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41B1 -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41B1
KR101010541B1 KR1020080058720A KR20080058720A KR101010541B1 KR 101010541 B1 KR101010541 B1 KR 101010541B1 KR 1020080058720 A KR1020080058720 A KR 1020080058720A KR 20080058720 A KR20080058720 A KR 20080058720A KR 101010541 B1 KR101010541 B1 KR 10101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main body
present
stopp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448A (ko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08005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완충구 기능의 지지봉(4)과 도어 닫힘 방지기능의 뿔형 받침구(6)로 본체(2)를 구성하고, 본체(2)의 받침구(6) 저면에 착탈부재(14)를 결합하여 도어 개방시 충격완화와 개방된 도어의 닫힘 방지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체, 지지봉, 받침구, 요입홈, 돌선, 착탈부재

Description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DOOR SHOCK ABSORBER AND STOPER}
본 발명은 한개로서 필요에 따라 도어 개방시의 충격완화 기능과 개방된 도어의 닫힘방지기능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한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열 때 도어와 벽면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제 몸체 선단에 고무부가 형성된 도어완충구(일명 도어훅)를 도어의 외측에 고정하여 사용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완충구는 도어에 고정되어 있어 도어 개방시 벽면과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기능은 있으나, 도어를 개방한 후 원하지 않을 때 도어가 닫히거나 외부의 바람 등으로 인하여 불시에 도어가 닫혀 문틈 사이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 또는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히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는 종이 등을 접어서 사용하거나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별도로 구입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부재도 도어완충구용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고 문을 닫아 놓고 있는 동안 또는 도어 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할 필요가 없는 겨울철 등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대부분 고정부재의 보관관리를 소홀히 하여 분실하게 되며 분실하지 아니하여도 필요시 있는 곳을 쉽게 찾아 내지 못하여 애를 먹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개로서 도어 개방시 벽면과의 충격완화기능과 개방된 도어의 닫힘 방지기능을 모두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 분실 우려가 없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훅 기능의 지지봉(4)과 도어 닫힘 방지기능의 뿔형 받침구(6)로 본체(2)를 구성하고, 본체(2)의 받침구(6) 저면에 자석과 같은 착탈부재(14)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부착 사용하므로서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와 벽면과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로부터 분리하여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끼워 사용하거나 도어하단과 내실바닥 사이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개방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완충구용으로 도어에 부착해둠으로써 분실 우려가 없고 필요시 쉽게 찾아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A)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에는 지지봉(4)을 돌출 형성하고, 타측에는 뿔형 받침구(6)를 형성하여 본체(2)를 형성하되 본체(2)의 재질은 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로 한다.
상기 지지봉(4)의 하단부에는 지지봉(4) 보다 직경이 큰 고정부(8)를 일체로 형성하여 간격이 다양한 문과 문틀 사이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속에는 알미늄과 같은 재질의 금속봉체 또는 금속관체로된 심봉(10)을 본체(2) 속에 미리 형성해둔, 심봉(10) 보다 약간 좁은 구멍에 강제 삽입하거나 또는 나사식으로 강제 삽입하여 고정되게 하므로서 탄성재로된 지지봉(4)이 벽면에 부딪힐 때 휘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받침구(6)의 저면 중앙부에는 도어(20) 외측 상단부에 별도로 설치하는 철편(22)이 삽입 가능하도록 요입홈(12)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구(6)의 요입홈(12)에는 자석으로된 착탈부재(14)를 심봉(10) 저부에 나사로 체결 고정하여 자석으로된 착탈부재(14)가 철편(22)에 붙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2)가 도어(20)에 부착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받침구(6)에 설치된 착탈부재(14)는 자석 이외 벨크로테이프, 끼움식 등 여러가지 착탈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2)의 지지봉(4)은 원기둥 형상을 하나의 예시로 제시하였으나 지지봉(4)의 형상은 다각형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해도 그 기능과 효과는 동일하다. 도어(20) 개방시에 지지봉(4)의 선단부가 벽면(30)에 부딪힐 때 충분한 완충기능을 가지면 된다.
본 발명의 고정부(8)는 그 외면 형상을 육각형 등 다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정한 형상만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 받침구(6)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뿔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하고 경사진 외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선(16)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며 받침구(6)의 저면은 내실바닥(50) 등에 가능한 많이 면접할 수 있고 본체(2)가 바닥 상에 자립(自立) 가능하도록 평평하고 넓은 평면부가 형성된다.
개방된 도어(20)를 고정할 때는 도 7에서와 같이, 도어(20) 밑과 내실바닥(50) 사이의 공간 내로 본체(2)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받침구(6)의 경사진 외면에 돌출한 연질의 돌선(16)이 도어(20)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눌리면서 받침구(6)의 바닥면이 내실바닥(50)에 밀착되어 도어(20)를 고정되게 한다. 받침구(6)의 구조상 도어(20)에 가해지는 외력이 강할수록 받침구(6)의 저면과 내실바닥(50)의 밀착력도 높아지므로 원하지 않는 도어(20)의 닫힘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받침구(6)의 형상은 원뿔형상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뿔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받침구(6)의 저면에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돌선(6)은 받침구(6)가 도어(20)의 하부모서리와 접할 때 미끌어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지지봉(4)과 받침구(6)의 구성만으로도 사용가능한 것이나 고정부(8)를 형성함으로써 문과 문틀 사이의 간격이 다양하게 넓거나 좁은 것들에 폭넓게 적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받침구(6)의 외면 경사각은 저면과 45°±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경사각이 그 이상으로 크게 되면 도어(20)의 하단과 내실바닥(50)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 쉽게 끼이지 못하고 뒤로 밀려나갈 우려가 있고 경사각이 그 이하로 작게되면 받침구(6)가 도어(20) 밑으로 많이 밀려 들어가므로서 받침구(6)를 필요 이상 크게 형성하여야 되는 문제가 있다.
받침구(6)의 저면 넓이도 지나치게 좁으면 받침구(6)를 도어(20)하단과 내실바닥(50)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 저면이 내실바닥(50)에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밀려나갈 우려가 있고 저면이 필요 이상 넓으면 재료를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받침구(6)의 저면은 직경 7㎝ ±1㎝가 적합하다.
미설명 부호 (22)는 철편, (30)은 벽면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A)를 도어(20)와 벽면(30)의 충격 방지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도어(20)의 상단에 미리 부착해 둔 철편(22)에 받침구(6) 저면의 자석으로된 착탈부재(14)가 붙게 하므로서 본체(2)가 도어(20)의 상단에 간단히 부착되고 도어(20)의 상단에 본체(2)가 부착된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시키면 탄성재로된 지지봉(4)의 선단이 도어(20) 보다 먼저 벽면(30)에 닿아 도어(20)와 벽면(30)간의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2)를 이용하여 도어(20) 개방 후 닫힘을 방지하도록 한 사용상태도로서, 도어(20)로부터 분리한 본체(2)를 도어틀(40)과 도어(20) 사이의 틈에 끼워 도어(20)의 닫힘 방지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되어 벽면(30)에 닿게 한 상태에서 지지봉(4) 또는 고정부(8)를 도어(20)와 도어틀(40)의 모서리 사이에 끼워 넣으면 도어(20) 닫힘이 방지된다. 완전히 개방된 도어(20)는 도어(20)와 도어틀(40)의 모서리 사이 간격이 가장 넓은 상태이고 도어(20)가 닫힐수록 간격이 좁아지므로 간격이 가장 넓은 상태에서 도어(20)와 도어틀(40) 모서리 사이에 지지봉(4)이나 고정부(8)를 꼭 끼이도록 끼워두면 도어(20)가 닫힐 수 없는 것이다. 동시에 받침구(6)도 외면이 도어(20)와 도어틀(40) 사이에서 도어(20) 닫힘 방지기능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2)를 이용하여 도어(20)의 닫힘을 방지하도록 하는 또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도어(20)를 역시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2)의 받침구(6)를 도어(20)와 내실바닥(50) 사이 공간으로 밀어 넣어 꽉 끼이도록 하면 받침구(6)의 경사 외면에 돌출된 연질의 탄성재인 돌선(16)이 도어(20)의 하단 모서리부분에 눌리면서 받침구(6)의 저면이 방바닥(50)에 밀착되므로 도어(20)의 닫힘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20)에 부착하여 벽면(30)과의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완충구로 사용이 가능하고, 도어(20)으로부터 분리하여 개방된 도어(20)의 닫힘 방지구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하나의 한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이며,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지지봉(4) 이나 받침구(6) 중 어느 하나를 비탄성재로 할 수도 있다.
지지봉(4)이나 받침구(6) 중의 하나를 비탄성재로 할 경우 탄성이 부족하여 완충효과가 낮고 지지봉(4)과 받침구(6)를 분리 제작하여야 하는 등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나 한개로서 필요에 따라 도어완충구와 스토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같다.
본 발명은 각종 도어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스토퍼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지지봉
(6)-- 받침구 (8)-- 고정부
(10)-- 심봉 (12)-- 요입홈
(14)-- 착탈부재 (16)-- 돌선
(A)--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Claims (8)

  1. 도어완충기능의 탄성재질 지지봉(4)과 도어닫힘 방지기능으로서 바닥 면접과 바닥상에 자립이 가능한 평면부가 있는 저면에 요입홈(12)을 형성한 뿔형상 받침구(6)로 구성된 본체(2)와, 본체(2)의 받침구(6) 저면에 형성된 요입홈(12)을 이용한 착탈부재(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2)는 연질의 탄성재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봉(4) 하단에는 개방된 도어(20)와 도어틀(4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봉(4) 보다 직경이 큰 고정부(8)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2) 내에 심봉(10)이 삽입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5. 제1항에 있어서, 착탈부재(14)는 자석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6. 제1항에 있어서, 받침구(6)의 경사 외면에 다수의 돌선(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7. 제1항에 있어서, 받침구(6)의 경사 외면의 경사각을 42°~ 48°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8. 제1항에 있어서, 받침구(6)의 저면을 직경 6㎝ ~ 8㎝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KR1020080058720A 2008-06-21 2008-06-21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KR10101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20A KR101010541B1 (ko) 2008-06-21 2008-06-21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20A KR101010541B1 (ko) 2008-06-21 2008-06-21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448A KR20090132448A (ko) 2009-12-30
KR101010541B1 true KR101010541B1 (ko) 2011-01-24

Family

ID=4169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720A KR101010541B1 (ko) 2008-06-21 2008-06-21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55B1 (ko) * 2011-05-28 2013-05-03 이대훈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515B (zh) * 2017-07-11 2019-06-11 徐银龙 一种卫生间用门吸
KR102030494B1 (ko) * 2018-05-29 2019-10-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6353U (ko) 1977-05-14 1978-12-08
KR20030036390A (ko) * 2003-03-25 2003-05-09 윤영석 자가지지형 부비동 세척기
KR20030088641A (ko) *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대 및 이를 갖는반도체 기판 온도 제어 장치
KR200336390Y1 (ko) * 2003-07-25 2003-12-24 윤창용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88641Y1 (ko) 2005-01-20 2005-07-01 조운식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100690067B1 (ko) 2006-05-10 2007-03-08 김준경 가구용 도어 홀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6353U (ko) 1977-05-14 1978-12-08
KR20030088641A (ko) *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대 및 이를 갖는반도체 기판 온도 제어 장치
KR20030036390A (ko) * 2003-03-25 2003-05-09 윤영석 자가지지형 부비동 세척기
KR200336390Y1 (ko) * 2003-07-25 2003-12-24 윤창용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88641Y1 (ko) 2005-01-20 2005-07-01 조운식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100690067B1 (ko) 2006-05-10 2007-03-08 김준경 가구용 도어 홀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55B1 (ko) * 2011-05-28 2013-05-03 이대훈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448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831B2 (en) Tension rod with suction cups
US20080307604A1 (en) Fastening-free door stopper
JP2011019535A5 (ko)
US7401439B2 (en) Adjustable draft excluder
US20120060421A1 (en) Door safety device
KR101010541B1 (ko)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US20080078637A1 (en) Cushion device for wheeled luggage
CA2777201A1 (en) Shower curtain hooks
US2612336A (en) Broom cap
US20090255085A1 (en) Over-the-door adjustable door stop
KR101260255B1 (ko)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US20130108396A1 (en) Nail structure
US9896883B1 (en) Coilable shade
KR101284260B1 (ko) 오토 스토퍼
KR102175985B1 (ko) 가구용 코너안전캡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SG121933A1 (en) Head, head suspension assembly, and disk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100007591U (ko) 가구손잡이
KR20100007592U (ko) 가구손잡이
CN208267308U (zh) 一种可拆卸护角条和护角装置
US20080109988A1 (en) Door stop retainer assembly
JP3157699U (ja) ドアストッパー
JP6590239B2 (ja) 回転することによって固定・解除できるドアストッパー
US10683687B2 (en) Silent door stop and catch
KR200207162Y1 (ko) 여닫이문용 충격방지 및 개방상태 유지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