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604B1 -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604B1
KR101010604B1 KR1020100072551A KR20100072551A KR101010604B1 KR 101010604 B1 KR101010604 B1 KR 101010604B1 KR 1020100072551 A KR1020100072551 A KR 1020100072551A KR 20100072551 A KR20100072551 A KR 20100072551A KR 101010604 B1 KR101010604 B1 KR 10101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mode
unit
power suppl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씨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7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11)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설되되, 플러그삽입부(11)의 말단에 설치되어 플러그(P)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20)와;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과,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온모드와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온/오프모드버튼(33)으로 구성되며, 케이스(10)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부(30)와; 케이스(11)에 내설되어 전력소비여부를 감지하되, 전력소비가 중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센서부(40)와;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기준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여 온/오프모드버튼(33)에 의해 선택된 온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60)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부(50)와; 케이스(10)에 내설되며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스위치부(6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비밀번호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부를 매개로 연결 및 해제되도록 하여 미취학아동이 금속을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더라도 감전사고로부터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Electric Power Supply Of Outlet}
본 발명은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장치라 함은 공지의 콘센트를 의미하는데, 전원장치는 외부전선으로부터 벽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벽면에 매설되는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원장치 즉, 콘센트의 경우 플러그 접속부위가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 자칫 이물질이 침투하여 접속불량을 일으키거나 또는 미취약아동의 호기심에 젓가락과 같은 금속물질을 넣게 되면 자칫 감전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밀번호 설정에 따른 전기의 연결 및 해제를 통해 전기적인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로부터 미취학아동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되, 플러그삽입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과,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과, 접속단자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온모드와 접속단자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온/오프모드버튼으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부와;
케이스에 내설되어 전력소비여부를 감지하되, 전력소비가 중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부와;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을 매개로 입력되는 기준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온/오프모드버튼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를 동작제어하여 온/오프모드버튼에 의해 선택된 온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케이스에 내설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미취학아동이 젓가락과 같은 금속을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더라도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비밀번호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스위치부를 매개로 연결 및 해제되도록 하거나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차단신호를 매개로 스위치부를 강제 오프되도록 함으로서, 감전사고로부터 미취학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는,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설되어 플러그(P)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20)와;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과,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온모드와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온/오프모드버튼(33)으로 구성되며, 케이스(10)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부(30)와; 케이스(11)에 내설되어 전력소비여부를 감지하되, 전력소비가 중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센서부(40)와;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기준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여 온/오프모드버튼(33)에 의해 선택된 온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60)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부(50)와; 케이스(10)에 내설되며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선(L)에 전력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스위치부(6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스(10)는 공지의 콘센트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플러그(P)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삽입부(11)가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20)가 설치되되, 플러그삽입부(11)의 말단에 접속단자(20)가 배치되어 플러그삽입부(11)를 통해 인입된 플러그(P)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접속단자(20)에는 전력선(L)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비밀번호를 매개로 전기를 연결 및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조작부(30)가 형성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과;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온모드와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온/오프모드버튼(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전력소비여부를 감지하되, 전력소비가 중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센서부(4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50)에 의해 스위치부(60)가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접속단자(20)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상태로 전환되면 전력이 플러그(P)를 매개로 전자제품에 공급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40)는 전력의 소비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있다가 전자제품의 사용이 완료되어 플러그(P)를 플러그삽입부(11)에서 강제 인출하게 되면 전력사용이 갑자기 중단되는데, 이를 센서부(40)가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조작부(30)의 조작없이도 강제로 스위치부(60)가 오프되도록 동작제어하므로서,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제어부(50)가 설치되는데, 제어부(50)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기준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여 온/오프모드버튼(33)에 의해 선택된 온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60)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스위치부(60)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60)는 공지의 릴레이스위치이며, 상기 릴레이스위치의 경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60)는 접속단자(20)로 연결되는 전력선(L)에 설치되며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을 한번 눌러 준 다음, 번호입력버튼(31)을 4자리 또는 그 이상을 입력한 상태에서 재차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을 눌러 주게 되면, 기준비밀번호가 제어부(50)에 저장(기억)된다.
상기와 같이 기준비밀번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플러그(P)가 형성된 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플러그삽입부(11)에 삽입하여 플러그(P)의 단자와 접속단자(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작부(30)의 온/오프모드버튼(33)을 눌러준 다음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이용하여 확인비밀번호를 입력해주게 되면, 확인비밀번호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스위치부(60)는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접속단자(20)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상태로 전환시켜 주게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조작부(30)와 제어부(50) 는 전력선(L)과 연결되어 상용전력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공지의 변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벽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를 매설한 상태에서 조작부(3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데, 그 설정방법은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전자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케이스(10)의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플러그삽입부(11)에 삽입하여 플러그(P)의 단자와 플러그삽입부(11)의 말단에 배치된 접속단자(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조작부(30)의 온/오프모드버튼(33)을 눌러준 다음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확인비밀번호를 입력해주게 되면, 확인비밀번호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상호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만약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50)는 스위치부(6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부(60)의 경우 초기에는 접속단자(20)로 연결되는 전력선(L)의 전기적인 흐름을 단전(차단)시키고 있다가 제어부(50)에 의해 동작되면, 비로소 접속단자(2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력선(L)을 상호 연결하게 되며, 이를 센서부(40)가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전자제품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해야 하는데, 하나는 앞서 언급한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플러그삽입부(11)에 삽입된 플러그(P)를 강제로 인출하게 되면 전력소비가 갑자기 중단된 것을 센서부(40)가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50)는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60)의 연결상태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비밀번호를 통한 스위치부(60)에 의해 연결 및 해제되기 때문에, 미취학아동이 젓가락과 같은 금속을 플러그삽입부(11)에 삽입하여 접속단자(20)와 접속되더라도 감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로부터 미취학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매개로 스위치부(60)를 강제 오프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쉽게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20: 접속단자 30: 조작부
31: 번호입력버튼 32: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
33: 온/오프모드버튼 40: 센서부 50: 제어부
60: 스위치부 L: 전력선 P: 플러그

Claims (1)

  1. 전면에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11)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에 내설되되, 플러그삽입부(11)의 말단에 설치되어 플러그(P)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20);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과,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는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온모드와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온/오프모드버튼(33)으로 구성되는 조작부(30); 케이스(11)에 내설되어 전력소비여부를 감지하되, 전력소비가 중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단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센서부(40); 비밀번호입력모드버튼(32)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기준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온/오프모드버튼(33)과 다수개의 번호입력버튼(31)을 매개로 입력되는 확인비밀번호를 기준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확인비밀번호가 기준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스위치부(60)를 동작제어하여 온/오프모드버튼(33)에 의해 선택된 온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4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치부(60)를 강제로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부(50); 케이스(10)에 내설되며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접속단자(2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스위치부(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30)는,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1열을 이루면서 플러그삽입부(11)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케이스(10)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KR1020100072551A 2010-07-27 2010-07-27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KR10101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51A KR101010604B1 (ko) 2010-07-27 2010-07-27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51A KR101010604B1 (ko) 2010-07-27 2010-07-27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604B1 true KR101010604B1 (ko) 2011-01-25

Family

ID=4361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51A KR101010604B1 (ko) 2010-07-27 2010-07-27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9736A (zh) * 2013-12-31 2014-05-07 宁波君柏电子有限公司 用于电功率测量的插线板
KR101804709B1 (ko) * 2016-12-05 2017-12-0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전원 소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963A (ja) * 1995-02-23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制御装置
KR200231594Y1 (ko)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오토텍 가전기기의 사용 통제장치
KR20020031594A (ko) * 2002-03-28 2002-05-02 최규태 낚시대 받침대
KR20060115964A (ko) * 2005-09-02 2006-11-13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20090049902A (ko) * 2007-11-14 2009-05-19 김휘수 안전형 콘센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963A (ja) * 1995-02-23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制御装置
KR200231594Y1 (ko)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오토텍 가전기기의 사용 통제장치
KR20020031594A (ko) * 2002-03-28 2002-05-02 최규태 낚시대 받침대
KR20060115964A (ko) * 2005-09-02 2006-11-13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20090049902A (ko) * 2007-11-14 2009-05-19 김휘수 안전형 콘센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9736A (zh) * 2013-12-31 2014-05-07 宁波君柏电子有限公司 用于电功率测量的插线板
KR101804709B1 (ko) * 2016-12-05 2017-12-0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전원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7985B2 (en) Current sensing load demand apparatus and methods
WO2011082514A1 (zh) 基于热释红外检测的智能防触电插座
CN101860006A (zh) 一种适于电热水器的漏电保护装置
CN207021457U (zh) 智能插座及与互配的智能插头
KR101183617B1 (ko)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CA3049271A1 (en) Power connector using resistive sensing
WO2017131371A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콘센트
CN103293985A (zh) 零功耗待机电路
WO2000053975A3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cooking stove
US8770998B2 (en) Safety connection electrical systems and methods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1010604B1 (ko) 안정된 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장치
JP2010161910A (ja)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KR100918794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GB2457217A (en) Cascad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8375196A (zh) 一种出水断电的漏电保护系统
KR200463893Y1 (ko)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KR101376132B1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WO2015064927A9 (ko)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및 방법
CN209960772U (zh) 一种具有出水断电功能的电热水器
KR101012044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
KR100996834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CN106329237B (zh) 一种安全插座
KR101008323B1 (ko) 공동주택의 전선아웃렛
CN211789665U (zh) 一种具有插入检测装置的安全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