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704B1 - 지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지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704B1
KR101016704B1 KR1020080065247A KR20080065247A KR101016704B1 KR 101016704 B1 KR101016704 B1 KR 101016704B1 KR 1020080065247 A KR1020080065247 A KR 1020080065247A KR 20080065247 A KR20080065247 A KR 20080065247A KR 101016704 B1 KR101016704 B1 KR 10101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or
support
pressing
pressing t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278A (ko
Inventor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대한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8006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7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개시된 지그 조립장치는, 베이스 브라켓; 베이스 브라켓에 결합되며, 대상물의 하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하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서로 위치가 상이한 복수 개의 하부체결홈들이 형성된 받침판; 받침판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상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상부체결홈들이 형성된 상부압착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그 조립장치는, 받침판의 하부체결홈 및 상부압착대의 상부체결홈에 각각 하부로케이터 및 상부로케이터가 위치 변경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변경되더라도 하부로케이터 및 상부로케이터의 결합위치 변경이나 교환만으로, 클램핑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그 조립장치{Jig apparatus}
본 발명은 지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핑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부합되는 지그로 용이하게 변경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 있어서 지그(jig)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러한 지그는 인너패널 또는 아우터패널 등의 부품이 차종에 따라 다른 형태로 되기 때문에 이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지그의 구조에서는, 기초 브라켓(10)에 저부 로케이터(11)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저부 로케이터(11)에 회동되게 클램프(12)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12)에 상부 로케이터(13)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저부 로케이터(11)와 상기 상부 로케이터(13) 사이에 부품이 위치한 상태로 클램핑 상태가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그는, 조립 차종이 변경될 때마다 지그를 폐기하여야 하므로, 치구 제작에 따른 비용 손실 발생으로 생산비가 증대되며, 지그 전체를 새로 설치함으로 인해 인력 및 시간 낭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클램핑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부합되는 지그로 용이하게 변경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결합되며, 대상물의 하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하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서로 위치가 상이한 복수 개의 하부체결홈들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상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상부체결홈들이 형성된 상부압착대를 포함하는 지그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에 볼트 결합되며, 열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체결공들이 마련된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연결체결공과 볼트 결합되도록 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높이조절공과, 볼트 결합되는 상기 연결체결공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압착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압착대를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상기 상부로케이터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클램핑시키는 스토퍼블럭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상기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상태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체결된 상기 상부압착대 일 단부를 하방으로 이동 가압되게 하는 가압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압착대에 설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상부압착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에 나사 결합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착대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시, 상기 가압핀이 회전되어 상기 상부압착대를 회동시키고, 상기 상부압착대의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핀이 상기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작동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단부가 상기 상부압착대 타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착대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시, 상기 고정실린더가 작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압착대의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실린더가 상기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에서는, 받침판의 하부체결홈 및 상부압착대의 상부체결홈에 각각 하부로케이터 및 상부로케이터가 위치 변경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변경되더라도 하부로케이터 및 상부로케이터의 결합위치 변경이나 교환만으로, 클램핑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 조립장치는, 베이스 브라켓(100), 받침판(200), 지지대(300), 상부압착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0)은 상기 받침판(200), 상기 지지대(300), 상부압착대(400)를 지지하는 브라켓이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0)의 하 단부는 정반(도면미도시)에 볼트 결합하며, 클램핑해야 할 부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0)은 정반에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조(jaw;도면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00)은 대상물의 하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하부로케이터(도면미도시)를 고정하는 판 부재이다.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0)의 일측부에 볼트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0)에 볼트 결합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상기 지지대(300)를 양측방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부 측면을 하단부 측면보다 돌출된 'T'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에는 서로 위치가 상이한 상태로 복수 개의 하부체결홈(210)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체결홈(210)들이 서로 위치가 상이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200) 상에 상기 하부로케이터가 대상물에 따라 위치 변경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게 하거나, 다른 크기나 형상을 가지는 상기 하부로케이터가 용이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지지대(300)를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2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받침판(200)의 측면부에 볼트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300)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연결체결공(221)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체결공(221)들은 열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30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상부압착대(40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받침판(200)의 측방에 한 쌍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연결체결공(221)에 볼트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310)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상기 높이조절공(310)들은 상기 지지대(300) 상에 열 방향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기 높이조절공(310)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높이조절공(310)과 볼트 결합되는 상기 연결체결공(22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대(3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30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면, 결과적으로 이후 설명될 상기 상부압착대(400) 상의 상부로케이터(도면미도시)의 상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바, 대상물에 따라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상부압착대(400)는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상부로케이터를 고정하는 길이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상부압착대(400)는 상기 지지대(30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압착대(400)에는 복수 개의 상부체결홈(410)들을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체결홈(410)들이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상부압착판(400) 상에 상기 상부로케이터를 대상물에 따라 위치 변경상태로 볼트 결합할 수 있게 하거나, 다른 크기나 형상을 가지는 상기 상부로케이터를 용이하게 볼트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압착대(400)는 상기 지지대(30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대상물에 따라 상기 상부체결홈(410)에 위치 변경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바, 상기 받침판(200)의 상기 하부로케이터와 대상물 변경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압착대(400)와 상기 지지대(300) 사이에는 스토퍼블럭(700)을 삽입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블럭(700)은 상기 상부압착대(400)와 상기 지지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300)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압착대(40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로케이터에 의한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그 조립장치에는, 상기 상부로케이터에 의한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결합된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대상물을 가압상태로 클램핑되게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압착대(400)에 설치되는 가압핀(6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핀(600)의 상 단부가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하 단부가 상기 상부압착대(400)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압착대(400)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핀(600)이 회전되면, 상기 가압핀(6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압착대(400)를 회동시키고,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상부로케이터가 결합된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대상물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대(300)에 설치되는 고정실린더(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실린더(500)의 작동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단부를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타 단부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압착대(400)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실린더(500)가 작동되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압착대(400)를 회동시키고, 상기 압착대(400)의 상부로케이터가 결합된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대상물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앞서 설명한 상기 가압핀(600) 및 상기 고정실린더(500)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대상물 고정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핑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맞도록 상기 받침판(200)에는 하부로케이터를 볼트 결합하고, 상기 상부압착대(400)에는 상부로케이터를 볼트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로케이터 및 상기 상부로케이터는 대상물에 따라 각각 상기 하부체결홈(210) 및 상기 상부체결홈(410) 상에 위치를 변경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렇게, 상기 하부로케이터 및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설치된 후에는, 상기 하부로케이터 및 상기 상부로케이터 사이에 대상물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로케이터 상에 대상물을 거치한다.
이후, 상기 상부압착대(400)를 회동시켜, 상기 상부로케이터를 대상물과 접촉되게 하여 대상물이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압착대(400)와 상기 지지대(300) 사이에 상기 스토퍼블럭(700)이 삽입 설치되면,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회동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상물을 안정적인 고정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가압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가압핀(600)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고정실린더(500)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결합된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가압상태로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는, 상기 받침판(200)의 하부체결 홈(210) 및 상기 상부압착대(400)의 상부체결홈(410)에 각각 상기 하부로케이터 및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위치 변경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를 형성하여, 대상물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하부로케이터 및 상기 상부로케이터의 결합위치 변경이나 교환만으로 클램핑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받침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베이스 브라켓 200: 받침판
210: 하부체결홈 220: 연결브라켓
300: 지지대 310: 높이조절공
400: 상부압착대 410: 상부체결홈
500: 가압실린더 600: 가압핀
700: 스토퍼블럭

Claims (6)

  1.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결합되며, 대상물의 하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하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서로 위치가 상이한 복수 개의 하부체결홈들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의 상부나 측부를 클램핑하는 상부로케이터의 체결위치를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상부체결홈들이 형성된 상부압착대; 및,
    상기 상부압착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압착대를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상기 상부로케이터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클램핑시키는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는 지그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 볼트 결합되며, 열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체결공들이 마련된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연결체결공과 볼트 결합되도록 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높이조절공과, 볼트 결합되는 상기 연결체결공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지그 조립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상기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상태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로케이터가 체결된 상기 상부압착대 일 단부를 하방으로 이동 가압되게 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지그 조립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압착대에 설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상부압착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에 나사 결합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착대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시, 상기 가압핀이 회전되어 상기 상부압착대를 회동시키고, 상기 상부압착대의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핀이 상기 대상물을 가압하는 지그 조립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작동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단부가 상기 상부압착대 타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착대 하방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시, 상기 고정실린더가 작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압착대의 일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실린더가 상기 대상물을 가압하는 지그 조립장치.
KR1020080065247A 2008-07-07 2008-07-07 지그 조립장치 KR10101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47A KR101016704B1 (ko) 2008-07-07 2008-07-07 지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47A KR101016704B1 (ko) 2008-07-07 2008-07-07 지그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78A KR20100005278A (ko) 2010-01-15
KR101016704B1 true KR101016704B1 (ko) 2011-02-25

Family

ID=4181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247A KR101016704B1 (ko) 2008-07-07 2008-07-07 지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39B1 (ko) * 2017-03-20 2018-06-14 (주)거성테크 와이어 쏘용 클램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07B1 (ko) * 1995-12-14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패널 용접용 지그
KR100764755B1 (ko) * 2006-10-09 2007-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봄베 조립용 지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07B1 (ko) * 1995-12-14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패널 용접용 지그
KR100764755B1 (ko) * 2006-10-09 2007-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봄베 조립용 지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78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704B1 (ko) 지그 조립장치
CN203444337U (zh) 汽车内饰件实验角度调节装置
CN103612061A (zh) 汽车座椅调节器底壳中轴焊接用固定夹具
TWI452298B (zh) 擴充卡測試夾具
CN113013710B (zh) 一种电路组件模块座分离装置
KR101208915B1 (ko) 차체 부품 검사용 지그유닛
CN112688134A (zh) 插座固定装置及方法
KR101675753B1 (ko) 가변형 공작물 고정장치
CN210173031U (zh) 一种汽车连杆加工用夹具
US20070007702A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ing workpieces
CN219444021U (zh) 下支板铆焊装置
CN220753730U (zh) 一种天线可调节安装支架
CN220348323U (zh) 一种多功能翻转式检具钳
KR20010004823A (ko) 차체패널의 가공 작업시 차체패널의 고정을 위한 지그 클램프장치
CN115290938B (zh) 一种集成电路用的自动化连接装置
CN213105639U (zh) 一种后桥壳总成攻丝夹具
CN219379534U (zh) 汽车座椅支撑钢丝总成焊接夹具
CN103381533B (zh) 重型梯卸载轨的定位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220356670U (zh) 一种座椅本体解锁系统标定工装
KR20080097377A (ko) 자동차 시트 프레임의 제조장치
CN220524002U (zh) 一种吊扇灯支架
CN210172891U (zh) 列车横梁焊接夹具
CN219521042U (zh) 汽车座椅通风支架总成焊接夹具
KR102352200B1 (ko) 선체블록 취부용 단차 조정장치
CN216759752U (zh) 一种车把把套自动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