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361B1 - 터미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361B1
KR101009361B1 KR1020080063018A KR20080063018A KR101009361B1 KR 101009361 B1 KR101009361 B1 KR 101009361B1 KR 1020080063018 A KR1020080063018 A KR 1020080063018A KR 20080063018 A KR20080063018 A KR 20080063018A KR 101009361 B1 KR101009361 B1 KR 10100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ider
base
groov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52A (ko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30)에 터미널(3)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테스트홈(3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0)에는 슬라이더(60)가 상기 테스트홈(34)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베이스(30)에 대해 상대 이동을 하며 상기 터미널(3)을 외부로 끌어낸다. 상기 베이스(30)에는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대경부(42a)와 소경부(42b)로 이루어지는 관통홀(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2)을 통해 그 선단이 상기 슬라이더(60)에 연결되는 체결구(B)의 머리부(h)와 상기 베이스(3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베이스(30)의 관통홀(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e)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캐리어(5)에 의해 연결된 터미널(3)의 피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검사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제품의 품질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캐리어, 테스트홈, 슬라이더

Description

터미널 검사장치{Terminal test device}
본 발명은 터미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에 의해 연결된 다수 터미널 간의 피치와 규격 등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터미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모재(이하 '터미널 스트랩')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에는 터미널 스트랩이 얹어지고, 상기 펀치는 다이에 얹어진 터미널 스트랩을 타격하여 터미널 스트랩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의 터미널을 만들어 나간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터미널 스트랩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터미널 스트랩에서 절곡된 캐리어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 스트랩(1)은 다수개의 터미널(3)이 캐리어(5)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3)을 캐리어(5)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은 터미널(3)을 자동화장비를 사용하여 만들고, 이를 또 자동화장비에 장착하여 이후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미널(3)은 정션박스 등의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조건에 따라서 상기 터미널(3)이 다수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상기 캐리어(5)를 절단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3) 각각을 연결하는 캐리어(5)에 절곡부(5')를 형성하여 박스에 직접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터미널 스트랩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3)은 상기 캐리어(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박스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3)의 피치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터미널(3) 사이의 피치(간격)가 달라지면, 다음 공정에서 장비에 터미널 스트랩(1)이 장착되었을 때, 터미널(3)이 공정 진행을 위한 정위치에 있지 않게 되어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3)은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캐리어(5)에 연결된 상태로 박스 등에 직접 설치되기도 하는데, 상기 터미널(3)의 피치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큰 공차가 발생되면 제품의 품질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버니어캘리퍼스 등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3)의 피치를 측정하는데 이와 같은 검사작업은 번거롭고 그에 소요되는 시간도 오래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가 서로 연결된 터미널의 피치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터미널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테스트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개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테스트홈을 덮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테스트홈에 안착된 터미널을 외부로 끌어내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스트홈에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에는 터미널의 인출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의 일부가 걸어져 상기 터미널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직경이 다른 구간을 구비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그 선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체결구의 머리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홈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이드홈을 향하는 선단쪽이 선단의 반대쪽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삭제
상기 슬라이더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파지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및 슬라이더는 상기 터미널보다 강도가 높은 합금공구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캐리어에 의해 연결된 터미널의 피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검사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제품의 품질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에서 터미널 스트랩(1)의 도면부호를 원용하여 터미널 검사장치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 검사장치는 베이스(30)와 슬라이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0) 및 슬라이더(60)는 상기 터미널(3)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가 높은 합금공구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30)는 몸체부(32)와 돌출부(40)로 구분된다. 상기 몸체부(32)에는 테스트홈(3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은 상기 터미널 스트랩(1)의 터미널(3)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은 일측으로 길게 요입되어 상기 테스트홈(34)의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도 4c 참조) 외부와 연통된 상기 테스트홈(34)의 일단으로 터미널(3)이 삽입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은 적어도 상기 캐리어(5)에 연결된 터미널(3)의 개수보다 많이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은 상기 터미널(3) 사이의 간격, 즉 상기 터미널(3)의 피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의 형상 및 각 테스트홈(34)의 간격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상기 터미널(3)의 형상 및 상기 터미널(3)의 피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테스트홈(34) 모두에 상기 터미널 스트랩(1)이 모두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 스트랩(1)에 연결된 터미널(3)의 규격 및 피치가 올바르게 형성되었다는 의미가 된다.
상기 테스트홈(34)의 양측에는 상기 테스트홈(3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부(36)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6)의 횡단면은 도브테일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36)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32)의 표면에서 먼 쪽의 길이가 상기 몸체부(32)의 표면에서 가까운 쪽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36)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60)의 가이드홈(66)에 삽입되었을 때 슬라이더(60)가 상기 몸체부(32)의 상방으로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테스트홈(34)과 가이드부(3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몸체부(32)에는 돌출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0)는 상기 몸체부(32)의 일측에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0)에는 서로 직경이 다른 구간을 구비하는 관통홀(42)이 상기 돌출부(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돌출부(40)의 일측에서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경부(42a)와 소경부(42b)로 구성된다. 상기 대경부(42a)는 상기 테스트홈(34)에서 상대적으로 먼 상기 돌출부(4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42b)는 상기 테스트홈(34)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돌출부(40)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42a)와 상기 소경부(42b)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관통홀(42)에는 탄성부재(e)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구(B)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구(B)의 머리부(h)는 상기 대경부(42a)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B)의 나사부(s)는 상기 소경부(42b)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B)의 나사부(s)의 선단은 상기 소경부(42b)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40)의 타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재(e)는 상기 체결구(B)의 머리부(h)가 상기 소경부(42b)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체결구(B)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e)는 슬라이더(60)가 상기 베이스(30)의 관통홀(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구(B)의 선단에는 슬라이더(60)가 체결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몸체부(32)의 상부에서 상기 테스트홈(34)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60)의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더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40)에 가까운 상기 슬라이더몸체(62)의 일측에는 체결홈(6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64)에는 상기 체결구(B)의 나사부(s)가 삽입된다. 즉, 상기 돌출부(40)의 타면으로 돌출된 상기 나사부(s)의 선단이 상기 체결홈(64)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구(B)가 상기 슬라이더(6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몸체(62)에서 상기 테스트홈(34)을 마주보는 일면에는 가이드홈(6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6)은 상기 가이드부(3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66)이 상기 베이스(30)의 몸체부(3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6)가 상기 슬라이더몸체(6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홈(66)은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몸체(62)에서 상기 체결홈(64)의 반대측에는 걸림부(68)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8)는 상기 테스트홈(34)을 마주보는 상기 슬라이더몸체(62)의 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68)는 상기 터미널 스트랩(1)이 삽입되는 상기 테스트홈(34)의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68)에는 상기 테스트홈(34)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테스트홈(34)에서 가장 많이 돌출된 상기 터미널(3)의 일부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68)에는 상기 테스트홈(34)의 바닥면에서 가장 많이 돌출된 상기 캐리어(5)의 절곡부(5')가 걸리지만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터미널(3) 또는 바렐부 등이 상기 테스트홈(34)의 바닥면에서 가장 많이 돌출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3)의 일부는 상기 터미널 스트랩(1)의 구성요소 중에 가장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걸림부(68)는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돌출부(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터미널(3)의 일부에 걸어져 상기 터미널 스트랩(1)을 상기 테스트홈(34)에서 외부로 밀어낸다.
상기 슬라이더몸체(62)에는 파지홈(70)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더몸체(62)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상기 파지홈(7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홈(70)은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을 위해 손가락을 안착시켜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검사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터미널 검사장치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검사하고자 하는 터미널(3)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테스트홈(34)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30)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60)를 상기 베이스(30)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60)의 가이드홈(66)을 상기 몸체부(32)의 가이드부(36)에 결합시킨다. 상기 가이드부(36)는 그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커지게 도브테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몸체부(32)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홈(66)에 상기 가이드부(36)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60)를 상기 돌출부(40)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소경부(42b)와 상기 체결홈(64)이 서로 연통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체결구(B)의 머리부(h)와 상기 대경부(42a)가 형성된 돌출부(40) 사이에 탄성부재(e)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체결구(B)를 상기 대경부(42a)에 삽입시킨다. 그 후, 상기 체결구(B)의 나사부(s)가 상기 돌출부(40)에 형성된 소경부(42b)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60)의 체결홈(64)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30)에 설치된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탄성부재(e)에 의해 상기 몸체부(32)의 일측에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40)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32)의 타측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터미널 검사장치에 의해 터미널(3)이 검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3)이 검사되기 위해, 상기 캐리어(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3) 각각의 사이에 절곡부(5')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5')는 상기 터미널(3)이 상기 테스트홈(34)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테스트홈(34)의 선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터미널 스트랩(1)을 상기 몸체부(32)의 일측에서 상기 테스트홈(34)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터미널(3)이 상기 테스트홈(34)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캐리어(5)의 절곡부(5')가 상기 슬라이더(60)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68)의 이동궤적 상에 위치된다. 즉, 일정한 형상과 피치로 형성된 터미널(3)은 상기 테스트홈(34)에 완전히 삽입되고, 설계상의 공차를 벗어나는 형상과 피치로 형성된 터미널(3)은 상기 테스트홈(34)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즉, 작업자는 터미널(3)의 형상과 피치를 개별적으로 검사하지 않고도 상기 터미널(3)이 상기 테스트홈(34)에 삽입되는지 시도함으로써 검사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테스트홈(34)에 삽입된 터미널(3)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 상기 파지홈(70)을 잡고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돌출부(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즉,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탄성부재(e)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이동하면, 상기 걸림부(68)에 걸어진 상기 캐리어(5)의 절곡부(5')가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테스트홈(34)에서 인출된다.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6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탄성부재(e)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5) 부분은 상기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3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 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미널 스트랩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터미널 스트랩에서 절곡된 캐리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베이스 32: 몸체부
34: 테스트홈 36: 가이드부
40: 돌출부 42: 관통홀
42a: 대경부 42b: 소경부
60: 슬라이더 62: 슬라이더몸체
64: 체결홈 66: 가이드홈
68: 걸림부 70: 파지홈
B: 체결구 h: 머리부
s: 나사부 e: 탄성부재

Claims (7)

  1. 터미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테스트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개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테스트홈을 덮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테스트홈에 안착된 터미널을 외부로 끌어내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스트홈에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에는 터미널의 인출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의 일부가 걸어져 상기 터미널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직경이 다른 구간을 구비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그 선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체결구의 머리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홈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이드홈을 향하는 선단쪽이 선단의 반대쪽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파지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슬라이더는 상기 터미널보다 강도가 높은 합금공구강으로 형성되는 터미널 검사장치.
KR1020080063018A 2008-06-30 2008-06-30 터미널 검사장치 KR10100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18A KR101009361B1 (ko) 2008-06-30 2008-06-30 터미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18A KR101009361B1 (ko) 2008-06-30 2008-06-30 터미널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52A KR20100002952A (ko) 2010-01-07
KR101009361B1 true KR101009361B1 (ko) 2011-01-19

Family

ID=4181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18A KR101009361B1 (ko) 2008-06-30 2008-06-30 터미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25B1 (ko) * 2013-12-05 2014-11-13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27A (ja) 2001-05-14 200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検査装置
KR20040036014A (ko) * 2002-10-23 2004-04-30 박종호 광고혼합 업무 시스템
KR100652198B1 (ko) 2005-11-25 2006-1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스트립 성형장치
KR100686641B1 (ko) * 2005-11-23 2007-02-2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
KR200436014Y1 (ko) 2006-12-22 2007-04-11 주식회사 디지웨이브 휴대폰 커넥터 부품의 평탄도 검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27A (ja) 2001-05-14 200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検査装置
KR20040036014A (ko) * 2002-10-23 2004-04-30 박종호 광고혼합 업무 시스템
KR100686641B1 (ko) * 2005-11-23 2007-02-2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
KR100652198B1 (ko) 2005-11-25 2006-1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스트립 성형장치
KR200436014Y1 (ko) 2006-12-22 2007-04-11 주식회사 디지웨이브 휴대폰 커넥터 부품의 평탄도 검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52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4031B2 (en) Contact probe and semiconductor element socket provided with same
JP5360731B2 (ja) 切断装置
US8033872B2 (en) Contact terminal for test socket
US7150172B2 (en) Burring device
KR102059847B1 (ko) 파스너 엘리먼트, 파스너 엘리먼트의 제조 장치 및 파스너 엘리먼트의 제조 방법
CN105081068B (zh) 圆管双头冲翻孔模具
US8413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metal member
KR101009361B1 (ko) 터미널 검사장치
KR101637964B1 (ko) 코루게이트 핀 제조장치
KR100858727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사이드커팅장치
US20150147423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mold
KR20100123511A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094401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벤딩장치
KR100874973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캐리어홀 형성장치
KR10098878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US9623582B2 (en) Carrier-tape fabrication die and carrier-tape fabrication method
US7218096B2 (en) Adjusting device for chip adapter testing pin
KR200442225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소재 안내장치
KR10084685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안내장치
KR100846845B1 (ko) 터미널성형장치 및 방법
KR20100013630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205967083U (zh) Usb不锈钢拉伸外壳成型模具
CN219122383U (zh) 一种用于b2b连接器的测试模芯及测试设备
CN218662155U (zh) 一种滑门导轨固定工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