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121B1 - 보드 커터 - Google Patents

보드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121B1
KR101017121B1 KR1020080088986A KR20080088986A KR101017121B1 KR 101017121 B1 KR101017121 B1 KR 101017121B1 KR 1020080088986 A KR1020080088986 A KR 1020080088986A KR 20080088986 A KR20080088986 A KR 20080088986A KR 101017121 B1 KR101017121 B1 KR 10101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guide rail
guide
support plate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180A (ko
Inventor
권오중
현은령
Original Assignee
권오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중 filed Critical 권오중
Priority to KR102008008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1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드(500) 위에 놓이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레일(200);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되 한쪽 측면에 칼(400)이 고정되는 작동뭉치(300);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뭉치(300)가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칼(400)이 상기 보드(500)를 잘라주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칼이 고정된 작동뭉치를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보드를 절단하여 줄 수 있게 되어 정해진 코스대로 안전하게 절단하여 줄 수 있게 되며, 칼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편리하게 조절한 다음 그 각도대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절단면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보드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보드, 폼보드, 절단, 각도조절.

Description

보드 커터{board cutter}
본 발명은 보드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폼보드(foam board)와 같은 판 형태의 보드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드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두껍게 판 형태로 형성한 보드(board)나 합성수지를 판상으로 발포 제조한 폼보드(foam board), 스티로폼 판(Styrofoam board) 등(이하 '보드'라 통칭함)은 광고ㆍ게시판, 학습용 문구, 공작(工作)용 자재, 건축용 내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광고 내용을 인쇄하거나 부착한 다음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공공장소, 교육기관의 로비, 또는 사무실 및 책상 앞 등에 붙여 게시판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칼을 이용하여 미리 설계된 패턴으로 잘라 풀로 이어붙임으로써 건물이나 특정 사물을 작게 만드는 공작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근래 들어 특정 재료를 이용하여 손으로 무엇인가를 만드는 것이 두뇌 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됨에 따라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에서 어린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공부를 하고 두뇌를 개발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 한 보드를 이용한 공작수업이 행해지고 있는바, 교육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드를 이용하여 공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로 보드를 절단하여야 하는 과정이 필수이다. 이때, 종래에는 통상 자를 대고 문구용 칼을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가위를 이용하여 특정 형태로 절단하고 있었다. 여기서, 가위의 사용은 반듯하게 절단하기가 어려워 자를 대고 문구용 칼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문구용 칼을 이용하여 절단할 때에는 한 손으로는 자를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칼을 잡고 줄을 긋듯이 죽 그어서 절단하고 있는 실정이었는데, 자를 견고하게 눌러주지 않을 경우 절단작업시 칼에 가해지는 힘에 밀려 원하는 코스대로 자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특히나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칼을 사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보드를 절단하여 이어붙이는 경우, 즉 절단하여 이어 붙임으로써 상자와 같은 3차원적인 물체를 만들 경우에는 이음 부분이 깔끔하게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절단면이 특정한 각도를 이루게 할 필요가 있는데, 앞서 설명한 종래 방식으로는 오로지 사람의 감각에 의지하여야 하는 것임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절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칼을 고정시켜 정해진 코스대로 이동시키면서 보드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코스대로 안전하게 절단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절단시 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절단면을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보드 커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칼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은 채 정해진 코스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칼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드를 절단하고, 더불어 칼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보드 절단시 절단면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보드 커터를 제안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이 고정된 작동뭉치를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보드를 절단하여 줄 수 있게 되어 정해진 코스대로 안전하게 절단하여 줄 수 있게 되며, 칼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편리하게 조절한 다음 그 각도대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절단면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보드 커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드 위에 놓이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한쪽 측면에 칼이 고정되는 작동뭉치;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뭉치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칼이 상기 보드를 잘라주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에 적용되는 작동뭉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에 적용되는 작동뭉치의 단면 도이다.
본 발명은 보드(500) 위에 놓이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레일(200)과,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되 한쪽 측면에 칼(400)이 고정되는 작동뭉치(3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지지판(100)은 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 길이와 폭을 가져 마치 자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고, 안내레일(200)은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200)의 일측 또는 양쪽 벽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200)의 각도조절은 지지판(100)의 상면과 안내레일(20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110)(210)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10)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호형의 가이드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레일(20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210)는 마찬가지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벽면에 상기 가이드홈(112)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10)(210)는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10) 사이에 안내레일(20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바, 안내레일(200)을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10) 앞쪽에서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12)가 끼워지도록 하여 수평을 이룰 때까지 계속 밀어넣게 되면 안내레일(200)이 지지판(100)에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두 가이드(110)(210)의 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계산된 위치에 각도조절턱(114)(214)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서로 엇갈리면서 형성되는바, 조립시 힘을 가하게 되면 한쪽의 각도조절턱(114)이 다른 쪽의 각도조절턱(214)을 타고 넘게 되는바,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더 이상 진행하거나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구성을 통해 상기 안내레일(200)을 기울이면서 각도를 조절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되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작동뭉치(300)는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바깥쪽 측면 벽에 칼(400)이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칼(400)이 고정되는 위치는 작동뭉치(300)의 양쪽 측면 중 지지판(100)의 바깥쪽에 위치한 면이며, 이때 칼(400)은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어 끝단이 지지판(100)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위치됨으로써 칼날이 지지판(100) 아래에 놓이게 되는 보드(500)에 닿을 수 있게 고정되는 것이다. 칼(400)을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수단을 채택할 수 있는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작동뭉치(300)는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310)와 상기 이동체(310)의 상부에서 조립되는 손잡이체(320) 및 상기 이동체(310)와 상기 손잡이체(32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330)로 구성된다. 이동체(310)와 손잡이체(320)는 통상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져 벌리거나 좁히는 등 어느 정도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이동체(310)는 내부가 안내레일(200)의 종단면 형상과 같은 형태를 이루어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동체(310)의 내부 벽면에는 안내돌기(340)를 형성하여 줄 수 있는데, 이 안내돌기(340)가 안내레일(200)의 바깥쪽 벽면에 형성된 안내홈(240)에 끼워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체(310)를 안내레일(200) 위에서 아래로 힘을 주어 밀게 되면 상기 안내홈(240)에 안내돌기(340)가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는바, 이동체(310)가 분리되지 않고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돌기(340)는 이동체(310)의 벽면에 형성된 끼움홈(312), 상기 끼움홈(312)에 끼워져 고정되는 봉 형태의 안내봉(3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홈(312)은 입구를 안내봉(342)의 지름보다 작게 하고 내부 공간은 안내봉(342)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안내봉(342)이 출몰되는 정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레일(200)에 형성된 안내홈(240)에 상기 안내봉(342)이 끼워지게 되면 안내봉(342)이 안내홈(240)의 벽면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게 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체(320)는 상기 이동체(31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 이동체(3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측면 벽에는 칼(400)이 고정된다. 칼(400)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바, 칼(400)이 고정되는 위치는 작동뭉치(300)의 양쪽 측면 중 지지판(100)의 바깥쪽에 위치한 면으로서, 이때 칼(400)의 끝단은 지지판(100)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칼날이 지지판(100) 아래에 놓이게 되는 보드(500)에 닿을 수 있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체(32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걸림 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310)의 외측 가장자리에도 걸림 턱을 형성하여서 서로 대응되게 구성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손잡이체(320)가 이동체(310)에서 상승과 하강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되어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다.
탄성체(330)는 상기 이동체(310)와 손잡이체(320) 사이에는 배치되어 손잡이체(320)가 탄성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v'자 형으로 꺾인 판 스프링인 것을 예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잡이체(320)가 탄성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체(330)의 작용에 의해 손잡이체(320)가 탄성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드(500)를 절단할 때 손잡이체(320)를 누르게 되면 칼(400)이 하강하여 보드(500)에 박히게 되는바, 보드(500) 바닥까지 깔끔하게 절단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칼(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안내레일(200)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조를 통해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레일의 조립 및 각도 조절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도이다.
조립할 때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을 바닥에 대고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110)의 입구 측에 안내레일(20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210)를 맞댄 상태에서 부드럽게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하면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10) 사이에 안내레일(20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210)가 끼워지면서 가이드홈(112)을 따라 가이드돌기(212)가 밀려 들어가며 조립되는 것이다.
도 6b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안내레일(200)을 최대한 밀어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한 채, 지지판(100)을 보드(500) 위에 올려 두고 작동뭉치(300)를 안내레일(200)을 따라 움직이면서 절단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칼(400)이 보드(500)를 90도의 절단 각을 가지게 하여 절단하게 된다.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뭉치(300)가 절단하는 코스를 정확히 잡아주게 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 하며 정확하게 절단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보드(500)의 절단 각을 조절할 때에는 도 6c와 같이 지지판(100)을 보드(500)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작동뭉치(300)를 기울이게 되면 지지판(10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10)로부터 안내레일(20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210)가 빠져나오면서 안내레일(200)이 기울어 지게 된다. 원하는 정도까지 계속 기울이다가 멈추게 되면 상기 가이드(110)(21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턱(114)(214)이 서로 대응되어 걸리게 되어 제 위치를 잡고 멈추어 있게 되는바, 이 상태에서 작동뭉치(300)를 이동시키게 되면 보드(500)의 절단면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에는 추가 구성을 마련하여 여러 환경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다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지지판(100) 저면 후방에는 높이조절다리(120)를 출몰식으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드(500)에서 상기 지지판(100)이 벗어난 상태에서 보드를 절단할 때 보드(500)의 두께 만큼 공간이 생겨 지지판(100)이 허공에 떠 있게 됨에 따라 이 부분을 지지하여 지지판(100)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에 적용되는 작동뭉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커터에 적용되는 작동뭉치의 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레일의 조립 및 각도 조절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다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판, 110, 210 : 가이드,
120 : 높이조절다리, 112 : 가이드홈,
114, 214 : 각도조절턱, 212 : 가이드돌기,
200 : 안내레일, 300 : 작동뭉치,
310 : 이동체, 312 : 끼움홈,
320 : 손잡이체, 330 : 탄성체,
340 : 안내돌기, 342 : 안내봉,
400 : 칼, 500 : 보드.

Claims (8)

  1. 보드(500) 위에 놓이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레일(200);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되 한쪽 측면에 칼(400)이 고정되는 작동뭉치(300);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뭉치(300)가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칼(400)이 상기 보드(500)를 잘라주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100) 상면에는 벽면에 호형의 가이드홈(112)를 가진 다수개의 가이드(110)가 돌출되고, 상기 안내레일(200) 내측에는 벽면에 상기 가이드홈(112)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212)을 가진 다수개의 가이드(2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12)가 끼워져 안내레일(200)이 지지판(100)에 조립되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이드(110)(210)의 벽면에는 각도조절턱(114)(214)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뭉치(300)는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310)와 상기 이동체(310)의 상부에서 조립되는 손잡이체(320) 및 상기 이동체(310)와 상기 손잡이체(32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330)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체(320)가 탄성체(3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30)는 'v'자 형으로 꺾인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200)의 내측 측면에는 안내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310) 내측 벽면에는 상기 안내홈(240)에 끼워져 이동체(310)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안내돌기(340)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340)는 상기 이동체(31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끼움홈(312), 상기 끼움홈(312)에 끼워져 고정된 봉 형태의 안내봉(342)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의 저면에는 높이조절다리(120)가 출몰되게 형성되어 보드(500)에서 상기 지지판(100)이 벗어난 상태에서 보드를 절단할 때 지지판(100)을 지지하여 줄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커터.
KR1020080088986A 2008-09-09 2008-09-09 보드 커터 KR10101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86A KR101017121B1 (ko) 2008-09-09 2008-09-09 보드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86A KR101017121B1 (ko) 2008-09-09 2008-09-09 보드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80A KR20100030180A (ko) 2010-03-18
KR101017121B1 true KR101017121B1 (ko) 2011-02-25

Family

ID=4218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86A KR101017121B1 (ko) 2008-09-09 2008-09-09 보드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508A (ko) 2017-01-19 2018-07-27 박찬 폼보드용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2824B (zh) * 2017-06-30 2019-04-19 新昌县城关宾立机械厂 板体切割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5789U (ko) * 1985-06-14 1986-12-25
KR100572474B1 (ko) * 2004-07-12 2006-04-18 주식회사 팬택 충격완화를 위한 스프링형 배터리 컨택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5789U (ko) * 1985-06-14 1986-12-25
KR100572474B1 (ko) * 2004-07-12 2006-04-18 주식회사 팬택 충격완화를 위한 스프링형 배터리 컨택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508A (ko) 2017-01-19 2018-07-27 박찬 폼보드용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80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459A (en) Paper trimmer
US5996237A (en) Edge cutter trim tool
US20110078908A1 (en) Fabric ruler with raised edge guide and rotary cutting tool with groove for engaging the edge guides
US20070173394A1 (en) Paper cutting device with a cutting blade unit and a folding line maker
KR101017121B1 (ko) 보드 커터
KR101925202B1 (ko) 폼보드용 커터
KR101457484B1 (ko) 탄성 칼날돌출식 안전커터
KR100715759B1 (ko) 가구형 종이절단기
JP3170469U (ja) 食パン用スライス装置
KR200328267Y1 (ko) 벽지를 일정하게 절단하는 도배용 칼 어셈블리
JP2017164444A (ja) 切断具付き定規
JPH0355841Y2 (ko)
KR200444343Y1 (ko) 칼 달린 자
EP1630117A2 (en) Device for severing one or a number of sheets of material at a time
US10478987B1 (en) Cutting module of cutting machine for window covering
JP6265488B2 (ja) 1穴パンチ具
KR101935127B1 (ko) 폼보드를 이용한 입체모형
KR102102598B1 (ko) 커터
KR20090059178A (ko) 바닥재 마감용 절단칼
JP3172246U (ja) カッター
US764848A (en) Apparatus for making shades.
KR200479776Y1 (ko) 컷팅가이드용 절개홈을 구비한 헤라
KR20180001796U (ko) 절단칼
JPH0225866Y2 (ko)
GB2429674A (en) Trimming paper using sliding c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