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726B1 - 사상체질 진단기 - Google Patents

사상체질 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726B1
KR101017726B1 KR1020090069352A KR20090069352A KR101017726B1 KR 101017726 B1 KR101017726 B1 KR 101017726B1 KR 1020090069352 A KR1020090069352 A KR 1020090069352A KR 20090069352 A KR20090069352 A KR 20090069352A KR 101017726 B1 KR101017726 B1 KR 10101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tution
module
measurement
trunk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890A (ko
Inventor
허만회
Original Assignee
허만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회 filed Critical 허만회
Priority to KR102009006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체질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기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체질 진단기에 따르면, 인체의 체간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체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상체질의 진단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진단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높여 사상체질에 기초한 진단 및 진단을 통한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잘못된 체질 판단으로 인한 오진 및 잘못된 처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사상체질, 체간, 측정

Description

사상체질 진단기{APPARATUS OF DISTINCTION BASED ON FOUR-PHASE CONSTITUTION}
본 발명은 사상체질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간측정법을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조선 말기의 의학자 이제마 선생이 창안하여 독창적인 사상의학 체계를 정립한 것으로서, 인간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4 체질로 분류한 것이며, 그 기본은 사람은 누구나 얼굴이 다르고, 성격도 다르듯이 체질도 다르기 때문에 섭취하는 음식 및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나 이에 사용하는 약재도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체질을 진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체질을 진단하는 장치가 개발된 것은 있으나, 이는 지문을 이용하는 것, 음성을 이용하는 것, 홍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상의학을 창안한 이제마 선생님은 언급을 하지도 않은 사항이므로 타당한 근거가 없으며, 임상적으로도 체질 진단의 유효성이 떨어져서 한의사들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고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설문지 형식의 방법도 있으나, 문항이 너무 많아서 실제로 임상에서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학술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한의사들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O-ring test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학문적 근거가 빈약하며 한의사들이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방법이 아니다.
이제마 선생님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체형, 성격, 병증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인데 성격 파악은 판단자의 주관이 개입되며, 병증 파악은 오랜 경험과 숙련이 필요하며, 체형은 객관적으로 분류한 것이 없었다.
한의학에서의 진단의 기초가 되는 사상체질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화된 진단(판별) 방법 혹은 진단 장치의 부재로 인한 오진 및 잘못된 치료로 인한 폐해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으며, 그 결과 사상체질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사상체질 진단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체간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보다 정확하고 객관화된 체질 진단(판별)이 가능한 사상체질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체간측정기준선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체간을 측정하여 사상체질을 진단(판별)함으로써, 체질 진단이 용이하고, 체질 진단 오류로 인한 오진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사상체질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는,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기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모듈은,
사상체질 감별을 위한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측정기준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좌우로 움직여 체간 측정치를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산정부; 및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편차산정부에서 산정된 편차 및 상기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대상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를 스캔하여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스캔측정모듈;
상기 스캔측정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모듈; 및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기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캔측정모듈은,
상기 대상자의 신체를 스캔하여 이미지화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이미지화된 상기 대상자의 신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범위를 분류하는 자동체간분류부; 및
상기 자동체간분류부에서 분류된 결과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측정치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사상체질 진단기 내부에 일체화되어 포함되거나, 상기 사상체질 진단기의 외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상기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비교부; 및
상기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편차비교부에서 산정된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모듈 또는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상기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체질 진단기에 따르면, 인체의 체간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체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상체질 진단의 진단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진단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높여 사상체질에 기초한 진단 및 진단을 통한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잘못된 체질 판단으로 인한 오진 및 잘못된 처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는, 체질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동시에 재현성도 보장되는 체질진단 방법을 모색하고자 ‘동의수세보원 장부론’의 사초론을 기초로 한 것으로서, 5종 체간 측정부위와 기준선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5종 체간 측정 기준치를 측정하여 상호 음양편차를 비교함으로써 체질을 판별하고자 한 것이다. ‘동의수세보원 장부론’에서 정의된 사초란 두면부와 사지를 제외한 체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초론에 기초하여 인체 중 체간을 5개의 (체간)측정기준선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한 후, 그 측정치를 기준으로 음양의 편차관계를 상호 비교하여 태소음양인을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는,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측정모듈(100), 및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는,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300), 및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모듈(100)은,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체간측정법에 위한 사상체질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1선과 제5선의 정확한 측정치 도출에 있다. 체간측정법은 연구대상자를 환자용 침대 위에서 앙와위를 취하게 한 후, 체간의 5개의 측정기준선에서의 측정치를 측정하여 사상체질을 진단하게 된다. 이때, 체간의 5개의 측정기준선은 제1선(상초기준선), 제2선(중상초기준선), 제3선(음양기준선), 제4선(중하초기준선), 제5선(하초기준선)이 되며, 각각의 측정기준선에 대한 측정 위치 및 측정해야 하는 값은 다음과 같다.
1. 제1선의 측정에서 상초부위는 흉부상초와 배부상초로 나누어지는데, 앙와위이므로 흉부상초만을 참고사항으로 한다. 흉부상초는 천돌과 전중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앙와 시 좌우측 오훼돌기와 견봉 간 함요부를 연결한 직선거리에 해당한다. 그러나 오훼돌기와 견봉 사이의 함요부를 찾는 과정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대신 앙와 시 좌우측 액와횡문 기시점을 중심으로 측정하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그 길이를 제1선 측정치로 한다.
2. 제2선의 측정은 기도 상에서 볼 때에 우폐엽 제2 엽기관지와 제3 엽기관지의 분지점에 위치한 우측 유두와 전중, 좌우측 유두를 경유하여 앙와 시 좌우측 적백육제선까지의 직선거리를 제2선의 측정치로 한다.
3. 제3선의 측정은 식도 분문부, 식도열공의 위치와 관계되는 거궐과 간 위치의 중간부위에 해당하는 기문을 수평직선으로 연결하여, 제7, 제8 늑연골 접합부의 융기부분에 해당하는 불용과 유문을 경유하되 앙와 시 좌우측 적백육제선까지의 직선거리를 제3선의 측정치로 한다.
4. 제4선의 측정은 제부위에 해당하는 신궐(CV-8)에서 위경의 천추(S-25)를 경유하여 앙와 시 좌우측 적백육제선까지의 수평직선거리를 제4선의 측정치로 한다.
5. 제5선의 측정은 앙와 시 제와 미골의 중간 부위인 좌우 전상장골극 (ASIS)의 외측을 연결한 수평직선거리를 제5선의 측정치로 한다.
제5선에 대하여 상술하자면,
1) 장골능을 따라 내려오다가 ASIS 지점을 정확히 잡는다. 그 ASIS 외측을 잡는다.
2) 흉복부 적백육제선과 연계되어 내려오는 선이 ASIS 외측지점과 연계되는 지점을 확인하여 찾는다.
3) 둔근(gluteus)과 경계를 이루는 윤곽선이 있는데 그것과 ASIS 외측과 일치해야 한다.
위의 세 가지 사항이 모두 일치하는 지점이 바로 제5선의 측정지점이 된다.
이러한 체간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어야 할 5가지 측정기준선의 부위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측정모듈(100)은 사상체질 감별을 위한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기준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좌우로 움직여 대상자의 각 측정기준선에서의 해당하는 체간에 정지하게 되고, 정지한 위치에서의 체간 값을 읽어 체간 측정치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읽어진 체간 값을 저장부(300)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체질감별모듈(200)에서의 사상체질 감별에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체질감별모듈(200)은,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역할을 한다. 사상체질 진단(판정)을 위한 체간 측정법에서는 앞의 측정모듈(100)에서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측정된 5개의 체간 측정부위와 5개의 체간 측정기준선의 설정이 중요하며, 그에 따른 체간측정치를 구하고 제3선을 중심축으로 하는 음양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태소음양인을 판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체질 감별 방법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300)는,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저장된 후, 체질감별모듈(200)에서의 사상체질 측정에 이용되거나, 디스플레이모듈(350)로 제공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300)에 저장된 측정값 및 체질감별모듈(200)에서 감별된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는 이후 통계 자료로 활용되거나, 각 체질에 대한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저장부는 디스플레이모듈(350)과 같이 체질감별 모듈에 함께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모듈(350)은, 체질감별모듈(200)에서 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모듈(350)에서는 체질감별모듈(200)에서 감별된 결과인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의 감별 결과와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각 기준점들 간의 측정치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체질감별모듈(2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질감별모듈(200)은,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산정부(220), 및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편차산정부에서 산정된 편차 및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감별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차산정부(220)는, 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모듈(100)에서 5개의 체간측정기준선 중 제3선을 음양기준선으로 잡고, 제1선과 제2선은 양인을 판별할 때 참고하는 기준선으로 하며, 제4선과 제5선은 음인을 판별할 때 참고하는 기준선으로 한다. 따라서 5개의 체간측정기준선의 편차를 산정하여 분석함으로써 태소음양인의 체질을 진단할 수 있다. 편차산정부(220)는 각 체간 부위들에 대한 측정값의 편차를 산정하여 체질감별부(240)로 제공하게 되고, 체질감별부(240)는 제공받은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편차,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을 판별하게 된다.
체질감별부(240)는,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편차산정부(220)에서 산정된 편차 및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편차산정부(220)에서 산정된 편차 및 기타 각 체간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체질감별부(240)에서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1. 소음인 남자의 경우
제1선에서 액와부 횡문의 탄력성이 없으며, 대흉근의 함몰감이 확인된다. 제2선의 경우 흉부의 위축으로 측정치가 감소하고, 제3선 또한 음양분기선으로 측정치가 감소한다. 제4선은 측정치가 감소 혹은 증가하기도 하기도 하나, 제5선의 경우, 제3선부터 제5선까지의 측정치 변화가 소음인의 가장 뚜렷한 특징적 형태가 되고, 제5선의 측정치가 제3선 및 제4선의 측정치보다 더 길다.
1-2. 소음인 여자의 경우
제1선에서 대흉근의 함몰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음인 여자의 제2선은 유방발달이 약하므로 위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제3선과 제4선의 경우, 측정치 감소를 보이고, 소음인 여자의 나이가 많이 들면 복부근육이 늘어져 제4선의 길이가 제5선보다 긴 경우도 있다.(이 경우 체간 측정법상 한태음인이라 한다) 제5선의 측정치가 제3선 및 제4선보다 더 크며, 제3선, 제4선, 제5선의 순으로 측정치의 점진적 증가 양상이 나타난다.
2-1. 소양인 남자의 경우
제5선에서 제1선을 향하여 V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횡승한다. 제3선 부위의 늑골궁은 소음인보다 약간 더 벌어진 예각을 이룬다. 제2선 흉곽선의 발달과 함께 대흉근의 횡승적 발달을 볼 수 있으며, 제1선 대흉근 정지부의 탄력감도 확인할 수 있다. 제5선의 측정치가 최단이고, 골반부의 형태가 안쪽으로 위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골반 대둔근은 발달되어 탄력성은 좋으나 크기는 왜소하여 날씬한 골반 형태가 된다.
2-2. 소양인 여자의 경우
제1선에서 제5선까지의 측정치 비교는 남자의 경우와 동일하고, 체간의 횡승 발달 역시 역사다리꼴 형태의 날렵한 몸매로서 남자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5선 골반 대둔근의 위축 및 발달은 동일하다. 단, 제2선 흉곽선의 발달이 타 체질 여성보다 탁월함을 관찰할 수 있다.
3-1. 태음인 남자의 경우
제1선에서 대흉근의 함몰감을 확인할 수 있다. 희성광장지기의 발달로 제3선, 제4선, 제5선의 측정치 가운데 제4선의 수평직선길이가 최대가 된다. 동시에 제5선과 제3선의 측정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제5선이 제3선의 측정치보다 1-2cm 더 짧게 나타난다(이 경우를 체간측정법상 정태음인이라 하며, 3㎝ 이상일 경우 체간측정법상 열태음인이라 정의한다.). 제3선의 늑골궁 형태가 완만한 장타원형(포물선)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늑골궁과 양 복부외측 둘레선과 하복부 서혜부 인대를 연결하여 보면 마치 북(Drum)과 같은 형태를 관찰할 수 있다.
3-2. 태음인 여자
제1선에서 대흉근의 함몰감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선은 여성의 가슴 때문에 측정치가 남성보다 길다. 제3선, 제4선, 제5선의 특징은 태음인 남자의 경우와 동일하다.
4-1. 태양인 남자의 경우
상초, 중상초에서 힘차고 우람한 대흉근의 발달과 하초 제5선에서의 현저한 위축현상이 대조를 이룬다. 성인 남자 태양인의 제1선의 수평직선 길이는 36cm이상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제1선과 제5선의 측정치 차이가 10cm정도를 유지하는 예가 보통이다.
4-2. 태양인 여자의 경우
현재까지 태양인 여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확실한 설명은 할 수 없으나, 체간형태는 남자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태양인 남자의 경우를 유추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체 빈약으로 제1선의 함몰이 뚜렷하고, 제3선, 제4선에서 측정치가 짧아져 중하초에서 체간이 위축되어 나타나고, 제5선이 길게 발달되어 장골능이 외곽으로 뚜렷하며 골반이 타 체질에 비하여 넓게 벌어져 있는 경우 소음인으로 판단한다.
2. 중상초가 발달한 상체발달형 체질로서, 대흉근의 탄력감이 있고, 제5선에서 제1선까지 점차적으로 측정치의 증가를 보임으로써 횡승하는 체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선이 최장이고, 제5선이 최단인 측정치를 보이는 경우 소양인으로 판단한다.
3. 상체빈약 체질로서, 복부 중하초의 광장지기가 최대로 발달하여 제4선의 측정치가 모든 체질 중에서 최장이고, 제3선과 제5선의 측정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제3선에 비하여 제5선이 1-2cm 짧게 나타나면 태음인으로 판단한다.
4. 대흉근이 최대로 발달되어 있고, 제1선의 측정치가 36cm 이상으로 나타나며, 제1선과 제5선의 측정치가 10cm 이상을 유지하고, 제1선에서 제5선까지 점차적으로 측정치의 감소를 나타내면 태양인으로 판단한다.
5. 소음인처럼 상체 빈약과 제1선의 함몰이 뚜렷하고, 제5선이 길게 발달되어 있지만, 태음인의 광장지기처럼 제4선이 제5선보다 길게 측정되면 한태음인으로 판단하고, 1선이 34cm 이상이면서 제3선 제4선 제5선 중에서 제3선이 최장선을 유지하고 제3선이 제5선보다 3cm 이상 길게 측정되면 열태음인으로 판단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20)의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대상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를 스캔하여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스캔측정모듈(400), 스캔측정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모듈(700), 및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20)는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350),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체질감별모듈(600)에서 감별된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480), 및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측정모듈(400)은,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대상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를 스캔하여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측정모듈(400)은 일반적인 병의원에서 사용되는 인체 스캔용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선부터 제5선까지의 각 체간 부위를 위에서 아래로, 혹은 좌우로 스캔해 가며, 한꺼번에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스캔 값(측정치)을 구할 수 있다. 앞서의 측정모듈(100)이 각 체간부위를 하나씩 측정해 나가야 하는 것과 달리 스캔측정모듈(400)은 여러 군데의 체간부위를 자동으로 스캔해 가며, 체질감별모듈(600)에서 대상자의 사상체질 판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체간 측정값을 측정하게 된다.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각 체간 부위로 나누기 위한 기준선 정보는 스캔측정모듈(400)에 함께 저장되도록 하거나 저장부(480)에 저장된 정보를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불러옴으로써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동모듈(700)은, 스캔측정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스캔측정모듈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제어에 따라 대상자에 대한 각 체간 부위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으면 스캔측정모듈(400)을 위에서 아래로, 혹은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이 필요한 체간 부위에 대한 체간 값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체질감별모듈(600)은,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모듈인데, 체질감별모듈(600)에서의 구체적인 체질판정 방법은 앞서 체질감별모듈(200)에서의 체질감별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질감별모듈(600)은, 사상체질 진단기 내부에 일체화되어 포함되거나, 사상체질 진단기의 외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체질감별모듈(600)에서와 같이 사상체질 분류를 위한 객관화된 구별기준을 이용함으로써 사상 진단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높여 사상체질에 기초한 진단 및 진단을 통한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잘못된 체질 판단으로 인한 오진 및 잘못된 처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모듈(350)은, 체질감별모듈(600)에서 판정된 결과를 표시한다. 따라서 대상자 혹은 대상자를 검진하는 의료진이 대상자에 대하여 측정된 각 체간의 측정치는 물론 각 측정치를 기준으로 판정된 사상체질의 측정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480)는,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저장된 후, 체질감별모듈(600)에서의 사상체질 측정에 이용되거나, 디스플레이모듈(350)로 제공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480)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480)에 저장된 측정값 및 체질감별모듈(600)에서 감별된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는 이후 통계 자료로 활용되거나, 각 체질에 대한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통신모듈(500)은,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체질감별모듈(600)이 도 8에서와 같이 사상체질 진단기의 내부에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인 측정값의 전송은 내부의 각 모듈 간에 측정된 각 체간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측정된 결과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체질감별모듈(600)이 도 4에서와 같이 사상체질 진단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캔측정모듈(400)에 의해 측정된 각 부위의 측정 기준점들에서의 체간 값들이 외부의 체질감별모듈(600)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이 경우에 통신모듈(50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체질감별모듈(600)로 측정된 체간 값들을 전송하게 된다.
이 밖에도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은 사상체질 진단기의 스캔측정모듈(400)이 인체를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를 체질감별모듈(600)로 전송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정하며 판정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모듈(350), 저장부(480) 혹은 통신모듈(5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스캔측정모듈(400)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캔측정모듈(400)은 대상자의 신체를 스캔하여 이미지화하는 스캔부(420), 스캔부(420)에서 이미지화된 대상자의 신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범위를 분류하는 자동체간분류부(440), 및 자동체간분류부(440)에서 분류된 결과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측정치산출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캔부(420)는, 대상자의 신체를 이동하며 스캔하여 이미지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캔부(420)는, 제1선부터 제5선까지의 각 체간 부위를 위에서 아래로, 혹은 좌우로 스캔하여 가며, 한꺼번에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스캔부(420)에 의해 구해지는 것은 인체를 스캔하여 얻어진 대상자의 신체 이미지이므로 자동체간 분류부(440)는 스캔부(420)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받아 체간 부위로 분류한다. 이때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각 체간 부위를 자동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이미지로부터 측정값을 구할 체간 부위를 분류해야 하는데, 이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자동체간분류부(440)에서 수행하게 된다. 자동체간분류부(440)에서의 체간 분류를 위해서 사용되는 5개의 측정기준선은 도 7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에서의 각 측정기준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에서 이용되는 체간 측정 기준선을 살펴보면 제1선의 측정은 좌우 양측의 액와횡문(腋窩橫紋)을 기시점으로 하고, 제2선은 좌우 양측의 유두를 경유하여 흉부 측면까지의 수평직선을 기준으로 하며, 제3선은 제7 및 제8 늑연골 접합부 융기 부위를 연결하여 흉부 측면까지의 수평직선을 기준으로 한다. 제4선은 배꼽을 경유하여 복부 측면까지의 수평직선 거리를 측정하며, 제5선은 양쪽 전상양골 바깥 측면부위를 연결한 수평직선을 측정한다.
자동체간분류부(440)는, 스캔부(420)에서 이미지화된 대상자의 신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로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각각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기준선 및 5개의 체간 측정 부위에 대하여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자동체간분류부(440)는 스캔부(420)에서 스캔된 인체 이미지 중 도 7에 도시된 각 체간 부위에 대한 기준선을 중심으로 측정해야 할 각 체간의 위치를 설정하고, 신체 이미지에서 기준되는 체간 부위를 분류함으로써 측정치산출부(460)에서 이미지에서의 측정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치산출부(460)는, 자동체간분류부(440)에서 분류된 결과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정 이미지로부터 실제 측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종래의 사진 혹은 이미지로부터 실측값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체질감별모듈(600)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질감별모듈(600)은,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비교부(620), 및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편차비교부(620)에서 산정된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판정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편차비교부(620)는,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측정모듈(40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편차를 산정하고,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한다. 스캔측정모듈(400)에서 5개의 체간측정기준선 중 제3선을 음양기준선으로 잡고, 제1선과 제2선은 양인을 판별하는 기준선으로 하고, 제4선과 제5선은 음인을 판별하는 기준선으로 한다. 따라서 5개의 체간측정기준선의 편차를 산정하여 분석함으로써 태소음양인의 체질을 진단할 수 있으며, 편차비교부(620)는 각 체간 부위들에 대한 측정값의 편차를 산정하여 체질판정부(640)로 제공하게 되고, 체질판정부(640)는 제공받은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편차,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을 판별하게 된다.
체질판정부(640)는,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편차비교부(620)에서 산정된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체질판정부(640)에서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방법은 앞서의 체질감별부(240)에서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대하여 도 7을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소음인의 체간 측정부위에 대한 특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소음인은 제5선이 제3선, 제4선보다 길다. 즉, 제3선, 제4선, 제5선 중에서 제5선이 제일 길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에 의해 소음인을 판별할 수 있으며, 또한 소음인은 제1선, 제2선은 흉부의 위축감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7b는 소양인의 특징을 나타내며, 제1선에서부터 제5선까지 체간 측정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역삼각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선의 흉곽선이 특히 발달하며, 제3선의 명치 밑 각도는 소음인보다 넓다. 제1선이 34㎝ 이상이며, 제3선이 제5선보다 2㎝ 이상 길다. 또, 제4선이 제일 길더라도 1㎝ 미만 차이는 운동부족 때문일 수 있 다. 도 7c는 태음인의 특징을 나타내며, 제4선이 가장 길며, 제1선에서 대흉금의 함몰감이 있다. 또한 제3선의 늑골궁 형태가 포물선을 나타내게 된다. 다른 체질들과는 달리 태음인 경우 3가지 형태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정태음인의 경우에는 제3선과 제5선이 동일하거나 제5선이 1~2㎝ 짧다. 열태음인의 경우에는 제4선이 제일 길고, 제3선보다 제5선이 2㎝ 이상 짧게 나타난다. 한태음인은 제4선이 제일 길고, 제3선보다 제5선이 2㎝이상 길다. 도 7d는 태양인의 특징을 나타낸다. 태양인의 경우, 제1선과 제5선의 차이가 10㎝ 이상이며, 여자는 7~8㎝이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제1선에서부터 제5선까지 현격하게 감소하는 역삼각형을 나타내며, 우람한 대흉근이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의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는 도 4에서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와 유사한 형태로서, 체질감별모듈(600)이 사상체질 진단기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함께 일체화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 밖의 구성 요소의 기능 및 효과는 도 4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의 부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10)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체질감별모듈(200)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20)의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스캔측정모듈(400)의 블록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상체질 진단기의 체질감별모듈(600)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에서의 각 측정기준선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기(30)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사상체질 진단기
100: 측정모듈
200: 체질감별모듈
220: 편차산정부
240: 체질감별부
300: 저장부
350: 디스플레이모듈
400: 스캔측정모듈
420: 스캔부
440: 자동체간분류부
460: 측정치산출부
500: 통신모듈
600: 체질감별모듈
700: 구동모듈
800: 레일부

Claims (10)

  1.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기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사상체질 감별을 위한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측정기준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좌우로 움직여 체간 측정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산정부; 및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편차산정부에서 산정된 편차 및 상기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4.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대상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를 스캔하여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좌우측 수평거리 측정값을 측정하는 스캔측정모듈;
    상기 스캔측정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모듈; 및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기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감별하는 체질감별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측정모듈은,
    상기 대상자의 신체를 스캔하여 이미지화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이미지화된 상기 대상자의 신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2 이상의 측정기준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의 범위를 분류하는 자동체간분류부; 및
    상기 자동체간분류부에서 분류된 결과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적어도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측정치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사상체질 진단기 내부에 일체화되어 포함되거나, 상기 사상체질 진단기의 외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감별모듈은,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하나의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다른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산정하고, 상기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산정된 편차 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는 편차비교부; 및
    상기 스캔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편차비교부에서 산정된 편차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체질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 또는 상기 스캔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각 체간 부위에 대한 측정값 및 상기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감별모듈에서 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진단기.
KR1020090069352A 2009-07-29 2009-07-29 사상체질 진단기 KR10101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52A KR101017726B1 (ko) 2009-07-29 2009-07-29 사상체질 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52A KR101017726B1 (ko) 2009-07-29 2009-07-29 사상체질 진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90A KR20110011890A (ko) 2011-02-09
KR101017726B1 true KR101017726B1 (ko) 2011-02-25

Family

ID=4377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352A KR101017726B1 (ko) 2009-07-29 2009-07-29 사상체질 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3922B2 (ja) * 2018-03-14 2020-02-26 株式会社Bhy 体質等の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
JP7266295B2 (ja) * 2019-09-12 2023-04-28 株式会社Bhy 体質等の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88B1 (ko) * 2008-02-15 2008-12-10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자동 포지셔닝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88B1 (ko) * 2008-02-15 2008-12-10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자동 포지셔닝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90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mdari et al. Defining functional shoulder range of moti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20150359520A1 (en) Ultrasound probe and ultrasound imaging system
Yanke et al. Sex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CAM deformities with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 quantification
US20160228008A1 (en) Image diagnosis device for photographing breast by using matching of tactile image and near-infrared image and method for aquiring breast tissue image
JP2001516604A (ja) 臨床組織検査の方法と装置
WO2009107500A1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1400520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mechanical imaging of prostate
EP3589190B1 (en) Multimodal medical imaging and analyzing system, method and server
KR20090101557A (ko)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CN112472111A (zh) 一种脊柱侧凸早期自检与康复云平台
EP3139339A1 (en) Health degree assessing device and health degree assessing system
CN106419927A (zh) 一种脊柱健康评估方法及装置
CN114159091B (zh) 一种基于可穿戴传感器阵列的心音传播关系检测系统
KR101017726B1 (ko) 사상체질 진단기
WO2020217462A1 (ja) 生活習慣評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8596877B (zh) 肋骨ct数据分析系统
RU2732958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татики позвоночника
Szepietowska et al. Full-field in vivo experimental study of the strains of a breathing human abdominal wall with intra-abdominal pressure variation
US10510145B2 (en) Medical image comparison method and system thereof
Lin et al. Automatic sublingual vein feature extraction system
CN111209801A (zh) 一种中医胖舌识别方法及装置
RU242208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морфологического типа человека
KR20200049683A (ko)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시스템
Liu et al. Research of Scoliosis Detection Method Based on Kinect
US118573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nd display of ultrasound imag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