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201B1 - 도자기 채반 - Google Patents

도자기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201B1
KR101013201B1 KR1020080083056A KR20080083056A KR101013201B1 KR 101013201 B1 KR101013201 B1 KR 101013201B1 KR 1020080083056 A KR1020080083056 A KR 1020080083056A KR 20080083056 A KR20080083056 A KR 20080083056A KR 101013201 B1 KR101013201 B1 KR 10101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late
plate
food material
wa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277A (ko
Inventor
장영안
Original Assignee
장영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안 filed Critical 장영안
Priority to KR102008008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2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12Pottery append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반을 도자기로 제작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측접시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면적이 넓은 음식재료의 물기나 기름기를 용이하게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채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놓여지는 음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통과시키기위해 다수개의 통공을 몸체에 형성하고, 음식재료와 점접촉되도록 하여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한 내측접시와; 상기 내측 접시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며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등이 임시로 담기도록 하는 접시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를 도자기로 형성하여 깔끔한 형태의 채반을 제공하고, 아울러 내측 접시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면적이 넓은 음식재료의 물빠짐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자기, 채반

Description

도자기 채반{A Wicker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
본 발명은 도자기 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반을 도자기로 제작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측접시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면적이 넓은 음식재료의 물기나 기름기를 용이하게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채반에 관한 것이다.
채반은 고대로부터 우리네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거에는 산이 가까운 농가에서 7월경 싸리를 베어다 껍질을 훑어내고, 춤을 잡아 크고 작은 가지가지의 채반을 만들고 재료는 쪽 싸리 보다는 통 싸리가 더 양질이며 대나무가 많은 지방에서는 대나무로도 채반을 만들며 껍질을 벗긴 싸리, 버드나무와 같은가는 나무 오리로 엮어 만든 둥글넓적한 채 그릇으로서 음식 재료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엮는 구조는 격자형이며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지니는데, 대나무보다 탄성이 약한 목재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각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채반은 통상적으로 수분을 제거하거나 음식을 장만할 때 빈대떡, 전, 누르미, 구운 고기 등을 담아 두기도 하고, 호박, 가지, 고구마 등의 고지도 말리고, 산나물이나 해산물, 어류 등도 말리며 특히 김장 때에는 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를 씻어 담아 물기를 빼기도 하고, 여러가지 양념을 썰어 담아 두기도 한다.
그러나 과거의 목재로 된 채반은 항상 수분을 접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화 되고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우려도 있으며, 또한 수분에 의해 약화된 목재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되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하지않고 강도가 강하고 내부 식성과 내화학성과 매시(mesh)가 일정하게 나열된 금속제 채반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자연계목재로 이루어진 채반은 환경친화적이지만 탄성이 약하고 물기에 적어 곰팡이 등이 번식하고 매시(mesh)가 일정하지않아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지만 근래의 채반은 수분에 강하고 강도가 강하지만 비환경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순히 수분을 배출하는 홀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면적이 넓은 배추 같은 경우 채반에 달라붙게 되어 수분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를 도자기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깔끔한 상태의 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면적이 넓은 음식재료의 수분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삼겹살과 같은 음식재료의 기름기를 연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를 갖도록 하고, 넘치는 액체를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가 원할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 놓여지는 음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통과시키기위해 다수개의 통공(110)을 몸체에 형성하고, 음식재료와 점접촉되도록 하여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부(120)를 형성한 내측접시(100)와; 상기 내측 접시(100)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210)을 형성하며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 사이에 공간부(220)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220)를 통해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등이 임시로 담기도록 하는 접시 받침대(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시 받침대(200)의 단턱(210)에는 요철(25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내측 접시(100)와 접시 받침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20)에는 물이나 기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230)를 더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내측 접시(100)의 끝단부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용 홈(13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를 도자기로 형성하여 깔끔한 형태의 채반을 제공하고, 아울러 내측 접시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면적이 넓은 음식재료의 물빠짐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에 흡수부재를 더 장착토록 함으로서 흡수부재만을 탈거시키면 되므로 물과 기름의 외부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가 원할하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시 받침대의 결합부에 요철을 더 형성하고, 손잡이를 더 형성함으로서 분리가 쉽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요철을 나타낸 제 1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파지용 홈을 나타낸 제 2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흡수부재를 나타낸 제 3 실시예도.
본 발명의 채반 구성요소는 크게 음식재료를 올려놓기 위한 내측 접시(100)와, 상기 내측 접시를 담아서 지지하는 접시 받침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접시(100)는 다수개의 통공(110)이 형성되어 접시 상부에 놓여지는 음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통과시키고, 또한 내측 접시(100)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부(120)를 형성하여 음식재료와 점접촉되도록 하여 돌기부와 접시 상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음식재료로부터 물이나 기름이 원할하게 배출되어 통공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접시 받침대(200)는 내측 접시(100)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210)이 형성되며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 사이에 공간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220)를 통해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등이 임시로 담기도록 한다.
접시 받침대(200)의 공간부(220)에는 필요에 따라서 휴지나 키친타월 같은 흡수부재(230)를 더 삽입하여 음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흡수부재(230)로 흡수시키고 나중에 흡수부재(230)만 버리도록 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시 받침대(20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배출홀(240)을 형성하는바, 상기 배출홀(240)을 통해 공간부(220)에서 넘치는 물이나 기름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다.
만약에 배출홀(240)을 형성하지 않으면 공간부(220)에 물이나 기름이 가득담긴 상태를 인지할 수 없어 이를 모르고 내측 접시(100)에 음식재료를 계속 담을 경우 물이나 기름을 충분히 빼낼 수가 없어서 채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접시 받침대(200)의 측면에 다수개의 배출홀(240)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240)을 통해 물이나 기름이 빠져나오면 공간부(220)에 물이나 기름이 가득 찬 것으로 인식하여 공간부(220)에 차있는 물이나 기름을 재빠르게 외부로 배출후 다시 내측 접시(100)를 안착하여 채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접시(100)와 접시 받침대(200)는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바, 내측 접시(100)를 접시 받침대(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가열토록하면 일체형의 채반이 완성된다.
이때에는 상기 배출홀(240)을 이용하여 공간부(220)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상기 배출홀(240)에 세척액을 삽입하여 여러차례 흔들어서 공간부(220)를 세척한 다음 배출홀(240)을 통해 다시 외부로 버리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채반은 도자기로 이루어지기 지기 때문에 내측 접시(100)가 무거워서 접시 받침대(200)로부터 내측 접시(100)를 쉽게 분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양측면에 파지용 홈(130)을 더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파지용 홈(130)에 손가락을 끼워서 쉽게 외부로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반을 구성하는 내측 접시가 무거워서 결합후 이물질이 투여되면 접시 받침대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가 면접촉되지 않고 점접촉되도록 접시 받침대의 단턱에 다수개의 요철(250)을 형성토록 하며, 이에 따라 내측 접시(100)와 접시 받침대(200)가 점접촉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결합공간에 침투하더라도 내측 접시(100)와 접시 받침대(20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반은 도자기를 통해 제작하는바,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제작방법 제 1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제작방법 제 2 실시예도로서,
제 1 단계(S10); 통상의 방법으로 채반 재료인 흙을 준비하고, 고운 흙물과 이를 이용한 흙반죽을 준비한다. 즉, 본 발명의 채반을 구성하는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자기용으로 적합한 흙을 준비하고, 상기 흙에 물을 섞어서 고운 흙물과 흙반죽을 준비하는 것이다.
제 2 단계(S20); 준비된 반죽 또는 흙물을 이용하여 접시 받침대 및 내측 접시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즉, 접시 받침대용 성형틀과 내측 접시용 성형틀을 구비한후 상기 성형틀에 흙물이나 반죽을 삽입하여 원하는 모양의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성형한다.
제 3 단계(S30); 성형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그늘에서 건조한 후 950도에서 초벌구이 한다. 즉, 성형이 완료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그늘에서 말려서 건조시킨후에 각각 도자기 가마에 넣고 950도의 열을 가하여 초벌구이를 한다.
제 4 단계(S40); 초벌구이를 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에 유약을 도포한 후 건조한다. 즉, 도자기 가마에 950도의 온도로 가열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도자기 가마에서 꺼낸후 유약을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제 5 단계(S50); 유약이 도포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1350도에서 재벌구이 한다. 즉, 유약을 도포하여 건조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다시한번 도자기 가마에 넣은후 1350도의 온도에서 재벌구이를 하여 유약이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제 6 단계(S60); 재벌구이를 한 접시 받침대에 내측 접시를 결합시켜 도자기 채반을 완성한다. 즉, 재벌구이가 완료된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를 각각 결합시켜 도자기 채반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유약이 각각 도포된 접시 받침대에 내측 접시를 미리 결합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도자기 가마에 넣은후 1350도로 가열하여 재벌구이를 함으로서 일체형의 채반이 완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상기와 같이 접시 받침대와 내측 접시가 결합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결합부위가 합치되어 일체형의 채반(S70)이 완성된다.
아울러, 비록 본 발명이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지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요철을 나타낸 제 1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파지용 홈을 나타낸 제 2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에 있어서 흡수부재를 나타낸 제 3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제작방법 제 1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자기 채반 제작방법 제 2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내측 접시
110: 통공
120: 돌기부
130: 파지용 홈
200: 접시 받침대
210: 단턱
220: 공간부
230: 흡수부재
240: 배출홈
250: 요철

Claims (6)

  1. 상부에 놓여지는 음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통과시키기위해 다수개의 통공(110)을 몸체에 형성하고, 음식재료와 점접촉되도록 하여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부(120)를 형성한 내측접시(100)와;
    상기 내측 접시(100)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210)을 형성하며 내측 접시와 접시 받침대 사이에 공간부(220)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220)를 통해 음식재료의 물이나 기름등이 임시로 담기도록 하는 접시 받침대(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시 받침대(200)의 단턱(210)에는 요철(25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시(100)와 접시 받침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20)에는 물이나 기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230)를 더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채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시(100)의 끝단부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용 홈(13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채반.
  5. 삭제
  6. 삭제
KR1020080083056A 2008-08-25 2008-08-25 도자기 채반 KR10101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56A KR101013201B1 (ko) 2008-08-25 2008-08-25 도자기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56A KR101013201B1 (ko) 2008-08-25 2008-08-25 도자기 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77A KR20100024277A (ko) 2010-03-05
KR101013201B1 true KR101013201B1 (ko) 2011-02-10

Family

ID=4217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56A KR101013201B1 (ko) 2008-08-25 2008-08-25 도자기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02B1 (ko) * 2019-04-09 2020-07-13 강명희 기름 흡수가 가능한 식품 포장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571A (ja) * 1992-09-22 1994-05-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携帯用包装体
KR20010024310A (ko) * 1998-07-28 2001-03-26 구랄 나피 열변화에 저항성을 갖는 자기(磁器)
KR200289819Y1 (ko) * 2002-06-04 2002-09-19 이장로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KR20020089819A (ko) * 2001-05-24 2002-11-30 채영규 탄저균 진단을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JP2006218143A (ja) * 2005-02-14 2006-08-24 Shinya Okemoto ピザ用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571A (ja) * 1992-09-22 1994-05-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携帯用包装体
KR20010024310A (ko) * 1998-07-28 2001-03-26 구랄 나피 열변화에 저항성을 갖는 자기(磁器)
KR20020089819A (ko) * 2001-05-24 2002-11-30 채영규 탄저균 진단을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KR200289819Y1 (ko) * 2002-06-04 2002-09-19 이장로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JP2006218143A (ja) * 2005-02-14 2006-08-24 Shinya Okemoto ピザ用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77A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01B1 (ko) 도자기 채반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CN201564128U (zh) 方便果盘
CN203195525U (zh) 一种二合一菜板
CN106821066A (zh) 一种案板快速干燥支架
JP3171363U (ja) 野菜水切り用袋
CN204260601U (zh) 厨房洗滤组件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CN206538826U (zh) 一种家用厨房水槽
CN106836399A (zh) 一种家用厨房水槽
WO2018040158A1 (zh) 一种多功能砧板
CN107951419A (zh) 可滤水的洗菜盆
CN210842784U (zh) 一种多功能沥水架
CN2815233Y (zh) 一种厨房用洗菜筐
CN207362953U (zh) 一种集成式厨房水槽
JP2004008728A (ja) 食器用水きりカゴ
US20150230512A1 (en) Food Cleaning Device
CN211066305U (zh) 一种盒式盖帘
CN202775979U (zh) 多功能垫
CN205386098U (zh) 一种多功能菜品处理装置
KR200331270Y1 (ko)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CN205094248U (zh) 新沥水篮
KR200289819Y1 (ko)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CN201398772Y (zh) 一种新型果盘
CN201256904Y (zh) 一种抽屉调料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