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57B1 - 경기장용 의자 - Google Patents

경기장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57B1
KR101014857B1 KR1020090124328A KR20090124328A KR101014857B1 KR 101014857 B1 KR101014857 B1 KR 101014857B1 KR 1020090124328 A KR1020090124328 A KR 1020090124328A KR 20090124328 A KR20090124328 A KR 20090124328A KR 101014857 B1 KR101014857 B1 KR 10101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plate
chair
sides
sta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to KR102009012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의자들이 좌우 병렬적으로 연결된 경기장용 의자에 있어서, 좌판; 상기 좌판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2 프레임; 상기 좌판 양측에 형성된 좌판브라켓; 상기 좌판브라켓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좌판이 회전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절개된 면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며, 외주 양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몸체 중단부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상기 제1,2 프레임 중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수용부;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에 따르면, 관람객이 의자 사용중 좌판 회동부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으며, 등받이부의 틸팅동작에 대한 쿠션작용에 의해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의자, 경기, 관람, 손가락 끼임 방지, 등받이, 스프링

Description

경기장용 의자{STADIUM CHAIR}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는 경기장용 의자에 관련된 기술분야이다.
경기장용 의자는 통상적으로 다수개의 의자들이 소정의 프레임과 체결수단들에 의해서 좌우로 나란히 연결되어 설치되며, 실내용 의자에 비해서 각종 완충장치 등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의자의 각 구성요소들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관람객이 앉는 부분인 좌판은 회동식으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설사 회동식으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라도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 구비된 회동장치에 관람객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람객이 전혀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는 회동식 좌판을 구비한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며, 오랜 경기 관람으로 인한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가 일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는 틸팅(tilting)구조를 갖는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되, 소정의 완충장치를 등받이부에 구비하여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 다.
일반적으로 경기장이나 영화관 등에 설치된 의자는 많은 관람객을 동시에 수용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견고성과 실용성을 중심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람용 의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좌판과 등받이를 설치하여 제작되며 프레임은 팔걸이부와 의자다리 등이 구비되어 있고 좌판은 고정된 구조이거나 혹은 회동식으로 형성되어 좌석이탈시 수직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좌판과 프레임은 좌석의 양측에 구비된 회동축이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좌판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프레임에 부딪혀 회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은 좌판 회동구조하에서는 회동축과 걸림돌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관람객의 손가락이 끼여 부상을 입거나 옷자락이 끼여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손가락 끼임방지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 10-0908878호(공고일자 2009년 7월 23일, 발명의명칭; 관람용의자)에 개시되어 있지만(도 7 참조) 좌판의 회동시 손가락끼임방지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개수가 많아 의자 제작비용의 상승요인이 되며, 돌기관통구(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점 등은 종래의 경기장용 의자의 형 상에서 크게 벗어난 점이 없고 외관적으로도 깔끔하지 못하여 국제경기를 자주 치르게 되는 경기장용 의자로는 부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손가락끼임 사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좌판의 회동과 관련된 부싱 등의 구성요소들을 발명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좌판과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시켜, 관람객의 신체 및 의복과는 아예 접촉할 수 조차 없도록 하였는 바, 근원적으로 손가락 협착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경기장용 의자를 본 발명에서 개시한다.
한편, 통상의 경기장 의자는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매우 불편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장시간의 관람에 따른 피로를 풀기 위해 관람객이 허리를 후방으로 펴거나, 팔을 스트레칭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 의자 등받이 부분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식 등받이인 경우 효과적인 완충작용을 할 수 없어서 관람객의 불편은 매우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기장용 의자에서도 소정의 각도만큼 등받이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완충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관람객이 의자 사용중 좌판 회동부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고 회동부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의자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등받이부가 스프링에 의한 완충력을 받으며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동작이 가능하여, 경기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의자 프레임의 표면적이 적어 각종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작업이 용이한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장시간의 경기관람 중에도 등받이의 틸팅기능에 의해 안락감을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력에 강한 구조를 갖춘 등받이를 구비한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좌판을 접었을 때 역동성을 느낄 수 있는 3차원 문양을 구비한 경기장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의 자들이 좌우 병렬적으로 연결된 경기장용 의자에 있어서, 좌판; 상기 좌판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2 프레임; 상기 좌판 양측에 형성된 좌판브라켓; 상기 좌판브라켓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좌판이 회전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절개된 면인 부싱절개면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며, 외주 양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몸체 중단부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상기 제1,2 프레임 중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수용부;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등받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싱의 일측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좌판브라켓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부싱은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걸림돌기접촉면 및 부싱절개면이 생성되며, 상기 회동축의 걸림돌기는, 상기 좌판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접촉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양측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은 등받이브라켓에 수용되어, 스프링안착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안착수단의 중심부는 상기 제1,2 프레임에 고정 삽입됨으로써, 제1,2 프레임 양측에 등받이이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브라켓과 상기 제1,2 프레임을 연결하는 등받이축이 더 구비 되어, 등받이축을 중심으로, 등받이가 사람의 착석시 가해지는 외력(外力)에 의해 틸팅(tilting)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등받이의 틸팅동작의 각도는 5도~12도 정도이다.
상기 회동축, 등받이축 및 스프링안착수단의 중앙 몸체부분은 상기 제1 또는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 몸체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두 의자를 지속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축의 양 단부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브라켓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인 너트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이든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와이어의 단면이 사각인 사각스프링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 중심 일측에는 등받이구멍이 형성되어 경기도중 관람객의 등에서 배출되는 땀이 외기에 증발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30,31)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기타 금속재질 중 어느 것이라도 사람의 체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이며, 만약 녹이 발생되는 재질이라면 야외경기장용 의자로는 부적당하므로 적절한 페인팅 작업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의자의 다리와 팔걸이는 일체로 제작되어 제작비용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기장용 의자에 따르면, 관람객이 의자 사용중 좌판 회동부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고 회동부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의자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부가 스프링에 의한 완충력을 받으며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동작이 가능하여, 경기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틸팅동작시 상기 등받이구멍을 중심을 향해 좌우측으로부터 등받이가 다소 휘어지므로 보다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장시간 관람시 관람객의 등쪽에서 발생된 땀을 등받이구멍을 통해 신속히 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좌판을 접었을 때는 3차원 불꽃 문양이 의자 전면에서 보이게 되어 보다 역동성을 느낄 수 있는 기능도 발휘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며 이하 설명한다.
도면들에 관한 설명을 하자면,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좌판의 회동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부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c는 좌판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과 걸림돌기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d는 좌판의 아랫면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회동축, 스프링안착수단 및 등받이축이 제거된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프레임 중 절반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등받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등받이의 완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등받이 후면의 등받이브라켓 장착전후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경기장용 의자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의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가지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프레임(도1a, 도3c, 31) 과는 형상이 상이한 프레임(도 3b, 32b)이 구비된다는 점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경기장용 의자(10) 일측의 프레임(31) 한 개는, 도 3c 에 도시된 것을 대칭적형상(미도시)으로 체결부(36) 등을 결합하여 완성된다. 도면부호 35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편이다.
상기 프레임 형상에 따른 효과 차이는 차후 설명한다.
편의상,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1c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다수개가 좌우로 병렬적으로 상호 결합되어져 형성되며, 좌판(20); 상기 좌판(20)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2 프레임(30,31); 상기 좌판(20) 양측에 형성된 좌판브라켓 (63a,63b); 상기 좌판브라켓(63a,63b)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좌판(20)이 회전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절개된 부싱절개면(68)이 형성된 부싱 (62a,62b); 상기 부싱(62a,62b)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며, 외주 양측에 걸림돌기(66)가 형성된 회동축(61a, 61b); 상기 회동축(61a, 61b)의 몸체 중단부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상기 제1,2 프레임(30,31) 중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수용부 (33a,33b); 상기 제1,2 프레임(30,31)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등받이(50); 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10)의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은 아래와 같다.
프레임(30,31)은 의자다리와 팔걸이가 일체이며 팔걸이부분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경기장용 의자(10) 일측의 프레임(31) 한 개는, 도 3c에 도시된 것을 좌우대칭적으로 결합하면 완성된며, 완성된 도 1a의 프레임(30,31)은 외부에서 오염물이 잘 끼이지 않는 표면을 가 지므로 청소가 용이하며, 항상 깨끗한 느낌을 주게 된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32a,32b)는 단면이 'H' 형상이 되어 프레임 강도 유지 측면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도 1a의 프레임, 31,32) 보다 유리하지만, 오염물이 프레임(32a,32b)의 외부표면 구석구석에 끼이게 되어 불결해 보이기 쉽고, 청소하기도 다소 힘든 구조이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다양한 변형된 형태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좌판(20)은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관람객이 좌석을 이탈할 경우 수직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진다. 좌판(20)의 회동시 관람객의 손가락이 회동장치 내에 협착되는 사고가 빈번한데, 이러한 사고방지를 위한 구조는 차후 설명한다.
한편 관람객이 등받이쪽으로 힘을 주어 앉을 때, 상기 등받이구멍 (59a,59b)을 중심으로 등받이(50)가 보다 더 용이하게 휘어지게 된다. 즉 등받이가 관람객의 신체를 감싸안듯이 보다 큰 곡률(曲律)로 휘어지므로 관람객은 느끼는 안락감은 더욱 향상된다. 도 1a에는 등받이구멍(59a,59b)이 두개만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를 더 늘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구멍 (59a,59b)은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등받이구멍(59a,59b)의 기능적 효과 이외에도, 시각적으로 경기장용 의자에 걸맞는 역동성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어, 시각적 기능성을 발휘하는 점 과 장시간 관람시 관람객의 등에서 발생되는 땀이 용이하게 증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경기장용 의자(10)는 프레임(30,31)에 삽입, 고정되는 회동축 (61a,61b), 스프링안착수단(73a,73b) 및 등받이축(75a,75b)을 매개체로 하여, 의자들이 좌우로 계속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의자의 양측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은 대칭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좌우 양측의 제1,2 프레임(30,31)은 그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회동축(61a,61b), 스프링안착수단(73a,73b), 등받이축(75a,75b) 등도 모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1a는 회동축(61a), 스프링안착수단(73a), 등받이축(75a)은 그 이웃하는 의자(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튀어나와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서는 반대편에 있는 회동축(61b), 스프링안착수단(73b), 등받이축 (75b)도 일측이 튀어나온 채로 도시되어 있으며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외부에서 관찰될 수 없도록 구조물 내부로 합입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 3a, 도 3b에서, 회동축(61b), 스프링안착수단(73b), 등받이축(75b)이 프레임(32b)에 결합되 기 전과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동축(61b), 스프링안착수단(73b), 등받이축(75b)의 중앙부분은 프레임(32b)삽입되어 있고 양측은 이웃한 의자와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좌판(20) 양측의 좌판 회동구조를 설명한다.
도 2a는 좌판의 회동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부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c는 좌판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과 걸림돌기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d는 좌판의 아랫면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 60은 좌판회동수단으로서 좌판(20)의 회동에 관여하는 구성요소이며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도 1c)
도 1a, 도 2a를 참조하면, 좌판(20) 아래측에 좌판브라켓(63a)이 결합되며, 부싱(62a)이 부싱삽입부(67,도 2a) 내부에 끼워지되, 상기 부싱(62a,62b)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65)가 좌판브라켓(63a)의 대응된 홈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좌판(20)이 회동됨에 따라서 부싱(62a,62b)도 함께 회전된다.
회동축(61a)의 일측은 상기 부싱(62a) 내부를 관통하며 삽입되되,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 외주면의 걸림돌기(66)가 걸림돌기접촉면 (68a,68b)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회동축(61a) 타측은 제1프레임(30) 중단부의 회동축수용부(33a) 내에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의 부싱(62a,62b)은 좌판(20)의 회동시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독특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하 부싱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는 도 2a의 부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 도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62a)은 원통형상이며, 상기 부싱(6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걸림돌기접촉면(68a,68b) 및 부싱절개면(68)이 생성된다.
도 2a의 회동축(61a, 61b)의 걸림돌기(66)는, 상기 좌판(20)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접촉면 (68a,68b)중 어느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즉 도 2c 좌측의 도면은, 걸림돌기(66)의 상부와 부싱의 걸림돌기접촉면 (68a)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 경우는 관람객이 좌판(20)에 착석해 있을 때를 표현한 것이다.
도 2c의 우측의 도면은 좌판(20)이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의 경우인데, 걸림돌기(66)은 프레임(30,31)에 고정되어 있어서 좌측 도면과 같은 위치에 있는 반면, 부싱(62a)은 좌판과 함께(미도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66)의 아랫면과 부싱의 걸림돌기접촉면(68b) 이 접촉되게 된다.
좌판(20)과 프레임(32a) 사이틈의 간격은 2.0밀리미터 내지 3.5밀리미터로 형성되어 좌판을 회동시키더라도 본 발명의 좌판회동수단(60)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는 전혀 없으며, 좌판회동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상으로도 훨씬 미려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3실시예에 의한 경기장용 의자의 구조 중 좌판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62a,62b)이 생략된 구조이다. 즉 도 6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브라켓(81a)에 회동축(82a)의 일측이 삽입되고 회동축(82a)의 타측은 회동축수용부(33a)에 고정결합된다.
도 6b 에는 상기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회동축(82a)에는 두개의 걸림돌기(83)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3) 개수를 두개로 구비하는 것은 좌판의 움직임에 따른 걸림돌기(83)부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회동축삽입부(84) 일측의 걸림돌기접촉면(85a,85b,85c,85d)에는 상기 걸림돌기(83)이 접촉된다. 도 6c 의 좌측 도면은 좌판이 수직으로 접혀 관람객이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c의 우측도면은 좌판에 관람객이 앉아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상기 회동축삽입부(84)에는 좌판(20)의 회전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이격되어 걸림돌기접촉면(85a,b,c,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접촉면 (85a,b,c,d)에 상기 걸림돌기(83)가 맞닿아 좌판(20)의 회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동축(82a)과 그 일측의 걸림돌기(83)는 항상 고정되어 있고, 좌판에 결합된 좌판브라켓(81a)이 좌판(20)의 회전에 따라 돌게 된다. 걸림돌기(83)는 도면부호 85b,85c 위치의 걸림돌기접촉면에 맞닿아 있다.(도6c 좌측도면)
그러나 좌판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도 6c 의 우측 도면에서는 걸림돌기 (83)는 85a,85d 위치의 걸림돌기접촉면과 맞닿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을 생략한 구조이므로 도 1c에 도시된 좌판 회동구조보다 간단하며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걸림돌기(83)를 두개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d에는 도 6b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프레임(32a)이 결합되어 있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좌판(20)의 형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d에는 좌판(20)의 밑면을 도시하고 있다. 좌판(20)의 밑면에는 불꽃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타고 있는 성화불꽃을 형상화 한 것으로서, 좌판(20)이 수직으로 접혔을 때, 도 1d와 같이 역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는 등받이틸팅수단(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등받이(50) 양측에는 스프링(71a,71b)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71a,71b)은 등받이브라켓(72a, 72b)에 수용되며, 스프링안착수단(73a,73b)에 의해 지지된다
도 1c 및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안착수단(73a,73b)의 중심부는 프레임(32a) 일측에 고정 삽입되고, 그 양측은 등받이브라켓(72a,72b) 들과 결합되어진다.
프레임(32a)을 연결하는 등받이축(75a,75b)은 등받이(5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되는데, 등받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71a,71b)이 압축되어 등받이축(75a,75b)을 중심으로, 등받이(50)가 뒤로 기울어지는 틸팅(tilting) 동작이 이루어진다.
현재까지 경기장용 의자는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기능이 없어서, 관람객들은 장시간의 경기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칭 동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었으며, 이에따라 요추 부위가 매우 경직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어 오는 등 관람 편의는 도외시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등받이(50)는 틸팅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틸팅동작의 각도는 5도~12도 정도로 이루어지고 장시간 관람 후 또는 관람 중이라도, 몸을 풀기 위한 스트레칭을 하기에 용이하며, 기타 여러 동작시 등받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한층 편안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도 4b에서는 등받이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비교하고 있다.
경기장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틸팅수단이 구비된 것은 현재까지 기술이 개시된 것은 없으며, 본 발명과 같은 스프링을 등받이 일측에 내장하여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인간공학(ergonomics)을 고려한 기술이라는 측면에서도 진일보 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틸팅 구조는 아래 설명과 같이 비록 간단한 구조이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틸팅 기능을 하는 구조 기술을 경기장용 의자에 채용하는 것은 그 채택,결합의 용이성이 인정된다고 할 수 없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장기간 해결하지 못하였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에 해당한다.
도 4b에서는 경기장용 의자의 상방향에서 본 단면도인데, 스프링(72a)을 스프링안착수단(73a)가 받치고 있는 것이 확대 도시되어 있고 좌판(20)은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였다.
등받이(50)가 틸팅될 때, 프레임(32a)과의 사이 (간격 t)는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2.0 내지 3.5 밀리미터 정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축(75a,75b)의 양 단부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브라켓(72a, 72b)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71a,71b)는 단면이 사각인 사각스프링인 것이 강도와 안락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30,31)은 관람객의 체중을 견딜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야외용 의자는 녹이 슬지 않아야 하므로 철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면 페인팅 작업이 연계되어야 할 것이며, 알루미늄, 플라스틱 재질 등 강도 유지를 위한 어떠한 형태의 재질도 무방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기장용 의자는, 손가락 끼임방지와 관련된 등록특허 10-0908878호(공고일자 2009년 7월 23일, 발명의명칭; 관람용의자)(도 7 참조)와 완전히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고 좌판의 회동시 손가락끼임방지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기능 발휘를 다할 수 있으며, 돌기관통구(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점 등은 본 발명의 뛰어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독특한 부싱 구조에 등에 의해 외관적으로도 훨씬 미려한 경기장 의자가 구현됨을 물론, 원천적으로 관람객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판 회동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켜 경기장용 의자 제작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의 틸팅이 가능하여 관람객은 보다 안락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서는 경기장용 의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영화관람, 연극관람 등 다수개의 의자들이 프레임에 의해 병렬적으로 체결되어 제작되는 의자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포함된 본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좌판의 회동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부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c는 좌판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싱과 걸림돌기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d는 좌판의 아랫면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회동축, 스프링안착수단 및 등받이축이 제거된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의자의 프레임 중 절반만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등받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b는 등받이의 완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등받이 후면의 등받이브라켓 장착전후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제3실시예에 의한 좌판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 경기장용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관한 식별부호>
10:경기장용의자 20:좌판
30,31: 제1,2 프레임(제1실시예)
32a,32b :프레임(제2실시예)
32c:팔걸이 33a,33b :회동축수용부
35:보강편 36:체결부
50:등받이 59a,59b:등받이구멍
60:좌판회동수단 61a, 61b:회동축
62a,62b: 부싱 63a,63b :좌판브라켓
65: 스토퍼 66: 걸림돌기
67:부싱삽입부 68:부싱절개면
68a,68b: 걸림돌기접촉면
70:등받이틸팅수단 71a,71b:스프링
72a,72b: 등받이브라켓 73a,73b: 스프링안착수단
75: 등받이축수용부 75a,75b: 등받이축

Claims (8)

  1. 다수개의 의자들이 좌우 병렬적으로 연결된 경기장용 의자에 있어서,
    좌판(20);
    상기 좌판(20)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2 프레임(30,31);
    상기 좌판(20) 양측에 형성된 좌판브라켓(63a,63b);
    상기 좌판브라켓(63a,63b)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좌판(20)이 회전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절개된 면(부싱절개면(68))이 형성된 부싱(62a,62b);
    상기 부싱(62a,62b)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며, 외주 양측에 걸림돌기(66)가 형성된 회동축(61a, 61b);
    상기 회동축(61a, 61b)의 몸체 중단부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상기 제1,2 프레임(30,31) 중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수용부(33a,33b);
    상기 제1,2 프레임(30,31)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등받이(50);
    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50) 양측에 , 등받이브라켓(72a, 72b)이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브라켓 내부에는 스프링(71a,71b)이 구비되어, 스프링안착수단(73a,73b)에 의해 스프링(71a,71b)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안착수단(73a,73b)의 하방에는 등받이축(75a,75b)이 더 구비되어, 등받이(50)가 외력(外力)을 받는 경우 상기 스프링(71a,71b)이 압축되면서, 등받이축(75a,75b)을 중심으로 등받이(50)가 뒤로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싱(62a,62b)의 일측에 스토퍼(65)가 구비되고, 상기 좌판브라켓 (63a,63b)에는 상기 스토퍼(65)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싱(62a,62b)은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걸림돌기접촉면(68a,68b) 및 부싱절개면(68)이 생성되며, 상기 회동축(61a, 61b)의 걸림돌기(66)는, 상기 좌판(20)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접촉면 (68a,68b)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의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61a, 61b), 등받이축 (75a,75b)및 스프링안착수단(73a,73b)의 중앙 몸체부분은 상기 제1 프레임(30) 또는 제2 프레임(31)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 몸체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두 의자를 지속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50) 중심 일측에는 등받이구멍(59a,59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의자.
  7. 삭제
  8. 삭제
KR1020090124328A 2009-12-15 2009-12-15 경기장용 의자 KR10101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28A KR101014857B1 (ko) 2009-12-15 2009-12-15 경기장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28A KR101014857B1 (ko) 2009-12-15 2009-12-15 경기장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857B1 true KR101014857B1 (ko) 2011-02-15

Family

ID=4377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328A KR101014857B1 (ko) 2009-12-15 2009-12-15 경기장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32B1 (ko) 2011-12-30 2012-05-08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의자의 좌판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399127B1 (ko) * 2011-07-05 2014-05-27 김성호 접이식 의자의 좌판 탈부착 구조
KR101995759B1 (ko) * 2018-11-02 2019-07-03 주식회사 호수산업 접이식 의자
GB2587835A (en) * 2020-04-30 2021-04-14 Ds Constructions Ltd Seat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42A (ja) * 1995-04-07 1996-10-22 Kokuyo Co Ltd 椅 子
JPH09187338A (ja) * 1996-01-11 1997-07-22 Kokuyo Co Ltd 椅 子
KR20040049787A (ko) * 2002-12-06 2004-06-1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전자 패키지 접속을 위한 무연 솔더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US7000989B2 (en) 2002-07-08 2006-02-21 Camatic Pty. Limited Chair or seat
KR200449787Y1 (ko) 2007-11-26 2010-08-13 황대순 반전식 관람석 의자의 좌판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42A (ja) * 1995-04-07 1996-10-22 Kokuyo Co Ltd 椅 子
JPH09187338A (ja) * 1996-01-11 1997-07-22 Kokuyo Co Ltd 椅 子
US7000989B2 (en) 2002-07-08 2006-02-21 Camatic Pty. Limited Chair or seat
KR20040049787A (ko) * 2002-12-06 2004-06-1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전자 패키지 접속을 위한 무연 솔더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KR200449787Y1 (ko) 2007-11-26 2010-08-13 황대순 반전식 관람석 의자의 좌판 회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27B1 (ko) * 2011-07-05 2014-05-27 김성호 접이식 의자의 좌판 탈부착 구조
KR101142432B1 (ko) 2011-12-30 2012-05-08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의자의 좌판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995759B1 (ko) * 2018-11-02 2019-07-03 주식회사 호수산업 접이식 의자
GB2587835A (en) * 2020-04-30 2021-04-14 Ds Constructions Ltd Seat assembly
GB2587835B (en) * 2020-04-30 2023-03-15 Ds Constructions Ltd Sea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242B2 (ja) 家具
CN110430787B (zh) 座椅
KR101014857B1 (ko) 경기장용 의자
US20100148554A1 (en) Backrest device
JP2011120933A (ja) 椅子
JP5180964B2 (ja) オフィス椅子の同期デバイス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100633346B1 (ko)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JP4721182B2 (ja) 椅子
JP7307537B2 (ja) 椅子
KR200397891Y1 (ko) 반원형 회전압압롤을 일체로 가지는 의자용 등받이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486333B1 (ko) 사무용 의자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130000521U (ko) 등받이 의자
JP7382187B2 (ja) 椅子
KR20200038585A (ko)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KR200457483Y1 (ko) 의자의 가슴받이부 지지용 연결지지대 체결구조
KR200254711Y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0397890Y1 (ko) 회전압압롤을 일체로 가지는 의자용 등받이
KR200492440Y1 (ko)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WO2021141073A1 (ja) 椅子、座部および背もた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