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167B1 - 가라오케 장치 - Google Patents

가라오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167B1
KR101017167B1 KR1020040022762A KR20040022762A KR101017167B1 KR 101017167 B1 KR101017167 B1 KR 101017167B1 KR 1020040022762 A KR1020040022762 A KR 1020040022762A KR 20040022762 A KR20040022762 A KR 20040022762A KR 101017167 B1 KR101017167 B1 KR 10101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le
karaoke
time code
w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374A (ko
Inventor
김현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1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71Wave, i.e. Waveform Audio File Format, coding, e.g. uncompressed PCM audio according to the RIFF bitstream format metho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68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input interface, i.e. the way data enter the buffer, e.g. by informing the sender that the buffer is bus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등의 정보를 연주하는데 있어서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각 가사에 대한 타임코드, 마커등을 부여하여 WMA 파일을 생성/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시스템은, 곡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1개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오디오, 비디오 및 가라오케 정보를 저장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곡에 대응한 데이터의 저장 동작이 하나 이상 수행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입력된 곡에 대응하는 무드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가라오케 처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 및, 상기 선택된 곡에 대응되는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각 가사에 대한 타임 코드를 부가한 WMA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부가한 타임 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WMA 파일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WMA 파일을 생성하여 필요시 손쉽게 재생할 수 있다.
미디, WMA

Description

가라오케 장치 {Karaoke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라오케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반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가라오케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라오케 시스템에서 WMA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가라오케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비디오등의 정보를 연주하는데 있어서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각 가사에 대한 타임코드, 마커등을 부여하여 WMA 파일을 생성/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래방 연주기(karaoke system)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으며, 실제로 노래방 연주기를 찾는 대중 분포도 젊은이를 중심으로 남녀노소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이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어디서나, 노래방은 쉽게 찾을 수 있고, 그 이용도 훨씬 자유롭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하 종래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라오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30)와, 오디오,비디오 및 가라오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120)과,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의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수단(160,170)에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오디오/비디오 처리장치(140,150) 및 상기 구성요소들과 접속되어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노래 반주 시스템은 반주음 정보, 자막 정보, 및 영상 정보의 3가지를 동기를 맞추면서 유기적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반주음 정보는 Midi(Music Instrument Device Interface) 규격의 데이터로 한곡에 평균 30k 내지 120k 바이트이 용량이다. 자막 정보는 노래 가사코드와 글자 폰트로 구성된다. 글자 폰트는 일반적으로 한국 한글자가 512 바이트 크기이다. 영상 정보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의 2가지가 있는데, TV방송수준의 화질을 가지는 정지 영상은 한 화면당 128k바이트의 용량이 필요하며, 동영상은 1.2Mbps의 데이터 용량을 필요로 한다.
노래 반주 시스템은 연주할 곡이 설정되면, 곡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서 Midi 데이터를 음원 장치에 전송한다. 음원 장치는 Midi 데이터에 따라서 반주 음악을 연주하고, 화면에 자막을 출력한다. 또한 음악 연주에 따라서 자막의 색상을 변경시키고, 새로운 자막을 출력한다. 이것은 노래 가사 코드에 따른 글자 폰트를 화면 상의 일정한 장소에 출력하고, 또한 음악 연주 속도에 맞추어서 출력된 글자 폰트의 색상을 바꾸는 과정에 의하여 진행된다. 또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화면에 출력시킨다.
음악 연주와 자막 진행을 정확하게 시간을 맞추어서, 즉 동기를 맞추어서 진행해야 한다. 배경 화면으로 정지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루한 느낌을 가지지 않도록 2-3초에 한 화면씩 출력시켜야 하며, 동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의 끊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2Mbps의 전송 속도를 유지한다.
한편, 대용량/고속의 광디스크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디스크를 이용하여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을 구현하는 추세에 있다. 디스크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크에 있어서, 통상 데이터량이 방대한 영상 정보는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으며, 비교적 데이터량이 적은 자막 및 반주음 정보는 ROM 등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디스크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연주될 데이터는 미디데이터 형태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미디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및 압축율이 월등한 WMA 파일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시스템은, 데이터 및 명령 을 적어도 하나이상 입력하는 입력부와, 1개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오디오, 비디오 및 가리오케정보를 저장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한 데이터의 저장동작이 하나이상 수행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드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가라오케 처리 수단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 및 상기 구성요소들과 접속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라오케에 있어서, 미디파일로 형성된 제 1 음악정보와 타임코드와 가사를 부가하여 제 2 음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음악정보의 각각의 가사에 타임코드를 부가하여 WMA 파일을 생성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반적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는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및 명령을 적어도 하나이상 입력하는 입력부(230)와, 1개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오디오, 비디오 및 가리오케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수단(220)과,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읽어(reading)와 저장하는 제 2 메모리수단(280)과, 상기 입력된 곡정보에 대응하는 무드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 수단(26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가라오케 처리 수단(250)과,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240) 및 상기 구성요소들과 접속되어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1개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제 1메모리 수단에는 각각의 곡정보와 무드정보가 대응되도록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개의 저장매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곡정보에 의거 출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구조로써,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가라오케 정보를 별도로 구성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MIDI file을 이용하여 타임코드 및 마커를 포함하는 WMA 파일을 생성하여 가라오케 장치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 WMA란 MS사에서 만든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windows media audio)
형식의 음악파일을 말하는 것으로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이 가능하며 기타 다른플레이어로도 재생이 가능하다.
WMA 장점은 기존의 mp3보다 훨씬 압축률이 높으며 음질도 mp3에 못지 않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보통 mp3의 압축률은 음원의 10분의 1정도인데, MS사의 WMA는 MP3보다 압축률이 2배정도 좋다.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 2의 제 1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Audio_TS, Video_TS 및 가리오케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된다.
상기 Video_TS의 비디오 정보에는 배경화면인 복수개의 무드 정보가 Mood type 1,2 및 3 등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무드정보를 나타내는 아이디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곡에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udio_TS 정보에는 AC-3, Dolby 등 데이터 없이 기본 구성 정보가 있다.
또한 가라오케정보의 구성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며 전체 곡정보를 나타내는 헤더정보와;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노래 제목 또는 가수별로 분류가능 또는 분류 되어 있는 정보 및 각 곡 또는 장르에 대한 무드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 및 출력(재생)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usic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헤더정보에는 제 1 메모리수단의 각 저장매체를 나타내는 디스크 아이디와 각 리스트 정보의 시작정보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리스트 정보에는 노래번호, 타이틀, 가수, 무드정보들이 분류등을 위해 저장되어 있다.
또한 Music정보에는 출력될 곡의 타이틀, MIDI상태 또는 WMA상태의 음악데이터, 속도, 타임코드, MARKER 및 곡정보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일구조중 Music정보에 있는 타임코드, 가사 및 MARKER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곡에 대해 색깔을 변화시키면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각 가사의 박자에 대응한 타임코드가 형성되어 그에 의해 색깔이 변화하며, 각 가사의 라인 변화등을 나타낼수 있도록 각 가사의 END LINE에 LINE FEED MARKER의 코드를 부여하여 동작한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MIDI file을 이용하여 WMA 파일을 생성하여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라오케 시스템에서 WMA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은 미디데이터의 NOTE, TIME CODE 및 LYRIC를 추출해내고, 이를 가라오케에 필요한 형태로 추출 생성된 타임코드를 바탕으로 해당시간에 존재하는 LYRIC과 동기화 시키어 재생한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Original Music정보와 Lyric에 의거 미디 파일을 형성한다.
상기 미디파일의 해당되는 가사 부분에 타임코드를 부여한다. 즉 시간별 음악에 대한 기본정보가 형성된다.
각 가사의 박자에 대응하는 시간코드를 부여하여 WMA파일을 생성하여 필요시 재생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비디오등의 정보를 연주하는데 있어서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각 가사에 대한 타임코드, 마커등을 부여하여 WMA 파일을 생성/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WMA 파일을 생성하여 필요시 손쉽게 재생할 수 있다.

Claims (2)

  1. 곡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1개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오디오, 비디오 및 가라오케 정보를 저장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곡에 대응한 데이터의 저장 동작이 하나 이상 수행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입력된 곡에 대응하는 무드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가라오케 처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 및,
    상기 선택된 곡에 대응되는 미디파일을 이용하여 각 가사에 대한 타임 코드를 부가한 WMA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부가한 타임 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WMA 파일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파일에 포함된 제 1 음악정보에 타임코드 및 가사를 부가하여 제 2 음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음악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가사에 타임코드를 부가하여 WMA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장치.
KR1020040022762A 2004-04-02 2004-04-02 가라오케 장치 KR10101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762A KR101017167B1 (ko) 2004-04-02 2004-04-02 가라오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762A KR101017167B1 (ko) 2004-04-02 2004-04-02 가라오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74A KR20050097374A (ko) 2005-10-07
KR101017167B1 true KR101017167B1 (ko) 2011-02-25

Family

ID=3727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762A KR101017167B1 (ko) 2004-04-02 2004-04-02 가라오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57B1 (ko) * 2005-12-28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정보와 색 정보를 상호 대응시키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560A (ja) * 1993-05-18 1994-11-25 Victor Co Of Japan Ltd Midi編集装置
JP2002108354A (ja) 2000-09-29 2002-04-10 Kazuhiro Sawada ディジタル圧縮音楽データ販売方法及び該販売方法を実施する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20031287A (ko) * 2000-10-18 2002-05-01 스즈이 다께오 데이터 압축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560A (ja) * 1993-05-18 1994-11-25 Victor Co Of Japan Ltd Midi編集装置
JP2002108354A (ja) 2000-09-29 2002-04-10 Kazuhiro Sawada ディジタル圧縮音楽データ販売方法及び該販売方法を実施する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20031287A (ko) * 2000-10-18 2002-05-01 스즈이 다께오 데이터 압축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74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1372B2 (ja) カラオケ演奏方法
US5454723A (en)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for medley playback
US6077084A (en) Karaoke system and contents storage medium therefor
JPH04199096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0135839B1 (ko) 영상노래반주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KR101017167B1 (ko) 가라오케 장치
KR100973868B1 (ko) 가라오케시스템에서 영상 및 가사 매칭 장치
JP3673385B2 (ja) 音楽演奏装置
KR20050097373A (ko) 복수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 저장매체 장치 및 사용방법
KR20050097372A (ko) 가라오케시스템에서 가사에 대응하는 색 변경방법
JP2991480B2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20000041478A (ko)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
KR0120588B1 (ko) 영상노래반주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182282Y1 (ko) 댄스연습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동영상-오디오물 디스크의제조장치
JP5342842B2 (ja) 合唱曲のカラオケ映像作品を利用者の歌唱パートに応じて変化させるカラオケ装置
KR20010054297A (ko) 디지탈동영상 맵핑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반복재생방법
KR20080015993A (ko) 가라오케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악기 연주 방법
JP4016447B2 (ja) 映像再生装置
KR20000041479A (ko)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
JP3042489B2 (ja) カラオケ装置
JP2972073B2 (ja) 映像再生装置
KR100973867B1 (ko) 가라오케장치 및 그의 데이터 출력 방법
JPH10282972A (ja) カラオケ装置
JP2002041070A (ja) イントロ当てゲーム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3899595B2 (ja) 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