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974B1 -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974B1
KR101008974B1 KR1020100026079A KR20100026079A KR101008974B1 KR 101008974 B1 KR101008974 B1 KR 101008974B1 KR 1020100026079 A KR1020100026079 A KR 1020100026079A KR 20100026079 A KR20100026079 A KR 20100026079A KR 101008974 B1 KR101008974 B1 KR 10100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resonator
meta
electromagnetic wave
phas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경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2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01P7/065Cavity resonators integrated i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9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having means for achieving a desired tuning characteristic, e.g. linearis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cross the tuning voltage range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잡음위상 전압 제어 발진기를 개시한다.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는 전기장의 커플링을 강하게 하여 공진 주파수에서 높은 Q값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우수한 위상잡음 및 높은 출력을 가지는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 제어에서 소프트웨어적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여 전체 시스템의 크기 및 기능을 강화한다.

Description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DOUBLE H-SHAPE METAMATERIAL RESONATOR AND LOW PHASE NOISE VOLTAGE CONTROLED OSCILL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분야의 발전으로 초고주파 부품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이에 발 맞추어 연구 및 개발, 발전되어지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주파수를 상/하향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합성부의 핵심 부품으로 전체 시스템의 잡음 지수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위상잡음을 작게 가져가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또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주파수 선택도를 높이고, 주파수 안정화 및 불요파를 억제함으로 통신 신호의 출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미약한 수신 신호를 낮은 잡음으로 복원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레이더 시스템의 경우 매우 우수한 성능의 신호대 잡음비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주파수 합성부의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의 레이더 시스템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위상잡음을 낮추기 위해 유전체 공진기를 적용하였으며 주파수의 변화는 이 유전체의 유효 유전율을 조정하므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유전체 공진기의 경우 위상잡음을 낮출 수는 있으나 주파수 변화를 위해 유전체의 유효 유전율을 하드웨어적 제어를 해야 하며 전체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레이더 시스템의 복잡도를 가중시키고 시스템의 크기가 커져 회로의 집적도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열에 의한 불규칙적인 유전율의 변화로 선형적 주파수 변화를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높은 Q값을 가지는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위상잡음 특성을 가지고, 시스템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 제어가 가능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스트립라인;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메타전자파 구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를 적용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능동 소자; 상기 능동 소자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특정 주파수대에서 공진을 발생하는 스트립라인 및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상기 능동 소자의 이미터에 연결되어 상기 능동 소자가 특정 주파수대에서 부성저항 특성을 갖도록 하는 궤환 회로; 상기 능동소자의 컬렉터에 연결되어 발진 주파수의 중심 신호원이 부하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정합하는 출력정합회로; 및 상기 능동소자의 베이스 및 컬렉터에 각각 연결되어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타전자파 구조의 각각의 셀은, 이중 H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타전자파 구조는, 2개 내지 4개의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메타전자파 구조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음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높은 Q값을 가지는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합성부의 위상잡음 특성을 향상시키고, 출력 전력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하드웨어적 제어를 통한 주파수 변환을 소프트웨어적 제어를 통한 주파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체 시스템 설계시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실제 설계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를 설계한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전력, 고조파 특성 및 위상잡음 특성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여기서, 도 1에 관한 자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인터디지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터디지털 구조의 대표적인 예는 CRLH(Composite Right/Left Handed) 전송 선로이며, 상기 CRLH는 LH(Left Handed) 전송 선로와 RH(Right Handed) 전송 선로가 혼재하여 구현되는 전송 선로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 선로는 등가적으로 직렬 인덕턴스와 병렬 캐패시턴스의 구조를 지니므로 기본적으로 저역 통과 전달 특성을 갖게 된다. 이때, 전송 선로 매질의 유전율과 투자율은 모두 양(+)의 값이며, 전자파의 위상 속도와 군속도도 모두 양의 값을 갖는다.
그런데 전송 선로 매질의 구성을 서로 뒤바꾸어 등가적으로 직렬 캐패시턴스와 병렬 인덕턴스의 구조를 갖게 하면 등가적으로 고역 통과 전달 특성을 갖는 전송 선로가 되고, 이와 같은 구조로부터 유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음(-)의 값을 갖도록 하는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전송 매질이 형성된다.
상기 NRI 매질 안에서 전자파는 전송 방향과 반대인 음의 위상 속도를 갖게 되므로 이를 LH(Left Handed) 전송 선로라고 부른다. 그래서 상기 전자의 경우의 전송 선로를 RH(Right Handed) 전송 선로라고 부른다. LH 특성을 나타내는 메타 물질(meta material)내에서는 전송 선로 내에서 위상의 흐름이 역방향이므로 기존의 RH 전송 선로와는 다른 물리적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RH 전송 선로에서는 진행 방향으로 비례하여 전기적 길이가 늘어나는 반면, LH 전송 선로에는 그 반대이므로 회로의 소형화, 위상의 조절, 다중 대역에서의 동 위상 확보 측면에 있어서 RH 전송 선로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응용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초고주파 전송 선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인식되어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LH 전송 선로를 구현하기 위한 매질은 직렬 인덕턴스-병렬 캐패시턴스의 RH 성질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높은 주파수에서는 RH 성질이 우세하게 되어 군속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LH 전송 선로의 구현은 RH 특성이 혼재하는 전송 선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100)는 일정 크기 및 두께를 가지는 기판(101), 상기 기판의 상부에 양각된 스트립라인(103),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음각된 복수개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105)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1)은 내부에 유효 유전율(예를 들어, 유전율 3.2)을 가지는 유전물질과 상하부에 전도성물질(예를 들어, 동판)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라인(103)은 상기 기판의 상부에 양각되어 일정 선폭과 길이를 가지며, 인덕턴스(L) 즉, 유도성 리액턴스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105)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음각되어 H자 두개가 겹쳐 있는 형태를 가지며, 음각된 갭의 커플링에 의한 커패시턴스(C) 즉, 용량성 리액턴스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는 기판의 하부면에 음각으로 식각되어 앞서 설명한 인터디지털 구조 즉, 복합 우/좌형 전송선로(CRLH)의 특성을 나타내고, 두 전송 선로 사이에서 발생되는 직/병렬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므로 공진기의 Q값을 강화하였다. 이에 관하여는 도 2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4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4개의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가 2개 이상이 될 때부터 커플링 계수가 점점 증가하며, 4개 일때 커플링 계수가 가장 높으며, 5개 부터는 커플링 계수의 증가폭이 미미하다. 따라서, 커플링 계수 및 공진기 크기를 고려하여 2~4개의 셀 일 때(바람직하게는, 4개의 셀) 적정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의 공진기를 설계할 수 있다.
이하, 1-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105)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는 H자 두 개가 겹쳐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음각된 갭의 경우 커플링에 의한 커패시턴스(C)를 형성하고, 빨간색으로 표현된 스트립라인의 경우 인덕턴스(L)을 나타낸다. 이때 발생되는 L과 C에 의해 LC공진이 발생되며, 이때 공진 주파수는 아래 수학식 1로 결정된다.
Figure 112010018489005-pat00001
여기서, 메타전자파 구조는 파장보다 짧은 구성 소자로 구성되었으며, 특정 주파수에서 음의 유효 유전율과 음의 유효 투자율을 갖는다. 유효 유전율과 투자율이 동시에 음의 값을 갖기 때문에 전파의 위상 속도와 군속도가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전파의 진행이 오른손 법칙을 따랐다면 메타전자파 구조에서는 왼손 법칙을 따르게 된다. 주기적으로 배열된 선형 다이폴에 나란히 입사된 전기장은 특정 대역에서 저지대역을 형성하게 되며 음의 유효 유전율을 갖게 된다. 또한 주기적인 구조로 배열된 분할링 구조에 수직하게 입사된 자기장에 의해 저지대역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음의 유효 투자율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를 이용한 공진기는 공진 구조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강한 전자기적 커플링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높은 Q값을 갖는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고, 발진기에 적용시 위상잡음을 낮출 수 있고, 높은 출력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Q값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저장된 평균 에너지를 초당 소비된 에너지로 나눈 값이다.
Figure 112010018489005-pat000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는 도 2에 도식된 것과 같이 강한 전자기장 커플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상호 인덕턴스 및 상호 커패시턴스를 발생시게 되며 이때 증가된 상호 인덕턴스와 상호 캐패시턴스에 의해 더 많은 에너지가 저장되게 된다. 이로 인해 높은 Q값에 이르게 된다.
또한, 상기 Q값에 따른 위상잡음에 대한 일반적인 식은 아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0077146662-pat00003

여기서, F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 P는 부하에서의 출력전력, QL은 공진기의 Q값, fm은 옵셋 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위상잡음(L)과 Q값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높은 Q값으로 인해 위상잡음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실제 설계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공진기의 윗면사진으로, 인덕턴스를 형성하는 스트립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b)는 공진기의 아래면사진으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 4개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은 Taconic 테프론 기판(유효 유전율 =3.2, 동판 두께=0.787mm)를 사용하였으며,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한 개의 셀에 대한 크기는 가로 × 세로가 3 mm × 3 mm 이다. 셀 라인의 폭은 0.2 mm 이다. 상기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는 커플링 계수를 증가 시키기 위해 최종 4개의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크기는 가로 × 세로가 20 mm × 9 mm 이다. 또한, 윗면의 스트립라인의 길이는 20mm이고, 폭은 0.8mm로 설계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L, C, 커플링 계수 등은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의 가로길이, 세로길이 및 셀 라인의 폭을 조정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3과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실험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S21 은 공진 주파수(11.20GHz) 에서 약 -53.325dBc의 저지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저지대역 특성에 따라 중심주파수를 3 dB 대역폭으로 나눈 Q값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X축은 주파수를 나태내고, Y축은 데시벨 (dB: Decibel)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가 공진 주파수(11.20GHz)에서 위상이 "0"에 이르므로 메타전자파 구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X축은 위상을 나태내고, Y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500)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능동 소자(501),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503), 부성저항을 위한 궤환 회로(505), 출력 정합회로(507) 및 바이어스 회로 (509)를 포함한다.
상기 능동소자(501)의 베이스에 상기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503)를 연결하여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능동소자(501)의 이미터에 궤환 회로(505)를 연결하여 능동 소자(501)가 원하는 주파수에서 불안정 영역이 형성되는 부성저항의 특성을 갖게 하였으며, 상기 능동소자(501)의 컬렉터에 출력 정합회로(507)를 연결하여 발진 주파수의 중심 신호원이 부하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정합이 되도록 한다. 즉, 발진 주파수의 중심 신호원을 최소의 감쇠로 부하에 전달하고 고조파 신호원들은 억제되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상기 바이어스 회로(509)는 상기 능동소자의 베이스-이미터 및 컬렉터-이미터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를 적용한 전압 제어 발진기(500)는 특정 주파수에서 발진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의 공진기(503)는 전기장의 커플링을 강하게 하여 발진 주파수에서 높은 Q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통해 우수한 위상잡음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적용하였으며, 저위상잡음 및 높은 출력전력을 요구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부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5의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실험 결과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바이어스 조건은 Vce=2 V, Vbe=0.85 V 이고, 이때 Id=10 mA 이다.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도 5와 같은 구성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중심 주파수 X 대역에서, 출력 전력은 4.39 dBm, 고조파는 -18.91 dBc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상잡음 특성은 100 kHz 옵셋 주파수에서 -110.4 dBc의 결과를 얻었다.
도 7은 도 6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를 설계한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본 도 5에서와 같이, 능동소자(501), 공진기(503), 궤환회로(505), 출력정합회로(507) 및 바이어스 회로(509)가 설계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진기(503)는 기판의 위면에 인덕터를 구성하는 스트립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의 뒷면에 4-셀의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가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실 제작된 기판의 왼쪽 박스 내 회로는 정류회로(511)로서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한 위상잡음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시 추가 적용되었다.
상기 도 7과 같이 실제 설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전력, 고조파 및 위상잡음 특성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하여 본 측정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H자 형태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전력, 고조파 특성 및 위상잡음 특성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X축은 주파수를 나태내고, Y축은 데시벨 (dB: Decibel)을 나타낸며, 도 8의 그래프에서 최종 출력 전력은 7.33 dBm의 결과를 얻었고, 도 9의 그래프에서 최종 고조파 특성은 -26.5 dBc의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그래프에서 위상 잡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역해상도를 10 kHz로 조정하였으며, 이때 위상잡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역해상도에 로그를 취하여 측정된 값에 더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위상잡음 특성은 100 kHz 옵셋 주파수에서 최종 위상잡음 특성은 -108 dBc의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의 특성에 따라 전자기장의 강한 커플링에 의한 높은 Q값을 갖기 때문에 이를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에 적용하였을 경우 위상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 전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하드웨어적 제어를 통한 주파수 변환을 소프트웨어적 제어를 통한 주파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체 시스템 설계시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공진기 101 : 기판
103 : 스트립라인 105 :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500 : 저위상잡음 전압제어발진기 501 : 능동소자
503 :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505 : 궤환회로
507 : 출력정합회로 509 : 바이어스회로
511 : 정류회로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스트립라인;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메타전자파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전자파 구조의 각각의 셀은, 이중 H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전자파 구조는,
    2개 내지 4개의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메타전자파 구조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음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진기를 포함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6.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능동 소자;
    상기 능동 소자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특정 주파수대에서 공진을 발생하는 스트립라인 및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상기 능동 소자의 이미터에 연결되어 상기 능동 소자가 특정 주파수대에서 부성저항 특성을 갖도록 하는 궤환 회로;
    상기 능동소자의 컬렉터에 연결되어 발진 주파수의 중심 신호원이 부하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정합하는 출력정합회로; 및
    상기 능동소자의 베이스 및 컬렉터에 각각 연결되어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는,
    2개 내지 4개의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이중 H자 메타전자파 구조는,
    기판의 하부에 음각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압 제어 발진기.
KR1020100026079A 2010-03-24 2010-03-24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KR10100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79A KR101008974B1 (ko) 2010-03-24 2010-03-24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79A KR101008974B1 (ko) 2010-03-24 2010-03-24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974B1 true KR101008974B1 (ko) 2011-01-17

Family

ID=4361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079A KR101008974B1 (ko) 2010-03-24 2010-03-24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9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3422A1 (zh) * 2011-08-16 2013-02-21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谐振腔及具有该谐振腔的滤波器
CN103199347A (zh) * 2011-04-30 2013-07-10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人造微结构
KR101326387B1 (ko) 2012-05-31 2013-11-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US9041481B2 (en) 2011-03-15 2015-05-26 Kuang-Chi Innovative Technology Ltd. Artificial microstructure and artificial electromagnetic material using the same
US10573951B2 (en) 2016-08-1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resona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202A (ja) 2004-10-29 2006-05-18 Ne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共振器およびマイクロ波発振器
WO2008096283A1 (en) * 2007-02-07 2008-08-14 Nxp B.V. Design method for transmission lines using meta-materials
KR20090108994A (ko) * 2008-04-14 2009-10-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사각 개방 루프 다중 분할 링 공진기를이용한 저위상 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202A (ja) 2004-10-29 2006-05-18 Ne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共振器およびマイクロ波発振器
WO2008096283A1 (en) * 2007-02-07 2008-08-14 Nxp B.V. Design method for transmission lines using meta-materials
KR20090108994A (ko) * 2008-04-14 2009-10-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사각 개방 루프 다중 분할 링 공진기를이용한 저위상 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제20권,제9호,2009년9월,pp961-966*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1481B2 (en) 2011-03-15 2015-05-26 Kuang-Chi Innovative Technology Ltd. Artificial microstructure and artificial electromagnetic material using the same
CN103199347A (zh) * 2011-04-30 2013-07-10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人造微结构
CN103199347B (zh) * 2011-04-30 2015-02-04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人造微结构
WO2013023422A1 (zh) * 2011-08-16 2013-02-21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谐振腔及具有该谐振腔的滤波器
KR101326387B1 (ko) 2012-05-31 2013-11-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메타전자파 구조 공진기
US10573951B2 (en) 2016-08-1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resona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s et al. Radio frequency circuit design
Okabe et al. A compact enhanced-bandwidth hybrid ring using an artificial lumped-element left-handed transmission-line section
Kuo et al. Microstrip stepped impedance resonator bandpass filter with an extended optimal rejection bandwidth
KR101008974B1 (ko) 이중 h자 메타 전자파구조 공진기 및 이를 적용한 저위상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JP2007174519A (ja) マイクロ波回路
Choi et al. Microstrip square open-loop multiple split-ring resonator for low-phase-noise VCO
Rambabu et al. Design of multiple-stopband filters for interference suppression in UWB applications
Liu et al. Miniaturized bandstop filter using meander spurline and capacitively loaded stubs
Keshavarz et al. Low profile metamaterial band-pass filter loaded with 4-turn complementary spiral resonator for WPT applications
CN102843100B (zh) 高效宽频全金属结构1毫米二倍频器
TW522637B (en) Low-phase noise oscillator with a microstrip resonator
Ooi Compact EBG in-phase hybrid-ring equal power divider
KR100759940B1 (ko) 링형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초고주파 발진기와 이의효율증대방법
US11509041B2 (en)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Lee et al. A phase noise reduction technique in microwave oscillator using high-Q active filter
Liu et al. A compact low-phase noise oscillator with superior harmonic suppression characteristics based on novel nested split-ring resonator (NSRR)
KR100936171B1 (ko) 이중 반 링 공진기 구조를 이용한 발진기
Wen et al. Design of miniaturized low-pass filter with improved Koch fractal DGS
Chen et al. Fabrication of a Novel Diplexer Using Folded Open-Loop Ring Resonators and Microstrip Lines.
Kee et al. Tuning and widening of stop bands of microstrip photonic band gap ring structures
Lee et al. Application of CPW based spiral-shaped defected ground structure to the reduction of phase noise in V-band MMIC oscillator
Zhang et al. Design of a low-phase-noise Ka-band GaAs HBT VCO
JP2012191530A (ja) 差動伝送線路
Jung et al. A coupled‐defected ground structure lowpass filter using inductive coupling for improved attenuation
Tanaka et al. High-Q CRLH transmission line stub resonator utilizing negative order resonance m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