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23B1 -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23B1
KR101010523B1 KR1020080076304A KR20080076304A KR101010523B1 KR 101010523 B1 KR101010523 B1 KR 101010523B1 KR 1020080076304 A KR1020080076304 A KR 1020080076304A KR 20080076304 A KR20080076304 A KR 20080076304A KR 101010523 B1 KR101010523 B1 KR 10101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processor
data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713A (ko
Inventor
구진국
이승호
정익호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구진국
김성기
정익호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국, 김성기, 정익호, 이승호 filed Critical 구진국
Priority to KR102008007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5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TV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계하여 유해 컨텐츠로 판단되는 컨텐츠를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하고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은, 방송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채널별로 분류하는 채널 디코더(1); 상기 채널 디코더(1)로부터 분류된 방송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로 분리하는 T/S 디코더(2); 상기 T/S 디코더(2)에 의해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 크기에 맞게 포맷을 변환하는 포맷 변환기(3);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와 연결되어,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6); 상기 프로세서(6)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8)에 저장된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는 스위치(7); 상기 스위치(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를 합쳐 상기 디스플레이(5)로 최종 출력하는 OSGM(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V, 유해 컨텐츠, 광고, 대체 컨텐츠

Description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A System and a Method for Alternating Bad Contents during TV Broadcast}
본 발명은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TV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계하여 유해 컨텐츠로 판단되는 컨텐츠를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하고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V 기술 및 방송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TV는 디지털 TV, IPTV, DMB 등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TV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일방향적인 것으로, 즉 방송 제공자 즉 방송국 측에서 일방적으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면 사용자 측에서 이를 수신하여 TV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TV의 일반 시청자들은 방송 제공 자 측에서 전송하는 컨텐츠들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이다.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중에는 유해 정도에 따라 프로그램 등급이 분류되는 컨텐츠,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반강제적으로 방송되는 광고 컨텐츠 등과 같이 유해한 컨텐츠들이 다량 존재한다. 성인의 경우 유해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을 때 스스로 TV 시청을 중단함으로써 이를 차단할 수 있으나, 판단 능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 해당 컨텐츠가 유해 컨텐츠인지 판단하기도 어렵고, 설사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하였다 하더라도 자기 제어 능력이 미숙한 바 스스로 TV 시청을 중단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어린이가 반복적으로 유해 컨텐츠에 노출될 경우 해당 어린이의 판단 능력, 사고 방식, 가치관 등에 악영향이 발생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례로, 현재 우리나라 광고의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대부(사채) 광고로서, 이러한 광고가 일반 광고와 아무 차별 없이 방송될 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당받아 방송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부 광고가 어떠한 여과도 없이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에게 전해지는 과정에서, 어린이, 미성년자 등과 같이 판단 능력이나 가치관 등이 미성숙한 시청자가 대부 광고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사채를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시청자는 아무런 거부감 없이 사채를 이용하는 등과 같이 왜곡된 경제 관념을 가진 성인으로 자라날 가능성이 큰 것이다.
과거에는 광고 시장 자체나 광고 자체의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에, 과거의 광고는 실제 구매자를 겨냥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과거에는 광고의 직접적인 영향, 즉 광고되는 상품의 가시적인 판매량 증가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제작되었기 때문에, 광고의 대상은 실제 구매자이자 자신들에게 무엇이 이로운지 결정을 내릴 때 어느 정도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광고들은 단일 상품의 단기적 판매량을 끌어올리고자 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자사의 이미지를 주입함으로써 자사에서 판매되는 상품 전반에 있어서의 장기적 판매량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광고들이 점차로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광고들은 어른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데, 즉 기업들이 '요람에서 무덤까지'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게 만들려고 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은 자기도 모르게 시장에서 소비자라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광고물에 의해 여러 측면(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교육, 창의성, 가치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어린이들은 이런 광고들에 대한 자체적인 판단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미취학 어린이들은 TV의 광고와 정규 프로그램을 잘 구분하지 못하고 좀 더 크면 두 가지를 구분할 수는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생각밖에 하지 못하는 어린 아이들은 15초짜리 광고의 내용을 모두 믿어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평균적으로 여덟 살 이하의 아이들은 광고가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다. 따라서 아이들은 광고에 나오는 말이 진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떤 브랜드가 '가장 좋다'는 확고한 의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자신의 경험이 아니라 TV 등의 광고에서 본 것을 토대로 한 생각이다. 광고는 지성이 아니라 감정에 호소하므로 어른들보다 아이들에게 훨씬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광고 뿐만 아니라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영상 역시 어린이에게 큰 정신적 악영향을 끼친다. 물론 폭력성이나 선정성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별로 등급이 부여되어 방영 시 등급이 표시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어린이의 시청에 있어서 보호자의 지도 및 안내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 따른 미봉책일 뿐으로, 보호자 부재 시 이와 같은 유해 컨텐츠가 어린이에게 시청되는 것을 방지할 대책은 전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린이의 경우 눈앞에 보이는 영상의 내용을 가치 판단 없이 그대로 수용하게 되는 바,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영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폭력적인 행동 양식을 보이거나 왜곡된 성 가치관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광고, 폭력적ㆍ선정적인 프로그램 등과 같은 유해 컨텐츠에의 노출은 어린이의 정신적 불균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어린이의 TV 시청에는 보호자의 지도 및 안내가 필요하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TV 시스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편성표에 따라 일방적으로 전송되어 오는 컨텐츠를 출력할 뿐으로, 보호자 부재 시에 이러한 유해 컨텐츠를 막을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유해 컨텐츠를 차단함과 동시에 해당 방송 시간에 대체 컨텐츠를 방송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은, 방송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채널별로 분류하는 채널 디코더(1); 상기 채널 디코더(1)로부터 분류된 방송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로 분리하는 T/S 디코더(2); 상기 T/S 디코더(2)에 의해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 크기에 맞게 포맷을 변환하는 포맷 변환기(3);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와 연결되어,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6); 상기 프로세서(6)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8)에 저장된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는 스위치(7); 상기 스위치(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 터에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를 합쳐 상기 디스플레이(5)로 최종 출력하는 OSGM(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태그를 사용하거나, 방송 시간표를 사용하거나, 이미지 프로세싱을 사용하여 유해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태그를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본 방송 및 광고 방송 구분용 방송 태그 정보를 사용하여 광고 방송 태그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태그 구분자를 업데이트 및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는 시간표를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시간표 정보를 사용하여 방송 시간표 상에 없는 시간 영역의 방송인 광고 방송 및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미리 유해 컨텐츠로 분류된 방송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의 방송을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시간표 정보를 업데이트 및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만들어진 비교 패턴을 사용하여 현재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와 상기 비교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방송을 유해 컨텐츠 로 판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에 대한 비교 패턴의 해쉬 테이블 또는 비교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미리 제작된 비교 패턴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체 컨텐츠는 교육용 영상, 뮤직 비디오 클립,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사용자에 관계없이 제공 가능한 일반 대체 컨텐츠 또는 사용자 상점 또는 근접 지역 상점 홍보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맞춤 제공되는 사용자 대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일반 대체 컨텐츠는 미리 제작된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로 입력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또는 유해 컨텐츠가 아닌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간에 미리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S101); b)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02); c)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채널 선택 명령에 따른 채널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103); d)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가 분석되는 단계(S104); e)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 면(S105-No) 상기 스위치(7)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고(S106),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S105-Yes) 상기 스위치(7)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체 컨텐츠를 전달하는(S107) 단계; f) 상기 스위치(7)에 의하여 전달된 상기 방송 데이터 또는 대체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5)에 출력되는 단계(S1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어린이, 미성년자와 같은 시청 지도가 필요한 시청자가 보호자 없이도 무분별한 유해 컨텐츠 시청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IPTV, DMP 등 모든 TV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호환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유해 컨텐츠 대신 건전한 대체 컨텐츠를 방송함으로써 방송의 연속성을 해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시청자가 대체 컨텐츠를 반복 시청함에 따라 건전한 영향을 받게 해 주는 효과 또한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송의 특정 컨텐츠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컨텐츠를 차단하는데 있어서는, 해당 컨텐츠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에서 특정 패턴을 얻어낸 후, 이후 분석된 컨텐츠에서 같거나 비슷한 패턴이 발생하게 되면 차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방송의 송출 방법에 따라 차단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TV의 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지털 TV 시스템에서는, 먼저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채널 디코더(1)에 의해 분류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로부터 T/S 디코더(2)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분리된다. 이후 상기 영상 데이터는 포맷 변환기(3)에 의해 디스플레이(5)의 크기에 맞게 포맷이 변환되며, OSGM(4)에 의하여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른 데이터가 합쳐져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5)에 출력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5)로 출력되기 전에 방송의 내용에 따라 출력 내용을 차단하고 다른 내용으로 대체하는 모듈이 더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채널 디코더(1)에 의해 분류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로부터 T/S 디코더(2)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분리된 후, 상기 영상 데이터는 포맷 변환기(3)에 의해 디스플레이(5)의 크기에 맞게 포맷이 변환되는 부분까지는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6) 및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로 판단되면 해당 방송 데이터를 컨텐츠 저장 장치(8)에 저장되어 있는 대체 컨텐츠로 대체하는 스위치(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세서가 어떤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방송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시간표를 이용하는 방법이며, 세 번째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 각각의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 즉 방송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TV등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방송과 방송 사이, 광고와 광고 사이를 구분하는 특정 태그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6)가 이러한 방송 태그들을 이용하여 본 방송과 광고 방송을 구분해 낼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내용을 통하여 본 방송 태그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는 그대로 상기 디스플레이(5)에 전달하고 광고 방송 태그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5)에 적용하지 않고 해당 영역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매우 손쉽게 광고 컨텐츠를 차단할 수 있으나, 방송 제공자 즉 방송국 송출부에서 올바르게 태그 구분자를 전송 처리하는지에 따라 차단 능력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6)에는 전송 처리의 변화에 따라 태그 구분자를 업데이트하는 모듈이 포함되어 태그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 또는 TV의 내부 메모리 등에 이와 같은 방송 태그 정보 및 방송 태그 구분자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로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첫 번째 방법의 경우 광고 방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본 방송 중의 폭력적/선정적 프로그램을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두 번째 방법, 즉 시간표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공용 방송국이나 케이블 방송국에서도 자신들의 방송 시간에 대한 시간표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간표 정보는 자사 홈페이지 등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간표는 어느 시간에 어떠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지 등에 대한 시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방송 시간표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모두 광고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표 정보를 활용하면 모든 광고 영역을 차단하거나 시간표 내에서 특정한 유해 컨텐츠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제공자의 홈페이지와 같은 제공부로부터 방송 시간표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 또는 TV의 내부 메모리 등에 이와 같은 시간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로딩하여 판단 과정에 사용하게 된다.
시간표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예약하는 기능들은 일반적인 디지털 TV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인데, 디지털 TV에서는 시간표의 내용을 참조해서 시청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시간에 맞추어 디지털 TV 내부에 있는 HDD로 저장을 하고 이를 나중에 다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TV의 기본 기능을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방송 시간 영역에 시청자가 선택하여 미리 저장하여 두었던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 즉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근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은 상당히 빠르게 발전을 하고 있어, TV 방송용 영상 데이터 크기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디지털 TV의 경우 방송들 사이가 태그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태그를 이용하여 각 방송 데이터의 시작 부분을 구분한 후, 각 방송 데이터의 시작 위치에서 1~2초 사이에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해당방송 데이터가 광고인지, 어떠한 광고인지, 또는 폭력적/선정적 프로그램인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V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경우 화질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 최소 30~60프레임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프레임 중에 특징이 구분되는 프레임을 선택하여 비교에 사용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리 만들어진 패턴을 이러한 비교 패턴으로 사용함으로써 해당 방송이 어떤 방 송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비교 패턴은 따로 컨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 현재 방송되는 영상이 상기 비교 패턴과 일치 또는 유사한 패턴으로 판단되면 해당 방송 부분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광고 방송은 15~40초 사이) 다음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기 전까지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다른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을 하도록 함으로써 유해 컨텐츠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는 방법은 특히 광고를 차단하는데 유리하다. 광고 자체의 제작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가 되고 또한 하나의 광고에 대하여 일정 기간 유지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하나의 제품에 대하여 자주 광고를 바꾸기 힘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 제품의 광고를 제작하여 이용하는데 3~4개월 이상의 유지 시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어떤 광고가 새로 나온다 해도 광고 방송이 시작된 초기에 빠르게 비교 패턴을 제작하여 그 이후부터는 (새 광고가 제작되기 전까지) 해당 광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기 위해서는 TV의 수신 장치에서 방송의 입력을 받아 이를 분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TV에는 이러한 수신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디지털 TV의 경우 이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MPEG 형태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 하기 전에 컨텐츠 차단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방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의 상태에 따라 변화가 많은 부분만이 선택적으로 데이터화되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최초 화면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그대로 전송이 되고 그 뒤로는 배경의 데이터가 변화가 없으면 사람이나 특정 움직임이 있는 부분의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기법인데,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량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광고 방송의 경우 화면의 모서리 부분이나 배경 부분은 크게 변화가 되지 않고 가운데 부분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이나 특정 문자의 출력이 주가 되고 있는 바, 이러한 방송 데이터의 경우 쉽게 비교 패턴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광고의 핵심이 되는 코너 부분 등을 이용하여 이 부분의 유무, RGB 비교 등을 통하여 차단 여부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최근 사채 광고의 경우 화면 전환이 빠르고 특정 위치에서 화면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위주로 하여 특정 화면에 대한 해쉬 테이블(Hash Table)이나 비교 테이블을 구성하여 이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를 감지하면 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물론 전체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미지 프로세싱할 데이터 양이 많아져 시스템 부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방송의 끊김 현상이나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로세싱을 사용하는 방법은, 미리 결정된 유해 컨텐츠의 화면들에 대한 비교 패턴의 해쉬 테이블 또는 비교 테이블을 구성하고, 현재 방송되는 영상이 이와 일치 또는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6)에는 이와 같은 비교 패턴의 해쉬 테이블 또는 비교 테이블을 구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받아 업데이트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실제적인 구현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 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TV의 컨텐츠를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으로 색 비교(RGB), 외곽선 추출을 통한 외곽선 비교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식들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등 몇 가지 단점을 가진다는 점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다 효율적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패턴 매치(pattern match) 알고리즘 중 형태 인식(Feature Detect)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형태 인식 방법에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MSER(Maximally Stable External Regions) 등이 있으며, 이러한 형태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더 자세하면서도 정확하게 방송 컨텐츠 구분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태 인식 방법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이미지 프로세싱 단계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차단하고자 하는 어떤 유해 컨텐츠의 특정 화면들에 대하여, 형태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화면 내에 있는 물체(object)들의 코너(conner)의 위치를 추출하고, 2. 추출된 코너의 위치들 간의 상관관계(즉, 주변 코너와의 연관관계로서 코너들 간의 각도)들을 추출한다(KEY-Point Localization and Filtering). 다음으로, 3. 이와 같이 추출된 코너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이들을 비교 테이블로 구성한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중 화면 즉 상기 프로세서(6)로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의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위와 같은 루틴(1. 형태 인식 방법으로 화면 내 물체 코너 위치 추출 / 2. 코너들 간의 상관관계 도출 / 3. 도출된 상관관계 결과를 사용하여 테이블 구성)을 수행하여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분석 테이블을 얻고, 이 분석 테이블을 상기 비교 테이블과 비교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6)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화면이 유해 컨텐츠 화면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비교 결과의 일치 정도에 따라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의 판단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형태 인식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이미지 스케일(image scale)에 대한 변화에도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특정 광고의 경우에 원래 광고의 크기(size)를 조정하여 다른 형태의 틀에 넣는 광고가 있을 수도 있고 (시간 알려주기 등에 광고 포함) 광고의 일부분을 수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 형태 인식을 사용하게 되면 컨텐츠의 키 포인트(key point)를 잘 설정한다면, 비교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는 유해 컨텐츠와 어느 정도 변화가 있는 유해 컨텐츠에 대해서도 해당 컨텐츠가 유해 컨텐츠임을 쉽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된다.
형태 인식 방식은 화면 전체에 대해서 적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화면 일부, 즉 화면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해서 적용할 수도 있어, 전체 화면 이미지는 다르다 하더라도 해당 오브젝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즉, 예를 들어 어떤 유해 컨텐츠가 자신들의 회사 로고 등과 같은 유일한 오브젝트를 사용할 경우, 해당 오브젝트만 찾아내면 유해 컨텐츠임을 인식할 수도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구분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형태 인식 방식을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의 (A)에는 유해 컨텐츠인 대부업체 광고 방송 영상 중 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a/4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찾을 이미지로서 도 4a/4b(A)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을 찾을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찾을 이미지에 대하여, 도 4a/4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포인트(key point)를 추출해 놓는다. 이후, 방송 출력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하여, 도 4a/4b(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내에 상기 키 포인트와 일치하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지금 방송 출력 중인 컨텐츠는 유해 컨텐츠라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형태 인식 방식은 다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식에 비하여 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계산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면 전체에 대하여 형태 인식 방식을 적용할 경우 전체적인 프로세싱 시간이 길어지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형태 인식 방식은 상대적으로 보다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도 4a 및 도 4b의 구체적인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화면 전체에 대하여 형태 인식을 하는 대신 (컨텐츠의 특징이 될 수 있는) 화면 일부 영역에 대해서 형태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계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출되는 키 포인트는 벡터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미지를 축소한다고 하더라도 키 포인트들이 전부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핵심 키 포인트 몇 개만 있어도 판단이 가능한 바, 키 포인트를 만들기 위한 이미지를 축소해서 키 포인트를 최소화하고 원본 컨텐츠 이미지 역시 축소하여 키 포인 트를 찾도록 함으로써 보다 계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3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해 컨텐츠를 차단하고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6)에 의한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 이 때 상기 프로세서(6)가 사용자 입력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S102),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을 설정한다(S103).
이후,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분석하여(S104)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프로세서(6)가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시간표를 이용하는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는 방법들 중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분석이 수행되어,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105-No)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스위치(7)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고(S106),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S105-Yes) 상기 프로세서(6)는 상기 스위치(7)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체 컨텐츠를 전달한다(S10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7)는 OSGM(4) 및 디스플레이(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플레 이(5)에 출력되게 된다(S108).
이하에서 대체 컨텐츠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방송 및 특정 방송 컨텐츠가 유해 컨텐츠로 판단되면 해당 방송 영역은 디스플레이로 전송이 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방송이 끊어진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불편함이나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해 컨텐츠를 차단함과 동시에 차단된 방송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대체 컨텐츠는 뮤직 비디오와 같은 영상 클립 모음,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음악만을 감상할 때 출력되는 화면과 같은 특정 패턴, 예술 작품이나 문화재 관련 영상, 교육용 영상 등과 같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대체 컨텐츠는 일반 대체 컨텐츠 또는 사용자 대체 컨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대체 컨텐츠는 교육용 영상, 뮤직 비디오 클립, 특정 패턴 등과 같이 사용자에 관계없이 제공 가능한 대체 컨텐츠를 말하며, 사용자 대체 컨텐츠는 해당 TV가 설치된 장소를 홍보하는 영상(예를 들어 식당에 설치된 TV일 경우 해당 식당 홍보 영상이거나, 관광지의 숙소 휴게실에 설치된 TV일 경우 해당 숙소 및 관광지의 홍보 영상) 등과 같이 사용자 요구에 따라 맞춤 제공되는 대체 컨텐츠를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 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TV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도 4a 및 도 4b는 형태 인식 방법의 구체적인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채널 디코더 2: T/S 디코더
3: 포맷 변환기 4: OSGM
5: 디스플레이 6: 프로세서
7: 스위치 8: 컨텐츠 저장 장치

Claims (12)

  1. 방송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채널별로 분류하는 채널 디코더(1);
    상기 채널 디코더(1)로부터 분류된 방송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로 분리하는 T/S 디코더(2);
    상기 T/S 디코더(2)에 의해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 크기에 맞게 포맷을 변환하는 포맷 변환기(3);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와 연결되어, 상기 채널 디코더(1) 및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6);
    상기 프로세서(6)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포맷 변환기(3)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해 해당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8)에 저장된 대체 컨텐츠를 출력하는 스위치(7);
    상기 스위치(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 외 데이터를 합쳐 상기 디스플레이(5)로 최종 출력하는 OSGM(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태그를 사용하거나, 방송 시간표를 사용하거나, 이미지 프로세싱을 사용하여 유해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는
    방송 태그를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본 방송 및 광고 방송 구분용 방송 태그 정보를 사용하여 광고 방송 태그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태그 구분자를 업데이트 및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는
    시간표를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시간표 정보를 사용하여 방송 시간표 상에 없는 시간 영역의 방송인 광고 방송 및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미리 유해 컨텐츠로 분류된 방송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의 방송을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며,
    방송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시간표 정보를 업데이트 및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만들어진 비교 패턴을 사용하여 현재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와 상기 비교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방송을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에 대한 비교 패턴의 해쉬 테이블 또는 비교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미리 제작된 비교 패턴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는
    유해 컨텐츠 내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 이미지를 사용하여 키 포인트(key point)를 추출하고, 상기 유해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키 포인트를 방송 데이터에서 추출된 키 포인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형태 인식(feature detect)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는
    유해 컨텐츠 내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 이미지를 축소한 후 키 포인트를 추출하고, 영상 데이터 내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 이미지를 축소한 후 비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컨텐츠는
    교육용 영상, 뮤직 비디오 클립,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사용자에 관계없이 제공 가능한 일반 대체 컨텐츠 또는
    사용자 상점 또는 근접 지역 상점 홍보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맞춤 제공되는 사용자 대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대체 컨텐츠는
    미리 제작된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로 입력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또는 유해 컨텐츠가 아닌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간에 미리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시스템.
  10. 제 1, 3, 4, 5, 6, 7, 8, 9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S101);
    b)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02);
    c)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채널 선택 명령에 따른 채널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103);
    d)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가 분석되는 단계(S104);
    e)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105-No) 상기 스위치(7)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고(S106), 상기 방송 데이터가 유해 컨텐츠라고 판단되면(S105-Yes) 상기 스위치(7)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8)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체 컨텐츠를 전달하는(S107) 단계;
    f) 상기 스위치(7)에 의하여 전달된 상기 방송 데이터 또는 대체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5)에 출력되는 단계(S1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z1)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차단하고자 하는 유해 컨텐츠의 화면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z2)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유해 컨텐츠 화면 중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대해 형태 인식(feature detect)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유해 컨텐츠 화면 이미지 내 물체(object)들의 코너(conner)의 위치가 추출되는 단계;
    z3)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코너의 위치들 간의 상관관계인 키 포인트가 추출되는 단계;
    z4)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키 포인트가 비교 테이블로 구성되는 단계;
    가 미리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의 화면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e2)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화면 중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대해 형태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화면 이미지 내 물체들의 코너의 위치가 추출되는 단계;
    e3)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코너의 위치들 간의 상관관계인 키 포인트가 추출되는 단계;
    e4)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키 포인트가 분석 테이블로 구성되는 단계;
    e5)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z4) 단계에서 구성된 비교 테이블 및 상기 e4) 단계에서 구성된 분석 테이블이 비교되어 일치 정도가 판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z3) 단계 이전에
    z2a)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유해 컨텐츠 화면 중 선택된 이미지 영역이 축소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3) 단계 이전에
    e2a) 상기 프로세서(6)에 의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화면 중 선택된 이미지 영역이 축소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KR1020080076304A 2008-08-05 2008-08-05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KR10101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304A KR101010523B1 (ko) 2008-08-05 2008-08-05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304A KR101010523B1 (ko) 2008-08-05 2008-08-05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713A KR20100016713A (ko) 2010-02-16
KR101010523B1 true KR101010523B1 (ko) 2011-01-25

Family

ID=4208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304A KR101010523B1 (ko) 2008-08-05 2008-08-05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207A (ko) * 2011-11-16 2013-05-24 톰슨 라이센싱 디지털 콘텐츠 버전 전환 방법 및 그 대응 장치
US10349126B2 (en) 2016-12-19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WO2021033853A1 (en) * 2019-08-21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ntent having sensitive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80B1 (ko) * 2014-03-05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50226B1 (ko) * 2020-02-19 2020-08-31 주식회사 플랜티넷 스마트 tv 동영상 시간 제어 및 유해동영상 필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89482B1 (ko) * 2020-06-29 2020-12-11 김태주 유해 동영상 파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40018B1 (ko) * 2020-10-26 2021-04-14 김태주 유해 동영상 파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225A (ko) * 2003-09-29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스트림의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70105013A (ko) * 2006-04-24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과 방송 수신기 및 시청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225A (ko) * 2003-09-29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스트림의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70105013A (ko) * 2006-04-24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과 방송 수신기 및 시청 제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207A (ko) * 2011-11-16 2013-05-24 톰슨 라이센싱 디지털 콘텐츠 버전 전환 방법 및 그 대응 장치
KR101990988B1 (ko) * 2011-11-16 2019-06-20 인터디지탈 매디슨 페이튼트 홀딩스 디지털 콘텐츠 버전 전환 방법 및 그 대응 장치
US10349126B2 (en) 2016-12-19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US10631045B2 (en) 2016-12-19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US11470385B2 (en) 2016-12-1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WO2021033853A1 (en) * 2019-08-21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ntent having sensitive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713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23B1 (ko)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US10375451B2 (en) Detection of common media segments
CN101072340B (zh) 流媒体中加入广告信息的方法与系统
US11659255B2 (en) Detection of common media segments
US8826325B2 (en) Automated unobtrusive ancilliary information insertion into a video
US200803074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 in a Network
KR20100095924A (ko) 동영상의 상황정보를 반영한 광고 키워드 추출 방법 및 장치
EP30328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direct response advertising
JP4742952B2 (ja) 受信機、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763624A (zh) 一种电视频道节目互动的方法与装置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JP2010178176A (ja) 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これらを備え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KR20150104358A (ko) 서버 장치 및 그의 핑거프린트 전송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장치
KR20200122040A (ko)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연동한 지능형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han et al. Product placement practices in prime-time television programs in Hong Kong
KR20160027486A (ko) 광고 제공 장치, 광고 표시 장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표시 방법
US8826318B2 (en) Image based interactive ticker system in television signal
KR10097867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tv 방송 중의 유해 컨텐츠 차단 및대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17127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
JP2020156001A (ja) Aiを活用した広告推奨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
EP3220652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74310B1 (ko) 영상 콘텐츠와 연관성을 갖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N110111142B (zh) 基于智能终端智能营销系统
WO201714944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based on audio-visual analytics
US201501068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oint of interest and inserting accompanying information into a multimedia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