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033B1 -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033B1
KR101017033B1 KR1020090037214A KR20090037214A KR101017033B1 KR 101017033 B1 KR101017033 B1 KR 101017033B1 KR 1020090037214 A KR1020090037214 A KR 1020090037214A KR 20090037214 A KR20090037214 A KR 20090037214A KR 101017033 B1 KR101017033 B1 KR 10101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sink
wrap
gr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392A (ko
Inventor
최숙주
Original Assignee
최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숙주 filed Critical 최숙주
Priority to KR102009003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0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로, 연결트렌치, 트렌치에 의해 배관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청소, 소독 등 사후 관리가 용이하고, 연결트렌치를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싱크대와 바닥의 높이차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트렌치 끝단에 그리스트랩 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는 개폐부를 구성하여 그리스트랩으로부터 냄새 및 해충 등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 그리스트랩, 유로, 연결트렌치, 트렌치

Description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A Pipe Laying Between Sink And Grease Trap}
본 발명은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로, 연결트렌치, 트렌치에 의해 배관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청소, 소독 등 사후 관리가 용이하고, 연결트렌치를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싱크대와 바닥의 높이차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트렌치 끝단에 그리스트랩 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는 개폐부를 구성하여 그리스트랩으로부터 냄새 및 해충 등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아파트,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릇 등을 세척하거나 과일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일반적으로 그릇 등을 세척하도록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요입된 형상의 개수부가 구성되고, 상기 개수부에서 세척된 이물질이 혼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조로 상기 개수부와 연결되어 주방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트렌치로 이물질이 혼입된 물이 유동하도록 플라스틱 및 금속관 재질의 매립형 배수 관이 설치되며, 이렇게 매립형 배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물은 트렌치를 통해 그리스트랩으로 유동하도록 배수구조가 구성된다.
상기 그리스트랩은 동식물성 유지 등 이물질이 혼입된 물을 유입시켜 동식물성 유지 등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하수로 이러한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 개수부에서 트렌치로 매립형 배수관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에 개수부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경우 매립형 배수관이 막히는 문제가 있으며, 배수관의 청소, 소독 등 사후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및 금속관 재질의 매립형 배수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개수부와 트렌치 간의 높이 차가 일정치 않으므로 배수관 및 연결호스를 부득이 곡선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매립형 배수관이 곡선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경우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구조상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그리스트랩에서 처리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물의 양이 많아지거나 처리시간을 지체하는 경우 냄새 및 해충 등이 트렌치로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소, 소독 등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막힘을 방지할 수 있 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는 상면에 요입된 개수부가 형성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수부와 연결되는 연결트렌치와; 일단이 상기 연결트렌치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그리스트랩과 연결되고, 상기 그리스트랩과 연결되는 부위에 개폐부가 구성되는 트렌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개수부와 연결트렌치 간에는 상면이 개구된 유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에는 복수의 여과막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막은 상기 유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여과막이 상기 유로에 착, 탈이 되는 구조의 일 예로 상기 여과막은 유로의 내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끼움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막의 높이는 상기 유로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유로는 양 측면의 상단에 턱을 구성하여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유로덮개가 상기 턱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트렌치는 둘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일 유닛이 타 유닛 에 삽입되며, 유닛 간에는 높이조절수단이 구성되어 연결트렌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일 예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에 체결공이 구성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유닛에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구성하며, 상기 체결공과 높이조절공을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트렌치의 양단에는 플랜지가 구성되며 각각의 플랜지는 유로 및 트랜치와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결트렌치 자체를 착,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렌치는 양측 상단에 턱을 구성하며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턱에 안치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판의 양측면에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 되며 상기 하판의 유동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에는 그 하단에 무게추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에서 그리스트랩 간에 유로, 연결트렌치, 및 트렌치로 배수구조를 구성함에 의해 청소, 소독 등 사후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에 여과판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입자가 큰 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도록 함에 의해 연결트렌치 등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낮이가 조절되며, 착탈이 가능한 연결트렌치에 의해 싱크대와 바닥에 구성되는 트렌치 간에 높이에 따른 설치가 용이하고, 연결트렌치를 유닛으로 구성하여 청소, 소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끝단에 그리스트랩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개폐부를 구성하여 그리스트랩으로부터 냄새 및 해충 등이 트렌치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연결트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트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등이다.
본 발명의 배수구조(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요입된 개수부(11)가 형성되는 싱크대(10)와 그리스트랩(20) 간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표적인 구성요소로 상기 개수부(11)와 연결되는 연결트렌치(110), 상기 연결트렌치(110)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그리스트랩(20)과 연결되는 트렌치(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110)는 상기 개수부(11)와 상기 연결트렌치(120)간에 연결이 되어 개수부(11)로부터 물 등이 유동되어 연결트렌치(120)로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로(110)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형성으로 구성되어 개수부(11)로부터 유동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물 등의 흐름을 사용자가 볼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로(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개수부(11)의 하면에 연결되어 하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트렌치(120)와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된 물 등이 중력에 의해 상기 연결트렌치(120)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로(110)에는 복수의 여과막(111)이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여과막(111)은 유로(110)에서 이물질이 혼입된 물 등이 흐름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유동되는 물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을 사전에 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여과막(111)을 설치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할 연결트렌치(120)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에 의해 막힘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사전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막(111)은 상기 유로(11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일 예로 상기 여과막(111)은 유로(110)의 내주연 "ㄷ"자 형상의 끼움부(112)를 부착하여 상기 여과막(111)을 상기 끼움부(112)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청소 등의 필요시에 상기 끼움부(112)로부터 분리하여 여과막(111)만을 청소,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여과막(111)은 상기 유로(110)의 측면의 높이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여과막(111)에 의해 유동하는 물이 상기 유로(110)의 측면을 월류 할 수 있으므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은 상기 여과막(111)의 상단으로 월류하도록 하여 유로(111) 외부로 물이 월류됨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입자가 큰 이물질이 경우 대부분은 물의 비중보다 클 것이므로 유로(110)의 하방향으로 물에 혼입되어 유동할 것이므로 이러한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막(111)이 유로(110)의 측면 높이와 같게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로(110)는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측면의 상단에 턱(113)을 절곡하여 복수의 관통공(114-1)이 형성된 유로덮개(114)가 상기 턱(113)에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로(110)에 유로덮개(114)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소, 소독 등의 필요시만 유로덮개를 유로(110)에서 분리하여 청소, 소독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트렌치(120)는 내부와 양단이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된 물 등이 유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유로(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트렌치(130)와 연결되어 이물질이 혼입된 물 등이 상기 유로(110)와 상기 트렌치(130)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트렌치(120)는 바닥에 설치되는 트렌치(130)와 상기 트렌치(130) 상부에 구성되는 유로(110) 사이를 상, 하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트렌치(120)는 둘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일 유닛이 타 유닛에 삽입되며, 유닛 간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트렌치(120)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트렌치(120)를 구성하는 유닛 단위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그 일 예로 도면 상 상부유닛(121)과 하부유닛(122)으로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예에서는 상기 상부유닛(121)이 상기 하부유닛(122)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구성하여야 연결트렌치(120) 내부로 유동하는 물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는 높이조절수단의 일 예로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유닛(122)에 체결공(122-1)을 구성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유닛(121)에 복수의 높이조절공(121-1)을 구성하며, 상기 체결공(122-1)과 높이조절공(121-1)을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123)에 의해 연결트렌치(1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볼트(123)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머리부분에 수밀링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트렌치(120) 외부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연결트렌치(120)(상부유닛(121) 및 하부유닛(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3a 및 도 3b에서는 평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트렌치(120)의 양단 즉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유닛(121)의 상단 및 하부유닛(122)의 하단에는 플랜지(121-2, 122-2)가 구성되어 각각의 플랜지(121-2, 122-2)가 유로(120) 및 트랜치(130)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결트렌치 자체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청소, 소독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트렌치(130)는 도 1 및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트렌치(120)와 그리스트랩(20)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주방 등 바닥에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트렌치(1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4b는 도 4a에서 A부분에 대한 정면도로 양 측면 상단에 턱(132-1)을 구성하며 내부에 유동공간(131-2)이 형성되는 하판(131)과, 상기 턱(132-1)에 안치되며 복수의 관통공(132-1)이 형성되는 상판(132)으로 구성되어 유동공간(131-2)을 통해 이물질이 혼합된 물 등이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트렌치(130)가 주방의 바닥면과 연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바닥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 등이 상기 상판(132)의 관통공(132-1)을 통해 상기 유동공간(131-2)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연결트렌치(120)로부터 유동하는 물 등과 같이 그리스트랩(20)으로 유동케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트렌치(130)에는 개폐부(133)가 구성되는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B부분의 정면도로 상기 개폐부(133)는 상기 트렌치(130)의 끝단에 구성되는 것으로 그리스트랩(20)과 접하는 부분에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133)는 상기 하판(131)의 양측면의 상단으로 상기 턱(132-1)과 연하도록 바 형상의 고정프레임(133-1)과, 상기 고정프레임(133-1)에 힌지결합(133-2) 되는 개폐판(1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33-1)은 상기 하판(131)의 양측면에 용접 등 공지수단에 기해 부착이 된다.
상기 힌지결합(133-2)은 상기 개폐판(133-3)이 도 4a의 도면 상에서 그리스트랩(20)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트렌치(130) 방향으로는 개방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이물질 등이 혼입된 물 등이 유 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개폐판(133-3)이 상기 그리스트랩(20)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이물질 등이 혼입된 물 등이 그리스트랩(20)으로 유동하도록 하며, 이러한 유동이 없을 시는 개폐판(133-3)이 상기 트랜치(130)를 닫도록 하여 그리스트랩(20)으로부터의 냄새 및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판(133-3)은 바람직하게는 그 하단에 무게추(133-4)를 구성하여 이물질 등이 혼입된 물 등이 유동하는 힘에 의해 개방된 후 상기 무게추(133-4)에 기해 상기 개폐판(133-3)이 원상태(닫힌 상태)로 복원되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상기 개폐판(133-3)이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견고하게 트렌치(130) 끝단을 닫아 그리스트랩(20)으로부터 냄새 및 해충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연결트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에 있어 일 구성인 트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등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수구조 110 : 유로
120 : 연결트렌치 130 : 트렌치

Claims (10)

  1. 상면에 요입 된 개수부가 형성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수부와 연결되는 연결트렌치와;
    일단이 상기 연결트렌치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그리스트랩과 연결되고, 상기 그리스트랩과 연결되는 부위에 개폐부가 구성되는 트렌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부와 연결트렌치 간에는 상면이 개구된 유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복수의 여과막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은 유로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ㄷ"자 형상의 끼움부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의 높이는 상기 유로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양 측면의 상단에 턱을 구성하여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유로덮개가 상기 턱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트렌치는 둘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일 유닛이 타 유닛에 삽입되며, 유닛 간에는 높이조절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에 체결공이 구성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유닛에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구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높이조절공을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트렌치의 양단에는 플랜지가 구성되며 각각의 플랜지는 유로 및 트랜치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양측 상단에 턱을 구성하며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턱에 안치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판의 양측면에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 되며 상기 하판의 유동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의 배관구조.
KR1020090037214A 2009-04-28 2009-04-28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KR10101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14A KR101017033B1 (ko) 2009-04-28 2009-04-28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14A KR101017033B1 (ko) 2009-04-28 2009-04-28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92A KR20100118392A (ko) 2010-11-05
KR101017033B1 true KR101017033B1 (ko) 2011-02-23

Family

ID=4340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14A KR101017033B1 (ko) 2009-04-28 2009-04-28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0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19Y1 (ko) 2000-02-26 2000-08-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0091219A (ko) * 2000-03-14 2001-10-23 조영익 표본화된 얼굴 표정을 새로운 얼굴에 리타켓팅하는 방법
KR200266230Y1 (ko) 2001-12-14 2002-02-27 권우택 배수구
KR20020066230A (ko) * 2001-02-09 2002-08-14 주식회사 밉스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버 접속 아이디 판매를 통한 게임 컨텐츠유통방법
KR20040020647A (ko) * 2002-08-31 2004-03-09 김정만 자동차 에어클리너의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20647Y1 (ko)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853253B1 (ko) 2007-04-20 2008-08-20 (주)진성하이테크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19Y1 (ko) 2000-02-26 2000-08-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0091219A (ko) * 2000-03-14 2001-10-23 조영익 표본화된 얼굴 표정을 새로운 얼굴에 리타켓팅하는 방법
KR20020066230A (ko) * 2001-02-09 2002-08-14 주식회사 밉스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버 접속 아이디 판매를 통한 게임 컨텐츠유통방법
KR200266230Y1 (ko) 2001-12-14 2002-02-27 권우택 배수구
KR20040020647A (ko) * 2002-08-31 2004-03-09 김정만 자동차 에어클리너의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20647Y1 (ko)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853253B1 (ko) 2007-04-20 2008-08-20 (주)진성하이테크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92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US20080053881A1 (en) Drain trap with strainer and cup
KR20060118044A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JP3721469B2 (ja) 排水配管
KR101017033B1 (ko) 싱크대와 그리스트랩 간 배관구조
KR100698850B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20170002159A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20120140169A (ko)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388508Y1 (ko) 악취 차단 및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진 오수받이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JP6988038B2 (ja) 排水口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