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062B1 -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 Google Patents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062B1
KR101013062B1 KR1020100075428A KR20100075428A KR101013062B1 KR 101013062 B1 KR101013062 B1 KR 101013062B1 KR 1020100075428 A KR1020100075428 A KR 1020100075428A KR 20100075428 A KR20100075428 A KR 20100075428A KR 101013062 B1 KR101013062 B1 KR 10101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ptical fiber
output
switchboard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기
임장성
Original Assignee
대동전자(주)
대동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전자(주), 대동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전자(주)
Priority to KR102010007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 G01J3/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for measurement in the infrared r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18Waveguides
    • G01J5/0821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내의 온도를 각상(R,S,T)별로 순차적으로 비접촉으로 스캔하여 검출하고, 이상온도가 검출되는 경우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온도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배전반내의 각상의 전류가 흐르는 특정부위별 온도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면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반의 다수의 각상별 대상부위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용하여 각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위에 부착되는 접촉홀더와 상기 대상부위에서 상기 접촉홀더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접촉식 광화이버가 포함된 다수의 광화이버장치; 상기 다수의 광화이퍼장치의 광화이버를 통해 이동된 적외선 빔을 각각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다수의 적외선센서부가 구성된 수광부;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를 스캔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각각의 적외선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합제어하는 전자식 컨트롤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을 통해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광화이버장치를 통해 배전반내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면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distributing board using scan method}
본 발명은 배전반내의 온도를 각상(R,S,T)별로 순차적으로 비접촉으로 스캔하여 검출하고, 이상온도가 검출되는 경우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온도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배전반내의 각상의 전류가 흐르는 특정부위별 온도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면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내에서 온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한 비접촉식 온도검출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한 온도검출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부위에 외부에서 적외선 빔을 발사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부위의 표적을 맞추게 되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 값은 온도에 따라 파장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을 CPU에서 계산하여 계산된 값을 LCD 창을 통해 읽어서 온도값을 검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해 비접촉식 온도측정방법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부위에 대한 입사각과 반사각이 좁으면 좁을수록 측정오차는 줄어든다.
배전반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의 측정대상부위는 각상별 전류가 흐르는 모선온도, 접촉자온도, 부하단자온도 등이 일반적이며, 각각의 부위마다 규격으로 허용온도가 다르게 정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검출방법은 적외선 빔을 발사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의 대상부위를 맞추어 투과시켜야 가능하나, 상기 배전반내의 측정대상부위가 장애물에 가려져 적외선 빔이 도달할 수 없는 경우나, 차단기의 접촉자온도와 같이 절연물에 가려져 대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위 등은 사실상 이러한 방식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설치와 관리에 상당한 주위가 요구된다. 이를 테면, 적외선 온도계는 전기적인 접지가 필요하며, 센싱헤드(sensing head), 광케이블, 인디케이터(indicator) 등이 과열되지 않도록 주위온도를 살펴야만 하며, 앞서 언급한 바처럼 장애물에 가리지 않도록 설치가 되어야만 한다.
또한, 적외선 온도계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빔의 적외선투과율은 주위의 조건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를 테면, 배전반과 같은 밀폐된 환경에서의 변화하는 습도, 먼지, 비산 등은 적외선투과율에 많은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배전반내부의 대기 상태에서 적외선 빔의 투과율은 매질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배전반내의 습도, 먼지, 비산 등의 변화에 따라 온도측정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각상별로 전류가 흐르는 모선온도, 접촉자온도, 부하단자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만약 3상(R, S, T)이라면 총 9개 이상의 적외선 온도계가 각 부위의 온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각 부위별로 배치시켜야 하나, 앞서 기술한 바처럼 배전반에 각 부위에 적외선 온도계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작업이 난해하며 또한 설치상의 어려움 또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는, 검사자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부위에 적외선 온도계로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나, 이러한 측정방법 모두가 번거롭고 배전반내에 온도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적절한 수단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배전반내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 가능한 광화이버를 이용한 온도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배전반 내부의 환경으로 인한 온도측정 대상부위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투과율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서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온도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각 부위의 온도를 순차적 스캔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온도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반의 다수의 각상별 대상부위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용하여 각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위에 부착되는 접촉홀더와 상기 대상부위에서 상기 접촉홀더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접촉식 광화이버가 포함된 다수의 광화이버장치; 상기 다수의 광화이퍼장치의 광화이버를 통해 이동된 적외선 빔을 각각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다수의 적외선센서부가 구성된 수광부;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를 스캔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각각의 적외선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합제어하는 전자식 컨트롤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를 제시한다.
상기 접촉홀더는 내부에 밀폐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형 공간으로 상기 광화이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는, 다수의 클럭펄스에 식별주파수를 부여하면서 클럭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부여되는 클럭펄스의 식별주파수가 저장되며,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이 기저장되는 메모리부; 식별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클럭펄스를 순차적으로 송출시키는 클럭발진부; 상기 클럭발진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수광부의 각각의 적외선센서부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제 1멀티플렉서; 상기 클럭발진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의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A/D 변환하는 ADC; 상기 ADC를 통해 출력되는 각상별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을 통해 각상별 온도의 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제 2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 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상별 전류흐름을 처리하는 출력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부에는, 상기 광화이버로부터 적외선 빔을 수신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일정전압까지 축적하는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 의해 축적된 일정전압을 증폭시키는 차동증폭기; 상기 차동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증폭시키는 전압증폭기; 상기 전압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를 통해 출력되는 클럭펄스를 모두 수신하면서 상기 클럭펄스의 펄스폭만큼의 시간동안 출력을 발생시키고 리셋시키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전압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완충시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각상별 신호의 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링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 있어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광화이버장치를 통해 배전반내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면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광화이버장치의 접촉홀더를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에 내장설치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배전반 내부의 환경으로 인한 온도측정 대상부위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투과율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서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온도제어기는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각 부위의 온도를 순차적 스캔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측정하여 각상별 온도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측정부위별로 적외선온도계를 설치하여야만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부위에 장착된 광화이버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각상별 대상부위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스캔하기 위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제어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제어기에 구성된 적외선센서부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부위에 장착된 광화이버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는 각상의 전류가 흐르는 접촉자부위, 다시 말해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스바를 포함한 모든 물체에는 미세하지만 적외선이 방사된다.
배전반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의 측정대상부위는 각상(R, S, T)별 전류가 흐르는 모선부위, 접촉자부위, 부하단자부위로 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위마다 규격으로 허용온도가 다르게 정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부스바의 경우 동재질의 부스바의 허용온도 한도는 배전반의 주위온도와의 차이가 35℃ 이상인 경우이며, 은도금된 부스바의 경우는 배전반의 주위온도와의 차이가 65℃ 이상인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배전반의 주위온도의 경우는 배전반의 판넬이나 크래들부위 등의 온도로서 정해질 수 있다.
도시된 부스바 등의 대상부위에 장착되는 광화이버장치(100)는 크게 접촉홀더(120)와 광화이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처럼, 상기 부스바에 나사태핑처리를 하면서, 마찬가지로 상기 광화이버장치의 접촉홀더(120)에 접촉나사(120a)를 장착시키면서 서로 끼워서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홀더(120a)는 바람직하게는 내부를 밀폐형 공간이 형성된 캡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형 공간으로 상기 광화이버(140)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에 전기가 통전되면 발열이 되고, 발열이 되면서 접촉홀더(120)의 접촉나사(120a)에는 발열된 열이 전도된다. 이에 접촉홀더(120)의 접촉나사(120a)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은 상기 광화이버장치(100)의 광파이버(140)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 광화이버장치(100)를 대상부위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배전반내의 장애물의 영향으로 대상부위로의 적외선의 송수신이 어려웠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대상부위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직접 대상부위에 접촉된 접촉홀더(120)에서 광화이버(140)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환경, 이를 테면 온도, 습도, 먼지 등으로 인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의 투과율 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각상별 대상부위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스캔하기 위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제어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수광부(200)는 상기 광화이버장치(100)의 광화이버(140)를 통해 이동된 적외선 빔이 수신되어 신호처리되는 적외선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광화이버장치(100)는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별로 설치되므로, 결국 수광부(200)는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수와 배전반 주위온도의 측정부위를 합친 수만큼의 적외선센서부(210)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전자식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광부(200)를 이루는 다수의 적외선센서부(210)를 스캔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각각의 적외선 센서부(21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합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300)에는 다수의 클럭펄스에 식별주파수를 부여하면서 클럭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310)가 구성된다.
도시된 메모리부(320)에는 상기 제어부(310)에서 부여되는 클럭펄스의 식별주파수가 저장되며,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이 기저장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모선부위, 접촉자부위, 부하단자부위마다 규격으로 허용온도가 다르게 정해지는데, 이러한 정보는 미리 메모리부(320)에 저장이 되어 제어부(310)의 통제하에 연산부(330)에서 각상별 대상부위의 온도상태를 파악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제어부(310)에서 부여되는 식별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클럭펄스는 클럭발진부(3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다.
상기 클럭발진부(3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제 1멀티플렉서(350)에서 수신하여 상기 수광부(200)의 각각의 적외선센서부(21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멀티플렉서(350)는 칩셀렉터 또는 선택 스위칭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광부(200)의 각각의 적외선센서부(21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디멀티플렉서(360)는 상기 클럭발진부(3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210)의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360)를 통해 출력되는 각상별 대상부위의 신호는 ADC(370, Analog-Digital Converter)를 통해 신호를 A/D 변환되고, 도시된 연산부(330)에서 상기 ADC(370)를 통해 출력되는 각상별 대상부위의 신호를 스캔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산처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산부(330)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과 클럭펄스의 식별주파수를 통해 각상별 온도의 상태를 주위온도와 비교하면서 판단하여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시간별, 날짜별로 각상별 온도의 상태를 메모리부(32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제 2멀티플렉서(380)는 상기 제어부(3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내부 칩이 스위칭 되면서 상기 연산부(330)에서 출력되는 각상별 온도상태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도시된 출력장치부(390)는 상기 제 2멀티플렉서(38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상별 전류흐름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를 테면 각상별 대상부위에 각각 설정된 기준설정온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각상별 릴레이를 구동시키고 각상별 LED가 동작되도록 처리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컨트롤러(300)에는, 상기 연산부(330)에서 출력되는 각상별 온도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과전류나 지락전류 등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한 경우 무조건 부하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현재의 각상별 온도상태를 알림으로써, 사용자는 주어진 상황에서 더욱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배전반에 설비되는 온도제어기는 배전반의 각상별 온도측정 대상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각 부위의 온도를 순차적 스캔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측정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경우처럼 온도측정 대상부위별로 별도의 적외선 온도계를 설치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제어기에 구성된 적외선센서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수광부(200)의 각각의 적외선센서부(210)에는 상기 광화이버(140)로부터 적외선 빔을 수신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신부(210a)가 구성된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수신부(210a)에 수신되는 적외선 빔을 통해 발생되는 전압은 매우 미세한 정도여서 상기 수신부(210a)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일정전압까지 축적하기 위한 콘덴서(210b)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덴서(210b)에 의해 일정전압이 축적이 되면, 도시된 차동증폭기(210c)를 통해 이를 증폭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차동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전압증폭기(210d)를 통해 신호처리가 가능한 정도의 전압으로 증폭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타이머(210e)는 상기 전압증폭기(210d)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350)를 통해 출력되는 클럭펄스를 모두 수신하면서 상기 클럭펄스의 펄스폭만큼의 시간동안 출력을 발생시키고 리셋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타이머(210e)는 상기 전압증폭기(210d)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제1멀티플렉서(350)를 통해 출력되는 클럭펄스 신호가 모두 High 상태일 때만 출력을 하게 되면서 해당 적외선센서부를 구동하게 되며, 구동시간은 상기 클럭펄스의 펄스폭만큼의 시간동안 구동되고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수광부(200)의 다른 적외선센서부도 상기 클럭펄스의 펄스폭만큼의 시간을 주기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버퍼(210f)는 상기 타이머(210e)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전압증폭기(210d)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완충시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광화이버장치 120: 접촉홀더
120a: 접촉나사 140: 광화이버
200: 수광부 210: 적외선센서부
210a: 수신부 210b: 콘덴서
210c: 차동증폭기 210d: 전압증폭기
210e: 타이머 210f: 버퍼
300: 전자식 컨트롤러 310: 제어부
320: 메모리부 330: 연산부
340: 클럭발진부 350: 제 1멀티플렉서
360: 디멀티플렉서 370: ADC
380: 제 2멀티플렉서 390: 출력장치부

Claims (5)

  1. 배전반의 다수의 각상별 대상부위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용하여 각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위에 부착되는 접촉홀더와 상기 대상부위에서 상기 접촉홀더로 방사되는 적외선 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접촉식 광화이버가 포함된 다수의 광화이버장치;
    상기 다수의 광화이퍼장치의 광화이버를 통해 이동된 적외선 빔을 각각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다수의 적외선센서부가 구성된 수광부;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를 스캔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각각의 적외선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합제어하도록,
    다수의 클럭펄스에 식별주파수를 부여하면서 클럭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부여되는 클럭펄스의 식별주파수가 저장되며,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이 기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식별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클럭펄스를 순차적으로 송출시키는 클럭발진부와, 상기 클럭발진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수광부의 각각의 적외선센서부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제 1멀티플렉서와, 상기 클럭발진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클럭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센서부의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A/D 변환하는 ADC와 상기 ADC를 통해 출력되는 각상별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상별 대상부위의 기준설정온도값을 통해 각상별 온도의 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제 2멀티플렉서와 상기 제 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상별 전류흐름을 처리하는 출력장치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홀더는 내부에 밀폐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형 공간으로 상기 광화이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센서부에는,
    상기 광화이버로부터 적외선 빔을 수신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일정전압까지 축적하는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 의해 축적된 일정전압을 증폭시키는 차동증폭기;
    상기 차동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증폭시키는 전압증폭기;
    상기 전압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를 통해 출력되는 클럭펄스를 모두 수신하면서 상기 클럭펄스의 펄스폭만큼의 시간동안 출력을 발생시키고 리셋시키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전압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완충시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각상별 신호의 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링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5. 삭제
KR1020100075428A 2010-08-05 2010-08-05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KR10101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28A KR101013062B1 (ko) 2010-08-05 2010-08-05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28A KR101013062B1 (ko) 2010-08-05 2010-08-05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062B1 true KR101013062B1 (ko) 2011-02-14

Family

ID=4377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28A KR101013062B1 (ko) 2010-08-05 2010-08-05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23B1 (ko) 2012-03-07 2012-08-09 한선화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 및 원격 자동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7A (ja) * 1995-10-30 1997-05-16 Toshiba Corp 閉鎖配電盤内自動点検システム
KR20030084041A (ko) * 2002-04-24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나노라미네이트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절연막및 그의 형성방법
KR200384041Y1 (ko) 2005-02-04 2005-05-11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100763648B1 (ko) 2006-04-11 2007-10-05 오석환 과열 감시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0931992B1 (ko) * 2009-02-11 2009-12-14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 열화 및 이상 온도를 자기 진단하는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7A (ja) * 1995-10-30 1997-05-16 Toshiba Corp 閉鎖配電盤内自動点検システム
KR20030084041A (ko) * 2002-04-24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나노라미네이트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절연막및 그의 형성방법
KR200384041Y1 (ko) 2005-02-04 2005-05-11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100763648B1 (ko) 2006-04-11 2007-10-05 오석환 과열 감시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0931992B1 (ko) * 2009-02-11 2009-12-14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 열화 및 이상 온도를 자기 진단하는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23B1 (ko) 2012-03-07 2012-08-09 한선화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 및 원격 자동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904B2 (en) Arc flash protection system with self-test
US7744275B2 (en) Optical fiber temperature sensing device
KR100804128B1 (ko) 배전반의 비접촉 열화감지시스템
US8735798B2 (en) Electro-optical radiation collector for arc flash detection
US20110267598A1 (en) Optical sensor system and detecting method for an enclosed semiconductor device module
EP2632166B1 (en) System to test performance of pixels in a sensor array
US10539465B2 (en) Systems, device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at remote locations using infrared light
KR101371419B1 (ko) Saw 온도 센서를 활용한 온도 센싱 시스템
KR101499918B1 (ko) 수배전반용 광섬유 온도 열화 검출 시스템
RU25106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ческ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каналов системы встроенног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на основе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брэгговских датчиков
KR101013062B1 (ko) 광화이버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온도를 스캔방식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기
KR101734155B1 (ko) 다분할 포인트(64 픽셀포인트)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KR101879743B1 (ko) 온도 및 결로 검출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KR101114551B1 (ko) 비접촉 온도 감시 장치
RU137374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KR102364021B1 (ko) 전기설비용 화재 감지 경보장치
CN209310943U (zh) 温度跳变光纤开关以及温度跳变光纤开关系统
JP3370598B2 (ja) 火災警報装置
US20130175434A1 (en) Indicator testing system
JP2008008886A (ja) 光ファイバ式温度センサ装置
KR101465787B1 (ko) 광감지 위치 추적형 광섬유 라인 센서 및 그 외부광 입사위치 산출방법
KR102561859B1 (ko) 수배전반의 열화에 대한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KR19990028441U (ko) 차단기의 온도감지 및 자동트립장치
JPH09130927A (ja) 閉鎖配電盤内自動点検システム
RU49387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уговой защиты радиального типа комплектных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одстанций 0,4-35 к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