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844B1 -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844B1
KR101013844B1 KR1020080085244A KR20080085244A KR101013844B1 KR 101013844 B1 KR101013844 B1 KR 101013844B1 KR 1020080085244 A KR1020080085244 A KR 1020080085244A KR 20080085244 A KR20080085244 A KR 20080085244A KR 101013844 B1 KR101013844 B1 KR 10101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lead
low temperature
temperature lea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288A (ko
Inventor
김석호
심기덕
조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8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8Connections to or between superconductiv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마그네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전도 전류리드에 관한 것으로서, 극저온용기에 하측 일부가 수용되어 상측부는 상온영역에 위치되며 하측부는 최적화된 길이 및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저온영역에 위치되어, 초전도 전류리드에 전류를 전달하는 상전도 전류리드에 있어서, 상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상온리드부와; 상측부에 상기 상온리드부 하측부가 수용결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가 승하강함에 따라 저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최적화된 길이가 가변되는 저온리드부와; 상기 상온리드부 및 상기 저온리드부가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된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저온리드부에 결합되는 상온리드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전류리드의 형상, 즉 전류리드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되도록 하여, 최적화된 열전도도 및 줄열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열침입을 최소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초전도 상전도 전류리드 용량 가변 최적화 줄열 열전도도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current lead for variable capacity}
본 발명은 초전도 마그네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전도 전류리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되는 전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으로의 변동이 가능한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전도 전력 기기는 극저온에서 운전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온(300K)에서 극저온(77K)으로 대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리드 부분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은 일반적 전도 냉각형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극저온용기(1) 내부에 수용된 초전도 마그네트(2)에 극저온 냉각을 위해 극저온 냉동기(3)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초전도 마그네트(2)에 전류의 공급을 위해 300K에서 77K 사이 온도 영역에서는 외부의 전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상전도 전류리드(4)가 형성되고, 77K 이하의 극저온 온도 영역에서는 초전도 마그네트와 접속되는 초전도 전류리드(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전도 전류리드(4)는 일정 정도 줄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최 소한의 열전도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상기 초전도 전류리드(5)를 통해 상전도 전류리드(4)가 냉각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에서의 열칩입이 최소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상전도 전류리드는 최대 정격 전류에서 가장 최적화된 줄열 발생 및 열전도도의 최소화를 위해 그 형상이 정해지게 된다.
즉, 최적화된 줄열 발생 및 열전도도의 최소화를 위해, 전류리드의 재질이 결정되면, IxL/A=상수(constant)(재질에 따라 결정)의 관계식에 따라 통전 전류(I), 전류리드 길이(L), 단면적(A)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상전도 전류리드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상온과 접하고 외부의 전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결합공(6a)이 형성된 상온리드부(6)와, 300K 내지 77K 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저온리드부(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2(a)의 경우는 구리와 황동 재질로 형성된 것이며, 일반적으로 구리의 경우 황동보다 최적화된 단면적이 약 1/5로 매우 작으므로, 비슷한 구리와 황동을 동시에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구리의 길이는 무시되게 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동의 길이 L만이 전류리드의 최적화된 길이가 되는 것이다. 도 2(b)는 황동 재질로 형성된 경우이고, 도 3(b)는 구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로, 각 경우에 따라 최적화된 길이 L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전도 전류리드의 최적화된 길이 L은 언제나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초전도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전류가 완전히 고정되는 상황일 경우에는 위의 식에 따라 전류리드 형상(길이 및 단면적)을 결정하면 되지만, 특성 평가 장치 혹은 부하가 변동하는 초전도 전력 기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 정격전 류에 대하여 최적화하게 된다.
이 경우 최대 정격 전류 이하에서는 낮은 전류 최적화 형상으로, 줄열의 최적화된 발생 및 열전도도의 최소화를 가지지 못해, 상전도 전류리드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전도 전류리드를 통한 열전도도가 최소화되지 못하고 높아지거나 통전시 줄열이 최적화되지 못하고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도 3은 일반적으로 300K-77K 전도 냉각 방식의 전류리드에 대한 최적화 설계 데이터(참고문헌:Handbook of applied superconductivity, edited by Bernd Seeber,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Bristal and Philadelphia pp.810~811)이며, 일반적으로 구리(copper)의 경우에는 3.5x106[A/m]에서 최적화되며, 이 경우에 열발생은 42.5[W/kA]이고, 황동(brass)의 경우에는 6.5x105[A/m]에서 최적화되며, 이 경우에 열발생은 45.5[W/kA]이다.
따라서, 이러한 최적화된 전류리드에 대한 설계는 정확한 초전도 특성 평가를 위해서나 초전도 전력 기기 등의 연결장치의 열침입없이 안정적인 초전도 운전을 위해 필요한 실정이나, 종래의 상기 상전도 전류리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형상(길이 및 단면적)이 고정되어 있어, 용량이 가변되는 초전도 특성 평가 장치나 초전도 전력 기기 등의 사용시에는 최적화가 되지 않아 상전도 전류리드에 의한 열침입 및 최적화되지 않은 줄열의 발생으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거나, 초전도 안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온영역에 존재하는 상온리드부와, 저온영역에 존재하는 저온리드부를 별개로 형성하여, 저온리드부에 결합되는 상온리드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전류리드의 형상, 즉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되도록 하여, 최적화된 열전도도 및 줄열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를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극저온용기에 하측 일부가 수용되어 상측부는 상온영역에 위치되며 하측부는 최적화된 길이 및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저온영역에 위치되어, 초전도 전류리드에 전류를 전달하는 상전도 전류리드에 있어서, 상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상온리드부와; 상측부에 상기 상온리드부 하측부가 수용결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가 승하강함에 따라 저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최적화된 길이가 가변되는 저온리드부와; 상기 상온리드부 및 상기 저온리드부가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된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수단은, 상기 상온리드부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저온리드부의 수용부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상온리드부와 상기 저온리드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상기 상 온리드부의 하면부 및 상기 저온리드부의 수용부 저면부를 결합시키는 탄성스프링이 더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 및 저온리드부의 나사결합부위가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온리드부의 승하강 시 측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상온리드부의 상측부에 파워슬립링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온리드부의 승하강은, 회전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수단은, 상기 저온리드부의 수용부 측면에 플러그인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의 하측부 외주면과 밀착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온리드부의 승하강 시 측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상온리드부의 상측부에 플러그인소켓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상온리드부의 승하강은, 리니어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온리드부는 구리(copper)로 형성되고, 상기 저온리드부는 황동(brass)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온영역에 존재하는 상온리드부와, 저온영역에 존재하는 저온리드부를 별개로 형성하여, 저온리드부에 결합되는 상온리드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전류리드의 형상, 즉 전류리드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되도록 하여, 최적화된 열전도도 및 줄열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열침입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험하고자 하는 전류 용량에 따라 상전도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 대해 특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초전도 특성 평가기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초전도 한류기, 케이블, 변압기 등 시간에 따라 부하(전류)가 변동하는 초전도 전력기기의 경우 변동부하에 따라 전류리드의 길이를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극저온 냉각시스템의 냉각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저온용기(1)에 하측 일부가 수용되어 상측부는 상온영역에 위치되며 하측부는 저온영역에 위치되어, 초전도 전류리드에 전류를 전달하는 상전도 전류리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온영역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극저온 냉동기에 의해 냉각되지 않은 극저온용기 외부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대략 300K 정도의 온도 영역을 상온영역이라 한다. 그리고 저온영역이라 함은 상온에서 극저온까지의 온도 영역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략 300K 이하에서 77K까지의 온도 영역을 일컫는다. 한편, 77K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영역은 극저온영역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전도 전류리드는 외부에서 극저온용기 내에 있는 초전도 마그네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는 극저온용기 외부의 상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며, 일부는 극저온용기 내부의 저온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전도 시스템에서의 상전도 전류리드는 열전도도를 최소화하고, 최적화된 줄열의 발생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전도 전류리드가 수직으로 설치된다고 보면, 상온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전도 전류리드에서 상측부로 보고, 저온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전도 전류리드에서 하측부로 본다. 경우에 따라서는, 극저온용기의 형태나 초전도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상전도 전류리드가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때는 좌우측부로 상온영역 및 저온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저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저온리드부는, 극저온용기의 외부 또는 극저온영역에서의 초전도 전류리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초전도 전류리드에 의해 전달된 냉기로 인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적화된 줄열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전류리드의 재질이 결정되면, IxL/A=상수(constant)(재질에 따라 결정)의 관계식에 따라 통전 전류(I), 전류리드 길이(L), 단면적(A)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영역에 존재하는 상온리드부(100)와, 저온영역에 존재하는 저온리드부(200)를 별개로 형성하여, 저온리드부(200)에 결합되는 상온리드부(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전류리드의 형상, 즉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되도록 하여, 최적화된 열전도도 및 줄열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온리드부(100)는 극저온용기의 외부 즉, 상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부에는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외부의 전력 공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으로는 상기 결합공(110)을 통해 외부의 전력 공급 장치의 전선 등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여, 하측부는 후술할 저온리드부(200)와 결합되어 저온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온리드부(200)는 상측부에 상기 상온리드부(100) 하측부가 수용결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0)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승하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온리드부(100) 및 저온리드부(200)의 결합은 가압고정수단(300)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촉되도록 밀착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고정수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0)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수용부(210)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10)에 의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온리드부(200)와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로부터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나사 풀림 및 잠금에 의해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승하강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승하강 정도는 저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최적화된 형상 즉,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고정수단(300)은,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면부 및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저면부를 결합시키는 탄성스프링(3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 및 저온리드부(200)의 나사결합부위가 더욱 밀착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상온리드부(100) 및 저온리드부(200)가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 시 상온리드부(100)가 측면으로 무단 유동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 즉, 상온영역에 파워슬립링(power-slip ring)(33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를 잡아주도록 한다. 이는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저온리드부(200)에서의 나사결합 또는 해제시 중심에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어 저온리드부(200)와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나사 결합 및 해제의 편의 및 정확성을 위해 상기 상온리드부(100) 상단에 회전모터(rotating motor)(400)를 연결시켜, 전류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상온리드부(100)의 회전수를 미리 입력하여, 자동 제어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수단(3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측면에 플러그인소켓(plug-in socket)(340)이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측부 외주면과 밀착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인소켓(340)은, 상기 수용부(210)에 판상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내부에서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측면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상온리드부(100)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저온리드부(200)와 밀착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 시 상온리드부(100)가 측면으로 무단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 즉, 상온영역에 플러그인소켓(340)을 더 형성시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를 잡아주도록 한다. 이는 상기 상온리드부(100)를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내부로 밀어 넣거나 당길 때 중심에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어 저온리드부(200)와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내부로의 결합 및 해제의 편의 및 정확성을 위해 상기 상온리드부(100) 상단에 리니어모터(linear motor)(500)를 연결시켜, 전류의 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상온리드부(100)의 유동거리를 미리 입력하여, 자동 제어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온리드부(100)는 구리(copper)로 형성되고, 저온리드부(200)는 황동(brass)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구리의 경우 황동보다 최적화된 단면적이 약 1/5로 매우 작으므로, 비슷한 구리와 황동을 동시에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구리의 길이는 무시되게 된다.
따라서 구리로 형성된 상온리드부(100)의 위치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최적화된 길이(L)가 가변되게 된다. 즉, 최적화된 길이(L)는 저온리드부(200)의 하측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면까지이므로, 상온리드부(100)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최적화된 길이(L)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적화된 길이(L)는 전류 용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사용하는 전류 용량에 대응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위치를 변화시켜 저온영역에 존재하는 최적화된 형상, 즉,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약에, 상온리드부(100)나 저온리드부(20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면, 최적화된 길이(L)는 상온리드부(100)와 저온리드부(200) 전체의 길이가 될 것이며, 이 또한 상온리드부(100)의 높이의 조절에 의해 최적화된 길이(L)의 제어가 어느 정도 가능할 수도 있으나, 전기전도도가 높은 구리, 열전도도가 높은 황동에 의해 최적화된 길이(L)의 존재가 저온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적화된 줄열 발생 및 열전도도의 최소화를 위해, 전류리드의 재질이 결정된 상태에서, IxL/A=상수(constant)의 관계식에 따라 통전 전류(I), 전류리드의 최적화된 길이(L) 및 단면적(A)이 결정되게 되는데, 상전도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통전전류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길이 대 단면적비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실험하고자 하는 전류 용량에 따라 전류리드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 대해 특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초전도 특성 평가기기에 사용되거나, 초전도 한류기, 케이블, 변압기 등 시간에 따라 부하(전류)가 변동하는 초전도 전력기기의 경우 변동부하에 따라 상전도 전류리드를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극저온 냉각시스템의 냉각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전도 냉각형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2 - 종래의 상전도 전류리드의 단면도.
도 3 - 일반적인 300K~77K 전도 냉각 방식의 전류리드에 대한 최적화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에 대한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에 대한 단면도.
도 6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에 대한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온리드부 110 : 결합공
200 : 저온리드부 210 : 수용부
300 : 가압고정수단 310 : 나사산
320 : 탄성스프링 330 : 파워슬립링
340 : 플러그인소켓 400 : 회전모터
500 : 리니어모터 L : 최적화된 길이

Claims (9)

  1. 극저온용기에 하측 일부가 수용되어 상측부는 상온영역에 위치되며 하측부는 최적화된 길이 및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저온영역에 위치되어, 초전도 전류리드에 전류를 전달하는 상전도 전류리드에 있어서,
    상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결합공(110)이 형성된 상온리드부(100)와;
    상측부에 상기 상온리드부(100) 하측부가 수용결합되도록 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0)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승하강함에 따라 저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최적화된 길이(L)가 가변되는 저온리드부(200)와;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0)과,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10)에 의해 상기 상온리드부(100)와 상기 저온리드부(200)가 나사결합되어 밀착고정시키는 가압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수단(300)은,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면부 및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저면부를 결합시키는 탄성스프링(3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 및 저온리드부(200)의 나사결합부위가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 시 측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에 파워슬립링(33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은,
    회전모터(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6. 극저온용기에 하측 일부가 수용되어 상측부는 상온영역에 위치되며 하측부는 최적화된 길이 및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저온영역에 위치되어, 초전도 전류리드에 전류를 전달하는 상전도 전류리드에 있어서,
    상온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결합공(110)이 형성된 상온리드부(100)와;
    상측부에 상기 상온리드부(100) 하측부가 수용결합되도록 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0) 내부에서 상기 상온리드부(100)가 승하강함에 따라 저온영역에 존재하게 되는 최적화된 길이(L)가 가변되는 저온리드부(200)와;
    상기 저온리드부(200)의 수용부(210) 측면에 플러그인소켓(340)이 형성되어,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하측부 외주면과 상기 저온리드부(200)를 밀착결합 고정시키는 가압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 시 측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상측부에 플러그인소켓(3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리드부(100)의 승하강은,
    리니어모터(5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9.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리드부(100)는 구리(copper)로 형성되고, 상기 저온리드부(200)는 황동(brass)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KR1020080085244A 2008-08-29 2008-08-29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KR10101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44A KR101013844B1 (ko) 2008-08-29 2008-08-29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44A KR101013844B1 (ko) 2008-08-29 2008-08-29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88A KR20100026288A (ko) 2010-03-10
KR101013844B1 true KR101013844B1 (ko) 2011-02-14

Family

ID=4217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44A KR101013844B1 (ko) 2008-08-29 2008-08-29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8600A8 (pt) 2012-02-01 2017-07-11 Koninklijke Philips Nv Sistema de formação de imagem por ressonância magnética, ímã para gerar um campo magnético e conjunto de comutador para um ímã supercondutor para gerar um campo magnético
LU101151B1 (de) 2019-02-25 2020-08-26 Vision Electric Super Conductors Gmbh Übergangsstück, das einen Normalstromleiter mit einem Supraleiter elektrisch leitend verbind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32A (ja) 1997-03-04 1998-09-14 Fuji Electric Co Ltd 超電導装置用電流リード
JP2003324013A (ja) 2002-05-01 2003-11-14 Nippon Steel Corp 酸化物超電導体電流リード
JP2005175123A (ja) 2003-12-10 2005-06-3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超電導コイル用電流リード
KR20050103146A (ko) * 2003-01-29 2005-10-27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초전도 자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32A (ja) 1997-03-04 1998-09-14 Fuji Electric Co Ltd 超電導装置用電流リード
JP2003324013A (ja) 2002-05-01 2003-11-14 Nippon Steel Corp 酸化物超電導体電流リード
KR20050103146A (ko) * 2003-01-29 2005-10-27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초전도 자석장치
JP2005175123A (ja) 2003-12-10 2005-06-3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超電導コイル用電流リ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88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141B2 (en) Semiconductor application installation adapted with a temperature equalization system
CN101307862B (zh) 便于装卸的传导冷却超导磁体杜瓦
RU2007120526A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кабель
US8757504B2 (en) Temperature unifying and heat storing system of semiconductor heat loss through natural temperature maintaining member
Hull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current leads
CN102047415A (zh) 蒸气室-热电模块组件
US9620272B2 (en) Superconducting magnet device
JPS6276605A (ja) 超電導磁石装置
KR101013844B1 (ko) 용량 가변형 상전도 전류리드
JP5047873B2 (ja) 極低温装置
KR20060022282A (ko) 고온 초전도체 장치용 극저온 냉각 방법 및 장치
EP2980805B1 (en) Cooling device for superconductive cable
JP4686429B2 (ja) 中電圧または高電圧下にて超伝導装置に給電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208508320U (zh) 用于配电柜的冷却装置
JP2007066819A (ja) 超電導送電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
KR101457091B1 (ko) 초전도 전력기기용 전류인입선 장치
CN107957740B (zh) 一种利用导热线的星载控温系统
CN217110640U (zh) 一种超低温差动收缩热开关
JP2011040705A (ja) 超電導ケーブルの端末接続システム
JP2006108560A (ja) 超電導装置用電流リード
RU2000124804A (ru)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669506B2 (ja) 寒剤導入量制御弁
CN1080087A (zh) 超导磁体用同轴可拔气冷电流引线
JPH01166474A (ja) 流体圧作動式の極低温リードアセンブリ
KR20170070521A (ko) 고온초전도 영구전류스위치를 이용한 전도냉각형 열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