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087B1 -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087B1
KR101015087B1 KR1020057013797A KR20057013797A KR101015087B1 KR 101015087 B1 KR101015087 B1 KR 101015087B1 KR 1020057013797 A KR1020057013797 A KR 1020057013797A KR 20057013797 A KR20057013797 A KR 20057013797A KR 101015087 B1 KR101015087 B1 KR 10101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shell
connector
plug
hou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955A (ko
Inventor
에르미니오 모렛티
다니엘 마틴-코커
알버트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아 레이몽 에 씨에 에스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레이몽 에 씨에 에스쎄에스 filed Critical 아 레이몽 에 씨에 에스쎄에스
Publication of KR2005009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which is split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 parts which are held in place by means of a resilient 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라인용, 특히 자동차 구조물의 브레이크 라인용으로 사용되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분리 가능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중심 수납 공간(2)을 구비한 수납 하우징(1) 및 환형 유지 리브가 달린 관형 삽입 부재(3)를 포함한다. 수납 하우징(1)은 그 삽입 측에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고 스프링 링(14)에 의해 내부 공간 쪽으로 편향되는 다수의 잠금 요소(5)를 매설하기 위한 확대된 수납 공간(2')을 구비한다. 잠금 요소(5)는 삽입 부재(3)의 삽입 후에 형상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는 안쪽으로 향한 로킹 웨지(18)를 구비한 2개의 반쪽 셸(8)로 이뤄진다. 각각의 반쪽 셸(8)은 일 단부 면에 내벽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된 센터링 핀을 구비하고, 그 센터링 핀은 양 반쪽 셸(8)의 조립 시에 타 단부 면에 있는 대응 리세스 내에 맞물린다. 확대된 수납 공간(2')을 둘러싸는 벽(15)은 반쪽 셸(8)의 매설 후에 특히 유지 리브가 방해를 받음이 없이 수납 공간(2')을 통해 들어가고 반쪽 셸(8)이 삽입 부재의 삽입 시에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비켜날 수 있을 정도로 그 전방 에지(16)에서 수납 하우징(1)의 축선에 대해 경사져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플러그인 커넥터, 수납 하우징, 삽입 부재, 잠금 요소, 반쪽 셸, 로킹 웨지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REMOVABLE PLUG-IN CONNECTION FOR HIGH-PRESSURE LINES}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분리 가능한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컨대 DE 37 34 948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고압 라인, 특히 자동차 구조물의 브레이크 라인에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환형 유지 리브가 달린 관형 삽입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중심 수납 공간 및 둘레에 맞물리는 별개의 스프링 강제 유지 링에 의해 내부 공간 쪽으로 편향되는 안쪽으로 향한 로킹 웨지가 달린 잠금 요소를 매설하기 위한 확대된 삽입 측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 수납 하우징으로 이뤄진다. 로킹 웨지는 삽입 부재의 삽입 시에 그 삽입 부재의 유지 리브에 의해 스프링력을 거슬러 벌어지도록 가압되었다가 삽입 부재가 완전히 삽입되고 난 후에 다시 모여지고, 그에 따라 내부 공간 쪽으로 향한 로킹 면이 유지 리브의 배면 상에서 형상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 리브의 배후에 맞물리게 된다.
그러한 공지의 플러그인 커넥터에서는 탄성 밴드에 의해 서로 결속된 3개의 로킹 웨지가 별개의 플랜지 슬리브의 확대된 수납 공간에 매설되는데, 그 플랜지 슬리브는 로킹 웨지의 매설 후에 수납 하우징과 결합된다. 그러한 결합을 이루기 위해, 플랜지 슬리브는 하우징에 있는 수나사 상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를 그 슬리브 단부에 구비한다. 혹은, 슬리브는 수납 하우징과의 조립 시에 대응 홈에 맞물리는,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 내부 링을 구비한다. 그와 같이 수납 하우징이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조립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그에 따라 대량 생산 제품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아울러, 탄성 밴드를 둘러매기 위해 3개의 로킹 웨지를 한데 모으고 그러한 헐거운 결합물을 플랜지 슬리브의 확대된 수납 공간에 매설하는데는 전문적인 숙련도가 필요하기도 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하우징의 제조가 단순화되고, 그럼으로써 로킹 웨지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전술된 플러그인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 요소가 스프링 링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2개의 반쪽 셸로 형성되고, 각각의 반쪽 셸이 일 단부 면에 내벽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된 센터링 핀을 구비하고, 그 센터링 핀이 양 반쪽 셸의 조립 시에 타 단부 면에 있는 대응 리세스 내에 맞물리며, 확대된 수납 공간을 둘러싸는 벽이 반쪽 셸의 매설 후에 유지 리브가 방해를 받음이 없이 수납 공간을 통해 들어가고 반쪽 셸이 삽입 부재의 삽입 시에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비켜날 수 있을 정도로 그 전방 에지에서 하우징 축선에 대해 경사져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그러한 구조적 조치에 의해, 양 반쪽 셸이 센터링 핀에 의거하여 단부 면으로써 간단하게 서로 모여지고, 스프링 링을 둘레에 걸침으로써 서로 결속되며, 그리하여 일체로서 1 부품 하우징의 확대된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간단하게 구현되게 된다. 그 후에는 단지 하우징 벽의 전방 에지가 적절한 압착 장치에 의해 경사지게 압축되기만 하면 되고, 그럼으로써 확대된 수납 공간 내에 있는 반쪽 셸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그 전방 에지에 지지되어 삽입 부재가 하우징 내의 삽입 및 유지 리브의 배후에의 로킹 웨지의 잠김 이후에 반쪽 셸의 조기 개방을 일으킴이 없이 더 이상 커플링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반쪽 셸은 상반된 대칭 형태(hermaphroditic)의 2개의 동일한 부품으로 제조되고, 전방 외부 에지에 하우징 벽의 전방 에지와 같은 각도로 경사진 원추형 지지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럼으로써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전방 에지에 반쪽 셸이 완전하게 지지되는 것이 구현되게 된다. 전방 에지의 둘레를 구부리기 위해, 하우징은 용이하게 가소 변형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속으로 이뤄지는 것이 유리하다.
첨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후로 그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수납 하우징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확대된 수납 공간 내에 내장되기 전에 스프링 링과 조립된 반쪽 셸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전방 에지를 구부린 후에 반쪽 셸이 매설된 수납 하우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커플링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전의 삽입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커플링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동안의 삽입 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커플링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난 후의 삽입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상부 및 하부 반쪽 셸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상부 및 하부 반쪽 셸의 정면도이며,
도 9는 하부 반쪽 셸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서로 조립된 양 반쪽 셸을 센터링 핀을 통한 부분 단면을 갖는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플러그인 커넥터는 다단으로 층계진 중심 수납 공간(2)을 구비한 원통형 수납 하우징(1)(도 1을 참조) 및 그 단부의 바로 전방에 환형 유지 리브(4)가 형성된 관형 삽입 부재(3)(도 4를 참조)로 이뤄진다. 삽입 부재(3)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브레이크 라인에 사용되는 견고한 금속 관의 단부이다.
수납 하우징(1)은 그 전방 삽입 측 구역에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는 잠금 요소(5)를 매설하기 위한, 내경이 "D1"인 수납 공간(2') 및 그에 연이어 밀봉 링(6)과 삽입 부재(3)용 가이드 슬리브(7)를 적치하기 위한, 내경이 "D2"인 층계진 제2 수납 공간(2")을 구비한다. 내경이 "D3"인 또다시 층계진 수납 공간(2"')이 그 뒤를 따르는데, 그 수납 공간(2"')은 삽입 부재(3)를 직접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1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요소(5)의 구성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러한 잠금 요소(5)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반된 대칭 형태로 구성되는 2개의 반쪽 셸(8)로 이뤄지는데, 그 2개의 반쪽 셸(8)은 단부 면(9)의 상호 접촉에 의해 하나의 링으로 합쳐져 조립된다. 그러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반쪽 셸(8)은 그 하나의 단부 면(9)에 내벽(10)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된 센터링 핀(11)을 구비하고, 그 타 단부 면(9)에 대응 리세스(12)를 구비하는데, 센터링 핀(11)은 반쪽 셸(8)의 조립 시에 그와 대향된 각각의 리세스(12) 내에 맞물린다.
반쪽 셸(8)은 반쪽 셸(8)의 둘레에 맞물리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으로 휘감긴 스프링 링(14)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환형 홈(13)을 그 외벽에 구비하는데, 스프링 링(14)은 스프링 강으로 제조된다. 그러한 스프링 링(14)을 끼운 후에는 반쪽 셸(8)이 서로 조여져서 아무런 문제가 없이 가이드 슬리브(7)와 함께 일체로서(도 2를 참조) 전방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밀봉 링(6)도 미리 삽입되게 된다.
수납 하우징(1)은 삽입 측 구역에서 용이하게 가소 변형될 수 있는 벽(15)으로 둘러싸이고, 그 벽(15)은 가이드 슬리브(7) 및 반쪽 셸(8)의 매설 후에 그 전방 에지(16)에서 하우징 축선에 대해 경사져 안쪽으로 구부러지되, 특히 반쪽 셸(8)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지되면서도 삽입 부재(3)의 삽입 시에 자유롭게 바깥쪽으로 비켜나게 될 정도로 구부러진다(도 3을 참조).
반쪽 셸(8)은 그 내면에 안쪽으로 향한 로킹 웨지(18)를 구비하는데, 그 로킹 웨지(18)는 삽입 부재(3)의 삽입 후에 유지 리브(4)의 배후에 형상 끼워 맞춤에 의해 맞물리는 삽입 방향으로 향한 로킹 면(19)을 구비한다. 또한, 반쪽 셸(8)은 그 삽입 측 외부 에지에 외벽(15)의 전방 에지(16)와 같은 각도로 하우징 축선에 대해 경사진 원추형 지지 면(17)을 구비한다.
삽입 부재(3)가 수납 공간(2"')으로 삽입될 때의 반쪽 셸(8)의 움직임이 도 5 및 도 6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우선, 유지 리브(4)가 로킹 웨지(18)에 맞닿을 때에 반쪽 셸(8)이 스프링 링(14)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서로 벌어지도록 가압된다. 유지 리브(4)가 로킹 웨지(18)의 내부 에지(20)를 통과하는 즉시, 반쪽 셸(8)이 다시 그 출발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동시에 로킹 면(19)으로써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고, 그에 따라 커플링이 고정적으로 잠기게 된다.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전방 에지(16) 및 원추형 지지 면(17)에 의해, 브레이크액이 커플링 하우징(1)을 통과할 때에 삽입 부재(3)에 높은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반쪽 셸(8)이 확실하게 커플링 하우징(1) 내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게 된다.

Claims (4)

  1. 환형 유지 리브(4)가 달린 관형 삽입 부재(3)를 삽입하기 위한 중심 수납 공간(2) 및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고 스프링 링(14)에 의해 내부 공간 쪽으로 편향되는 다수의 잠금 요소(5)를 매설하기 위한 확대된 삽입 측 수납 공간(2')을 구비하는 원통형 수납 하우징(1)으로 이뤄지고, 잠금 요소(5)는 삽입 부재(3)의 삽입 후에 형상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는 로킹 면(19)이 마련된 안쪽으로 향한 로킹 웨지(18)를 구비하는,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잠금 요소(5)는 스프링 링(14)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2개의 반쪽 셸(8)로 이뤄지고, 각각의 반쪽 셸(8)은 일 단부 면(9)에 내벽(10)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된 센터링 핀(11)을 구비하고, 그 센터링 핀(11)은 양 반쪽 셸(8)의 조립 시에 타 단부 면(9)에 있는 대응 리세스(12) 내에 맞물리며, 확대된 수납 공간(2')을 둘러싸는 벽(15)은 반쪽 셸(8)의 매설 후에 유지 리브(4)가 방해 받지 않고 수납 공간(2')을 통해 들어가고 반쪽 셸(8)이 삽입 부재(3)의 삽입 시에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비켜날 수 있을 정도로 그 전방 에지(16)에서 수납 하우징(1)의 축선에 대해 경사져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양 반쪽 셸(8)은 상반된 대칭 형태의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쪽 셸(8)은 전방 외부 에지에 외벽(15)의 전방 에지(16)와 같은 각도로 경사진 원추형 지지 면(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수납 하우징(1)은 가소 변형될 수 있는 금속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KR1020057013797A 2003-01-31 2004-01-27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KR10101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4074A DE10304074B3 (de) 2003-01-31 2003-01-31 Lösbare Steckverbindung für Hochdruckleitungen
DE10304074.9 200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955A KR20050097955A (ko) 2005-10-10
KR101015087B1 true KR101015087B1 (ko) 2011-02-16

Family

ID=3001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797A KR101015087B1 (ko) 2003-01-31 2004-01-27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31906B2 (ko)
EP (1) EP1592911B1 (ko)
JP (1) JP2006516504A (ko)
KR (1) KR101015087B1 (ko)
CN (1) CN100394096C (ko)
AT (1) ATE402364T1 (ko)
BR (1) BRPI0407137B1 (ko)
CA (1) CA2513392C (ko)
DE (2) DE10304074B3 (ko)
ES (1) ES2308138T3 (ko)
MX (1) MXPA05008026A (ko)
PL (1) PL377268A1 (ko)
RU (1) RU2313718C2 (ko)
WO (1) WO2004068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6802B2 (en) * 2003-10-17 2012-09-04 Twin Bay Medical, Inc. Barb clamp with collet interlocks
JP2009264493A (ja) * 2008-04-25 2009-11-12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
KR100947384B1 (ko) 2008-05-06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 커넥터
US9605782B2 (en) 2009-04-02 2017-03-2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retainer
CN101592276B (zh) * 2009-07-07 2011-04-20 周阳 防盗防拆卸燃气表波纹管接头
TW201213688A (en) * 2010-09-29 2012-04-01 Hon Hai Prec Ind Co Ltd Pipe connector
US8967209B2 (en) * 2012-03-29 2015-03-03 Superior Power Tool Co., Ltd. Adapter structure for a gas fuel bottle
US9261211B2 (en) * 2013-10-11 2016-02-16 Eaton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s for clamshell type couplers
US10415733B2 (en) * 2016-08-17 2019-09-1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JP6581051B2 (ja) * 2016-08-26 2019-09-25 株式会社山田製作所 差込式結合継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877B1 (ko) 1997-06-30 2005-11-16 아. 레이몽 에 씨에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KR100718515B1 (ko) 2000-05-24 2007-05-16 아. 레이몽 에 씨에 안전 클립을 구비한 분리형 퀵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667A (en) * 1959-06-24 1964-05-12 John J Baker Fluid coupling apparatus
GB1413673A (en) * 1972-06-26 1975-11-12 Bunker Ramo Push-pull connector
DE3063119D1 (en) * 1979-07-25 1983-06-16 Raoul Fremy Couplings for hoses and the like
JPH0317112Y2 (ko) 1987-05-29 1991-04-11
DE3724948A1 (de) * 1987-07-28 1989-02-16 Audi Ag Zahnstangengetriebe
US5078433A (en) * 1988-07-14 1992-01-07 North American Instrument Corp. Rotating adapter for catheters and the like
DE4310817A1 (de) * 1993-04-02 1994-10-06 Walther Carl Kur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an Steckkupplungen
US5425558A (en) * 1993-08-17 1995-06-20 Handy & Harman Automotive Group, Inc. Quick-connect coupling
FR2736135B1 (fr) * 1995-06-28 1997-08-29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raccord rapide entre une tubulure et un embout, notamment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US5887911A (en) * 1995-10-13 1999-03-30 Form Rite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a self-contained releasable collet retainer
DE19735491C1 (de) * 1997-08-16 1998-07-1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EP0905430B1 (en) * 1997-09-30 2010-04-14 Nitta Moore Company Connector
JP2001132881A (ja) * 1999-11-08 2001-05-18 Hitachi Metals Ltd 差込式管継手
JP2002327882A (ja) * 2001-04-27 2002-11-15 Sanoh Industrial Co Ltd 疑似係合を防止するための破断式の確認装置
ES2310614T3 (es) * 2001-11-23 2009-01-16 Georg Fischer Haustechnik Ag Acoplamiento rapido para tubos.
JP2004019710A (ja) * 2002-06-13 2004-01-22 Nissan Motor Co Ltd 配管連結完了表示インジケータおよび配管連結構造
US7344166B2 (en) * 2004-02-05 2008-03-1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DE102006015555B3 (de) * 2006-03-31 2007-01-25 Fte Automotive Gmbh Dichtungsanordnung für eine hydraulische Steckverbi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877B1 (ko) 1997-06-30 2005-11-16 아. 레이몽 에 씨에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KR100718515B1 (ko) 2000-05-24 2007-05-16 아. 레이몽 에 씨에 안전 클립을 구비한 분리형 퀵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2364T1 (de) 2008-08-15
PL377268A1 (pl) 2006-01-23
CA2513392A1 (en) 2004-08-12
EP1592911A1 (de) 2005-11-09
CN100394096C (zh) 2008-06-11
MXPA05008026A (es) 2005-09-21
WO2004068020A1 (de) 2004-08-12
DE10304074B3 (de) 2004-02-05
KR20050097955A (ko) 2005-10-10
US20060192381A1 (en) 2006-08-31
RU2313718C2 (ru) 2007-12-27
BRPI0407137A (pt) 2006-02-07
JP2006516504A (ja) 2006-07-06
CA2513392C (en) 2009-05-12
ES2308138T3 (es) 2008-12-01
CN1745269A (zh) 2006-03-08
EP1592911B1 (de) 2008-07-23
DE502004007665D1 (de) 2008-09-04
BRPI0407137B1 (pt) 2016-08-30
RU2005127215A (ru) 2007-03-10
US7631906B2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US4178023A (en) Couplings for tubes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US6447323B1 (en) Power source cable connector
KR100766325B1 (ko) 보호 덮개를 구비한 분리식 플러그-인 커넥터
US9625659B2 (en) Optical connector
JP5391137B2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KR101015087B1 (ko)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KR102018696B1 (ko) 삽입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US20140062078A1 (en) Pipe connector apparatus
CN105940569A (zh) 插头连接器
EP2511989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EA010517B1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US6575500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JPH0562977U (ja) 防水コネクタ用ゴム部品
WO2020063018A1 (zh) 管件连接结构
EP1821375A2 (en) A terminal fitting, a method of crimping it and a positioning jig
US9742097B2 (en) Fluidproof connector
US4892488A (en) Ignition cable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0462274A (zh) 压套
JP6614681B2 (ja) コネクタ
KR20220070317A (ko)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신속 연결부
RU1814743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контактных пружинных зажимов
KR101891042B1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JPH1047571A (ja) ホース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