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274B1 -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274B1
KR101010274B1 KR1020080095796A KR20080095796A KR101010274B1 KR 101010274 B1 KR101010274 B1 KR 101010274B1 KR 1020080095796 A KR1020080095796 A KR 1020080095796A KR 20080095796 A KR20080095796 A KR 20080095796A KR 101010274 B1 KR101010274 B1 KR 10101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mounting
outl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532A (ko
Inventor
조홍주
Original Assignee
(주)위더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더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위더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9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2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접속단자(111)가 내설되어 있는 콘센트바디(110)와, 콘센트바디(110)의 상부를 덮도록 콘센트바디(110)와 결합하는 상부커버(120)와, 통 형상으로 구현되어서 상부커버(120)에 고정되고 바닥부(131)에는 플러그접속단자(111)에 연통하는 제1 관통홀(131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 재치되어서 플러그(P1)의 삽입 인출방향으로 신축하는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과, 플러그(P1)를 거치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현되고 바닥부(151)에는 플러그의 단자(P1a)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151a)이 형성되고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에 재치되어서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와,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하강하는 경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로킹하는 잠금수단(160)과,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러그(P1)를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로킹된 잠금수단(160)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플러그를 쉽게 분리하고 분리된 플러그를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콘센트, 플러그, 해제, 거치

Description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Wall outlet Placing A Plug}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고, 분리 배출된 플러그를 콘센트 내부에 그대로 거치해 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플러그 정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후에 플러그를 콘센트에 다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누르기만 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상가, 사무실, 공장 등의 장소에서 사용되는 전기, 전자 제품은 콘센트(wall outlet, multi socket)를 이용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콘센트에는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435308호로 개시된 대기전력 절전 플러그와, 공개번호 실2000-11996호로 개시된 컨센트의 플러그 분리장치와,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3706호로 개시된 플러그 자동인출 콘센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러그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콘센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435308호로 개시된 대기전력 절전 플러그는 플러그 자 체에 구성을 구비한 플러그 내삽형이므로 플러그마다 구현하여야 하므로 실제 제품화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고, 공개번호 실2000-11996호로 개시된 컨센트의 플러그 분리장치의 경우에도 플러그를 사용자가 회전하여야하고 또한 가압하여야 하므로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많은 동작과 작업을 요하므로 본래의 간편 분리라는 목적의 구현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3706호로 개시된 플러그 자동인출 콘센트의 경우에는 플러그를 자동 인출하기 위해서 콘센트에 복잡하고 많은 별도의 신규 구성을 추가로 구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플러그를 별도로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최적의 콘센트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목적은, 간편한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콘센트에 접속된 플러그를 분리 배출하고, 분리 배출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대로 플러그를 누르기만 하면 간편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 플러그는 콘센트의 단자에서 분리된 상태 그대로 거치해 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플러그 정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플러그 사 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후에 플러그를 콘센트에 다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누르기만 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콘센트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러그접속단자가 내설되어 있는 콘센트바디와, 상기 콘센트바디의 상부를 덮도록 콘센트바디와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과, 통 형상으로 구현되어서 바닥부가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커버에 고정되고, 바닥부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도록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에 연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재치되어서 플러그의 삽입 인출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플러그 배출 스프링과, 플러그를 거치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현되고, 바닥부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에 재치되어서 플러그 배출 스프링의 신축에 따라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플러그 거치 승강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가 하강하는 경우 플러그 거치 승강자를 로킹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된 잠금수단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대향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커버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장착부재와, 상기 제1 장착부재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2 장착부재와, 상기 제2 장착부재와 대향하고 상기 상부커버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평탄 형성된 레거 지지편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제1 장착부재와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는,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잠금스프링과 하우징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장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측으로 오므라들어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의 상단을 걸림 잠금하는 개곡선 형태의 잠금작동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잠금작동링의 열린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그 안내편에 지지되어서 상부커버의 버튼삽입공에 내삽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의 잠금을 해제하여 플러그를 콘센트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므라든 잠금작동링을 외측으로 벌리는 플러그 해제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레거 지지편의 직상방에서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을 내삽하기 위한 버튼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편한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콘센트에 접속된 플러그를 신속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고, 분리 배출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러그를 누르기만 하면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콘센트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 플러그는 콘센트의 플러그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 그대로 거치해 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 정리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한 플러그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후에 플러그를 콘센트에 다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그대로 누르기만 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므로 플러그의 작동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부 분 절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7에는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어서 거치되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내지 11에는 플러그가 콘센트로에 접속되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6은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의 플러그 해제버튼(170)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0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는 과정에서의 플러그 해제버튼(170)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는, 플러그(P1)의 단자(P1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러그접속단자(111)가 내설되어 있는 콘센트바디(110)와, 상기 콘센트바디(110)의 상부를 덮도록 콘센트바디(110)와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P1)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중앙통공(120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120)와,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내부에서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현되어서 바닥부(131)가 상기 플러그접속단자(11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바람직하게는 간극을 유지하면서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커버(120)에 고정되고 바닥부(131)에는 플러그의 단자(P1a)가 통과되도록 상기 플러그접속단자(111)에 연통하는 제1 관통홀(131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 재치되어서 플러그(P1)의 삽입 인출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과, 플러그(P1)를 거치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현되고 바닥부(151)에는 플러그의 단자(P1a)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151a)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에 재치되어서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신축에 따라서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플러그 거 치 승강자(150)와,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거치된 플러그(P1)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하강하는 경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로킹하는 잠금수단(160)과,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러그(P1)를 상기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된 잠금수단(160)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잠금작동링(162)의 열린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거 지지편(135)에 지지되어서 상부커버(120)의 버튼삽입공(120b)에 내삽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잠금을 해제하여 플러그(P1)를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므라든 잠금작동링(162)을 외측으로 벌리는 플러그 해제버튼(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는,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대향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커버(120)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장착부재(133)와, 상기 제1 장착부재(133)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2 장착부재(134)와, 상기 제2 장착부재(134)와 대향하고 상기 상부커버(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평탄 형성된 레거 지지편(135)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제1 장착부재(133)와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공(120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잠 금수단(160)은,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로부터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133)의 스프링고정홈(133a)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30)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161)과, 상기 한 쌍의 잠금스프링(161)과 하우징(130)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장착부재(134)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측으로 오므라들어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하강하는 경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상단을 걸림 잠금하여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로킹하는 개곡선 형태의 잠금작동링(1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레거 지지편(135)의 직상방에서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을 내삽하기 위한 버튼삽입공(12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잠금작동링(162)은, 상기 제2 장착부재(13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162a)과, 상기 잠금스프링(161)과 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핀(162a)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잠금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핀(162a)에 대하여 회전하여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고정핀(162a)에 대하여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곡선(바람직하게는 반원) 형상의 한 쌍의 아암(162b)과,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에서 내측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측면부(152)에 밀착되어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아암(162b)이 오므라들거나 벌어짐에 따라서 상 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걸어서 잠그는 걸림편(162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은, 중공부(17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의 사이의 열린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튼삽입공(120b)에 내삽되는 하우징(171)과, 상기 중공부(171a)를 가로 질러서 상기 하우징(171)에 고정되는 레그회전축(172)과, 상기 레거 지지편(135)의 상면을 타면서 벌어지고 오므라들 수 있도록 상기 레그회전축(17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의 단부에 밀착되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이 오므라짐에 연동하여 오므라들어서 상기 레그회전축(172)에 고정된 하우징(17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하우징(171)에 하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벌어짐으로써 오므라든 한 쌍의 아암(162b)을 외측으로 벌려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잠금을 해제하여 플러그(P1)를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레그(173)와, 상기 레그(173)가 오므라들어서 상기 하우징(171)이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버튼삽입공(120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71)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되어서 상기 버튼삽입공(120b)에 걸리는 멈춤턱(17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레그(173)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더욱 더 원활하게 오므라들고 벌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는 승강안내홈(132a)이 승강방향으로 요입되어서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안내홈(132a)의 안내에 의해서 승강방향으로 원할하게 승강하도록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측면부(152)에는 승강돌기(152a)가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는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제1 돌테(131b)가 환형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바닥부(131)의 하면에는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상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헤서 상기 제2 관통홀(151a)을 내포하면서 제2 돌테(151b)가 환형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플러그(P1)를 콘센트(100)에 접속하는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1)가 콘센트(100)로 분리되고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1)에 외력을 작용한다.
플러그(P1)에 외력을 작용하면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아래로 하강하고,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상단이 걸림편(162c)의 아래로 내려가는 순간 잠금스프링(161)의 탄성력을 계속 받고 있던 아암(162b)은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걸림편(162c)이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상단을 걸어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잠근다.
한 쌍의 아암(162b)이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경우 한 쌍의 레그(173) 역시 연동하여 오므라들고 그 결과 플러그 해제버튼(170)은 상방으로 밀려서 올라간다.
이제 상기와 같이 플러그(P1)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플러그(P1)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콘센트(100) 내에 거치하는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플러그 해제버튼(170)을 누르면 레그(173)가 레거 지지편(135)의 상면을 타고 벌어지고, 벌어지는 레거 지지편(135)은 한 쌍의 아암(162b)을 외측으로 벌리고, 한 쌍의 아암(162b)이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외경보다 더 크게 외측으로 벌어지면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는 압축되어 있던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고, 상승하는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의해서 플러그(P1)는 플러그접속단자(111)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플러그접속단자(111)로부터 분리된 플러그(P1)는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P1)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더라도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거치된 상태에 있게 되면 사용자는 차후에 플러그를 콘센트(100)에 접속하는 경우 그 위치에서 그대로 누르면 되고, 또한 플러그(P1)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한 점이 발생한다.
한편 플러그(P1)는 플러그접속단자(111)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의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어서 거치되는 동작도이다.
도 8 내지 11는, 플러그가 콘센트로에 접속되는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110 ; 콘센트바디 111 ; 플러그접속단자
120 ; 상부커버 120a; 중앙통공
120b; 버튼삽입공 120c; 장착공
130 ; 하우징 131 ; 하우징의 바닥부
131a; 제1 관통홀 131b; 제1 돌테
132 ; 하우징의 측면부 132a; 승강안내홈
133 ; 제1 장착부재 134 ; 제2 장착부재
135 ; 레거 지지편 140 ; 플러그 배출 스프링
150 ; 플러그 거치 승강자 151a; 제2 관통홀
151b; 제2 돌테 152 ; 플러그 거치 승강자의 측면부
152a; 승강돌기 161 ; 잠금스프링
162 ; 잠금작동링 162a; 고정핀
162b; 아암 162c; 걸림편
170 ; 플러그 해제버튼 171 ; 하우징
171a ; 중공부 172 ; 레그회전축
173 ; 레그 174 ; 멈춤턱
P1 ; 플러그 P1a; 플러그의 단자

Claims (8)

  1. 플러그(P1)의 단자(P1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러그접속단자(111)가 내설되어 있는 콘센트바디(110)와,
    상기 콘센트바디(110)의 상부를 덮도록 콘센트바디(110)와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P1)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중앙통공(120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120)와,
    통 형상으로 구현되어서 바닥부(131)가 상기 플러그접속단자(11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커버(120)에 고정되고, 바닥부(131)에는 플러그의 단자(P1a)가 통과되도록 상기 플러그접속단자(111)에 연통하는 제1 관통홀(131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30)와,
    상기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 재치되어서 플러그(P1)의 삽입 인출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과,
    플러그(P1)를 거치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현되고, 바닥부(151)에는 플러그의 단자(P1a)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151a)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에 재치되어서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신축에 따라서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와,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하강하는 경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로킹하는 잠금수단(160)과,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러그(P1)를 상기 콘센트 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된 잠금수단(160)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대향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커버(120)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장착부재(133)와,
    상기 제1 장착부재(133)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2 장착부재(134)와,
    상기 제2 장착부재(134)와 대향하고 상기 상부커버(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평탄 형성된 레거 지지편(135)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제1 장착부재(133)와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공(120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60)은,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13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30)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161)과,
    상기 한 쌍의 잠금스프링(161)과 하우징(130)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장착부재(134)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측으로 오므라들어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상단을 걸림 잠금하는 개곡선 형태의 잠금작동링(16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잠금작동링(162)의 열린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거 지지편(135)에 지지되어서 상부커버(120)의 버튼삽입공(120b)에 내삽되고,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잠금을 해제하여 플러그(P1)를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므라든 잠금작동링(162)을 외측으로 벌리는 플러그 해제버튼(1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레거 지지편(135)의 직상방에서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을 내삽하기 위한 버튼삽입공(12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작동링(162)은,
    상기 제2 장착부재(13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162a)과,
    상기 잠금스프링(161)과 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핀(162a)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잠금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핀(162a)에 대하여 회전하여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고정핀(162a)에 대하여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곡선 형상의 한 쌍의 아암(162b)과,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에서 내측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아암(162b)이 오므라들거나 벌어짐에 따라서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를 걸어서 잠그는 걸림편(16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해제버튼(170)은,
    중공부(17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의 사이의 열린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튼삽입공(120b)에 내삽되는 하우징(171)과,
    상기 중공부(171a)를 가로 질러서 상기 하우징(171)에 고정되는 레그회전축(172)과,
    상기 레거 지지편(135)의 상면을 타면서 벌어지고 오므라들 수 있도록 상기 레그회전축(17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의 단부에 밀착되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162b)이 오므라짐에 연동하여 오므라들어서 상기 레그회전축(172)에 고정된 하우징(17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하우징(171)에 하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벌어짐으로써 오므라든 한 쌍의 아암(162b)을 외측으로 벌려서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잠금을 해제하여 플러그(P1)를 콘센트바디(110)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레그(173)와,
    상기 레그(173)가 오므라들어서 상기 하우징(171)이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버튼삽입공(120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71)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되어서 상기 버튼삽입공(120b)에 걸리는 멈춤턱(17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그(173)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가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측면부(132)에는 승강안내홈(132a)이 승강방향으로 요입되어서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안내홈(132a)의 안내에 의해서 승강방향으로 원할하게 승강하도록 상기 플러그 거치 승강자(150)의 측면부(152)에는 승강돌기(152a)가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는 상기 플러그 배출 스프링(140)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제1 돌테(131b)가 환형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KR1020080095796A 2008-09-30 2008-09-30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KR10101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96A KR101010274B1 (ko) 2008-09-30 2008-09-30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96A KR101010274B1 (ko) 2008-09-30 2008-09-30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32A KR20100036532A (ko) 2010-04-08
KR101010274B1 true KR101010274B1 (ko) 2011-01-24

Family

ID=4221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796A KR101010274B1 (ko) 2008-09-30 2008-09-30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51B1 (ko) * 2010-10-06 2012-05-25 박성규 플러그의 착탈이 용이한 콘센트
WO2015186869A1 (ko) * 2014-06-05 2015-12-10 기해경 콘센트
KR200485044Y1 (ko) * 2017-04-18 2017-11-23 정지윤 단일단자형 전기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한 전원연결장치
CN110098546A (zh) * 2019-05-30 2019-08-06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换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10Y1 (ko) 2000-09-05 2001-02-15 최상국 감전을 방지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020014710A (ko) * 2000-08-18 2002-02-25 핫토리 쥰이치 조율기
KR20040035308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다기능형 알에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처블 콤바이너
KR20050034209A (ko) * 2003-10-08 2005-04-14 (주)첨단엔프라 콘센트
KR200435308Y1 (ko) 2006-08-29 2007-01-16 조동기 대기전력 절전 플러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710A (ko) * 2000-08-18 2002-02-25 핫토리 쥰이치 조율기
KR200214710Y1 (ko) 2000-09-05 2001-02-15 최상국 감전을 방지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040035308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다기능형 알에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처블 콤바이너
KR20050034209A (ko) * 2003-10-08 2005-04-14 (주)첨단엔프라 콘센트
KR200435308Y1 (ko) 2006-08-29 2007-01-16 조동기 대기전력 절전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32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458B2 (ja) 安全コンセント
KR101010274B1 (ko) 플러그 거치형 콘센트
TWI415348B (zh) Can replace the different plugs and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lug power conversion device
TWI385875B (zh) The plug can be changed in direction and replaceable power converter
AU2010244965B2 (en) Socket switch
KR101372538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CN201500071U (zh) 马桶盖板的安装支架
KR20110080111A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KR100633363B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102204600B1 (ko) 이중 차단 구조를 갖는 전원접속장치
WO2011065622A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CN209103946U (zh) 一种插拔式电流互感器
KR100950600B1 (ko) 콘센트
CN109004443A (zh) 电气连接用工业连接器
KR20160133663A (ko)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KR101680372B1 (ko) 복합 기능성 스위치
KR101564843B1 (ko) 콘센트
KR200201813Y1 (ko) 전격방지용 플러그 및 콘센트
KR101819319B1 (ko) 콘센트
JP3095215U (ja) スイッチ構造付きソケットアセンブリ
KR101039101B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200288874Y1 (ko) 플러그를 편리하게 분리 할 수 있는 전기 콘센트
KR101210584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CN102610962B (zh) 插座
KR200397548Y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