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595B1 -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595B1
KR101014595B1 KR1020080086387A KR20080086387A KR101014595B1 KR 101014595 B1 KR101014595 B1 KR 101014595B1 KR 1020080086387 A KR1020080086387 A KR 1020080086387A KR 20080086387 A KR20080086387 A KR 20080086387A KR 101014595 B1 KR101014595 B1 KR 10101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dioxide
sol
dioxide nano
nano sol
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454A (ko
Inventor
김호건
한양수
이선영
문기홍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5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04Preparation of sols
    • B01J13/0026Preparation of sols containing a liquid organic phase
    • B01J13/003Preparation from aqueous 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19/00Compounds of tin
    • C01G19/02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 주석(SnO2)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지 않는 조건에서 분산성이 탁월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nm인 캐시터라이트(cassiterite)의 결정성을 가지는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과 복합화를 하여 비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제조방법에서는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가수분해시킨 다음, 해교화를 거쳐 입자 크기를 조절하고, 수열 합성 단계를 통해 졸의 결정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Method for fabricating tin dioxide nano sol and porous composi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산화 주석(SnO2)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지 않는 조건에서 분산성이 탁월하고 입자 크기가 2 ~ 5 nm인 캐시터라이트(cassiterite)의 결정성을 가지는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친환경 소재인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과 복합화를 하여 비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 중 이산화 주석은 n-형 반도체 산화물로서, 고무산업분야에서 가교 촉진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전자산업분야에서 가스센서로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석유화학 촉매 및 촉매담체, 흡착제, 광촉매,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부식방지 코팅액, 저항체, 투명 가열 요소 등을 포함하는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 있어서 좋은 응용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이산화 주석의 입자 크기를 나노화할 것, 높은 비표면적, 다공도를 가지는 등의 물리적 특성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합성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기체상 응축법, 용매열 합성법(solvothermal process), 졸-겔 법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M. V. Jimenez, R. A. Gonzalez-Elipe, P. J. Espinos, A. Justo, A. Fernandez, Sens . Actuators B, 1996, 31, 29; M. V. Jimenez, A. Caballero, A. Fernandez, M. Ocana, P. J. Espinos, R. A. Gonzalez-Elipe, Solid State Ionics 1999, 116, 117-127; S-Z. Kang, Y. Kang, J. Mu, Colloid. Surf. A, 2007, 298, 280-283; J. Zhang, L. Gao J. Solid State Chem., 2004, 177, 1425-1430; P. Yang, D. Zhao, D. Margolese, B. F. Chmelka, G. D. Stucky Nature , 1998, 396, 152-155).
기체상 응축법은 10 nm 이하의 작은 입자를 제조하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결정상이 일부는 비정질 상태를 가지며, 기체상을 제조하기 위해 1000 ℃ 이상의 높은 온도의 열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정 특성상 대량 생산이 어렵고, 연속적인 처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다.
용매열 합성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로 좋은 결정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환경에 유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들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졸-겔 법은 낮은 반응온도, 비교적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입자 분포의 균일성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교적 가격이 높은 알콕사이드계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기계 물질의 응용에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 높은 비표면적 및 규칙적 구조, 메조 다공도를 가지는 특성이 있으나 환경 문제가 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및 유기용매의 사용이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산화 주석 합성 과정은 입자의 결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은 개별 나노 입자들이 큰 입자로 뭉치게 되어 용액에서 분산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2 내지 3 nm의 초미세 크기와 균일한 형태를 가지며 용액상에서 뭉침이 없는 이산화 주석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은 아직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공개된 수 nm 크기를 가지는 이산화 주석의 제조 방법은 이산화 주석의 함량이 1.0% 정도에 불과하며, 환경 문제가 될 수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 nm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분산성이 우수한 이산화 주석 결정성 졸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제조 방법 은, 무수 사염화 주석(SnCl4) 및 사염화 주석 오수화물(SnCl4ㆍ5H2O) 중의 어느 하나인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가수분해시켜 얻어진 결과물의 해교화를 통해 해교화된 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교화된 졸로부터 결정성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형성하기 위한 수열 합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nm를 가지며 캐시터라이트 결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80 ~ 150 ℃에서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통해 이산화 주석 나노 분말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은 본 발명 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입자 표면이 양전하를 띠도록 개질시키는 단계, 상기 개질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음전하를 띄는 표면을 가진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과 복합화시키는 단계, 및 복합화된 물질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pH를 3 이하로 조절하며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은 천연 점토 현탁액이다. 상기 천연 점토는 스멕타이트계 점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nm에 이르며 함량이 3.5 %이고 분산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 이산화 주석 나노 졸과 비표면적이 200 ~ 300 m2/g, 총 다공 부피가 0.1 내지 0.3 cm3/g인 다공성 복합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제조 방법은 초미세 나노 입자로 이산화 주석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합성 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재현성이 높으며, 대량 합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은 분산성이 극히 뛰어나 비극성 유기용매에서 투명한 용액상을 형성하고, 표면 개질을 통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용액에서도 분산이 우수한 나노 입자를 제조하여 다공성 복합체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다공성 복합체는 가스센서, 촉매 및 촉매담체, 흡착제, 광촉매, 부식방지 코팅액, 투명 가열 요소 등 이산화 주석의 전반적인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가수분해시킨다(단계 S1).
여기서 사용하는 이산화 주석 전구체는 무수 사염화 주석(SnCl4) 또는 사염 화 주석 오수화물(SnCl4ㆍ5H2O)로서, 알콕사이드계가 아님에 특징이 있다. 상온에서 직접적으로 이러한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증류수에 가하면 급속한 가수분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얼음 중탕하에서 염산 수용액에 이산화 주석의 전구체를 방울 방울 적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 주석 전구체의 적정이 완료되면 이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암모니아수(NH4OH)와 같은 강염기를 가하여 pH를 7로 조절하고 약 2시간 정도 교반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완결시킨다.
다음으로, 가수분해시킨 결과물을 해교화한다(단계 S2).
먼저, 가수분해로 생성된 Sn(OH)4 형태의 수산화 주석은 원심분리, 세척을 통해 졸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염소 이온과 기타 부산물(Na+, K+, NH4+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과산화수소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해교시킨다. 해교 반응은 응집 형태의 수산화 주석을 좀 더 작은 단위의 형태인 올리고머 형태로 끊어 주는데, 이 때 첨가하는 과산화수소의 양은 이산화 주석 전구체 몰 양의 7~8배 정도로 할 수 있다. 해교 반응은 충분히 올리고머 형태가 되도록 최소 4 시간,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이상 진행시켜 준다.
다음으로 수열 합성 단계(단계 S3)를 수행하여, 해교화된 졸로부터 결정성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형성한다. 상기 수열 합성 단계는 80 ~ 200 ℃, 바람직하게는 100 ℃에서 수열반응을 통하여 결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해교 반응시킨 졸을 수열 합성기로 옮겨 담은 후 약 10 ~ 14 시간 정도 진행한다. 수열 합성 반응 후 결과물인 결정성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가수분해, 해교화, 수열 합성 과정을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모두 한꺼번에 진행한다면 가수분해 후 생성된 부산물 세척이 불가능하여 물성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해교 반응의 정도(시간)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입자 크기 조절 및 입자간의 뭉침 현상 방지에 대해서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과정을 나누어 진행하기 때문에 중간에 수세하는 과정이 들어갈 수 있고 입자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은 평균 입자 크기가 2~5 nm이며 캐시터라이트의 결정상을 가진다.
본 발명 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은 80~150 ℃에서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통해 이산화 주석 나노 분말로 형성할 수도 있다. 80 ~ 150 ℃에서 건조는 상압에서 일반 건조 방식으로 진행된다. 동결 건조 방식은 입자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분말은 그 자체로 소결 과정에 이용되거나 기타의 용액에 분산되어 각종 응용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복합체는 앞에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이산화 주석 나노 졸과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을 복합화하여 제조한다.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은 팽윤성이 있고, 격자층이 음전하를 띄고 있는 것이며, 층상구조를 갖는 천연 점토 현탁액이면 무방하다. 천연 점토로는 대표적으로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논트로나이트, 비델라이트, 벤토라이트 와 같은 스멕타이트계 점토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천연 점토는 그 격자층이 음전하를 띄고 있어 이산화 주석과 효과적으로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산화 주석 입자 표면 전하가 양전하를 띄도록 해주어야 한다. 문헌에 따른 이산화 주석의 등전점(IEP : isoelectirc point)은 pH 3.5로 알려져 있다. 즉, 용액의 pH가 3.5 이하이면 입자의 표면은 양으로 하전되고, 반대로 pH가 3.5 이상이면 음으로 하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pH를 3 이하로 조절하여 이산화 주석 입자 표면이 양전하를 띄도록 유도한다(단계 S11). pH 조절은 염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산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전하를 띄는 표면을 가진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과 복합화를 하여 다공성 복합체를 제조한다(단계 S12).
단계 S11에 의해 양전하를 띄는 이산화 나노 졸을 점토 현탁액에 첨가한 후 필요한 경우 다시 pH를 3 이하로 조절하여 준 후 50 ~ 80 ℃에서 복합화시킨다. 이 때, 점토 현탁액과 양전하를 띄는 이산화 주석 졸 용액의 혼합비는 점토의 양이온 교환능(CEC : cation exchange capacity)에 대해 약 1 내지 80배, 바람직하기로는 약 30 내지 50배가 되도록 한다. 반응 시간은 30분 이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복합화가 완료된 후 생성된 복합물은 원심분리로 분리하고 수 차례 수세하여 준다. 수세 후 80 ~ 150 ℃에서 건조 후 전기로에서 200 ~ 400 ℃로 열처리하여 다공성 복합체를 완성한다(단계 S13).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SBET)은 약 200 ~ 300 m2/g이며 총 다공 부피는 0.1 ~ 0.3 cm3/g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험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다음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제조하기 위하여 7.8 g의 무수 사염화 주석을 얼음 중탕하의 3N 염산 수용액 300mL에 교반을 하여 주며 방울 방울 첨가하였다. 이렇게 무수 사염화 주석을 첨가하여 준 용액에 상온에서 10 % 암모니아수를 pH 7이 될 때까지 첨가하여 준다. 가수분해가 완전히 진행되도록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다. 가수분해 반응 후 원심 분리를 통하여 침전물(올리고머 타입 수산화 주석)을 얻고 미반응물 및 염소이온, 암모늄이온을 제거하여 준다. 세척 후 침전물에 28 %의 과산화수소를 25 g을 첨가하고 총 질량이 100 g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준다. 이를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올리고머 타입 수산화 주석을 해교시켜 주었다. 해교시킨 결과물을 수열 합성기에 옮겨 담아 100 ℃에서 12 시간 동안 수열 합성을 하여준다. 이렇게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은 3.5 %의 이산화 주석 함량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X선 회절 분석 패턴이다. 이로부터 JCPDS 41-1445의 이산화 주석 캐시터라이트 결정상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는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전자 투과 현미경(TEM) 사진인데, 평균 입자 크기가 5 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본 실험예에서는 천연 점토로 몬트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pH 3의 값을 가지며 농도가 0.1 M이 되도록 0.1 N 염산 수용액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주고 여기서 25 mL를 취하여 1 wt% 점토 현탁액에 첨가한다. 이를 다시 pH가 3이 되도록 0.1 N 염산 수용액으로 조절하여 준 후 6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점토의 양이온 교환능에 대한 이산화 주석의 몰비가 50배가 되도록 첨가한 것이다. 이러한 점토와 이산화 주석간의 복합화는 상반된 표면 전하에 의한 인력에 기인한 것이다. 복합화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결과물을 얻고 이를 증류수 및 에탄올로 미반응물들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다. 세척한 이산화 주석 복합체를 오븐에서 120 ℃로 건조 후 전기로에서 300 ℃로 1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여 주었다.
결과물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험예 1에서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실험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이산화 주석 복합체(-■-) 및 실험예 2에서 사용된 몬트모릴로나이트(-▲-)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이다.
그리고, 표 1에는 다공 복합체 및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이산화 주석 나노 졸, 그리고 복합체 제조에 사용된 천연 점토의 다공 특성을 비교하였다. 다공화 공정을 통해서 얻어진 이산화 주석-점토의 다공체는 월등한 다공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BET 비표면적(m2/g) 총 다공 부피(cm3/g)
다공성 복합체 228 0.17
이산화 주석 87 0.13
몬트모릴로나이트 25 0.05
실험예 3: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험예 2에서 나노 졸의 pH를 2의 값을 가지도록 한 것과 점토 현탁액에 첨가 후 pH를 2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다공체를 제조하였다. 실험 결과, BET 비표면적은 230m2/g, 총 다공 부피는 0.17cm3/g으로 실험예 2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평균 기공 크기는 30Å이었다.
실험예 4: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험예 2에서 나노 졸의 pH를 1의 값을 가지도록 한 것과 점토 현탁액에 첨가 후 pH를 1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다공체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5: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험예 2에서 복합화 반응시간을 12시간 동안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4 및 5 모두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복합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제조
얼음 중탕하의 증류수 600 mL에 무수 사염화 주석 7.8 g을 방울 방울 첨가한다. 콘덴서(condenser)를 설치하고 95 ℃로 온도를 올린 후 온도를 유지한 채 30분간 교반하여 준다. 원심분리를 한 후 침전물을 수회 수세하여 준다. 수세한 침전물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얻는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나노 졸은 현탁액의 상태이며 시간 경과에 따라 침전물이 발생한다.
비교예 2: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상기 비교예1에서 제조한 이산화 주석 나노 졸 6.6 g을 취하여 상온에서 1 wt% 점토 현탁액 20 g과 10분간 교반하여 준 후 수열 합성기에 옮겨 담은 후 100 ℃에서 12시간 동안 수열반응을 진행한다. 얻어진 결과물을 원심 분리 후 침전물을 얻고 이를 수회 수세하여 준다. 수세한 침전물을 오븐에서 120 ℃ 로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준다. 건조된 복합체를 300 ℃에서 한 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 준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복합체는 비표면적이 100 m2/g정도로,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한 다공성 복합체 보다 낮은 값을 보인다.
비교예 3: 다공성 복합체의 제조
상기 비교예 2에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양을 33 g으로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 때에도 비표면적은 실험예들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으로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었으며, 이는 그 안에 상세한 설명 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와 수단내의 모든 변형예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의 범주를 포함시키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X선 회절 분석 패턴이다.
도 4는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전자 투과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험예 1에서 제조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 실험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이산화 주석 복합체 및 실험예 2에서 사용된 몬트모릴로나이트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이다.

Claims (8)

  1. 무수 사염화 주석(SnCl4) 및 사염화 주석 오수화물(SnCl4ㆍ5H2O) 중의 어느 하나인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가수분해시켜 얻어진 결과물의 해교화를 통해 해교화된 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교화된 졸로부터 결정성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형성하기 위한 수열 합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제조하고
    상기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입자 표면이 양전하를 띠도록 개질시키는 단계;
    상기 개질된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을 음전하를 띄는 표면을 가진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과 복합화시키는 단계; 및
    복합화된 물질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시키는 단계는 얼음 중탕하에서 염산 수용액에 상기 이산화 주석 전구체를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암모니아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pH를 조절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교화된 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수분해시켜 얻어진 결과물을 수세하고 과산화수소로 해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열 합성 단계는 80 ~ 200 ℃에서 수열반응을 통하여 결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 주석 나노 졸의 pH를 3 이하로 조절하며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은 천연 점토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점토가 스멕타이트계 점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KR1020080086387A 2008-09-02 2008-09-02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KR10101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387A KR101014595B1 (ko) 2008-09-02 2008-09-02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387A KR101014595B1 (ko) 2008-09-02 2008-09-02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454A KR20100027454A (ko) 2010-03-11
KR101014595B1 true KR101014595B1 (ko) 2011-02-16

Family

ID=4217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387A KR101014595B1 (ko) 2008-09-02 2008-09-02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242B (zh) * 2013-11-25 2015-10-14 湛江师范学院 生物聚合物辅助一步水热合成多孔二氧化锡纳米球的制备方法
CN114409028B (zh) * 2022-02-11 2024-04-16 中海油天津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废水处理的三维粒子电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7B1 (ko) 2006-08-21 2007-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석 산화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주석 산화물 나노입자, 및 금속 도핑된 주석 산화물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 도핑된주석 산화물 나노입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7B1 (ko) 2006-08-21 2007-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석 산화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주석 산화물 나노입자, 및 금속 도핑된 주석 산화물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 도핑된주석 산화물 나노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454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ekawa et al. Low-temperature synthesis of niobium oxide nanoparticles from peroxo niobic acid sol
Sharma et al. A critical role of pH in the colloidal synthesis and phase transformation of nano size α-Al2O3 with high surface area
Yang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nanosized titania powders: influence of peptization and peptizing agents on the crystalline phases and phase transitions
JP5261394B2 (ja) 沈降結晶質二酸化チタンを含有する酸化鉄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Chen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barium titanate nanopowder by conventional and high-gravity reactive precipitation methods
Shao et al. Two step synthesis of a mesoporous titania–silica composite from titanium oxychloride and sodium silicate
Yarbrough et al. A sol–gel synthesis to prepare size and shape-controlled mesoporous nanostructures of binary (II–VI) metal oxides
CN1319864C (zh) 一种超细氧化铁粉的制备方法
Petrovic et al. Influence of synthesis parameters on the structure of boehmite sol particles
KR101014595B1 (ko) 이산화 주석 나노 졸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체 제조 방법
Mahmoudabad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bO nanostructure and NiO doped with PbO through combustion of citrate/nitrate gel
Shao et al. Peptization technique in the synthesis of titania–silica composites and their photocatalytic properties
Li et al. Synthesis and intercalation properties of nanoscale layered tetratitanate
JP4488191B2 (ja) 球状シリカ系メソ多孔体の製造方法
KR102666528B1 (ko) 수지상 섬유질 실리카 나노층을 갖는 물유리 기반 합성 나노실리카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JPH10310428A (ja) チタン酸リチウム水和物およびチタ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CN109553128B (zh) 金红石型二氧化钛纳米晶、其制备方法与应用
CN1301348C (zh) 一种制备莫来石单晶纳米带的方法
Guo et al.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nanocrystalline titania via a thermal dissociation of substrates with ammonium chloride
CN104941539B (zh) 钙钛矿型复合氧化物纳米晶体胶的制备方法
CN1323740A (zh) 一种铝溶胶的制备方法
Zhu et al. Synthesis and mechanism study of mesoporous SnO2/SiO2 composites
Park et al. Tailoring porosity of colloidal boehmite sol by controlling crystallite size
KR100523451B1 (ko)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CN114684828B (zh) 一种二氧化锡复合氧化硅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