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762B1 -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762B1
KR101016762B1 KR1020100093603A KR20100093603A KR101016762B1 KR 101016762 B1 KR101016762 B1 KR 101016762B1 KR 1020100093603 A KR1020100093603 A KR 1020100093603A KR 20100093603 A KR20100093603 A KR 20100093603A KR 101016762 B1 KR101016762 B1 KR 10101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sludge
cam ring
stirr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억
이승범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최기억
천순희
이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억, 천순희, 이윤석 filed Critical 최기억
Priority to KR102010009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는, 폐수와 응집제의 유입구를 가지는 응집탱크(100);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응집탱크(100)에 유입되는 폐수와 응집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40); 교반기(140)를 회전시키는 믹싱모터(130); 믹싱모터(130)의 회전운동을 교반기(140)에 전달하는 교반동력전달수단(240); 및 응집탱크(100) 내 여액의 배출통로를 이루도록 응집탱크(100)의 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여액배출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반기(140)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교반기(140)의 회전운동을 여액배출수단(300)으로 전달하는 개폐동력전달수단(3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집탱크에서 응집과 농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진행되는 농축 및 탈수과정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와 같은 농축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응집화를 도모할 때 사용되는 교반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서 추가로 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Apparatus for thickening and condesing sludge and for dehydrating using agitator}
본 발명은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집탱크에서 폐수 내의 슬러지를 응집시키면서 동시에 슬러지의 농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공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하수, 또는 폐수 등(이하, '폐수'라고 통칭함)의 경우, 슬러지 응집 농축장치를 사용하여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별도로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시켜 큰 덩어리로 고형화시킨 후 쓰레기 하치장에 적재시킴으로써 쓰레기의 양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응집 농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1)는 응집제(2)와 함께 응집탱크(10)로 유입된 후 교반기(40)에 의해 교반된다. 그러면 폐수(1) 내에 있던 미세한 부유물 형태의 슬러지가 응집제(2)에 의하여 응집되어 입자 형태의 플록(flock, 5)이 형성된다. 이렇게 슬러지의 응집이 이루어진 슬러지 응집 폐수(1a)는 농축기(20)에 이송되며 농축기(20)에서는 탈수되면서 플록(flock, 5)이 농축되어 농축 슬러지(6)가 생성되고 슬러지(6)를 제외한 여액(1b)은 농축기(20)에서 배출된다. 농축 슬러지(6)는 별도의 탈수기(30)로 이송되어 최종 탈수되어 큰 덩어리(7) 형태로 고형화된 후 쓰레기 하치장으로 이송되거나 재활용된다.
상술한 종래의 슬러지 응집 농축장치는 응집탱크(10)와 농축기(20)가 별도로 설치되고, 이들이 별개의 동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농축기(20)에 이송되는 슬러지 응집 폐수(1a)에는 다량의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농축기(20)에서의 농축 및 탈수기(30)에서의 탈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응집탱크에서 폐수 내의 슬러지를 응집시키면서 동시에 슬러지의 농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응집에 사용되는 교반기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슬러지의 농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을 사용하여 설치 및 유지비가 절감될 수 있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는,
폐수와 응집제의 유입구를 가지는 응집탱크;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응집탱크에 유입되는 폐수와 응집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믹싱모터;
상기 믹싱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교반기에 전달하는 교반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응집탱크내 여액의 배출통로를 이루도록 상기 응집탱크의 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여액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기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여액배출수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교반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여액배출수단으로 전달하는 개폐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필요한 회전속도로 변환시키는 변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여액배출수단은, 상기 응집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슬롯이 형성된 고정판; 및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판의 슬롯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복수개의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핑거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교반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종동 스프라켓축의 중심축과 어긋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종동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캠 운동을 하는 캠축; 상기 캠축에 겉돌도록 끼워지는 캠링; 및 상기 이동판과 상기 캠링을 연결하도록 상기 캠링 및 이동판에 링크 체결되는 이동판 연결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캠링은 한쪽이 돌출되는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판 연결팔은 상기 캠링의 돌출부위에 링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축에는 상기 캠링이 지지될 수 있도록 캠축 홀더링이 고정 결합되게 끼어지고, 상기 캠링은 상기 캠축 홀더링에 겉돌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링은 상기 캠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측 캠링과 하측 캠링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상측 캠링에는 이동판 상측 연결팔이 링크 체결되고, 상기 하측 캠링에는 이동판 하측 연결팔이 링크체결된다.
상기 이동판 상측 연결팔 및 이동판 하측 연결팔 각각은 두 개의 팔이 한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각 쌍의 두팔은 한쪽단은 상기 캠링에 링크 체결되고 나머지 한쪽단은 상기 이동판의 좌우 양측에 링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의 슬롯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은 상기 복수개의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핑거편을 가지며, 상기 핑거편들은 좌우 양측에 핑거편 고정볼트가 관통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경우에, 상기 이동판 상측 연결팔 및 이동판 하측 연결팔은 상기 핑거편 고정볼트에 링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액배출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액이 수납되도록 상기 응집탱크의 외측벽에 여액 수납통이 설치되고, 상기 여액 수납통의 하면에는 여액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여액배출수단을 통과한 여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상기 여액배출수단과 상기 여액 유출구 사이에 수위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집탱크에서 응집과 농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진행되는 농축 및 탈수과정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와 같은 농축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응집화를 도모할 때 사용되는 교반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서 추가로 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응집 농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참조부호 A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참조부호 B의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핑거편(301a, 302a)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는 응집탱크(100)의 벽에 여액배출수단(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액배출수단(300)에는 개폐가능한 미세한 크기의 슬롯(도 9의 301b, 후술함)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러한 슬롯이 여액의 배출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여액의 의미는 후술한다.
폐수(101)와 함께 응집제(102)를 응집탱크(100)에 투입하고 교반기(140)로 교반하면 폐수(101) 내의 슬러지가 응집되어 10um-2mm 크기의 입자 형태의 플록(5)이 형성되면서 슬러지 응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슬러지 응집이 이루어진 폐수를 이하에서는 '슬러지 응집 폐수(101a)'라 칭한다. 플록(5)의 크기는 슬러지의 종류, 교반조건, 응집제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수치는 미세한 부유물 형태의 슬러지가 응집되면 이보다 더 큰 덩어리 형태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상징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렇게 슬러지 응집이 일어나는 동안에 여액배출수단(300)의 슬롯을 개방하면 플록(5)은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플록(5)을 제외한 폐수(101b)만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 빠져나가 응집탱크(100)에서 슬러지의 응집과 농축이 일어난다. 이하에서는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서 빠져나가는 폐수(플록을 제외한)를 '여액(101b)'라 칭한다. 물론, 충분한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슬롯보다 작은 플록(5)은 원하지 않게 여액(101b)에 포함될 수 있다.
교반기(140)는 믹싱모터(130)에 의해 구동되며, 이를 위해 믹싱모터(130)와 교반기(140) 사이에는 교반동력전달수단(240)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여액배출수단(300)의 구동을 위하여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가 교반기(140)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교반기(140)의 회전운동을 여액배출수단(300)에 전달하는 개폐동력전달수단(34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참조부호 A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참조부호 B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고정판(301) 및 이동판(302)의 핑거편(301a, 302a)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폐수(101)는 응집제(102)와 함께 응집탱크(100)로 유입된 후 교반기(140)에 의해 교반된다. 그러면 폐수(101) 내에 있던 미세한 부유물 형태의 슬러지가 응집제(102)에 의해 응집된다. 이렇게 슬러지의 응집이 이루어진 슬러지 응집 폐수(101a)는 응집탱크(100)의 상측벽에 설치된 슬러지 응집 폐수 유출구(110)를 통해 다음 단계로 제공된다. 응집탱크(100)의 저면은 호퍼(hopper) 형상을 하며 상기 호퍼의 중앙부에는 배수구(111, drain)가 설치된다.
응집탱크(100)의 상측 외벽에는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액이 수납되도록 여액 수납통(200)이 설치된다. 여액배출수단(300)은 응집탱크(100)쪽에 위치하는 고정판(301)과 여액 수납통(200) 쪽에 위치하는 이동판(302)으로 구분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1)에는 응집탱크(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가로로 긴 슬롯(301b)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를 위해 고정판(301)은 판형상을 하는 복수개의 핑거편(301a)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고정판(301)의 슬롯(301b)은 세로로 긴 형태를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고정판(301)의 핑거편(301a)이 세로로 설치될 것이다. 이동판(302)은 고정판(301)의 슬롯(301b)에 합치되어 끼워지는 복수개의 핑거편(302a)을 갖는다. 따라서 이동판(302)의 이동에 의해서 슬롯(301b)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고정판(301)의 핑거편(301a)과 이동판(302)의 핑거편(302a)은 각각의 양측에 관통구멍(401a, 402a)이 형성되며, 관통구멍(401a, 402a)에는 핑거편 고정볼트(401, 402)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사 체결된다.
응집탱크(100) 내에는 믹싱모터(130)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기(140)가 설치된다. 응집탱크(100)와 여액 수납통(200)의 윗면에는 모터고정 기저판(121)이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며, 모터고정 기저판(121) 상에는 모터고정 기저판(121)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모터고정 상판(122)이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다. 믹싱모터(130)는 그 회전축이 모터고정 상판(122)을 통과하도록 모터고정 상판(122)에 거꾸로 결합된다.
믹싱모터(130)와 교반기(140) 사이에는 교반동력전달수단(240)이 설치되는데, 교반동력전달수단(240)은 믹싱모터(130)의 회전축을 교반기축(141)에 커플링시키는 커플러(133)를 포함한다. 교반기축(141)은 모터고정 기저판(121)을 통과하여 믹싱탱크(100) 내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교반기축(141)과 여액배출수단(300) 사이에는 개폐동력전달수단(240)으로서, 구동 스프라켓(151), 종동 스프라켓(251), 체인(154), 종동 스프라켓축(252), 캠축(253), 이동판 연결팔(310, 320)이 설치된다.
구동 스프랏켓(151)은 커플러(133)와 모터고정 기저판(121) 사이에 위치하는 교반기축(141)에 설치된다. 체인(154)을 통하여 구동 스프라켓(151)에 연결되는 종동 스프라켓(251)은 여액 수납통(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고정 기저판(121) 상에는 동력전달박스(150)가 설치되며, 구동 스프라켓(151), 체인(154), 및 종동 스프라켓(251)은 동력전달박스(150) 내에 설치된다.
종동 스프라켓축(252)은 모터고정 기저판(121)을 통과하여 여액 수납통(200)내에 수직하도록 설치되며, 종동 스프라켓축(252)의 중간부분에는 종동 스프라켓축(252)과 중심축이 어긋나도록 원기둥 형태의 캠축(253)이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스프라켓축(252)이 회전하면 캠축(243)이 캠운동을 하면서 회전한다. 이 때, 종동 스프라켓축(2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종동 스프라켓축(252)과 모터고정 기저판(121) 사이에는 베어링(252a)이 설치되며, 종동 스프라켓축(252)이 닿는 여액 수납통(200)의 밑바닥 부위에도 베어링(252a)이 설치된다.
캠축(253)에는 캠축(253)과 함께 회전하도록 갬축(25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캠축 홀더링(253a)이 캠축(253)에 고정되도록 끼워지며, 한쪽이 돌출된 캠링(253)은 캠축 홀더링(253a)에 겉돌도록 끼워진다.
이동판 상측 연결팔(310)은 두 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한쪽단은 이동판(302)의 상측 좌우 양쪽에 있는 핑거편 고정볼트(402)에 링크 체결되고, 나머지 한쪽단은 캠링(253)의 돌출부에 링크 체결된다.
이동판 하측 연결팔(320)도 두 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한쪽단은 이동판(302)의 하측 좌우 양쪽에 있는 핑거편 고정볼트(402)에 링크 체결되고, 나머지 한쪽단은 캠링(253)의 돌출부에 링크 체결된다.
이렇게 연결팔(310, 320)에 있어서, 두 개의 팔을 한쌍으로 하는 이유는 이동판(302)이 비틀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동 스트라켓축(252)이 회전하면 캠축(253)이 캠운동을 하면서 회전하는데, 이 때 캠링(253b)이 캠축 홀더링(253b)에 겉돌도록 끼워지기 때문에 캠링(253b)의 돌출부가 계속 이동판(302)쪽을 바라보면서 이동판(302)과 캠링(253b) 사이의 간격이 반복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이동판(302)의 고정판(301)에 대한 삽입 및 이탈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응집탱크(100)에서 슬러지의 응집을 위하여 교반이 진행되는 동안에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여액(101b)이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하여 여액 수납통(200)으로 배출되어 응집탱크(100) 내의 응집 슬러지가 농축된다.
여액 수납통(200)의 하면에는 여액 유출구(210)가 설치되며, 여액배출수단(300)과 여액 유출구(210) 사이에는 여액배출수단(300)측에서부터 수위조절밸브(211), 배플(212), 및 V-노치(V-notch, 213)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액배출수단(300)과 수위조절밸브(211) 사이에 위치하는 여액 유출통(200)의 저면에는 배수구(220, drain)가 설치된다.
수위조절밸브(211)는 여액배출수단(300)을 통과하여 여액배출수단(300)과 수위조절밸브(211) 사이에 존재하는 여액(101b)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 배출되는 여액(101b)의 양을 조절하는 일종이 댐퍼(damper) 역할을 하는 밸브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폐수(101)와 함께 응집제(102)를 응집탱크(100)에 투입하면서 믹싱모터(130)를 이용하여 교반기(140)를 회전시키면 폐수(101) 내의 미세한 부유물 형태의 슬러지가 응집제(102)에 의해 응집된다. 이렇게 슬러지의 응집이 이루어진 슬러지 응집 폐수(101a)는 응집탱크(100)의 상측벽에 형성된 슬러지 응집 폐수 유출구(110)를 통해 다음 단계로 제공되고, 그 과정에서 교반기축(141)의 회전에 연동되어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여액(101b)이 여액배출수단(300)을 통해 여액 수납통(200)으로 빠져나가 응집탱크(100) 내에서 슬러지의 농축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여액 수납통(200)을 통해서 빠져나가는 여액(101b)의 양은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속도 및 수위조절밸브(211)를 통한 여액(101b)의 수위조절을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여액배출수단(300)의 개폐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 스프라켓(151)과 종동 스트라켓(251) 사이에는 변속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액 수납통(200)으로 빠져나온 여액(101b)은 수위조절밸브(211), 배플(212), 및 V-노치(213)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여액 유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응집탱크(100)에서 폐수 내의 슬러지를 응집시키는데 사용되는 믹싱모터(130)의 동력을 이용하여 여액배출수단(300)을 개방시켜 슬러지를 제외한 여액(101b)을 응집탱크(10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응집탱크(100) 내에서 슬러지의 응집과 농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추후에 진행되는 농축기 및 탈수기에서의 농축 및 탈수가 효율적이고 빠르게 진행되고, 별도의 동력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종래의 것을 개량하기에도 용이하다. 상황에 따라서는 농축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여액(101b)의 배출량 제어를 통해 응집탱크(100) 내에 있는 슬러지 응집 폐수(101a)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응집제 및 폐수의 성격을 고려하여 여액(101b)의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농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폐수
1a, 101a: 슬러지 응집 폐수
1b, 101b: 여액
2: 응집제
5: 플록(flock)
6: 농축 슬러지
7: 농축 슬러지 덩어리
10, 100: 응집탱크
20: 농축기
30: 탈수기
40, 140: 교반기
110: 슬러지 응집 폐수 유출구
111, 220: 배수구
121: 모터고정 기저판
122: 모터고정 상판
130: 믹싱모터
133: 커플러
141: 교반기축
150: 동력전달박스
151: 구동 스프라켓
154: 체인
200: 여액 수납통
300: 여액배출수단
301: 고정판
301a, 302a: 핑거편
302: 이동판
401, 402: 핑거편 고정볼트
401a, 402a: 관통구멍
251: 종동 스프라켓
252: 종동 스프라켓축
252a: 베어링
253: 캠축
253a: 캠축 홀더링
253b: 캠링
210: 여액 유출구
211: 수위조절밸브
212: 배플
213: V-노치
310, 320: 이동판 연결팔

Claims (12)

  1. 폐수와 응집제의 유입구를 가지는 응집탱크;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응집탱크에 유입되는 폐수와 응집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믹싱모터;
    상기 믹싱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교반기에 전달하는 교반동력전달수단;
    상기 응집탱크내 여액의 배출통로를 이루도록 상기 응집탱크의 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여액배출수단;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여액배출수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교반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여액배출수단으로 전달하는 개폐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여액배출수단이,
    상기 응집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슬롯이 형성된 고정판; 및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슬롯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은 상기 복수개의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핑거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필요한 회전속도로 변환시키는 변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동력전달수단이,
    상기 교반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종동 스프라켓축의 중심축과 어긋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종동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캠 운동을 하는 캠축;
    상기 캠축에 겉돌도록 끼워지는 캠링; 및
    상기 이동판과 상기 캠링을 연결하도록 상기 캠링 및 이동판에 링크 체결되는 이동판 연결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은 한쪽이 돌출되는 형태를 하며, 상기 이동판 연결팔은 상기 캠링의 돌출부위에 링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에는 상기 캠링이 지지될 수 있도록 캠축 홀더링이 고정 결합되게 끼어지고, 상기 캠링은 상기 캠축 홀더링에 겉돌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은 상기 캠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측 캠링과 하측 캠링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측 캠링에는 이동판 상측 연결팔이 링크 체결되고, 상기 하측 캠링에는 이동판 하측 연결팔이 링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상측 연결팔 및 이동판 하측 연결팔 각각은 두 개의 팔이 한쌍을 이루며, 각 쌍의 두팔은 한쪽단은 상기 캠링에 링크 체결되고 나머지 한쪽단은 상기 이동판의 좌우 양측에 링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슬롯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은 상기 복수개의 슬롯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핑거편을 가지며, 상기 핑거편들은 좌우 양측에 핑거편 고정볼트가 관통되어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이동판 상측 연결팔 및 이동판 하측 연결팔은 상기 핑거편 고정볼트에 링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액배출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액이 수납되도록 상기 응집탱크의 외측벽에 여액 수납통이 설치되고, 상기 여액 수납통의 하면에는 여액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여액배출수단을 통과한 여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상기 여액배출수단과 상기 여액 유출구 사이에 수위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KR1020100093603A 2010-09-28 2010-09-28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KR10101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3A KR101016762B1 (ko) 2010-09-28 2010-09-28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3A KR101016762B1 (ko) 2010-09-28 2010-09-28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762B1 true KR101016762B1 (ko) 2011-02-25

Family

ID=4377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03A KR101016762B1 (ko) 2010-09-28 2010-09-28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37B1 (ko) 2009-12-18 2012-08-03 태령개발(주) 피막 슬러지 자동 제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635A (ja) * 1993-11-16 1995-05-30 Kajima Corp 固形有機物含有廃液の濃度調整機
JP4056131B2 (ja) * 1998-06-25 2008-03-05 名古屋市 凝集反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635A (ja) * 1993-11-16 1995-05-30 Kajima Corp 固形有機物含有廃液の濃度調整機
JP4056131B2 (ja) * 1998-06-25 2008-03-05 名古屋市 凝集反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37B1 (ko) 2009-12-18 2012-08-03 태령개발(주) 피막 슬러지 자동 제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639B1 (ko) 유동식 스크류 탈수장치
JP4444953B2 (ja) 多重円板型スラッジ処理装置
CN208151189U (zh) 一种滚筒离心式污泥脱水环保处理装置
JP2006522677A5 (ko)
CN103936204A (zh) 一种餐厨垃圾废水前处理系统
KR100740608B1 (ko) 응집,농축 및 원심탈수장치
CN109607722A (zh) 一种搅拌曝气式生活污水处理设备
KR20100113236A (ko) 응집을 이용한 폐수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1016762B1 (ko) 교반기에 의한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KR100752346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061959B1 (ko)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JP5611688B2 (ja) 遠心分離装置および汚泥処理方法
KR101936065B1 (ko)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
JP2010057997A (ja) 汚泥脱水装置及び汚泥脱水方法
CN203820573U (zh) 餐厨垃圾废水预处理系统
CN211056859U (zh) 一种施工废水处理系统
KR100887938B1 (ko) 슬러지 응집 겸 농축장치
CN210620578U (zh) 集成污水物化处理与污泥脱水的净化装置
JP2019501020A (ja) 改良された凝集剤によってスラッジを脱水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プラント
JPS61257300A (ja) 汚泥の脱水装置
JP2015058413A (ja) 有機性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化成肥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229545A (ja) 汚泥濃縮設備および汚泥濃縮方法
CN215712309U (zh) 一种脱硫废水处理组合装置
CN202044815U (zh) 盘旋絮凝预浓缩装置
CN210457744U (zh) 一种危废处理车间用雨水收集回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