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95B1 -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95B1
KR101017695B1 KR1020040045236A KR20040045236A KR101017695B1 KR 101017695 B1 KR101017695 B1 KR 101017695B1 KR 1020040045236 A KR1020040045236 A KR 1020040045236A KR 20040045236 A KR20040045236 A KR 20040045236A KR 101017695 B1 KR101017695 B1 KR 10101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key
dig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044A (ko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95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너로부터 동조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튜너의 주파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선국 방법에 있어서, a) 텔레비젼의 키버튼 또는 리모콘의 키버튼으로부터 채널설정을 위한 채널 자릿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 b) 채널변경을 위한 채널번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 채널 자릿수 정보에 해당하는 자릿수와 스위칭신호에 대한 카운트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c) 단계로 피드백하고, 동일할 경우 현재까지 입력된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도록 튜너의 동조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경 채널의 자릿수를 설정한 후, 채널번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현재 입력되는 채널번호의 갯수가 기 설정된 자릿수 설정정보의 자릿수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자릿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의 갯수가 입력될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채널번호로 직접적인 채널변경이 이루어져, 텔레비젼의 채널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텔레비젼, 디지털, 채널, 자릿수, 채널번호, 설정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METHOD FOR SELECTING CHANNEL OF DIGITAL TV}
도 1은 종래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이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키입력부 203 : 마이컴
205 : 튜너 207 :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209 : 에이디 컨버터 211 : 디지털 신호처리부
301 : 키신호 수신모듈 303 : 디코더
305 : 제어모듈 307 : 메모리
309 : 채널제어모듈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상기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채널선국이 시간지연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송이 10개 미만의 채널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던 것에 비하여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이나 디지털 털레비젼 방송과 같은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은 예상할 수 없이 많은 수의 채널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 수상기에서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에서 제공하는 채널들을 기억하여 직접 선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채널 업/다운 방식으로 채널을 선택하는 것 역시 채널수가 많음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이렉트키(Direct Key)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이렉트키 방식은 변경채널을 번호를 리모콘을 통해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 업/다운 방식의 채널변경 보다는 짧은 시간에 채널변경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이렉트키 방식의 채널변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b는 종래 사용되는 다이렉트키 방식의 채널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그래프는 100키 즉, 세자릿수 채널변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예로 한 자릿수 및 두 자릿수 채널변경을 설명한다. 도 1의 a는 사용자가 A번 채널을 선택하고 있으며, A번 채널에 해당하는 키입력이 '가'와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A번 키입력이 완료되면 '나'와 같이 카운트 클럭펄스가 발생되어 소정 시간동안 지연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다음번 키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후, 두 번째 키입력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첫 번째 입력된 A번 키입력에 대응하는 채널변경이 '다'와 같이 수행된다. 한편, 그래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채널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존재하고, A번 키입력의 종료와 더불어 카운트 클럭이 발생한 후, 사용자가 B채널 변경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한다. 그러면, '나'에서와 같이 B번 키입력의 종료와 더불어 시스템 클러의 카운트가 리셋되어 B번 키입력 이후에 기 설정된 지연시간을 갖은 후 '다'에서와 같이 채널변경이 이루어진다. 결국, 'BA'에 해당하는 채널이 변경되며, 이러한 채널변경을 위한 소정의 지연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물론, 예시한 그래프는 세 자릿수까지의 채널변경을 위한 제어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카운트 클럭의 발생과정에서 세번째 자릿수에 해당하는 채널번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세번째 자릿수의 키입력 이후에는 카운트 클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세번째 키입력의 종료와 더불어 채널변경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채널변경을 위한 키입력은 일 단위 채널과 십 단위 채널로의 변경시 지연시간을 갖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채널써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가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요구가 절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의 채널변경이 사용자의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과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장치는, 튜너로부터 동조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튜너의 주파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선국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전원키, 채널 업/다운키, 채널 선택키, 숫자키를 포함하여 자릿수 설정키가 구비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자릿수 설정키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변경채널의 자릿수를 설정하기 위한 채널 자릿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 선택키로부터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응답하여 다이렉트(Direct) 채널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채널제어를 위한 채널변경신호를 상기 튜너로 제공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컴은 리모콘 또는 텔레비젼의 키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변경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키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키신호 수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에 대한 스위칭신호 및 코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 또는 채널번호정보를 인지하며,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스위칭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따른 채널제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튜너의 동조주파수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은, 튜너로부터 동조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튜너의 주파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선국 방법에 있어서, a) 텔레비젼의 키버튼 또는 리모콘의 키버튼으로부터 채널설정을 위한 채널 자릿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 b) 채널변경을 위한 채널번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에 해당하는 자릿수와 상기 스위칭신호에 대한 카운트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c) 단계로 피드백하고, 동일할 경우 현재까지 입력된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튜너의 동조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스위칭신호는 소정의 지연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전원키, 채널 업/다운키, 채널 선택키, 숫자키를 포함하여 자릿수 설정키가 구비되는 키입력부(201), 상기 자릿수 설정키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변경채널의 자릿수를 설정하기 위한 채널 자릿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 선택키로부터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응답하여 다이렉트(Direct) 채널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컴(203), 상기 마이컴(203)으로부터 설정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동조시켜 안테나로 유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05), 상기 튜너(205)로부터 동조되는 방송 신호에서 음성 및 영상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부(207),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부(207)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출력하기 위한 에이디 컨버터(A/DC:209), 상기 에이디 컨버터(209)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CRT 또는 PDP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11)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201)는 텔레비젼의 키버튼을 포함하여 리모콘의 키버튼일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201)의 자릿수 설정키는 입력채널의 자릿수를 설정하기 위 한 커서이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자릿수 설정키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마지막 입력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일정시간 동안 동작시켜 자릿수를 설정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203)의 주요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또는 텔레비젼의 키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변경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키신호 수신모듈(301)과, 상기 키신호 수신모듈(301)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에 대한 스위칭 펄스신호 및 코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코더(303)와, 상기 디코더(303)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 또는 채널번호정보를 인지하며,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따른 채널제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305)과, 상기 제어모듈(305)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튜너(205)의 동조주파수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305)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드신호는 리모콘 또는 텔레비젼에 구비되는 키버튼의 고유코드를 나타내는 펄스신호이며,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는 하나의 키버튼 신호를 나타내는 펄스신호이다. 상기 디코더(303)는 키신호 수신모듈(301)로부터 수신되는 코드신호를 버퍼링하여 제어모듈(305)로 제공하며, 상기 코드신호의 시작펄스와 종료펄스 신호 사이를 하나의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로 상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S501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마이컴(203)은 텔레비젼의 키버튼 또는 리모콘의 키버튼으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는 상기 키신호 수신모듈(301)의 검출신호에 기반하는 것으로, 입력 키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트화된 펄스형태의 코드신호를 제공받는다. 상기 키신호 수신모듈(301)은 상기 코드신호를 디코더(303)로 제공하며, 디코더(303)는 코드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신호를 버퍼링하여 제어모듈(305)로 인가한다.
상기 스위칭신호는 코드신호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인지하여 시작펄스신호와 종료펄스신호로부터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스위칭되는 키버튼 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305)은 상기 코드신호를 입력받아 입력코드에 대한 해독을 수행한다. 이는 제어모듈(305)의 코드맵을 통해 이루어지며, S503 단계에서 현재 입력된 코드가 채널설정을 위한 자릿수 설정용 키입력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디코더(303)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신호에 대한 해독결과, 자릿수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일 경우 S50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모듈(305)은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릿수 예컨대, 일의 자릿수 또는 십의 자릿수 또는 백의 자릿수를 설정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307)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채널의 자릿수가 결정된 후 상기 제어모듈(305)은 키신호 수신모듈(301)로부터 채널변경을 위한 임의의 숫자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임의의 숫자는 채널번호정보를 나타내는 코드신호로서, S507 단계에서 상기 디코더(303)를 통해 제어모듈(305)로 제공된다. 제어모듈(305)은 현재 입력되는 코드신호를 해독하여 채널번호정보를 인지하며, S509 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305)은 디코더(303)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신호 즉, 채널번호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카운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리모콘을 통해 '2'번이 입력되면, 제어모듈(305)은 '2'에 대응하는 코드신호로부터 채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2'에 해당하는 코드신호가 첫 번째 스위칭신호임을 카운트한다. 상기 제어모듈(305)은 S511 단계에서, 디코더(303)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현재까지 검출된 스위칭신호에 대한 카운트정보를 내부 레지스터로 저장한다.
제어모듈(305)은 S513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307)에 기 저장된 채널 자릿수 정보를 패치하고 또한,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카운트 정보를 제공받아 스위칭펄스 갯수가 채널 자릿수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채널 자릿수에 해당하는 키버튼의 입력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채널 자릿수 정보와 스위칭신호의 갯수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S507 단계로 피드백하며, 채널 자릿수 정보와 스위칭신호의 갯수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는 S515 단계를 통해, 현재까지 입력된 채널번호 정보를 상기 채널제어모듈(309)로 전송한다. 이는 채널변경을 위한 채널번호로서, 상기 튜너(205)의 주파수변경을 유도한다.
예컨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자릿수 설정정보가 일의 자릿수로 저장되고 채널변경을 위한 채널번호정보가 'A'로서 입력될 경우, 이 때의 스위칭신호는 도면의 '가'에서와 같이 하나의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며, 제어모듈(305)은 채널의 자릿수와 스위칭펄스 신호의 갯수가 동일함을 인지하여 도면의 '다'에서와 같이 다이렉트로 채널변경을 수행한다. 반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자릿수 설정정보가 십의 자릿수로 저장되고 채널번호정보가 'A,B'일 경우, 사용자는 'A'에 해당하는 첫 번째 채널번호를 입력한다. 이 때, 제어모듈(305)은 현재 입력된 채널번호가 첫 번째임을 인지하여 기 설정된 채널 자릿수 정보와 일치하지 않음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모듈(305)은 도면의 '가'에서와 같이 첫 번째 스위칭신호의 종료를 인지한 후, 도면의 '나'에서와 같이 소정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는 다음 키신호를 인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정된 시간(도면에서의 점선)까지의 지연시간을 보유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연시간내에 두 번째 스위칭신호 즉, 'B'에 해당하는 채널번호가 입력되면, 지연시간에 해당하는 지연펄스 신호는 종료한다. 또한, 두 번째 스위칭펄스 신호의 종료시 기 설정된 채널 자릿수 정보의 자릿수와 현재까지 입력된 스위칭신호의 갯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305)는 채널 자릿수 정보의 자릿수와 스위칭신호의 갯수가 동일함으로 판단하여 두 번째 스위칭펄스 신호의 종료시 현재까지 입력된 채널번호정보를 상기 채널제어모듈(309)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면의 '다'에서와 같이 두 번째 스위칭신호의 종료는 직접적인 채널변경과 연동된다. 반면, 도 4의 c는 기 설정된 채널 자릿수 정보가 십의 자리 즉, 두 자리까지 입력하도록 설정된 후, 첫 번째 키입력에 해당하는 'A'의 스위칭신호만이 입력됨을 예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첫 번째 스위칭신호에 해당하는 'A'가 입력된 후, 상기 제어모듈(305)은 도면의 '나'와 같이 다음 키버튼 입력을 위한 지연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연펄스 신호의 종료시까지 두 번째 스위칭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도면의 '다'와 같이 상기 'A'에 해당하는 채널번호를 상기 채널제어모듈(309)로 제공하여 상기 튜너(205)의 주파수변경을 제어한다.
상기의 과정은 채널 자릿수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정보의 입력과 이에 응답하는 채널변경을 설명한 것으로,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가 메모리(307)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즉, S503 단계에서 자릿수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S517 단계로 진입하여 채널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채널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존재할 경우에는 S519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메모리(307)에 기 저장된 채널 자릿수 정보를 패치한 후, S507 단계로 피드백한다. 반면, S517 단계에서 채널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채널변경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S521 단계에서와 같이, 현재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텔레비젼 제어모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은 변경 채널의 자릿수를 설정한 후, 채널번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현재 입력되는 채널번호의 갯수가 기 설정된 자릿수 설정정보의 자릿수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자릿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의 갯수가 입력될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채널번호로 직접적인 채널변경이 이루어져, 텔레비젼의 채널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 의도에 따라 빠른 채널변경이 이루어져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튜너로부터 동조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튜너의 주파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선국 방법에 있어서,
    a) 텔레비젼의 키버튼 또는 리모콘의 키버튼으로부터 채널설정을 위한 채널 자릿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
    b) 채널변경을 위한 채널번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키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에 해당하는 자릿수와 상기 스위칭신호에 대한 카운트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c) 단계로 피드백하고, 동일할 경우 현재까지 입력된 채널번호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튜너의 동조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자릿수 정보는 일의 자릿수, 십의 자릿수 및 백의 자릿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스위칭신호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선국 방법.
KR1020040045236A 2004-06-18 2004-06-18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KR10101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36A KR101017695B1 (ko) 2004-06-18 2004-06-18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36A KR101017695B1 (ko) 2004-06-18 2004-06-18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044A KR20050120044A (ko) 2005-12-22
KR101017695B1 true KR101017695B1 (ko) 2011-02-25

Family

ID=3729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236A KR101017695B1 (ko) 2004-06-18 2004-06-18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03B1 (ko) * 2006-03-23 2008-01-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채널 선국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864A (ko) * 1992-04-20 1993-11-24 강진구 선국 채널의 단위 표시 방법
JPH0983302A (ja) * 1995-09-13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864A (ko) * 1992-04-20 1993-11-24 강진구 선국 채널의 단위 표시 방법
JPH0983302A (ja) * 1995-09-13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044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287B1 (ko)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선택이 이루어지는 디지털tv수상기및 그방법
US60846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hannel of a digital multichannel television
CN100486309C (zh) 从电视节目模式转换为交互式应用程序模式的装置与方法
JPS63296513A (ja) 受信装置
KR101017695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 방법
KR1008414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채널 선국 방법
JPS5818010B2 (ja) 選局装置
KR10119359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973869B1 (ko) 영상표시기기의 키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013905A (ko) 연속 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JPH0331006B2 (ko)
KR96000593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초기 채널선국장치
KR200238118Y1 (ko) Tv초기채널자동변환장치
JP2002033969A (ja) 放送チャンネル選択装置
JP2005079626A (ja) テレビ受像機
KR100327258B1 (ko)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814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채널 전환 방법
JP2002118794A (ja) 受信機
KR20040077135A (ko) 전자기기용 리모콘
KR100613605B1 (ko) 빠른 채널 전환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42338B1 (ko) 채널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960007546B1 (ko) 채널선택방법
KR101021724B1 (ko) 영상표시기기
KR100221728B1 (ko) 브이시알의 초간편 예약녹화 설정 방법
KR20090053157A (ko) 방송수신장치와 리모컨 및 그의 채널탐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