑승 및 통과, 화물의 탑재·도착·통과 등을 취급하는 시설과 여객안내시설(대합실·표지판 등), 여객의 항공기 탑승시설, 항공사의 여객 및 화물 카운터, 화물적재시설, 보세창고, CIQ 경비보안시설 등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필요한 시설로는 여객과 환송객, 견학자 또는 공항근무자를 위한 숙박시설·식당·은행·우체국·매점 및 버스나 택시 등 교통수단을 위한 주차장 시설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항시설을 연결하여 사람이나 사물이 통행가능하게 하는 터미널의 경우 다수의 공항 이용자나 근무자들이 상시로 활동하게 되는 장소임에 따라, 공항에서 화재, 테러 등과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될 경우 공항 터미널 내에서의 피해가 매우 클 수 있는데, 현재까지는 기술된 바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통행자들에게 대피경로를 올바르게 안내할 수단이 없음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항터미널 내 화재, 테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통행자의 대피경로를 그 정해진 상황에 맞게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1
형상을 갖는 제1 상부케이스와, 상기 제1 상부케이스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공항 터미널 통행자 교차로 노면과 제1 상부케이스의 상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2
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1 보호케이스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LED Bar)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보호케이스 내 형성된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3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1 발광부의 제1 전선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관과;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직선형상을 갖는 제2 상부케이스와, 상기 제2 상부케이스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직선형태의 공항 터미널 통행자 노면과 제2 상부케이스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2 보호케이스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보호케이스 내 형성된 직선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2 발광부의 제2 전선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관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을 통해 노출된 제1 및 제2 전선과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LED제어부와;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유무선으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발광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LED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구비하여, 공항 터미널 내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부가 통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는 테러,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공항의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해당지점의 반대측으로 통행자를 안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제1 발광부(200) 및 제2 발광부(500)가 그 안내 경로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일괄적이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중 제1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중 제2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중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는 기본적으로 공항 터미널 통행자 교차로상에 매설되는 제1 보호케이스(100)와, 제1 보호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200)와, 제1 발광부(200)로 제어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선(220)을 보호하기 위한 제1 가이드관(300)과, 직선형 공항 터미널 통행로상에 매설되는 제2 보호케이스(400)와, 제2 보호케이스(400)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발광부(500)와, 제2 발광부(500)로 제어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선(520)을 보호하기 위한 제2 가이드관(600)과,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를 제어하기 위한 LED제어부(700)와,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LED제어부(70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수신부(80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중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는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4
형상을 갖는 제1 상부케이스(110)와, 제1 상부케이스(1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공항 터미널 통행자 교차로 노면과 제1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됨으로써 이하 기술되는 제1 발광부(200)의 배치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제1 보호케이스(100)의 크기는 제1 발광부(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공항 터미널 통행자 진행방향을 명확히 표시하기에 충분하도록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광부(200)는 제1 보호케이스(100) 내 형성된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5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LED Bar)로 이루어져, LED제어부(700)와 연결되고, 이 LED제어부(700)에 의해 공항 내 테러,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공항의 중앙관제서버가 사고 발생지점의 반대측으로 통행자를 안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데 대응하여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통행자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발광부(200)가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6
형으로 배치됨에 따라 직진방향으로 통행자를 안내하는 경우는 LED를 일방향으로 순차 점멸시켜 이를 표시할 수 있고, 좌측으로 안내하는 경우는 ㄱ자형으로 LED를 순차 점멸시키는 방식에 따라 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발광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LED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관(300)은 제1 보호케이스(100)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01)과 연통됨과 동시에 공항 터미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립되고 LED제어부(700)까지 연장설치되어, 제1 발광부(200)의 제1 전선(220)이 노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1 전선(220)의 보호를 가능하게 하고 LED제어부(700)에 접속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가이드관(300)으로는 직관이나 곡관 등 다양한 관체가 결합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LED제어부(700)까지 제1 발광부(200) 전선(220)의 전체 보호 경로가 제공된다.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는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직선형상을 갖는 제2 상부케이스(410)와, 제2 상부케이스(4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하부케이스(420)로 이루어져, 직선형태의 공항 터미널 통행자 보행 방향으로 노면과 제2 상부케이스(4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데, 제2 보호케이스(400)의 크기는 이하 기술되는 제2 발광부(500)가 설치되어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에 충분하도록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광부(500)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로 이루어져, 제2 보호케이스(400) 내 형성된 직선형 공간을 따라 통행자 방향과 일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LED제어부(700)와 연결되는데, 이 LED제어부(700)에 의해 공항 내 테러,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공항의 중앙관제서버가 사고 발생지점의 반대측으로 통행자를 안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데 대응하여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통행자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제1 발광부(200)와 마찬가지로 제2 발광부(5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LED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가이드관(600)은 제2 보호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6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립되어 LED제어부(700)까지 연장설치되며 제2 발광부(500)의 제2 전선(520)이 LED제어부(70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제1 가이드관(300)과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관(600) 또한 직관이나 곡관 등 다양한 관체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LED제어부(700)까지 제2 발광부(500) 전선(520)의 전체 보호 경로가 제공된다.
상기 LED제어부(700)는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노면 외측으로 노출된 제1 및 제2 전선(220, 520)과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통행자에게 올바른 대피경로를 안내하게 되는데, 이는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에서 전송되는 대피경로에 대응하여 공항 터미널 교차로 상에서 좌, 우 또는 직진 방향을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신호수신부(800)는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유무선으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LED제어부(700)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인터넷,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각통 통신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이러한 신호수신부(800)에 적용가능하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에는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에 관통설치되는 볼트(122)와 결합되는 나선홀이 형성된 원통체(121)가 모서리에 구비되고 내측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격벽(130, 430)이 설치되는데, 그 격벽(130, 430)에 의해 분할된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의 일측 공간에는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배치되고, 타측공간에는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삽입홈(911)이 대향형성된 상면 개방형의 제1 원통부재(910)와, 외력에 의해 휨 가능한 고무와 같은 탄성체나 금속을 재질로 하여 제1 원통부재(910)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하부 끝단에 삽입홈(911)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연장편(921)이 구비되며 내측에 가압스프링(922)이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920)로 이루어진 가압부(900)가 설치되도록 하여, 그 가압부(90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의 나선홀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볼트(930)의 길이조절에 의해 가압부(900)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그렇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압력과 볼트(122)가 제거될 경우 가압스프링(922)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가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로부터 상승되어져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의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에서 볼트(122)가 관통되는 부분을 단턱홀 형태로 형성하여 볼트(122)가 원통체(121)에 나선결합된 다음 볼트 상면과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 상면이 상호간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연장편(921)은 외력에 의해 삽입홈(911)으로 삽입된 다음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제2 원통부재(920)가 제1 원통부재(9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가압부(900)를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에 적용할 경우, 제1 상부케이스(110)의 측벽은 제1 하부케이스(120)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 상부케이스(410)의 측벽은 제2 하부케이스(42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중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추가로 상기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 하면에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로부터 생성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렌즈(111)를 부착함으로써 정전, 화재로 인한 연기 등에 의한 비상상황에서 본 발명의 비상유도장치로부터 생성되는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빛을 원거리에서도 광범위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7
    형상을 갖는 제1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제1 상부케이스(1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공항 터미널 통행자 교차로 노면과 제1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1 보호케이스(100)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LED Bar)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내 형성된
    Figure 112010079969410-pat00008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발광부(2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1 발광부(200)의 제1 전선(220)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관(300)과;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직선형상을 갖는 제2 상부케이스(410)와, 상기 제2 상부케이스(410)와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하부케이스(420)로 이루어져, 직선형태의 공항 터미널 통행자 노면과 제2 상부케이스(4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매설되는 제2 보호케이스(400)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LED 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내 형성된 직선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발광부(5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6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매립되어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제2 전선(520)을 노면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관(600)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노출된 제1 및 제2 전선(220, 520)과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LED제어부(700)와;
    공항 터미널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유무선으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LED제어부(700)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800);를 구비하여,
    공항 터미널 내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부(200, 500)가 통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에는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에 관통설치되는 볼트(122)와 결합되는 나선홀이 형성된 원통체(121)가 모서리에 구비되고, 내측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격벽(130, 430)이 설치되되, 그 격벽(130, 43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배치되고, 타측공간에는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삽입홈(911)이 대향형성된 상면 개방형의 제1 원통부재(910)와 상기 제1 원통부재(910)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하부 끝단에 상기 삽입홈(911)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연장편(921)이 구비되며 내측에 가압스프링(922)이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920)로 이루어진 가압부(90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900)는 그 가압부(90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볼트(930)의 길이조절에 의해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고 볼트(122)가 해체될 경우 가압스프링(922)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를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 하면에는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로부터 생성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렌즈(11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KR1020100123033A 2010-12-03 2010-12-03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KR10101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3A KR101018296B1 (ko) 2010-12-03 2010-12-03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3A KR101018296B1 (ko) 2010-12-03 2010-12-03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296B1 true KR101018296B1 (ko) 2011-03-04

Family

ID=4393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33A KR101018296B1 (ko) 2010-12-03 2010-12-03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2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208A (ja) 2002-07-17 2004-04-02 Kimitoku Araki 発光装置付き建材,住宅設備用発光装置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20070098109A (ko)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KR20090040829A (ko) * 2007-10-22 2009-04-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방향 변경이 가능한 비상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유도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208A (ja) 2002-07-17 2004-04-02 Kimitoku Araki 発光装置付き建材,住宅設備用発光装置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20070098109A (ko)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KR20090040829A (ko) * 2007-10-22 2009-04-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방향 변경이 가능한 비상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유도시스템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538B1 (en) Programmable, directing evacu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KR101472488B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JP2016057719A (ja) 路面用サイン
WO2016036208A1 (ko)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102276733B1 (ko)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100799317B1 (ko)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30373B1 (ko) 실내 상시 공간 관리 기반 운영 시스템
CN107003376B (zh) 本地导航系统
KR101018296B1 (ko)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KR101496184B1 (ko) 광고 시스템
KR1013712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JP200627738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60143899A (ko)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CN107610490A (zh) 路面紧急避让系统及抢险车辆
KR101668014B1 (ko)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160017792A (ko) 노면표출형 디지털 사이니지모듈을 통한 상황별 컨텐츠 실시간 노면표출장치
KR20100060403A (ko) 비상차선확보안내표시장치 및 방법
WO2018151972A1 (en) A evacuating system and evacu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