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732B1 -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 Google Patents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732B1
KR101015732B1 KR1020090003679A KR20090003679A KR101015732B1 KR 101015732 B1 KR101015732 B1 KR 101015732B1 KR 1020090003679 A KR1020090003679 A KR 1020090003679A KR 20090003679 A KR20090003679 A KR 20090003679A KR 101015732 B1 KR101015732 B1 KR 10101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eye
eye drop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278A (ko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성 filed Critical 이준성
Priority to KR102009000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7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약 투여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와, 안약 투여를 위한 투여구가 구비되어 있되, 본체결합부의 일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형상의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고, 힌지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과 연통되는 힌지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뚜껑; 및 중심부에 투여구를 막는 마개가 돌출 형성된 판형상으로 일측 단부에는 지지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는 투약 지지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약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안약의 변질 및 투여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약 지지 마개가 하안검에 지지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안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투여구를 결막에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투여구 끝이 각막에 직접 닿아 발생되는 상처와 통증 및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안약, 안약 투여기, 마개, 지지대, 투약 지지 마개

Description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Eyewater Case equipped with Supporting Stopple for Giving Medication}
본 발명은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안약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안약의 변질 및 투여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약 지지 마개가 하안검에 지지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안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투여구를 결막에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투여구 끝이 각막에 직접 닿아 발생되는 상처와 통증 및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적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안약의 사용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인체에 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
안과적 외상이나 감염, 녹내장, 백내장 및 기타 망막 질환의 경우 주로 노인들에게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보호자없이 혼자서 안약을 정확하게 투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확한 안약의 사용 및 관리법은 먼저, 안약병의 투여구 끝을 청결히 유지하도록 항상 뚜껑을 잘 닫아 놓아야 하며, 안약을 투여할 때는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킨 후 결막 구석에 한 두방울만 떨어뜨려야 하며, 이 때 투여구의 끝이 안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뚜껑을 닫아 놓지 않는 경우에는 안약이 변질되거나 투여구 끝이 오염되기 쉽고, 안약의 투여시 투여구 끝이 각막에 닿아 상처를 내어 통증 및 감염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녹내장 안약의 경우 피부에 닿으면 여러 부작용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정확히 안구에 투여되지 않을 경우에 효과는 전혀 없고 눈꺼풀 피부에만 닿아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안약의 사용 환자가 갈수록 고령화되고 있는데, 이는 녹내장, 백내장, 망막 질환 등이 노인성 질환이며 면역력이 떨어지고 신체적 기능이 쇠퇴한 노인에게서 외상 및 감염 질환 또한 많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안약 투여기는 넓은 케이스 윗쪽에 투여구가 길쭉하게 나와 있고 분리된 뚜껑을 잃어버릴 확률이 높아서, 뚜껑의 분실시 안약이 변질되거나 병끝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여구가 결막에 정확히 조준이 되었나 확인하기 어렵고 케이스를 손으로 공중에 들고 있기 때문에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림으로 인해 결막에 안약이 정확히 떨어지지 못하여 안구 주변에 떨어져서 안약의 낭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같은 동작을 수회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하였다.
더욱이 어린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안약을 넣을 때 한쪽 손으로 눈을 벌리고 다른 한쪽 손으로 안약을 넣든가 또는 눈을 뜬 상태에서 약물방울을 떨어뜨리는 과정이 어렵고 불편하였으며, 특히 투여구가 각막에 직접 접촉되어 각막이 상처를 입어 통증 및 실명을 유발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약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안약의 변질 및 투여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약 지지 마개가 하안검에 지지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안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투여구를 결막에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투여구 끝이 각막에 직접 닿아 발생되는 상처와 통증 및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약 투여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와, 안약 투여를 위한 투여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본체결합부의 일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형상의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과 연통되는 힌지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뚜껑; 및 중심부에 상기 투여구를 막는 마개가 돌출 형성된 판형상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는 투약 지지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약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안약의 변질 및 투여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약 지지 마개가 하안검에 지지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안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투여구를 결막에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투여구 끝이 각막에 직접 닿아 발생되는 상처와 통증 및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약 투여기에서 투약 지지 마개가 개방된 상태일 때 그 결합 부위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2b는 안약을 투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 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100)는 안약 투여기 본체(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129)와, 안약 투여를 위한 투여구(12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본체결합부(129)의 일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형상의 힌지부(127)가 형성된 지지대(1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127)에는 상측이 개방된 슬릿(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150)과 연통되는 힌지홈(220)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뚜껑(120); 및 중심부에 상기 투여구(123)를 막는 마개가 돌출 형성된 판형상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25)의 힌지홈(220)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축(137)이 형성되어 있는 투약 지지 마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약 투여기(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데, 보관시에는 투약 지지 마개(130)가 안약 투여구(123)를 막는 역할을 하고, 투약시에는 투약 지지 마개(130)를 이용해 하안검(220)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230)이 노출되게 지지하면서 안약 투여구(123)와 안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안약을 투여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투여기 본체(110)는 내부에 안약을 보관 저장하는 용기로서, 하측은 직립가능한 평면부위를 구비하고 있고 상측은 본체뚜껑(120)과 결합되어 있다.
본체뚜껑(120)은 안약 투여기 본체(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129)와 안약 투여를 위한 투여구(123)가 구비되어 있는데, 투여구(123)는 본체결합 부(129)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지며 형성되어 있어서 안약을 안구에 한방울씩 투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보관시에는 투여구(123)가 마개와 결합되어 안약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결합부(129)의 일측에는 투여구(123)와 이격되며 상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25)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대(125)의 상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형상의 힌지부(127)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27)에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힌지홈(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할 투약 지지 마개(130)와 힌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체뚜껑(120)의 상측에는 판형상의 투약 지지 마개(130)가 본체뚜껑(120)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투약 지지 마개(130)의 중심부에는 투여구(123)를 막는 마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지지대(125)의 힌지홈(220)에 결합되는 힌지축(1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투약 지지 마개(130)가 힌지축(137)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투여구(123)를 개폐하게 되고, 특히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2b와 같이 투약 지지 마개(130)가 안약 투여자의 하안검(220)에 지지되어 하안검(220)을 당기면서 외반시키고 결막(230)을 노출시켜 안약 투여구(123)와 안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약 지지 마개(13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홈(220)은 힌지부(127)의 양 단부 내측의 상측과 하측에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제1힌지홈(220a)과 제2힌지홈(220b)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직경이 축소되는 단차부(220c)로 연결하는 아령 형상으로 형성하며, 투약 지지 마개(130)의 힌지축(137)은 직경이 단차부(220c)의 폭보다 약간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힌지축(137)이 단차부(220c)를 탄성변형하며 슬라이딩하여 제1힌지홈(220a)과 제2힌지홈(220b)에 안착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힌지부(127)의 상측은 투약 지지 마개(130)의 두께와 유사한 폭으로 개방된 슬릿(150)을 형성하고 이 슬릿(150)과 연통되도록 제1힌지홈(220a)과 단차부(220c) 및 제2힌지홈(220b)을 형성하여, 투약 지지 마개(130)가 슬릿(150)에 삽입되도록 지지대(125)와 투약 지지 마개(130)를 결합하게 된다.
이 때 투약 지지 마개(13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투약 지지 마개(130)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누르는 힘에 의해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137)이 탄성변형되면서 제1힌지홈(220a)에서 단차부(220c)를 슬라이딩하며 통과되어 제2힌지홈(220b)에 안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투약 지지 마개(130)와 힌지부(127)는 압입에 의해 조립되거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힌지부(127)의 일부를 분리하여 형성한 후, 투약 지지 마개(130)를 조립하여 분리된 힌지부(127)의 일부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투약 지지 마개(130)의 힌지축(137)이 제1힌지홈(220a)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약 지지 마개(130)의 힌지축(137)이 제1힌지홈(220a)에서 힌지축(137)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투여구(123)를 막을 수 있도록 투약 지지 마개(130)에 힌지부(127)가 관통되는 요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투약 지지 마개(130)의 힌지축(137)이 제1힌지홈(220a)에서 힌지축(137)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지지대(125)의 힌지부(127)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투여구(123)를 막게 되며,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투약 지지 마개(130)를 눌러 힌지축(137)이 제2힌지홈(220b)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투약 지지 마개(130)가 슬릿(150)에 삽입되어 힌지부(127)에 지지되므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또한, 투약 지지 마개(130)는 지지대(125)에 결합되는 일측 단부의 반대쪽 타측 단부에 안약 투여자의 하안검(220)에 밀착되어 하안검(220)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2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밀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부(135)는 러버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하안검(220)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안약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안약의 변질 및 투여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을 안구에 투여할 때 투약 지지 마개가 하안검에 지지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안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투여구를 결막에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투여구 끝이 각막에 직접 닿아 발생되는 상처와 통증 및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약 투여기에서 투약 지지 마개가 개방된 상태일 때 그 결합 부위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b는 안약을 투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약 투여기 110: 본체
120: 본체뚜껑 123: 투여구
125: 지지대 127: 힌지부
130: 투약 지지 마개 135: 밀착부
137: 힌지축 150: 슬릿
220: 힌지홈 220a: 제1힌지홈
220b: 제2힌지홈 220c: 단차부

Claims (5)

  1. 안약 투여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와, 안약 투여를 위한 투여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본체결합부의 일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형상의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과 연통되는 힌지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뚜껑; 및
    중심부에 상기 투여구를 막는 마개가 돌출 형성된 판형상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는 투약 지지 마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은 상기 힌지부의 양 단부 내측의 상측과 하측에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제1힌지홈과 제2힌지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직경이 축소되는 단차부로 연결하는 아령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투약 지지 마개의 힌지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이 상기 단차부를 탄성변형하며 슬라이딩하여 제1힌지홈과 제2힌지홈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지지 마개는 상기 힌지축이 제1힌지홈에 안착되어 회전하며 투여구를 막을 수 있도록 투약 지지 마개에 힌지부가 관통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지지 마개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일측 단부의 반대쪽 타측 단부에 안약 투여자의 하안검에 밀착되어 하안검을 당기면서 외반시켜 결막이 노출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러버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KR1020090003679A 2009-01-16 2009-01-16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KR10101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79A KR101015732B1 (ko) 2009-01-16 2009-01-16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79A KR101015732B1 (ko) 2009-01-16 2009-01-16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78A KR20100084278A (ko) 2010-07-26
KR101015732B1 true KR101015732B1 (ko) 2011-02-22

Family

ID=4264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79A KR101015732B1 (ko) 2009-01-16 2009-01-16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8013A (zh) * 2016-06-15 2016-08-24 西南石油大学 一种防手颤的可视滴眼液瓶
KR20200144729A (ko) 2019-06-19 2020-12-30 김가을 투약지지 막대를 구비한 약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0623A1 (en) * 2011-09-21 2013-03-28 ARGY, Philip Natha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38U (ja) * 1991-08-21 1993-03-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目薬容器
US5902292A (en) 1995-06-07 1999-05-11 Feldman; Edward L. Eye drop applicator
US6090086A (en) 1998-11-03 2000-07-18 Bolden; Amos Eye drop applicator with adjustable guide arm and improved closure system
US7325708B2 (en) 2005-01-14 2008-02-05 Rory Barber Ocular positioning droplet dispensing device with a recessed dispensing orif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38U (ja) * 1991-08-21 1993-03-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目薬容器
US5902292A (en) 1995-06-07 1999-05-11 Feldman; Edward L. Eye drop applicator
US6090086A (en) 1998-11-03 2000-07-18 Bolden; Amos Eye drop applicator with adjustable guide arm and improved closure system
US7325708B2 (en) 2005-01-14 2008-02-05 Rory Barber Ocular positioning droplet dispensing device with a recessed dispensing orif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8013A (zh) * 2016-06-15 2016-08-24 西南石油大学 一种防手颤的可视滴眼液瓶
KR20200144729A (ko) 2019-06-19 2020-12-30 김가을 투약지지 막대를 구비한 약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78A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9005A (en) Eye drop dispensing system
US9907694B2 (en) Intraocular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20190358083A1 (en) Apparatus for eye treatment
CN110072495B (zh) 用于滴注滴眼剂的滴眼剂引导装置
EP2522318A1 (en) Guide device for intraocular injection
KR101015732B1 (ko) 투약 지지 마개를 구비한 안약 투여기
US20140350492A1 (en) Eyedrop dispenser
CN204219147U (zh) 滴眼药水辅助器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KR101789278B1 (ko) 안약 투약기
JP7179465B2 (ja) 点眼液容器
KR20160001595U (ko) 점안액 투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액 투약 장치
KR102393985B1 (ko) 점안액 투약 보조 장치
JP6662942B2 (ja) 点眼補助具
KR101434023B1 (ko) 안약전달용 스틱
WO20171920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го ввод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глаза
KR101518823B1 (ko) 안약용기
KR102450346B1 (ko) 안약 용기
US20230338188A1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dosing device
KR101696703B1 (ko) 안약 투여 장치
EP3927295A1 (en) Device for facilitated administration of eye drops
CN113081471A (zh) 一种定位精准的眼科用滴液装置
JP2001129054A (ja) 点眼用アダプタを備えた目薬容器
KR20180036438A (ko) 점안제 투약기
EP3813743A1 (en) A dispenser for a single drop administration of liquid for a pharmaceutical application, being registered as medicine or being a medical product, especially of an ophthalmic liquid, a dispensing set,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