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910B1 -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 Google Patents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910B1
KR101010910B1 KR1020100110874A KR20100110874A KR101010910B1 KR 101010910 B1 KR101010910 B1 KR 101010910B1 KR 1020100110874 A KR1020100110874 A KR 1020100110874A KR 20100110874 A KR20100110874 A KR 20100110874A KR 101010910 B1 KR101010910 B1 KR 10101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connector
fastening screw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0011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교량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로서, '∩'형으로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최상단에 위치하여 교량의 제1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 측부 체결나사에 의해 덮개부에 체결되되, 하부에는 제2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판상 부재로서, 몸체의 수용공간과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판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교량 케이블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필요시에 케이블의 장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연결 및 장력 조절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A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연결되는 가로측 케이블과 세로측 케이블을 T자형으로 연결하며, 케이블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으로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의 제1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 측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되되, 하부에는 제2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하천·호소·해협·만·운하·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서, 지지할 시설의 종류 및 건너야 할 것의 종류에 따라 다종다양한 다리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교량에는 케이블 등이 연결되어 하부구조물을 지탱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측 케이블과 세로측 케이블을 T자형으로 연결해야 하며, 이러한 경우 T 자형 케이블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다.
현수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가로측)과 보강거더를 주케이블에 지지하는 행어로프(세로측)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각각의 행어로프의 상단에 T 자형 케이블 연결구를 장착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T자형 케이블 연결구는 단순히 주케이블과 행어로프에 케이블 연결구를 고정 장착됨으로 인해, 교량의 케이블이 늘어나거나 죄는 경우 등 장력을 조절해주어야 하는 경우에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교량의 경우 장시간의 사용 및 인가되는 하중 등의 영향으로 인해 케이블이 초기보다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필수적으로 케이블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장력 조절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시공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높은 케이블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을 이용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교량 등의 케이블의 장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등에 적용되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의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는 케이블 연결구로서, '∩'형으로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의 제1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 측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되되, 하부에는 제2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 하면에는 상기 체결나사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나사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이 승하강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케이블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를 이루는 덮개부는 중앙에서 힌지결합되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케이블을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등에 적용되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는, '∩'형으로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의 제1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 측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되되, 하부에는 제2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교량 케이블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필요시에 케이블의 장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연결 및 장력 조절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구성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케이블 연결구를 체결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케이블 연결구를 이용하여 케이블 장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측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구성에서 덮개부부를 제거한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케이블 연결구를 체결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이고, 도 6 은 도 4 의 케이블 연결구를 이용하여 케이블 장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등에 적용되는 케이블 연결구(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덮개부(100), 승강판(200), 및 몸체(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최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적인 '∩'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00)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목표 텐션 또는 목표 강성에 따라 당업자가 상기 폭과 두께를 적의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부(100)는 중앙의 상판(110)과 양측의 측판(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상판(110)과 측판(120)은 '∩'자형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제1케이블 수용공간(130)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부(100)의 수용공간(130)에는 교량등의 구조물에 연결되는 케이블(C1)이 수용되는데, 상기 케이블은 T자형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들 중에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00) 양 측판(120)에는 측부 체결나사(400)가 관통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1 에는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케이블(C1)이 2개 마련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량의 용도, 기능 및 목표 텐션 등에 따라 케이블의 수를 달리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를 이루는 몸체(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몸체(300)는 그 상부 일부가 덮개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도록 위치한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측부 체결나사(40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300)를 상기 덮개부(100)의 양측판(1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측부 체결나사(400)는 도 1 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쌍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한 쌍 이상의 측부 체결나사(400)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3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1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310)은 몸체(300)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340)까지 연장된다. 상기 체결공(340)은 세로측 케이블(C2)을 케이블 연결구(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300) 내부에 소정 직경을 갖는 홀 형상으로 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세로측 케이블인 제2케이블(C2)을 수용한다.
여기서, 체결공(340)을 통해 몸체(3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케이블(C2)은 별도의 체결부재(350)에 의해 몸체(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300)에는, 몸체(300)의 수용공간(310)과 몸체(300)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데, 상기 관통공(320)을 통해 체결나사(330)가 결합된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몸체(3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승강판(200)의 하면에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20)을 관통하여 결합된 체결나사(300)의 상단이 상기 결합홈(210)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3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로 이루어진 나사홈이 형성되어, 체결나사(330)와 관통공(320)은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10)를 구성하는 승강판(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승강판(200)은 케이블 연결구(10)의 몸체(300)의 상부에 적층되는 판상부재로서, 그 상측에 마련되는 제1케이블(C1)을 조임과 동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케이블(C1)은 상측의 덮개부(100)와 하측의 승강판(200)에 의해 밀착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케이블 연결구(10)의 덮개부(100) 내면이 제1케이블(C1)을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덮개부(100)와 승강판(200)에 의한 제1케이블(C1)의 지지 정도를 강고히 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판(200)의 하면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210)이 마련되는데, 상기 결합홈(210)에 체결나사(330)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케이블 연결구(10)를 이루는 몸체(300)의 관통공(320)에 관통결합된 체결나사(330)는 상단 일부가 몸체(300) 상측으로 돌출되어 몸체(300) 상단에 마련된 승강판(200)의 결합홈(2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등으로 인해 케이블이 신장되어 추가적으로 텐션을 주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나사(330)를 회전시켜 승강판(200)을 승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블을 너무 조인 경우에도 체결나사(3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강판(200)을 하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측면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10)의 몸체(300)와 덮개부(100)를 고정 결합시키는 측부 체결나사(400)가 한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은 도 2 의 케이블 연결구에서 덮개부(100)를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10)의 몸체(300) 상부에 관통결합되는 체결나사(330)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케이블 연결구는 도 1 의 케이블 연결구(10)와 덮개부(100)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연결구를 이루는 덮개부(100)는 중앙에서 힌지결합되는 2개의 부재(121, 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2개의 부재를 각각 좌판(121) 및 우판(122)이라 한다면, 좌판(121)과 우판(122)은 덮개부(100)의 중앙부에서 접속되되, 힌지결합되어 중심축(14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00)는 제1케이블(C1)을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측의 케이블(C1)의 상측에는 케이블 연결구의 덮개부(100)를 위치시키고, 하측에는 케이블 연결구(10)의 몸체(300)와 그 상부에 적층되는 승강판(200)을 위치시킨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100)를 이루는 좌판(121)과 우판(122)은 힌지결합되어 중심축(14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좌판(121)과 우판(122)을 개방시켜 케이블(C1)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00)를 구성하는 좌판(121)과 우판(122)은 제1케이블(C1)을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C1)이 좌판(121)과 우판(122)의 홈에 끼워져 안정감 있게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C1)이 덮개부(100)와 승강판(200) 사이에 조립되면, 측부 체결나사(400)를 이용하여 덮개부 양 측판과 몸체(300)를 체결시킨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10)를 이용하여 텐션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T) 등을 이용하여 몸체(300)의 관통공(320)에 관통결합된 체결나사(330)를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상기 체결나사(330)의 회전에 의해 그 상부에 적층된 승강판(200)이 승하강하게 된다.
즉, 장기간 사용 또는 하중 인가등으로 인해 케이블이 신장되어 추가적으로 텐션을 주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나사(330)를 회전시켜 승강판(200)을 승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대로 케이블을 너무 조인 경우에도 체결나사(3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강판(200)을 하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력 조절을 위해 케이블 연결구를 전부 해제할 필요가 없으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케이블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어, 교량 케이블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필요시에 케이블의 장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연결 및 장력 조절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연결구 100: 덮개부
110: 상판 120: 양측판
130: 케이블 수용공간 140: 중심축
150: 결합공 200: 승강판
210: 결합홈 300: 몸체
310: 수용공간 320: 관통공
330: 체결나사 340: 체결공
350: 체결부재 400: 측부 체결나사
C1: 제1케이블 C2: 제2케이블

Claims (5)

  1. 교량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는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로서,
    '∩'형으로 절곡된 판상부재로서, 최상단에 위치하여 제1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
    측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되되, 하부에는 제2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하면에는 상기 체결나사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나사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케이블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중앙에서 힌지결합되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케이블을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구.

KR1020100110874A 2010-11-09 2010-11-09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KR10101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74A KR101010910B1 (ko) 2010-11-09 2010-11-09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74A KR101010910B1 (ko) 2010-11-09 2010-11-09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910B1 true KR101010910B1 (ko) 2011-01-25

Family

ID=4361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874A KR101010910B1 (ko) 2010-11-09 2010-11-09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52B1 (ko) * 2014-06-11 2016-03-30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48A (ja) 1985-10-31 1987-05-16 Nippon Steel Corp ケ−ブルのソケツト付加工時のケ−ブル整形方法
JP2002371515A (ja) 2001-06-13 2002-12-26 Toko Bridge Co Ltd 吊構造物用索クランプ金具
JP2010018993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連結金具
JP2010018994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連結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48A (ja) 1985-10-31 1987-05-16 Nippon Steel Corp ケ−ブルのソケツト付加工時のケ−ブル整形方法
JP2002371515A (ja) 2001-06-13 2002-12-26 Toko Bridge Co Ltd 吊構造物用索クランプ金具
JP2010018993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連結金具
JP2010018994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連結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52B1 (ko) * 2014-06-11 2016-03-30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298B1 (en) Step or bracket device
CN107989366A (zh) 一种用于梁模板支撑结构组件
CN112064780A (zh) 一种空中连廊桥梁拼接装置
KR101010910B1 (ko)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CN109098428B (zh) 一种电梯井施工平台
KR20100011048A (ko) 에이치빔 리프팅용 후크
KR101643312B1 (ko) 교축변위 억제형 다경간 현수교
KR101414219B1 (ko) 케이블 교량용 고정밀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07663B1 (ko) 인양용 러그 장치
BR102014003002A2 (pt) dispositivo de articulação para conectar dois membros de mastro sobrepostos de uma grua de torre e conjunto para uma grua de torre
KR100758717B1 (ko)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
KR100810988B1 (ko) 턴바클을 이용한 메인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가설공법
CN110159051A (zh) 变电构架
CN104818838A (zh) 一种支架及爬梯及脚手架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269457B1 (ko) 조립가능한 건축용 패널 체결 장치
CN209397935U (zh) 用于外挑板安装的支撑装置
CN108609483B (zh) 一种工字钢吊具
JP6408458B2 (ja) ケーブル架設作業用金車
CN211691068U (zh) 一种装配建筑用组装梁结构
CN205419602U (zh) 一种组合式臂架
KR200428552Y1 (ko) 상승식 가설대용 고정슈
ES2739708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el anclaje de un elemento saliente a una construcción
CN214423139U (zh) 一种用于快速装配式桥梁的锁定机构
CN214737327U (zh) 一种多层装配式桥梁的连接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