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353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353B1
KR101012353B1 KR1020030016438A KR20030016438A KR101012353B1 KR 101012353 B1 KR101012353 B1 KR 101012353B1 KR 1020030016438 A KR1020030016438 A KR 1020030016438A KR 20030016438 A KR20030016438 A KR 20030016438A KR 101012353 B1 KR101012353 B1 KR 10101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program
pts
dts
video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034A (ko
Inventor
배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시퀀스의 유저 데이터(User Data)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함으로써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선택 시청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램 키워드 저장부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의해 프로그램 단위의 키워드를 저장 출력한다. 키워드 입력부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의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는 입력된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저장한다. 채널 제어부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로 검색 및 시청이 가능하도록 채널 제어를 한다. PTS/DTS 생성부는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에 의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서 PTS(Presentation Time Stamp) 및 DTS(Decoding Time Stamp) 정보를 바꾸고, 저장 매체는 PTS 및 DTS 정보를 저장한다.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PTS, DTS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broadcast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레벨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구성도
도 3은 유저 데이터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하는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PTS/DTS 생성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역다중화부 12. 프로그램 키워드 저장부
13. 채널 제어부 14. 디스플레이부
15. 키워드 입력부 16. 저장 매체
17.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 18. PTS/DTS 생성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시퀀스의 유저 데이터(User Data)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함으로써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선택 시청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티브이 방송에서는 시청자에게 좀더 나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 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 외에 부가적으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SI)를 전송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이러한 부가 정보(SI)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현재 방송하고 있는 서비스와 이벤트(event) 정보(=희망 프로그램)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의 방법으로 보여주고 또한, 서비스간 또는 이벤트간 네비게이션(navigation)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시청자는 신문이나 다른 안내 매체 없이 화면상에서 직접 검색하면서 전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현재 수신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는 트랜스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형태의 데이터로 입력되면, TS 형태의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서비스정보(SI)를 추출한다.
이때, TS내에 들어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은 A/V 디코더에서 시청가능하도록 디코딩되어 화면 및 스피커로 출력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장르등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블록에서 추출된 SI로부터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장르가 뉴스, 드라마, 스포츠, 영화, 쇼, 오락등의 여러 장르들중 어느 장르에 속하는 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정보는 화면상의 적정 위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시청중인 방송프로그램의 장르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키워드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각 방송 규격의 서비스 정보 테이블(Service Information Table)을 이용하여, 각 프로그램 구성 요소들의 특 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의 장르나 등장 인물 등을 부가 정보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일부 요소를 시청하고자 할 때,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시청한다면, 원하는 장면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예를 들어, 뉴스 프로그램에서 아시안 게임의 북한 응원단에 대한 뉴스를 보고자 하여, 이전의 키워드 검색 방법으로 어떤 뉴스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그것을 시청한다면 언제 나올지 모르는 북한 응원단을 위해 전체 뉴스를 계속 시청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 시퀀스의 유저 데이터(User Data)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함으로써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선택 시청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의해 프로그램 단위의 키워드를 저장 출력하는 프로그램 키워드 저장부;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의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입력받는 키워드 입력부; 상기 입력된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저장하는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 상기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로 검색 및 시청이 가능하도록 채널 제어를 하는 채널 제어부; 상기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에 의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서 PTS(Presentation Time Stamp) 및 DTS(Decoding Time Stamp) 정보를 바꾸는 PTS/DTS 생성부; 및 상기 PTS 및 DTS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는 비디오 시퀀스 또는 비디오 GOP(Group of Picture)이고,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는 상기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가 삽입된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구조는 시퀀스 헤더 영역, 시퀀스 확장 영역, 키워드가 삽입되는 시퀀스 헤더에 따른 유저 데이터 영역(Extension & User)이 위치하고, GOP 헤더(Group of Pictures) 영역,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가 삽입되는 GOP 헤더에 따른 유저 데이터 영역, 픽쳐 헤더 영역, 픽쳐 확장 코딩 영역, 픽쳐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상기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가 삽입되어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 단위에 삽입된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들어있는 채널로 이동하도록 채널 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이하에서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레벨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키워드 삽입을 하나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프로그램 구성요소 단위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구성요소 단위는 예로 비디오 시퀀스 (Video Sequence) 또는 비디오 GOP(Group of Pictures) 단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MPEG-2 비디오 표준을 구성하는 유저 데이터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하고 수신기에서 규정된 유저 데이터 필드를 해석하고 키워드를 해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해독한 키워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비교하는 방법과 키워드가 정합될 때 시청을 위해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또는 키워드가 정합될 때 저장을 위해 DTS, PTS 정보를 생성하고 삽입하여 저장 매체로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복호화하고 선택된 채널을 보여주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역다중화부(11)와, 프로그램 가이드 엔진을 저장하고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의해 일반적인 프로그램 단위의 키워드를 저장 출력하는 프로그램 키워드 저장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처리를 위한 구성으로,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워드 입력부(15)와,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채널 제어를 위한 채널 제어부(14)와, 각 프로그램에서 키워드에 의해 떼어낸 프로그램 요소를 합하여 또 다른 사용자만의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장되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정보를 바꾸는 PTS/DTS 생성부(18)와, PTS/DTS 생성부(18)의 PTS,DTS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16)와, 비디오 시퀀스, 즉 프로그램 구성요소 또는 비디오 장면 단위로 삽입되는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저장하는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1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키워드 선택 프로그램 요소를 시청하고자 할 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키워드 입력부(15)에서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가 입력되면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17)는 입력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해당 키워드가 있는지 검색한다.
여기서, 비디오 시퀀스 저장부(17)는 간단한 레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고 비교기를 이용하여 입력 비디오 스트림의 키워드와 비교된다. 또한 입력 비디오 스트림은 수신된 방송 신호의 비디오 스트림을 말한다.
입력 비디오 스트림은 1차적으로 프로그램 키워드 저장부(12)에 의해 필터링 된다.
그리고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17)의 키워드와 입력 비디오 스트림의 키워드가 동일하게 되면, 해당 비디오 스트림이 들어있는 채널로 이동하도록 채널 제어부(13)에서 제어하게 되고, 시청자는 이를 시청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키워드를 비디오 시퀀스 또는 비디오 GOP 단위로 삽입함으로써, 시청자는 어떤 프로그램단위의 검색이 아닌 어떤 장면이나 일련의 프로그램 요소 단위로 검색할 수 있고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방송국 A,B,C 가 동시에 뉴스를 방송하고 있는데, 시청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북한 응원단의 모습을 제각기 다른 시간에 편집하였다면, 시청자는 채널을 이동해가며 북한 응원단의 모습을 찾을 필요 없이, 키워드(ex>북한 응원단)를 입력해 놓으면 자동으로 채널이 전환되어 북한 응원단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시청자가 시청할 수 없는 시간에 키워드를 입력하였을 때, 각각 키워드에 해당하는 방송 장면들, 혹은 프로그램 구성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저장, 편집하여 나만의 방송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청할 수 없는 시간에 연예인 장나라가 출연한 모든 프로그램 장면들을 모아두고 싶다면, 키워드 입력으로 프로그램 장면을 검색할 수 있고, 시스템의 DTS, PTS 생성부(18)와 저장 매체(16)를 이용하여 나만의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키워드 선택 프로그램 요 소를 편집/저장 하고자 할 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유저 데이터 필드에 키워드를 삽입하는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PTS/DTS 생성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키워드 삽입은 전체 프로그램단위의 키워드가 아닌 비디오 시퀀스, 즉 프로그램 구성요소 또는 비디오 장면 단위로 삽입하고, 시스템 정보 테이블이 아닌 비디오 시퀀스내의 유저 데이터 필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키워드 분석 및 프로그램 가이드의 상호 동작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채널이 변환되고, 키워드에 정합되는 각 프로그램 요소들을 PTS, DTS 생성기에 거쳐 저장 매체에 저장함으로써 나만의 프로그램으로 편집 가능하다.
송신부에서는 수신부와 맺어진 규약에 의해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를 삽입하는데,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삽입 부분은 MPEG 2 비디오 규격(ISO/IEC-13818-2)에 정의되어 있는 유저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를 사용한다.
현재 각 디지털 방송 규격에서 유저 데이터 필드는 캡션 데이터들에 대한 정의만이 되어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키워드 삽입에 관한 정의를 추가한다.
도 2에서와 같은 비디오 비트스트림 구성에서 키워드가 필요한 GOP 또는 시퀀스 헤더(Sequence Header)에 따른 유저 데이터 필드에 도 3에서와 같이 키워드를 삽입한다.
비디오 비트 스트림(High level video bit stream) 구조는 시퀀스 헤더 영 역,시퀀스 확장(Sequence extension) 영역 그리고 키워드가 삽입되는 시퀀스 헤더에 따른 유저 데이터 영역(Extension & User)이 위치하고, GOP 헤더(Group of Pictures) 영역, 키워드가 삽입되는 GOP 헤더에 따른 유저 데이터 영역, 픽쳐 헤더 영역,픽쳐 확장 코딩 영역, 픽쳐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키워드는 한글인 경우 1글자당 2byte, 영문인 경우 1글자당 1byte이므로, Closed 캡션 규격에 나온 전송 용량에 만족하는 범위의 문자 개수를 삽입할 수 있지만, 키워드의 특성에 의해 차지하는 길이는 크지 않아 무리 없이 삽입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선택된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PES(Packet Elementary Stream)단위로 저장할 때에는 비디오 시퀀스 키워드 저장부(17)에서 입력 비디오 스트림의 키워드와 비교하는 과정까지는 같다. 차이점은 저장할 시점에서 각 프로그램에서 키워드에 의해 떼어낸 프로그램 요소를 합하여 또 다른 사용자만의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과정이므로, 저장되는 PTS, DTS 정보를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PTS/DTS 생성부(18)에서는 처음 초기값으로 지정된 PTS/DTS 값으로부터 시작하여 STC(System Time Clock)값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PTS/DTS 값을 생성하고, 원래 프로그램 구성 요소가 가지고 있던 PTS/DTS 값은 저장될 때 무시된다.
여기서, 새로운 PTS/DTS값의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키워드 정합된 첫 번째 프로그램 구성요소 A에 대해서는 PTS/DTS 생성부(18)의 초기값을 이용하고 현재 STC값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후 프로그램 구성요소 A내에서는 원래의 PTS/DTS 증가분 만큼, PTS/DTS 생 성기의 값을 증가시켜 대체한다. 다른 프로그램 구성요소 B를 A에 연속적으로 저장할 때에는, 멈춰있던 PTS/DTS 생성부(18)의 값을 그대로 이용하고 마찬가지고 프로그램 구성요소 B내에서는 원래의 PTS/DTS 증가분 만큼을 PTS/DTS 생성부(18)에 적용한다.
구성 요소 중간에 원래의 PTS/DTS 값이 없거나 모호한 경우에는 STC값을 이용하여 카운팅한 값을 PTS/DTS 생성부(18)에 적용한다.
만약, 해당되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값을 생성하고자 할 때에는, 저장되는 PTS/DTS에 대해 이전의 방법을 그대로 이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 또는 비디오 장면을 시청하기 위해 전체 프로그램을 시청하며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줄이고, 각 프로그램 구성요소 또는 비디오 장면을 모아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편집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프로그램 단위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 그 프로그램 내에서의 특정 프로그램 구성 요소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오랜 시간 그 구성 요소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어떤 특정 키워드로 프로그램 구성 요소들을 스크랩하여 또 다른 프로그램으로 편집하고자 할 때, 특정 구성요소를 빠르게 검색하고 시청하지 않고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특정 키워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편집/저장할 때에 충돌할 수 있는 PTS/DTS 문제를 간단한 카운터로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방송 프로그램의 특정 장면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의 특정 영역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키워드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검색 키워드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비디오 데이터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검색 키워드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
    상기 제 2 저장부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 검색 키워드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검색 키워드와 동일할 경우, 상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방송 프로그램의 장면들의 PTS(Presentation Time Stamp) 및 DTS(Decoding Time Stamp) 정보를 생성하는 PTS/DTS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PTS/DT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방송 프로그램의 장면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편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16438A 2003-03-17 2003-03-17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01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438A KR101012353B1 (ko) 2003-03-17 2003-03-17 디지털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438A KR101012353B1 (ko) 2003-03-17 2003-03-17 디지털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34A KR20040082034A (ko) 2004-09-24
KR101012353B1 true KR101012353B1 (ko) 2011-02-09

Family

ID=3736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438A KR101012353B1 (ko) 2003-03-17 2003-03-17 디지털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3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825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디지털 방송의 a/v와 데이터 스트림의 저장 및 검색 방법
US20010053271A1 (en) 1995-12-15 2001-12-20 Hitachi, Ltd. Video captur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3271A1 (en) 1995-12-15 2001-12-20 Hitachi, Ltd. Video capture device
KR20010059825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디지털 방송의 a/v와 데이터 스트림의 저장 및 검색 방법
KR100323707B1 (ko) 1999-12-30 2002-02-07 구자홍 디지털 방송의 a/v와 데이터 스트림의 저장 및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34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ideo indexing between audio/video signal and data
KR101289267B1 (ko) 방송통신시스템에서 dtv 자막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50144637A1 (en) Signal output method and channel selecting apparatus
KR100998899B1 (ko) 썸네일 영상 서비스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265625B1 (ko) 멀티 채널을 정의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2835B1 (ko) 캡션 정보의 출력시점 및 출력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방법및 그 장치
KR100711608B1 (ko) 홈단말에서 실시간 필터링된 방송 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335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10138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gram summary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ing content, method of providing program summary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ing content, and broadcasting receiver
KR20060075843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5639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209063A1 (en) Digital receiver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in digital receiver
US6993789B1 (en) DTV data service application and receiver mechanism
KR100848721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183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program information
KR100807101B1 (ko) 디지털 영상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정보 제공 장치,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123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3569441B2 (ja) 類似番組検索装置、類似番組検索方法および類似番組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4193673A (ja) 受信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34826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비디오 편집 방법
KR100791175B1 (ko)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한 예약녹화방법
JP2007150734A (ja) 電子番組ガイドを備えた受信装置
JP2005057523A (ja) 番組付加情報抽出装置、番組表示装置および番組記録装置
KR100323707B1 (ko) 디지털 방송의 a/v와 데이터 스트림의 저장 및 검색 방법
EP3554092A1 (en) Video system with improved capti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