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144B1 -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144B1
KR101012144B1 KR1020080098848A KR20080098848A KR101012144B1 KR 101012144 B1 KR101012144 B1 KR 101012144B1 KR 1020080098848 A KR1020080098848 A KR 1020080098848A KR 20080098848 A KR20080098848 A KR 20080098848A KR 101012144 B1 KR101012144 B1 KR 10101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needle
needle extract
charcoal
pi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765A (ko
Inventor
김명선
Original Assignee
김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filed Critical 김명선
Priority to KR102008009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1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튼치트(phytoncide) 성분이 다량 함침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참숯에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참숯의 미세한 세공에 함유된 솔잎 엑기스의 피튼치트(phytoncide) 향을 서서히 발산시킴으로써, 고기를 굽는 고체연료로 사용시 참숯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지않고 고기에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쉽게 스며들어 고기의 맛이 좋아지고, 또한 장식용 방향제로의 사용시에도 참숯의 원적외선 발산과 함께 신선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발산이 촉진되어 실내 공기를 상쾌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솔잎 엑기스, 참숯, 글리세린, 에탄올, 침지, 함침

Description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Hardwood charcoal contained Pine needle essen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튼치트(phytoncide) 성분이 다량 함유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참숯에 함침시켜 참숯으로부터 천연향인 피튼치트 향이 서서히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고체연료 또는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잎의 효능은 옛부터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솔잎을 김에 쪄서 말렸다가 가루로 만들어 떡을 빚어 먹기도 했는데 이것은 고혈압, 동맥경화증 또는 중풍 예방, 특히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솔잎의 정유(精油) 성분에는 식물들이 외부의 유해한 병충해로부터 피해를 입지않도록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항균력이 있는 성분인 피튼치트(phytoncide)를 함유하고 있다.
이와같은 효능을 갖는 솔잎은 엑기스로 추출된 후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솔잎 엑기스의 추출방법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94-0004562호, 공개특허공보 제1998-000017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352268호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추출되고, 이렇게 추출된 솔잎 엑기스를 이용하여 개발된 특허로는 주로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6956호와 같이 음료용이나 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536086-0000호와 같이 건강보조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솔잎 엑기스를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참숯에 적용시켜 고체연료, 방향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함유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참숯에 함침시켜 참숯의 미세한 세공에 함침된 솔잎 엑기스의 피튼치트(phytoncide) 향을 서서히 발산시킴으로써, 고기를 굽는 고체연료로 사용시 참숯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지않고 고기에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쉽게 스며들어 고기의 맛이 좋아지고, 또한 방향제로의 사용시에도 참숯의 원적외선 발산과 함께 신선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발산이 촉진되어 실내 공기를 상쾌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을 그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솔잎 엑기스에 인체에 무해한 식품첨가제인 글리세린을 소량 함유시킴으로써 솔잎 엑기스에 함유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참숯 85~95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15 중량부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단.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은 솔잎 엑기스 100 중량부에 글리세린 1~3 중량부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솔잎 엑기스를 추출하는 공정(100)과;
솔잎 엑기스에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200) 및;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에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함침시키는 공정(300);
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식품첨가제인 글리세린을 함유시킨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참숯에 함침시켜 참숯의 미세한 세공에 함침된 솔잎 엑기스의 신선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서서히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고체연료로 사용시 참숯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지않고 고기에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쉽게 스며들어 고기의 맛이 좋아지고, 또한 장식용 방향제로의 사용시에도 참숯의 원적외선 발산과 함께 신선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발산이 촉진되어 실내 공기를 상쾌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참숯 85~95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15 중량부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참숯은 미세한 세공이 다량 형성되어 있어 솔잎 엑기스를 함침시키는 양이 많으며, 또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므로 고체연료로 사용시에 고기가 잘 타지 않으며, 장식용 방향제로 사용시에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참숯에 함침된 솔잎 엑기스는 고기를 굽는 고체연료로 사용시 발산되는 피튼치트(phytoncide) 향에 의해 고기의 맛을 내거나, 장식용 방향제로 사용시에 항균력이 있는 성분인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발산에 의해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솔잎 엑기스의 양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참숯에 함침된 솔잎 엑기스의 양이 적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효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솔잎 엑기스의 양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참숯에 솔잎 엑기스가 과량 함유됨에 따라 참숯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은 솔잎 엑기스 97~99 부피%에 글리세린 1~3 부피%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솔잎 엑기스에 함유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급속하게 발산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인체에 무해한 식품첨가제로서, 글리세린의 혼합량이 1 부피% 미만이 될 경우에는 참숯으로부터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급속하게 발산할 우려가 있고, 글리세린의 혼합량이 3 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글리세린이 과량 혼합됨에 따라 참숯으로부터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제대로 발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솔잎 65~75 중량%과 에탄올 25~3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30~45 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솔잎의 혼합량이 6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솔잎 엑기스의 농도가 묽어져 비경제적인 추출방법이 될 우려가 있고, 솔잎의 혼합량이 7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솔잎 혼합량에 비해 에탄올 용매의 혼합량이 부족하여 솔잎으로부터 솔잎 엑기스가 충분히 우려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솔잎 엑기스 추출 공정시 방치기간이 30일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솔이으로부터 솔잎 엑기스가 충분히 우려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45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추출기간이 너무 길어 비경제적인 추출방법이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서 도 1은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은 솔잎 엑기스를 추출하는 공정(100)과; 솔잎 엑기스에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200) 및;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에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함침시키는 공정(300);
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상세히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상기 솔잎 엑기스 추출 공정(100)은 솔잎 엑기스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솔잎 65~75 중량%과 에탄올 25~3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30~45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솔잎 엑기스는 다량의 피튼치트(phytoncide) 성분과 함께 다량의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참숯에 함침시킬 경우에는 에탄올의 휘발력에 의해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서서히 발산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 제조 공정(200)은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솔잎 엑기스 97~99 부피%에 글리세린 1~3 부피%를 혼합시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 함침 공정(300)은 솔잎 엑기스 혼합물에 참숯을 10~30분간 침지시켜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15 중량부가 함침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침지시간이 10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참숯에 솔잎 엑기스가 충분히 함침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침지시간이 3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참숯에 과량의 솔잎 엑기스가 함침되어 참숯의 외관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솔잎 엑기스가 함침된 참숯은 원적외선과 피튼치트(phytoncide) 향이 발산되므로 고기를 굽기 위한 고체연료나 또는 장식용 방향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엑기스가 함유된 참숯의 제조방법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솔잎 엑기스가 함유된 참숯의 제조
(실시예 1)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솔잎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5~1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65 중량%과 에탄올 3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30 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한 솔잎 엑기스 99 부피%에 글리세린 1 부피%를 혼합시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15 중량부를 함침시켜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솔잎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5~1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75 중량%과 에탄올 2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45 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한 솔잎 엑기스 97 부피%에 글리세린 3 부피%를 혼합시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 중량부를 함침시켜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제조하되, 단 솔잎 엑기스 99.5 부피%에 글리세린 0.5 부피%를 혼합시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제조하되, 단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3 중량부를 함침시켜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을 제조하였다.
2. 솔잎 엑기스가 함유된 참숯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시료를 이용하여 쇠고기를 구워서 건장한 성인 남녀 각 5명씩이 시식한 결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시료를 이용하 여 구운 쇠고기는 참숯으로부터 발산된 원적외선과 피튼치트(phytoncide) 향에 의해 고기의 맛이 산뜻하고 맛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비해 맛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시료를 각각 2×2×2m의 실내 공간에 두고, 22±1℃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개월 후 및 2개월 후의 실내공기를 건장한 성인 남녀 각 5명씩이 평가한 결과, 실시예 1, 2의 경우에는 1개월 후 및 2개월 후의 실내 공기가 피튼치트(phytoncide) 향에 의해 쾌적함을 유지한데 반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1개월 후에는 실내 공기가 실시예 1, 2와 동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2개월 후에는 비교예 1, 2 모두 실시예 1, 2에 비해 실내공기의 쾌적함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솔잎 엑기스에 글리세린이 소량 함유됨에 따라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발산속도를 억제하지 못해 초기에는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나 2개월 후에는 급속하게 발산된 피튼치트(phytoncide) 향의 함침량이 적어짐에 따라 그 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참숯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의 혼합량이 적음에 따라 실시예 1, 2에 비해 그 효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시료는 고체연료 및 장식용 방향제로서의 용도로 적합한 것이 확인되어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15 중량부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은 솔잎 엑기스 97~99 부피%에 글리세린 1~3 부피%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엑기스는 솔잎 65~75 중량%과 에탄올 25~3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30~45 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
  4. 솔잎 엑기스를 추출하는 공정(100)과;
    솔잎 엑기스에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200) 및;
    그리고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에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함침시키는 공정(300);
    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엑기스를 추출하는 공정(100)은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솔잎 65~75 중량%과 에탄올 25~35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 다음 30~45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여액을 여과지에 걸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 제조 공정(200)은 솔잎 엑기스 97~99 부피%에 글리세린 1~3 부피%를 혼합시켜 솔잎 엑기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엑기스 혼합물 함침 공정(300)은 솔잎 엑기스 혼합물에 참숯을 10~30분간 침지시켜 참숯 100 중량부에 솔잎 엑기스 혼합물 5~15 중량부가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 함유 참숯의 제조방법.
KR1020080098848A 2008-10-08 2008-10-08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848A KR101012144B1 (ko) 2008-10-08 2008-10-08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848A KR101012144B1 (ko) 2008-10-08 2008-10-08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765A KR20100039765A (ko) 2010-04-16
KR101012144B1 true KR101012144B1 (ko) 2011-02-07

Family

ID=4221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848A KR101012144B1 (ko) 2008-10-08 2008-10-08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1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05A (ko) * 1998-06-30 2000-01-25 이상태 기능성 흙벽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05A (ko) * 1998-06-30 2000-01-25 이상태 기능성 흙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765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632B2 (ja) 緑茶を主成分とする煙草代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68724B1 (ko) 요리용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0887A (ko) 편백나무 잎과 기능성 물질이 혼합 초지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9953369A (zh) 一种沉香香烟的制备方法
CN105660815B (zh) 一种腊肉熏烤用熏料
CN107805940A (zh) 纺织品的防螨整理方法
CN207803436U (zh) 一种含有爆珠的加热不燃烧卷烟烟支
KR20180068236A (ko) 전자담배용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14725B (zh) 一种干迷迭香叶腊肉、腊鱼的制备方法
CN107158439A (zh) 环保炭香及其制作方法
KR100880792B1 (ko) 식품 조리용 기름 흡착 시트
KR101012144B1 (ko) 솔잎 엑기스 함침 참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9152417B (zh) 非燃烧型加热吸烟物品用的烟草填充物
CN104026727A (zh) 一种新型槟榔型嚼烟制品
CN103126050A (zh) 一种利用玫瑰与薄荷改善烟叶品质的烤烟方法
CN105638768A (zh) 一种含曼陀罗成分的蝇类薰杀香及其生产方法
KR102575957B1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125027A (zh) 一种环保香烟替代品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100827820B1 (ko) 편백정유 피톤치드 분말을 함유하는 담배필터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98888B1 (ko)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KR100920520B1 (ko) 적색 셰일을 이용한 고기냄새 제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818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3924948B2 (ja) 煙草喫味調整剤
CN1207999C (zh) 茶叶香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