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498B1 - 하수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498B1
KR101013498B1 KR1020080091773A KR20080091773A KR101013498B1 KR 101013498 B1 KR101013498 B1 KR 101013498B1 KR 1020080091773 A KR1020080091773 A KR 1020080091773A KR 20080091773 A KR20080091773 A KR 20080091773A KR 101013498 B1 KR101013498 B1 KR 10101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ower generation
pipe
turbine
ab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757A (ko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구본철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철,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led Critical 구본철
Priority to KR102008009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4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하수관이나 오수관 또는 우수관을 타고 배출되는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하단부에 발전용 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에는 발전터빈을 설치하되 하수관에서 발전용 배관을 타고 흐르는 하수가 발전터빈의 수차에 위치에너지를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발전터빈의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되 발전용 배관에는 발전터빈의 수차를 타고 역으로 흐르는 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물끊음판을 설치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의 전단에는 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바이패스관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하수, 발전, 배관, 오수

Description

하수 발전장치{Sewage generator}
본 발명은 건물의 하수관이나 오수관 또는 우수관을 타고 배출되는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 높이를 갖는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는 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하수관과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관이 설치되어 있거나, 하수관을 이용하여 오수까지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상기 하수나 오수는 지하에 설치된 정화조로 유입되어 정화 처리된 후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며, 우수는 우수관을 통하여 별도로 배출된다.
일정 높이를 갖는 건물에 설치된 하수관과 오수관에는 하수나 오수가 흐르게 되며, 상기 하수관과 오수관을 흐르는 하수나 오수는 상당한 낙차에너지를 갖게 되나, 기존에는 이러한 낙차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
즉 하수나 오수는 높이를 갖고 하수관이나 오수관을 타고 지하에 매설된 정화조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높이에 따른 위치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나, 현재에는 이러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하수나 오수를 그대로 흘려보내고 있 으며, 또한 별도의 우수관을 통하여 우수도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배출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하수관이나 오수관 또는 우수관을 타고 배출되는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는 상당한 위치에너지를 갖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한 후 이를 배터리에 충전시켜 조명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가 갖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하단부에 발전용 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에는 발전터빈을 설치하되 하수관에서 발전용 배관을 타고 흐르는 하수가 발전터빈의 수차에 위치에너지를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발전터빈의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되 발전용 배관에는 발전터빈의 수차를 타고 역으로 흐르는 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물끊음판을 설치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의 전단에는 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바이패스관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하수관에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발전터빈이 설치된 발전용 배관을 연결하여 하수관을 흐르는 하수가 발전터빈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발전용 배관은 오수관에도 설치하거나 하수관과 오수관을 합류시킨 지점에 설치하거나 또는 우수관에 설치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를 이용하여 발전을 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얻게 되는 것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높이에 의해 하수관으로 흐르는 하수나 오수관으로 흐르는 오수가 낙차에너지는 갖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하수 및 오수의 낙차에너지로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하수관에 발전터빈을 연결하거나 또는 하수관에 발전터빈을 연결하거나 하수관과 오수관이 합친 후단에 발전터빈을 설치하여 하수와 오수가 갖고 있는 낙차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전터빈은 하수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발전용 배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수관을 통하여 떨어지는 하수가 발전용 배관의 내부에서 발전터빈의 수차를 충격하도록 함으로써 발전터빈이 회전되면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전용 배관은 최대한 하수관의 하측에 설치하여 최대한의 위치에너지는 이용하도록 하는 한편 오수관이 하수관으로 흐르게 하여 오수와 하수가 동시에 발전터빈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용 배관을 하수관에 연결하기 전에 개폐밸브를 연결하고, 개폐밸브의 전단에 바이패스관을 설치함으로써 평상시 발전용 배관으로 하수가 흘러 발전터빈을 회전시키도록 하되 발전터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하수가 바이패스관을 타고 흐르게 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문제가 없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수관(10)의 하측에 발전용 배관(100)을 결합시키되 상기 발전용 배관(100)은 플렌지(110)를 이용하여 하수관(10)과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100)의 내부에는 발전터빈(120)을 설치하여 발전용 배관(100)을 타고 흐르는 물이 발전터빈(120)의 수차(121)를 때릴 때 발전터빈(120)이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발전터빈(120)에는 발전기(200)와 배터리(300)를 연결하여 전기를 저장하며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발전용 배관(100)은 하수관(10)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발전터빈(120)을 회전하는 방향으로 위치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갖도록 하며, 또한 발전용 배관(100)에는 부싱판(150)을 발전터빈(120)과 밀착되는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수차(121)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부싱판(150)을 열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발전터빈(120)은 회전할 때 수차(121)가 부싱판(150)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부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전터빈(120) 하측에는 수차(121)를 타고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물차단판(130)이 설치되는 한편 물끊음부(140)를 형성하여 발전터빈(120)의 수차(121)를 때린 물이 수차(121)를 타고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발전용 배관(100)에는 플렌지(110)를 형성하여 하수관(10)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전용 배관(100)의 전단에는 밸브(400)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400)의 전단에는 바이패스관(500)을 설치함으로써 밸브(400)를 닫거나 발전터빈(120)이 돌지 않아 발전용 배관(100)이 막힐 경우 하수가 바이패스관(500)을 통하여 정화조 유입관(30)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전용 배관(100)은 하수관(10)과 오수관(20)에 각각 설치하거나, 오수관(20)을 하수관(10)과 연결한 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든 최대한 발전이 이루질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플렌지(110)를 이용하여 발전용 배관(100)을 하수관(10)에 연결함으로써 하수가 발전용 배관(100)의 발전터빈(120)을 회전시킨 후 정화조 유입관(30)으로 흐르도록 한다.
여기서 발전용 배관(100)의 전단에 밸브(400)를 연결하고, 밸브(400)의 전단에 바이패스관(500)을 연결함으로써 평상시 밸브(400)를 열어주면 하수가 발전용 배관(100)을 통하여 흐르게 한다.
그러나 발전용 배관(100)의 발전터빈(120)이 회전하지 않을 경우 하수는 발전용 배관(100)을 흐르지 못하고 차오르게 되고, 발전용 배관(100)을 차오른 하수는 바이패스관(500)을 통하여 정화조 유입관(30)으로 흐르게 되며, 이때 밸브(400)를 잠가주면 발전용 배관(100)을 떼어내도 하수가 누출될 우려 없이 정상적으로 흐르게 된다.
발전용 배관(100)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하수는 발전터빈(120)의 수차(121)를 때리게 되고, 이때의 낙차에너지로 인하여 발전터빈(12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발전터빈(120)의 회전력은 발전기(200)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되고, 발전기(200)에서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300)에 저장되며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발전터빈(120)이 회전할 때 이물질이 끼게 되는 경우 부싱판(150)을 분리시켜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부싱판(150)은 수차(121)가 발전용 배관(100)을 치게 되는 경우 부싱판(150)이 닳게 함으로써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전용 배관(100)에는 내측으로 발전터빈(120)만 설치되지 않고, 발전터빈(120)의 하측으로 수차(121)를 타고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물차단판(130)과 물끊음부(140)를 형성하여 발전터빈(120)의 수차(121)를 때린 하수가 수차(121)를 타고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300)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는 지하실의 조명 등 전력 사용량이 적은 곳에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300)에 저장시키는 이유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하수가 많이 배출되는 시간에 저장한 후 하수가 적게 배출되는 시간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높이가 있는 건물에서 그냥 버리게 되는 하수나 오수 또는 우수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발전용 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발전용 배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싱판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설치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수관 20 : 오수관
100 : 발전용 배관 110 : 플렌지
120 : 발전터빈 121 : 수차
130 : 물차단판 140 : 물 끊음부
150 : 부싱판 200 : 발전기
300 : 배터리 400 : 밸브
500 : 바이패스관

Claims (4)

  1. 하수관(10)의 하측에 발전용 배관(100)을 결합시키되 상기 발전용 배관(100)에는 하수의 낙차에너지로 회전되는 발전터빈(120)을 설치하고,
    상기 발전용 배관(100)에는 수차(121)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발전터빈(120)의 회전시 마모되지 않도록 하는 부싱판(15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발전용 배관(100)의 상부에는 밸브(40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밸브(400)의 상측으로 바이패스관(500)을 설치하고,
    상기 발전터빈(120)의 회전력으로 발전기(200)를 구동시키게 하는 한편 상기 발전터빈(120)의 하측에는 수차(121)를 타고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물차단판(130)과 물끊음부(140)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발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91773A 2008-09-18 2008-09-18 하수 발전장치 KR10101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73A KR101013498B1 (ko) 2008-09-18 2008-09-18 하수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73A KR101013498B1 (ko) 2008-09-18 2008-09-18 하수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757A KR20100032757A (ko) 2010-03-26
KR101013498B1 true KR101013498B1 (ko) 2011-02-10

Family

ID=4218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773A KR101013498B1 (ko) 2008-09-18 2008-09-18 하수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916A (zh) * 2014-10-27 2014-12-24 马兴帮 间歇式管道节能动力机
CN108757273A (zh) * 2018-03-07 2018-11-06 刘影 一种厨房用水力发电装置
KR20190095052A (ko) 2018-02-06 2019-08-14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86B1 (ko) * 2012-03-05 2014-06-27 김정열 오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RU2487261C1 (ru) * 2012-04-12 2013-07-10 Мария Вячеславовна Ожерельева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турбина
CN103670884A (zh) * 2012-09-15 2014-03-26 金梅芳 输水管内急流推动特效桨发电装置
KR102104544B1 (ko) * 2018-06-27 2020-04-27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2070673B1 (ko) * 2018-06-28 2020-01-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KR102070674B1 (ko) * 2018-07-03 2020-01-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매립형스위치박스 기울기 교정장치
WO2020022530A1 (ko) * 2018-07-24 2020-01-30 노츠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용 수차 하우징
KR101958616B1 (ko) * 2018-11-12 2019-03-14 대아산업 주식회사 튜블러형 소형 발전기
KR102287044B1 (ko) * 2019-02-01 2021-08-09 주식회사 다스코포레이션 집합건물에 사용되는 복합 공기순환 청정장치
KR102119163B1 (ko) 2019-05-13 2020-06-04 김찬근 생활하수 및 빗물의 낙차를 이용한 전력발전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440A (ja) * 1994-08-01 1996-02-13 Senji Okuda 水道管の水流による発電装置
JPH08237997A (ja) * 1995-02-23 1996-09-13 Fujita Corp 排水利用発電装置
JP2004360482A (ja) 2003-06-02 2004-12-24 Torishima Pump Mfg Co Ltd ポンプ逆転水車型発電設備
KR20060120873A (ko) * 2005-05-23 2006-11-28 장호민 수력발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440A (ja) * 1994-08-01 1996-02-13 Senji Okuda 水道管の水流による発電装置
JPH08237997A (ja) * 1995-02-23 1996-09-13 Fujita Corp 排水利用発電装置
JP2004360482A (ja) 2003-06-02 2004-12-24 Torishima Pump Mfg Co Ltd ポンプ逆転水車型発電設備
KR20060120873A (ko) * 2005-05-23 2006-11-28 장호민 수력발전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916A (zh) * 2014-10-27 2014-12-24 马兴帮 间歇式管道节能动力机
KR20190095052A (ko) 2018-02-06 2019-08-14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CN108757273A (zh) * 2018-03-07 2018-11-06 刘影 一种厨房用水力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757A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498B1 (ko) 하수 발전장치
GB2312711A (en) A hydroelectric power system
CN107387298A (zh) 一种雨水收集发电的节能系统
WO2012165789A3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CN111411580B (zh) 一种路桥排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963357A (zh) 一种屋面雨水回收利用发电系统
CN203412082U (zh) 初期雨水弃流装置
WO2010143922A3 (ko)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정수장 유출수를 이용한 부유식 소수력 발전장치
JP2013024161A (ja) 高層ビル下水の落下エネルギーを利用するビル内水力発電システム
CN102536602A (zh) 污水处理厂尾水发电装置
CN208472830U (zh) 一种坡地雨水收集就地自流灌溉装置
CN106400933A (zh) 基于海绵城市理念的屋面雨水源头调控装置及运行方法
KR200424629Y1 (ko) 배수지의 낙차를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CN218814268U (zh) 一种市政管道排污除臭装置
KR20110006357A (ko) 이물질 유입이 가능한 잠수형 수차 발전기
CN201810466U (zh) 利用下水道流出物发电的装置
KR20230033276A (ko) 댐 없는 수력발전시스템
KR101887351B1 (ko) 화장실용 무동력 절수장치
KR20110006349A (ko) 수차 발전기
JP3119851U (ja) ビルダム式発電システム
CN205154487U (zh) 一种下水道水力发电装置
KR200429800Y1 (ko) 하수도용 부력기능을 갖는 자동비
KR101463063B1 (ko) 하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CN215715860U (zh) 一种市政排水管道
CN109469153A (zh) 双流管雨水收集及处理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