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54B1 -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054B1
KR101016054B1 KR1020100112290A KR20100112290A KR101016054B1 KR 101016054 B1 KR101016054 B1 KR 101016054B1 KR 1020100112290 A KR1020100112290 A KR 1020100112290A KR 20100112290 A KR20100112290 A KR 20100112290A KR 101016054 B1 KR101016054 B1 KR 10101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cable
inertial measurement
panel
measur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1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 주변에서 굴착작업이 진행될 경우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 광케이블이 훼손될 수 있는 상황을 즉각적으로 경고하여 광케이블이 손상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10)를 둘러싸되 그 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브라켓부(100)와; 하부가 브라켓부(100)에 고정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부(200)와; 지중관체(10) 및 브라켓부(100)간의 공간 내 배치되어 광케이블의 이동상태 및 충격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성측정부(300)와;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에 따라 이를 표시하거나 경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감시부(400)와;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시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PROTECTION SYSTEM OF UNDERGROUND OPTICAL CABL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광케이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 주변에서 굴착작업이 진행될 경우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 광케이블이 훼손될 수 있는 상황을 즉각적으로 경고하여 광케이블이 손상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이라 함은 코어(Core)·클래드(Clad)·재킷(Jacket) 등으로 이루어진 광섬유를 통해 신호를 부호로 만든 광선을 내부반사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케이블로써, 다른 유선 전송매체에 비하여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 전송률이 뛰어나며, 이밖에도 크기와 무게가 적어 지지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빛의 형태로 전송하므로 충격성 잡음, 누화(漏話) 등의 외부적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최근에 들어 근거리 및 광역 통신망, 장거리 통신, 군사용, 가입자 회선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은 대부분 지중에 매설되는 관체 내 배치된 상태에서 포설되는데, 그 광케이블이 매설된 주변에서 지층 변화가 발생하거나 굴착작업이 행해질 경우 지층면간의 단절, 포크레인과의 접촉, 굴착시 광케이블 관로를 감싸는 수목 뿌리의 이동 등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 있음에 따라 이에 의해 광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케이블망의 불량으로 인한 통신품질 저하와 이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이유로 이와 같은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여 광케이블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광케이블이 훼손될 수 있는 상황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경고하여 광케이블이 손상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의 상하로 배치되고 그 지중관체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주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곡면패널과 상기 제1 및 제2 곡면패널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볼트 및 너트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곡면패널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단턱홀이 형성된 브라켓부와; 상기 제1 곡면패널의 단턱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중앙부가 천공된 받침패널과, 상기 받침패널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고 단턱홀에 관통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내부가 천공된 원통체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와; 이동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 센서와, 회전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센서와,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지중관체 및 제1 곡면패널간의 공간 내 배치되는 관성측정부와; 상기 관성측정부의 측정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과, 상기 관성측정부의 측정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경우 시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와, 상기 관성측정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창 및 경보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성측정부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가이드부 내측공간을 거쳐 지상으로 인출되는 배선과 접속되는 상태감시부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지를 구비하여 상기 관성측정부 및 상태감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관성측정부와는 가이드부 내측공간으로 배치되는 전선을 통해 접속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는 관성측정부 및 상태감시부를 통해 광케이블에 가해지는 이동방향, 충격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경고함으로써 광케이블이 훼손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브라켓부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광케이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중 관성측정부, 상태감시부 및 전원공급부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중 관성측정부, 상태감시부 및 전원공급부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10)를 둘러싸되 그 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브라켓부(100)와, 하부가 브라켓부(100)에 고정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부(200)와, 지중관체(10) 및 브라켓부(100)간의 공간 내 배치되어 광케이블의 이동상태 및 충격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성측정부(300)와,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에 따라 이를 표시하거나 경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감시부(400)와,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시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부(10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10)의 상하로 배치되고 그 지중관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주면에 스페이서(111)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과, 그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볼트(1) 및 너트(2) 결합을 위한 관통공(131, 141)이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패널(130, 140)로 이루어지며,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가이드부(200)의 설치를 위한 제1 곡면패널(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단턱홀(1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브라켓부(100)의 구조에 따르면, 지중관체(10)와 그 브라켓부(100)간에 관성측정부(30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스페이서(111)에 의해 마련되는 한편, 브라켓부(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고무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의 스페이서(111)가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광케이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제1 곡면패널(110)의 단턱홀(112)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중앙부가 천공된 받침패널(210)과, 받침패널(210)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고 단턱홀(112)에 관통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내부가 천공된 원통체(220)로 이루어져, 단턱홀(112)을 따라 받침패널(210)이 슬라이딩될 수 있어 가이드부(200) 전체가 단턱홀(112)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브라켓부(100) 상측으로 조형물, 조경물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회피한 위치로 가이드부(200)가 브라켓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립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관성측정부(300)는 이동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 센서(310)와, 회전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센서(320)와,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 센서(330)를 구비하며, 지중관체(10) 및 제1 곡면패널(110)간의 공간 내 배치되는데, 이는 가속도계 센서(310), 자이로계 센서(320) 및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 센서(320)를 3축으로 구성하여 하나로 통합한 유닛으로, 이에 의해 광케이블의 뒤틀림 방향 및 각도와 같은 미세한 움직임에서부터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 정도, 충격에 의한 이동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감시부(400)는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410)과,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경우 시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420)와,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창(410) 및 경보기(42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30)를 구비하여 가이드부(200) 상부에 고정되며, 관성측정부(300)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가이드부(200) 내측공간을 거쳐 지상으로 인출되는 배선과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창(410)은 관성측정부(300)의 신호에 기초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상에 광케이블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방위계(Heading indicator) 형태로 나타내거나, 충격량을 수치로 나타내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한편, 컨트롤러(430)는 관성측정부(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창(410)에 그 신호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미리 정해진 이동거리 및 충격량 신호의 범위를 초과하여 광케이블이 이동되었거나 충격을 받았다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램프 및 스피커와 같은 경보기(420)를 작동시켜 현장에서 광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음을 경고하게 되며, 광케이블이 훼손되기 이전의 이동상태 및 충격량을 컨트롤러(430)가 감지하여 경보기(420)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지부(400)를 연결하는 배선이 가이드부(200) 내측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가급적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그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0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솔라셀(510)과, 솔라셀(510)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지(520)를 구비하여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시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이드부(200) 상부에 위치되며, 관성측정부(300)와는 가이드부(200) 내측공간으로 배치되는 전선을 통해 접속되는 구조에 의해, 별도의 전원공급원 없이도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시부(4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과 지중관체(10)간의 공간에 단턱홀(112)을 통해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전하여, 광케이블 및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충격 완화기능을 더욱 보강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강화하여 동절기의 온도저하에 따른 통신속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가이드부(200)를 직립시키는데도 일조하게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00)의 원통체(220) 상부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갖고 상하측에 고정볼트(611)가 체결되는 나선홀(612)이 구비되어 그 원통체(220)를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한 몸통부(610)와, 몸통부(610)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태감시부(400) 및 전원공급부(500)가 배치되고 배선 및 전선 인출공(621)이 구비된 안착패널(620)로 이루어진 안착부(600)를 설치함으로써, 지상에 배치되는 상태감시부(400) 및 전원공급부(500)를 가이드부(200)상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안착부(6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위치조정과 가이드부(200)의 수평방향에 따른 위치조정을 통해 솔라셀(510)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미관상 최적의 상태로 주변 환경에 부합하도록 그 상태감시부(400) 및 전원공급부(500)를 배치할 수 있다.

Claims (3)

  1. 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체(10)의 상하로 배치되고 그 지중관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주면에 스페이서(111)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과 상기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볼트(1) 및 너트(2) 결합을 위한 관통공(131, 141)이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패널(130, 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곡면패널(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단턱홀(112)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브라켓부(100)와;
    상기 제1 곡면패널(110)의 단턱홀(112)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중앙부가 천공된 받침패널(210)과, 상기 받침패널(210)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고 단턱홀(112)에 관통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내부가 천공된 원통체(220)로 이루어진 가이드부(200)와;
    이동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 센서(310)와, 회전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센서(320)와,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 센서(330)를 구비하며, 상기 지중관체(10) 및 제1 곡면패널(110)간의 공간 내 배치되는 관성측정부(300)와;
    상기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410)과, 상기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경우 시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420)와, 상기 관성측정부(300)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창(410) 및 경보기(42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30)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20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성측정부(300)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가이드부(200) 내측공간을 거쳐 지상으로 인출되는 배선과 접속되는 상태감시부(400)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솔라셀(510)과, 상기 솔라셀(510)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지(520)를 구비하여 상기 관성측정부(300) 및 상태감시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이드부(200)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관성측정부(300)와는 가이드부(200) 내측공간으로 배치되는 전선을 통해 접속되는 전원공급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곡면패널(110, 120)과 지중관체(10)간의 공간에는 단턱홀(112)을 통해 발포성 폴리우레탄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의 원통체(220) 상부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갖고 상하측에 고정볼트(611)가 체결되는 나선홀(612)이 구비되어 그 원통체(220)를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한 몸통부(610)와, 상기 몸통부(610)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태감시부(400) 및 전원공급부(500)가 배치되고 배선 및 전선 인출공(621)이 구비된 안착패널(620)로 이루어진 안착부(6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KR1020100112290A 2010-11-11 2010-11-11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KR10101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90A KR101016054B1 (ko) 2010-11-11 2010-11-11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90A KR101016054B1 (ko) 2010-11-11 2010-11-11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054B1 true KR101016054B1 (ko) 2011-02-23

Family

ID=4377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90A KR101016054B1 (ko) 2010-11-11 2010-11-11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2356110B1 (ko) 2021-06-03 2022-02-09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통신용 광케이블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20B1 (ko) 2006-09-04 2006-11-24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바닥매설용 고압전선 케이블보호관 구조
KR100907724B1 (ko) 2009-04-01 2009-07-17 강대준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20090093478A (ko) * 2008-02-29 2009-09-02 일진파워텍(주) 지중전력케이블의 이동변위 감지·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2945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20B1 (ko) 2006-09-04 2006-11-24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바닥매설용 고압전선 케이블보호관 구조
KR20090093478A (ko) * 2008-02-29 2009-09-02 일진파워텍(주) 지중전력케이블의 이동변위 감지·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2945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907724B1 (ko) 2009-04-01 2009-07-17 강대준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2356110B1 (ko) 2021-06-03 2022-02-09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통신용 광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4543A1 (en) System for dynamically monitoring roadway roof separation based on fibre grating and pre-warning method
CN110006383B (zh) 一种适用于滑坡深部大位移的监测装置
CN202325687U (zh) 基于光纤传感的矿井安全监测、预警及定位装置
EP3830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CN106323223B (zh) 一种高速公路路堑边坡变形监测及预警系统
CN102418557A (zh) 煤矿井下采空区全光纤温度监测系统
KR100712475B1 (ko) 절토사면 붕괴감시장치
KR101016054B1 (ko)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 장치
KR100955600B1 (ko) 현장주변 또는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한 지하수위 자동계측 시스템
CN202417600U (zh) 煤矿井下采空区全光纤温度监测系统
CN211373495U (zh) 一种长输管道地质灾害多参数监测装置
CN216848937U (zh) 一种灾害监测预警装置
KR101365258B1 (ko) 전기시설물의 충격 감지장치
CN116429060A (zh) 一种道路声屏障结构安全预警的监控系统
CN102514594A (zh) 基于光纤的高速铁路公跨铁异物侵限监测系统
CN214993060U (zh) 一种用于道路桥梁的安全状态勘测装置
CN206312338U (zh) 输电杆塔边坡和地基监测预警装置
CN115817748A (zh) 一种船舶避碰风险识别监测装置
CN206095277U (zh) 水下超短基线定位系统船舷固定装置
CN210721740U (zh) 一种基于电缆标示桩的线路防外破智能预警装置
CN208781385U (zh) 自然灾害监控装置
CN205333117U (zh) 一种深基坑支护报警系统
CN210514626U (zh) 一种用于地质灾害监测的激光测距装置
CN106153016A (zh) 潮间带多点位近底边界层水沙过程同步观测方法
CN110630331A (zh) 一种煤矿支护形变预警装置及其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