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907B1 - 고효율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고효율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907B1
KR101008907B1 KR1020080087558A KR20080087558A KR101008907B1 KR 101008907 B1 KR101008907 B1 KR 101008907B1 KR 1020080087558 A KR1020080087558 A KR 1020080087558A KR 20080087558 A KR20080087558 A KR 20080087558A KR 101008907 B1 KR101008907 B1 KR 10100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uorescent lamp
high efficiency
wall
phosph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710A (ko
Inventor
안성일
최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8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9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5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2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transforming the wavelength of the light by luminesc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고효율 형광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제1관;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 및 상기 제1관 및 상기 제2관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2관을 상기 제1관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형광체의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방출되는 자외선 양을 줄여 백라이트 유닛의 표면 휘도를 증대시키며,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효율, 형광 램프, 다중관, 형광체

Description

고효율 형광 램프{HIGH EFFICIENCY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고효율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관 내에서 생성된 자외선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켜 소비전력 대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효율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다.
형광 램프는 값이 싸고 설치가 간편하며 다른 형태의 광원에 비해 그 효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집 내부, 사무실 등 모든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런 형광 램프의 에너지 절약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는데, 일 예로 형광 램프 관의 미세화, 봉입 가스를 고효율 특성으로 대체, 봉입 가스압의 조정 및 3 파장역 발광형 형광체 등의 개발을 통하여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고 있으나, 그 효율이 눈에 띄게 증가되지는 않는다.
형광 램프의 소비전력은 형광 램프의 관 체적에 비례하여 발광되기 때문에 관의 지름을 줄이거나 길이를 줄임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관의 지름을 줄이거나 길이를 줄이게 되면 상대적으로 형광 램프의 효율 및 조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단일관 형상을 갖는 형광 램프에서 관의 체적을 변화시켜 소비전력을 절감시키기는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효율의 봉입 가스를 사용하거나 봉입 가스압을 조정하거나 3 파장역 발광형 형광체 등을 사용하여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그 효과가 10~20[%] 내외에 그치므로 소비전력 자체의 절감효과는 미미하다.
형광 램프 관의 부피의 변화로 조명효율을 높이기 위해 형광 램프의 관을 미세화하고, 봉입 가스압력을 높이는 기술이 있으나 이 또한 조명 효율의 상승효과가 10[%] 내외 정도이다.
형광 램프 중 냉음극 형광 램프는 소구경의 유리벌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BLU)에 자주 사용되는데, 형광 램프는 방전이 일어나면 유리벌브 안에 발광 물질로 봉입된 수은이 여기되어 185[㎚], 254[㎚], 313[㎚] 및 365[㎚] 등에서 피크를 갖는 자외선이 방출되고, 자외선은 유리벌브 내벽에 형성된 형광체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하지만, 형광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일부는 유리벌브를 통과하여 BLU의 구성부품에 도달하기 때문에 BLU의 수지 부품이 열화되거나 탈색되어 투명도 및 반투명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BLU의 표면 휘도가 떨어지게 되고,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낮은 소비전력으로 고효율을 낼 수 있고, 자외선 방출을 줄일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외선에 의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의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효율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형광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양을 줄여 백라이트 유닛의 표면 휘도를 증대시키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효율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제1관;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되며 길이가 상기 제1관의 길이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 상기 제1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관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관을 상기 제1관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관은 내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2관 내벽 및 상기 돌출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관 내벽에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유리벌브; 상기 유리벌브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유리벌브 내벽 및 상기 돌출부 표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유리벌브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리벌브 내벽에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수은이 내부에 삽입된 다중관; 상기 다중관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다중관 내부에 삽입된 수은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다중관 양단에 형성되는 밀봉부; 및 상기 밀봉주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효율 형광 램프는 제1관(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120), 고정 수단(140) 및 형광체층(130)을 포함한다.
제1관(110)은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유리벌브로서, 내벽에 형광체층(130)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2관(120)이 삽입된다.
이때, 제1관(110)은 형광 램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 예로, 2.4[mm]의 내경, 400[mm]의 길이 및 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관(110)은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고, 외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제1 관(110) 내부에 전극이 위치하는 내부 전극을 구비하거나 제1관(110) 양단의 외부에 전극이 위치하는 외부 전극을 구비할 수도 있다.
외부 전극은 제1관(110) 양단의 외주 둘레에 형성되는데, 알루미늄 금속 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수지와 금속 파우더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관(120)은 제1관(110)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2관(120) 내벽에 또한 형광체층(130)이 형성된다.
이때, 제2관(120)은 제1관(110)의 내경 및 제2관(120)의 외경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관(110)이 2.4[mm]의 내경, 400[mm]의 길이 및 0.2[mm]의 두께를 가지고, 제2관(120)이 0.7[mm]의 내경, 360[㎜]의 길이 및 0.08[㎜]의 두께를 가진 경우 7개의 제2관(120)이 제1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제1관(110)의 내부 지름이 10R이고 제1관(110) 내부에 지름이 약 3.3R인 제2관(120)이 7개 삽입되었다 가정하면 형광체층(130)의 면적은 약 2.3배로 증가하게 되고, 충분한 자외선이 방출될 경우 이론적으로 같은 두께의 형광체층(130)에 대해서 형광체 면적에 비례하여 발광 강도가 정해지므로 동일한 소모전력에 비해 2.3배의 발광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사된 자외선이 형광체층(130)에 의해 대부분이 소모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자외선이 줄어들게 된다.
물론, 제2관(120)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개수 예를 들어, 30개 이하의 개수가 제1관(110) 내부에 삽 입될 수 있다.
또한, 제2관(120)은 제2관(120)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130)의 도포 면적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제2관(120) 내부에 일정 모양을 갖는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돌출부의 모양은 형광체층(130)의 도포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는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140)은 제1관(110)에 삽입되는 제2관(1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관(120)을 제1관(110)에 고정시켜 제1관(110) 내부에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고정 수단(140)을 이용하여 제2관(120)들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고정 수단(140)은 제2관(120) 양측, 일측 및 중간 중 적어도 한 부분 이상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수단(140)의 개수와 크기는 제2관(120)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제1관(110)과 연결되는 제2관(120)이 6개인 경우 제2관(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6개씩의 고정 수단(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관(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고정 수단(140)은 열에 의해 제1관(110)과 제2관(120)을 고정시킬 수 있는데, 고정 수단(140)은 작은 돌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기의 크기는 0.1~1[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층(130)은 제1관(110) 및 제2관(120)의 내벽에 형성되는데, 삼색 형광체가 혼합된 혼합 페이스트가 내벽에 도포된다.
이때, 삼색 형광체로는 YVO4:Eu3+, BaMg2Al16O27:Eu2+, Mn2+ 및 BaMg2Al16O27:Eu2+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삼색 형광체의 혼합비에 따라 색 온도 가 조절될 수 있다.
제1관(110) 및 제2관(120)의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130)은 10[μm]~30[μm]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며, 도포되는 형광체층(130)의 두께는 상기 수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제1관(110) 내벽에 형광체층(130)을 형성한 후 상온 또는 30[℃]이상에서 약 10분 동안 마른 공기를 공급하여 형광체층(130)을 건조시키고, 650[℃]에서 10분 정도 베이킹하며, 제2관(120)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내벽에 형광체층(130)을 형성한 후 고정 수단(140)을 이용하여 제1관(110)에 고정시키고, 관 내부에 희가스 및 수은을 봉입한 후 제1관(110)을 밀봉하여 고효율 형광 램프를 형성한다.
여기서, 희가스는 Ne과 Ar의 비율이 95:5가 되며 압력이 8[kPa]이 되도록 봉입되고, 수은은 3[mg] 정도 봉입될 수 있다. 물론, 희가스의 비율과 압력 그리고 봉입되는 수은의 양은 정해진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제1관(110)의 내부 양단 또는 외부 양단에 형성된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의해 전극 사이에서 양광주 방전을 개시할 때, 봉입된 수은이 여기(excited)되어 이온화되며, 수은의 여기에 공명선(resonance line)(185㎚, 254㎚, 313㎚ 및 365㎚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방출된다.
방출된 자외선은 제1관(110) 및 제2관(120)의 내벽에 형성된 형광체층(130)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형광체층의 도포 면적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형광체층 도포 면적의 극대화로 인해 형광 램프의 외부로 방출되는 자외선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표면 휘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의 수지 부품이 열화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효율 형광 램프는 유리벌브(210), 돌출부(220) 및 형광체층(230)을 포함한다.
유리벌브(210)는 내부에 수은이 봉입되고 내벽에 형광체층(230)이 형성된다.
이때, 유리벌브(210)의 크기에 대한 일 예로, 2.4[mm]의 내경, 400[mm]의 길이 및 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고효율 형광 램프는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구비할 수 있는데, 전극은 유리벌브(210)의 내부 양단에 형성되어 구동 전압을 인가하거나 유리벌브(210)의 외부 양단에 형성되어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돌출부(220)는 유리벌브(210) 내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형광체층(230)의 도포 면적을 극대화 시킨다.
이때, 돌출부(220)는 형광체층(230)의 도포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유리벌브(210) 내벽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220)는 유리벌브(210) 내벽에 높이 0.1~0.8[mm], 두께 0.1~0.3[mm]를 갖는 격벽이 내벽에 직각이 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220)의 높이 및 두께는 유리벌브(2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0)가 형성되는 간격은 유리벌브(210)의 내경 및 형광체층(230)의 도포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형광체층(230)은 유리벌브(210)의 내벽 및 돌출부(2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의해 수은이 여기/이온화되어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생성한다.
이때, 형광체층(230)은 삼색 형광체가 혼합된 혼합 페이스트가 유리벌브(210) 내벽 및 돌출부(220) 표면에 10~30[μ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는 돌출부를 유리벌브 내벽에 형성함으로써, 형광체가 도포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효율 형광 램프는 다중관(310), 밀봉부(320) 및 형광체층(330)을 포함한다.
다중관(310)은 내부에 수은이 삽입되고 내벽에 형광체층(330)이 형성된 투명관이 복수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효율 형광 램프의 크기에 따라 구성되는 투명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다중관(310)은 크기가 0.7[mm] 내경과 360[㎜]의 길이 및 0.08[㎜]의 두께로 이루어진 7개의 투명관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투명관의 내경, 길이 및 두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투명관은 형광체층(330)의 도포 면적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돌출부는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투명관 내벽에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광체층(330)의 도포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부(320)는 다중관(310)의 양단에 형성되어, 고효율 형광 램프에 삽입되는 수은 및 희가스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밀봉부(320)는 일정 내경과 길이 그리고 두께를 갖는 유리관을 이용하여 다중관(310)의 양단을 봉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2.4[mm]의 내경, 10~30[㎜]의 길이 및 0.2[㎜]의 두께를 갖는 유리관을 이용하여 다중관(310)의 양단을 봉합함으로써, 밀봉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형광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은 밀봉부(320)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층(330)은 다중관(310)을 구성하는 투명관 각각의 내벽에 형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수은이 여기/이온화되어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가시광선을 생성한다.
물론, 투명관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형광체층(330)은 투명관 내벽 및 돌출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는 수은 및 희가스를 봉입하는 유리벌브 내부에 형광체가 내벽에 도포된 다중관(310)을 삽입하여 형성하거나, 형광체가 내벽에 도포되고 수은이 삽입된 다중관(310)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형광체가 도포되는 내벽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형광체가 도포되는 면적을 극대화시켜 소모전력 대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고효율 형광 램프는 형광체의 도포 면적을 극대화시켜 발생되는 자외선을 대부분 흡수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될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수지 부품이 열화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도 및 반투명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의 표면 휘도를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형광 램프가 사용되는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효율 형광 램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형광 램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관
120: 제2관
130, 230, 330: 형광체층
140: 고정 수단
220: 돌출부

Claims (13)

  1.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제1관;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되며 길이가 상기 제1관의 길이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
    상기 제1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관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을 포함하는 고효율 형광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을 상기 제1관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고효율 형광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은
    상기 제1관 내부에 30개 이하로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은
    내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2관 내벽 및 상기 돌출부 표면에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관 내벽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6. 수은이 내부에 봉입된 유리벌브;
    상기 유리벌브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유리벌브 내벽 및 상기 돌출부 표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유리벌브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을 포함하는 고효율 형광 램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리벌브 내벽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9. 수은이 내부에 삽입된 다중관;
    상기 다중관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다중관 내부에 삽입된 수은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다중관 양단에 형성되는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 방전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은으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를 포함하는 고효율 형광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관은
    내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내벽 및 상기 돌출부 표면에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11.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10[μm] 내지 30[μm] 두께로 형성되는 고효율 형광 램프.
  12. 삭제
  13. 제1항,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효율 형광 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80087558A 2008-09-05 2008-09-05 고효율 형광 램프 KR10100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58A KR101008907B1 (ko) 2008-09-05 2008-09-05 고효율 형광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58A KR101008907B1 (ko) 2008-09-05 2008-09-05 고효율 형광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10A KR20100028710A (ko) 2010-03-15
KR101008907B1 true KR101008907B1 (ko) 2011-01-19

Family

ID=4217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558A KR101008907B1 (ko) 2008-09-05 2008-09-05 고효율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685A (ja) * 1998-01-31 1999-08-10 Harison Electric Co Ltd 2重管形蛍光ランプ
KR100433193B1 (ko) 2002-09-05 2004-05-28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이중관 형광램프
JP2006066356A (ja) 2004-08-30 2006-03-09 Satoshi Oaku 蛍光ランプ
KR100859858B1 (ko) 2007-04-25 2008-09-23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이중관 형광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685A (ja) * 1998-01-31 1999-08-10 Harison Electric Co Ltd 2重管形蛍光ランプ
KR100433193B1 (ko) 2002-09-05 2004-05-28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이중관 형광램프
JP2006066356A (ja) 2004-08-30 2006-03-09 Satoshi Oaku 蛍光ランプ
KR100859858B1 (ko) 2007-04-25 2008-09-23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이중관 형광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10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971B2 (en) Arc tube, Discharge lamp, and production method of such arc tube, which enables brighter illuminance
JP2003036723A (ja) 照明装置
JP5137391B2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US20050242739A1 (en) Flat rare gas discharge lamp with variable output light color, illumination instrument comprising it,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60044680A (ko) 가시광 방출을 위한 형광램프
KR101008907B1 (ko) 고효율 형광 램프
WO2007032319A1 (ja) 熱陰極型放電ランプ、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KR100433193B1 (ko) 이중관 형광램프
JPH05190152A (ja) 表示用蛍光ランプ
JP2003100258A (ja) 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0311659A (ja) 外面電極蛍光ランプ
US20100008060A1 (en) Light assembly with high color-rendering property
JP2008171710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8243371A (ja) 蛍光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10059A (ko) 자외선 방전 램프
JP2007134059A (ja) 希ガス蛍光ランプ及び光源装置
KR200386405Y1 (ko) 제논 램프
JPH1125916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100731155B1 (ko) 제논 무전극 형광 램프
KR20080044264A (ko) 열 음극형 방전램프, 램프 유닛 및 표시장치
KR100731154B1 (ko) 제논 무전극 형광 램프
KR100731152B1 (ko) 제논 무전극 형광 램프
JP2010205640A (ja) 外部電極型希ガス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用希ガス蛍光ランプユニット
KR101425647B1 (ko) 전구형 외부전극 형광램프
JP3141019U (ja) 冷陰極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