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397B1 -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397B1
KR101008397B1 KR1020100075344A KR20100075344A KR101008397B1 KR 101008397 B1 KR101008397 B1 KR 101008397B1 KR 1020100075344 A KR1020100075344 A KR 1020100075344A KR 20100075344 A KR20100075344 A KR 20100075344A KR 101008397 B1 KR101008397 B1 KR 10100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points
text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길
남양윤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주)동광지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지엔티 filed Critical (주)동광지엔티
Priority to KR102010007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기억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측량 대상인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 데이터와 단위 시준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 데이터를 설정하는 최소 수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최소 수 이상이라는 제 1 조건과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제 2 조건 양자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표고 측량점의 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추정하는 측량결과 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시값 및 후시값을 측량결과의 추정 데이터로서 상기 출력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학식 A]는, vr = Abs(txthit.Text) + txtnum.Text + ((0.135 × txtnum.Text) + Rnd), vr < txtnum.Text × 4.8 이고, 상기 [수학식 A]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vr = 후시합, Abs = 절대값을 취하는 함수, txthit.Text = 고저차, txtnum.Text = 측량점의 수(자연수), Rnd = 0~1 사이의 랜덤 변수로서 소수점 이하 세 자리의 유리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측량결과 추정단계는, [수학식 B]를 통해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을 추정하되, 상기 [수학식 B]는,
Figure 112010082827035-pat00019
이고, 상기 [수학식 B]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tot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의 합, r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최소 수 설정단계는, "txtnum.Text = 총거리 / (단위 시준거리 × 2)"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상기 최소 수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MPUTER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ESTIMATING THE MEASURING RESULT IN THE MEASURING POINT BETWEEN TWO LEVEL POINT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기지점 간의 거리와 고저차 및 단위 시준거리를 이용하여 두 기지점 간의 정상적인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함으로써, 실제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및 소요시간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속한 정표고 측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표고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준점을 기준으로 레벨(level)에 따른 측량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측량 작업은 광학장비에 의한 시준 한계에 따라 거리에 비례하여 작업량이 산출된다.
보통 사람이 레벨 측량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관측할 수 있는 거리는 평지를 기준으로 50~80m 정도지만, 평지가 아닌 산악지나 경사진 지형의 높이를 측량할 경우에는 한번에 관측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져 레벨 측량기를 거치해야 하는 횟수, 즉 정표고 측량점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추정하는 과정은 정표고 측량 계획 수립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시 측량점의 수가 적정치보다 적으면 정상적인 측량을 불가능하게 하고, 적정치를 초과하면 별다른 정확도의 향상 없이 측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결국 정표고 측량 계획 수립시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에 따른 작업 인원과 시간 및 장비를 계획하여 전체 작업량을 산출해야 하나, 현재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법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 지점의 수를 신속 정확하게 추정하여 전체 정표고 측량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 지점의 수를 기반으로 각 정표고 측량 지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하여 실제 정표고 측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기지점 간의 거리와 고저차 및 단위 시준거리를 이용하여 두 기지점 간의 정상적인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함으로써, 실제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및 소요시간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속한 정표고 측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기억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측량 대상인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 데이터와 단위 시준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 데이터를 설정하는 최소 수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최소 수 이상이라는 제 1 조건과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제 2 조건 양자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표고 측량점의 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추정하는 측량결과 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시값 및 후시값을 측량결과의 추정 데이터로서 상기 출력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학식 A]는, vr = Abs(txthit.Text) + txtnum.Text + ((0.135 × txtnum.Text) + Rnd), vr < txtnum.Text × 4.8 이고, 상기 [수학식 A]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vr = 후시합, Abs = 절대값을 취하는 함수, txthit.Text = 고저차, txtnum.Text = 측량점의 수(자연수), Rnd = 0~1 사이의 랜덤 변수로서 소수점 이하 세 자리의 유리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측량결과 추정단계는, [수학식 B]를 통해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을 추정하되, 상기 [수학식 B]는,
Figure 112010082827035-pat00016
이고, 상기 [수학식 B]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tot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의 합, r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최소 수 설정단계는, "txtnum.Text = 총거리 / (단위 시준거리 × 2)"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상기 최소 수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두 기지점 간의 거리와 고저차 및 단위 시준거리를 이용하여 두 기지점 간의 정상적인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함으로써, 실제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및 소요시간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속한 정표고 측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상세 일예시도,
도 3 은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실사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평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과정에 대한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기지점 간의 구간별 후시값 산출 방법에 대한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기지점 간의 구간별 전시값 산출 방법에 대한 일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구간별 전시값 및 후시값을 기록한 야장에 대한 일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의 구성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지점은 이미 높이(Level)를 알고 있는 지점(일예로, 국가 수준점)을 의미하고, 정표고 측량은 기지점을 이용하여 특정 측량점의 높이를 검출하는 측량을 의미하며, 이러한 정표고 측량의 일예로 수준측량이 있다.
단위 시준거리는 한번에 측량할 수 있는 거리로, 측량기와 최대 5m의 높이를 가지는 표척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두 기지점 간의 거리는 굴곡이 있는 거리는 물론 직선 거리를 포함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준측량은 기지점과 또 다른 기지점 사이의 측량점들을 이동해 가면서 각 측량점에서의 높이를 측량한 후 이를 연결하는 정표고 측량 방법 중 하나의 형태이다. 즉, 수준측량은 레벨 측량기를 이용하여 두 기지점 사이의 측량점에서 높이를 측량한 후 측량된 결과를 이용하여 구간별 고저차를 관측하는 측량 방법이다.
도 2 는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상세 일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점에 위치한 레벨 측량기를 이용하여 전시와 후시를 각각 관측한 후 전시값과 후시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지점의 높이 값에 대입하는 방식으로 측량점에서의 높이를 측량한다.
도 3 은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에 대한 실사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준측량은 실제로 측량을 수행하는 기계수와 측량이 가능하도록 표척을 조절하는 표척수에 의해 이루어지며, 기준 표척의 최대 높이는 5m, 기계수의 시준 높이는 사람의 눈높이 정도인 1.5~1.7m 범위이다. 여기서, 레벨 측량기를 측량점에 거치하는 횟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측정하고자 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고저차 및 단위 시준거리, 표척의 최대 높이 등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평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즉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가 소정 범위(일예로 50cm 이내)인 경우에 있어서 정표고 측량점의 수는 두 기지점 사이의 거리(총거리)를 단위 시준거리로 나눔으로써 산출한다. 예를 들어, 단위 시준거리가 50m이고 총거리가 4km이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총 40개의 측량점이 산출된다. 즉, 최소한 40번의 전시 및 후시 측량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Figure 112010050416911-pat00001
여기서, 2배를 해주는 이유는 레벨 측량기의 이동 없이 하나의 측량점에서 전시 및 후시를 모두 측량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시준거리는 100m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평지를 대상으로 적용한 경우이고 산악지나 경사지는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되며, 이는 그리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계산해 낼 수 없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측정 가능한 표척의 유효 범위는 0.2m ~ 5m이고, 총거리와 단위 시준거리가 동일한 경우 경사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는 평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이상의 값을 갖는다. 즉, 평지에서의 정표고 측량점의 수가 5개 라면 경사지에서는 5개 이상이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경사지에서의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횟수)는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한다.
Figure 112010050416911-pat00002
여기서, "vr = 후시합, Abs = 절대값을 취하는 함수, txthit.Text = 고저차, txtnum.Text = 측량점의 수(자연수), Rnd = 0~1 사이의 랜덤 변수로서 소수점 이하 세 자리의 유리수, 0.135 = 유효 후시합 산출을 위한 가중 상수로서 기준 표척 최하단 높이에 대응하는 상수값), 4.8 = 기준 표척 최대 높이에 대응하는 상수값"을 의미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횟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는 600m이고 단위 시준거리가 60m이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가 22m라 하면,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후시합으로 30.658을, 횟수로 7을 산출한다.
이를 증명해 보면, 횟수가 6인 경우 6 > 600/(60×2) = 5를 만족하지만, 후시합이 28.81 + Rnd(0~1 사이의 값) < 28.8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횟수 6은 적정한 측량점의 수가 아니다.
반면, 횟수가 7인 경우 7 > 600/(60×2) = 5를 만족하고, 후시합은 29.945 + Rnd(0~1 사이의 값) < 33.6을 만족한다.
결국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가 600m이고 단위 시준거리가 60m이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가 22m인 경우 정상적인 정표고 측량을 위해서는 최소한 7개의 측량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표고 측량 계획 수립시 7번에 걸쳐 전시 및 후시 측량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에 맞추어 인력 및 장비 그리고 소요시간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정표고 측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간별 후시값 및 전시값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구간별 난수값(r)을 발생시키고 각 난수값들의 합(tot)을 산출하는 순환문(For~Next)은 하기의 [알고리즘]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nd 1은 0.2 ~ 1.2 사이의 난수로서 소수점 이하 3자리의 유리수이다.
[알고리즘]
For i = 1 To txtnum.Text
r = (Rnd 1 × 1000) + 200
r = r / 1000
Cells(i, 1).Value = Round(r, 3)
tot = tot + r
Cells(3, 5).Value = tot
Next i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한 구간별 난수값 및 구간별 난수값의 합을 이용하여 구간별 후시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0050416911-pat00003
이하, 도 6의 결과를 이용하여 구간별 후시값을 산출해 보기로 한다.
먼저 구간별로 발생시킨 난수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1일 때 r=0.526, i=2일 때 r=0.833, i=3일 때 r=0.408, i=4일 때 r=0.386, i=5일 때 r=0.783, i=6일 때 r=0.281, i=7일 때 r=0.658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 후시값(R)을 산출해 보면, i=1일 때 R=4.352, i=2일 때 R=4.659, i=3일 때 R=4.234, i=4일 때 R=4.212, i=5일 때 R=4.609, i=6일 때 R=4.107, i=7일 때 R=4.485이다.
결국, 총거리가 600m이고 단위 시준거리가 60m이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가 22m인 경우 최소한 7개의 측량점이 필요하고, 첫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325, 두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659, 세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234, 네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212, 다섯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609, 여섯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107, 일곱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485로 각각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시합 및 구간별 전시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시합은 후시합에서 고저차를 감하여 산출하며, 구간별 전시값의 산출은 구간별 후시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즉, 상기 [수학식 3]에서 vr 대신 전시합을 대입하고, r 값으로 새롭게 7회 발생시킨 난수를 대입하며, tot 대신 새롭게 7회 발생시킨 난수값의 합을 대입하여 구간별 전시값을 산출한다.
도 6 및 도 7의 결과를 이용하여 전시합 및 구간별 전시값을 산출해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합은 8.658(30.658 - 22)이고, 7회에 걸쳐 발생시킨 난수값은 각각 1.106, 0.461, 0.985, 0.549, 0.490, 1.119, 0.832이며, 그때의 구간별 전시값은 각각 1.547, 0.902, 1.426, 1.020, 0.931, 1.560, 1.272이다.
결국, 총거리가 600m이고 단위 시준거리가 60m이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가 22m인 경우 최소한 7개의 측량점이 필요하고, 첫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325로 전시값은 1.547로, 두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659로 전시값은 0.902로, 세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234로 전시값은 1.426로, 네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212로 전시값은 1.020로, 다섯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609로 전시값은 0.931로, 여섯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107로 전시값은 1.560로, 일곱 번째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은 4.485로 전시값은 1.272로 각각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간별 후시값과 전시값을 자동으로 야장에 기록한 결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는 고저차 대비 횟수의 실시 가능성을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지형 기복 정도를 분석하여 작업의 난이도와 작업시간의 예측 및 투입인원 등을 고려할 수 있는 의사결정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101), 주기억장치(102), 보조기억장치(103), 출력장치(104) 및 입력장치(105)로 이루어진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전체 동작을 제어 관리하며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고, 주기억장치(102)는 중앙 처리 장치(101)에서 수행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 수행중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조기억장치(103)는 주기억장치(101)에서의 저장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광범위하고 대량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출력장치(104)는 모니터, 프린터 등의 실행 결과, 실행 과정 및 시스템 정보 등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입력장치(105)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중앙처리장치(101)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입력장치(105)는 사용자로부터 두 기지점 간의 정표고 측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출력장치(105)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데이터는 물론 중앙처리장치(101)에서 연산한 결과를 출력한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101)는 입력받은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와 단위 시준거리를 이용하여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를 설정하고,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한 최소 수 이상이면서 상기 [수학식 2]을 만족하는 최소값을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한 정표고 측량점의 수는 정상적으로 정표고 측량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측량점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1)는 산출한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상기 [수학식 3]에 적용하여 구간별 후시값 및 전시값을 산출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1)는 각 구간별 난수값(r)을 발생시키고 각 난수값들의 합(tot)을 산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측량하고자 하는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와 단위 시준거리를 입력받아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를 설정한다(1101).
이후,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설정한 최소 수 이상이면서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최소값을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 산출한다(1102).
이후, 상기 산출한 정표고 측량점의 수를 기반으로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산출한다(1103). 즉, 산출한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로 추정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1 : 중앙처리장치 102 : 주기억장치
103 : 보조기억장치 104 : 출력장치
105 : 입력장치

Claims (3)

  1.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기억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측량 대상인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 데이터와 단위 시준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 데이터를 설정하는 최소 수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최소 수 이상이라는 제 1 조건과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제 2 조건 양자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표고 측량점의 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추정하는 측량결과 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시값 및 후시값을 측량결과의 추정 데이터로서 상기 출력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학식 A]는,
    vr = Abs(txthit.Text) + txtnum.Text + ((0.135 × txtnum.Text) + Rnd)
    vr < txtnum.Text × 4.8 이고,
    상기 [수학식 A]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vr = 후시합, Abs = 절대값을 취하는 함수, txthit.Text = 고저차, txtnum.Text = 측량점의 수(자연수), Rnd = 0~1 사이의 랜덤 변수로서 소수점 이하 세 자리의 유리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측량결과 추정단계는, [수학식 B]를 통해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을 추정하되,
    상기 [수학식 B]는,
    Figure 112010082827035-pat00017
    이고,
    상기 [수학식 B]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tot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의 합, r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최소 수 설정단계는, "txtnum.Text = 총거리 / (단위 시준거리 × 2)"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상기 최소 수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기억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 가능하도록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측량 대상인 두 기지점 간의 총거리 데이터와 단위 시준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표고 측량점의 최소 수 데이터를 설정하는 최소 수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두 기지점 간의 고저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최소 수 이상이라는 제 1 조건과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제 2 조건 양자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정표고 측량점의 수로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표고 측량점의 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전시값 및 후시값을 추정하는 측량결과 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시값 및 후시값을 측량결과의 추정 데이터로서 상기 출력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학식 A]는,
    vr = Abs(txthit.Text) + txtnum.Text + ((0.135 × txtnum.Text) + Rnd)
    vr < txtnum.Text × 4.8 이고,
    상기 [수학식 A]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vr = 후시합, Abs = 절대값을 취하는 함수, txthit.Text = 고저차, txtnum.Text = 측량점의 수(자연수), Rnd = 0~1 사이의 랜덤 변수로서 소수점 이하 세 자리의 유리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측량결과 추정단계는, [수학식 B]를 통해 각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후시값을 추정하되,
    상기 [수학식 B]는,
    Figure 112010082827035-pat00018
    이고,
    상기 [수학식 B]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tot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의 합, r = txtnum.Text 만큼 발생시킨 난수"임을 만족하며,
    상기 최소 수 설정단계는, "txtnum.Text = 총거리 / (단위 시준거리 × 2)"를 만족하는 최소값 데이터를 상기 최소 수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삭제
KR1020100075344A 2010-08-04 2010-08-04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00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44A KR101008397B1 (ko) 2010-08-04 2010-08-04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44A KR101008397B1 (ko) 2010-08-04 2010-08-04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397B1 true KR101008397B1 (ko) 2011-01-14

Family

ID=4361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344A KR101008397B1 (ko) 2010-08-04 2010-08-04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176B1 (ko) * 2022-04-27 2023-01-17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측량 데이터의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밀 수준측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634A (ja) 2001-06-21 2003-01-08 Shimizu Corp 地形標高データの補正装置および補正方法、測量地点の位置座標の決定方法
KR100529401B1 (ko) 2005-07-20 2005-11-17 중앙항업(주) 합성 개구 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자료 제작 장치및 그 방법
KR100765154B1 (ko) 2006-12-05 2007-10-15 삼부기술 주식회사 경사지에서 수준측량 시 전, 후시의 거리조정을 이용한측량방법
KR100784251B1 (ko) 2006-10-31 2007-12-1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측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634A (ja) 2001-06-21 2003-01-08 Shimizu Corp 地形標高データの補正装置および補正方法、測量地点の位置座標の決定方法
KR100529401B1 (ko) 2005-07-20 2005-11-17 중앙항업(주) 합성 개구 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자료 제작 장치및 그 방법
KR100784251B1 (ko) 2006-10-31 2007-12-1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측량방법
KR100765154B1 (ko) 2006-12-05 2007-10-15 삼부기술 주식회사 경사지에서 수준측량 시 전, 후시의 거리조정을 이용한측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176B1 (ko) * 2022-04-27 2023-01-17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측량 데이터의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밀 수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2220B (zh) 一种隧道状态检测监测管理系统
TWI802599B (zh) 危險度評估系統及危險度評估程式
JP6273125B2 (ja) 漏水調査計画立案装置、漏水調査計画立案システム、及び漏水調査計画立案方法
KR20180009093A (ko)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CN106195646B (zh) 漏水分布推定装置、推定系统和推定方法
KR101935558B1 (ko) 건축물 지진 피해 예측 및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7767108A (zh) Lod工作包
JP5743930B2 (ja) 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装置、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システムおよび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方法
CN109708688A (zh) 一种历史文化建筑安全监测与预警系统及方法
KR101370989B1 (ko)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시공 오차 분석 방법
Kuhlmann et al. Engineering Geodesy-Definition and Core Competencies
JP2019085712A (ja) 斜面安定度判定支援システム
Mäkipää et al. The costs of monitoring changes in forest soil carbon stocks
KR101008397B1 (ko)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에서의 측량결과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20221393A1 (en) Prediction Formula Derivation Method and Prediction Formula Derivation Apparatus
KR101008398B1 (ko) 두 기지점 간 정표고 측량점의 수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러한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7233197B2 (ja) 管路ネットワーク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CN106338254B (zh) 基于3d激光扫描的地下工程施工快速监测预测系统及方法
JP6850748B2 (ja) 水圧計配置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Bayrak Mode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level and vertical displacements on the Yamula Dam, Turkey
CA3194044A1 (en) Buried piping replacement period prediction apparatus, buried piping replacement period predic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mory
Marcheta et al. Development of Mobile Asset Management Applications with Geolocation and Haversine
RU2453912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больших систем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508795B1 (ko) 회전측지봉과 레이저 레벨을 사용한 성토/절토 측지측량법
JP2014215126A (ja) 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装置、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システムおよび大気拡散物質発生源探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