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367B1 -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367B1
KR101008367B1 KR1020080056917A KR20080056917A KR101008367B1 KR 101008367 B1 KR101008367 B1 KR 101008367B1 KR 1020080056917 A KR1020080056917 A KR 1020080056917A KR 20080056917 A KR20080056917 A KR 20080056917A KR 101008367 B1 KR101008367 B1 KR 10100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temporary
branch line
blocking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31116A (en
Inventor
민병대
김두만
허금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5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367B1/en
Publication of KR2009013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27D3/145Runn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서의 이동 및 회전이 되지 않아 용융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용융물 흐름 차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노저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에 설치되어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위치하며, 리프팅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구조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스페이서 바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화되어 프레임 구조체의 하향 이동에 따라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 위치하여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1쌍의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설치된 수직 포스트를 더 포함하며, 또한 프레임 구조체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은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위치하며, 이 최외측 수직 프레임은 수직 포스트에 고정된 부싱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설치되며, 하단부는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어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며, 상단부는 리프팅 수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슈트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lt flow blocker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melt due to the lack of movement and rotation with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melt flow through which the melt flow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off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melt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flow of the melt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port of the blast furnace is located abov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means A frame structure;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integrated with the spacer ba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positioned 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flow as the frame structure moves downward to block the flow of the melt. do.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rtical post install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away,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of the frame structure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is vertical. It passes through the bushing fixed to the post.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to move the chute up and down It includes more.

임시 탕도, 노저 출선, 용융물 차단 Temporary tapping, tapping out, melt cut off

Description

임시 탕도 내의 용융물 차단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본 발명은 임시 탕도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저 출선을 실시할 때 임시 탕도를 따라 흐르는 용융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노저 출선 용융물을 안전하게 수선 용기 내에 수선시킬 수 있는 용융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runaway cutoff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lt cutoff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a melt flowing along a temporary runway when a bottom runout is carried out so that the bottom runaway melt can be safely repaired in a repair container.

일반적으로, 고로(blast furnace) 공정은 고로의 상부를 통하여 주원료인 소결광, 정립광, 펠릿(pellet)과 부원료(석회석, 규석, 티타늄 옥사이드(TiO2)광, CBP 등)와 연료인 코크스(coke)를 장입하고, 고로의 하부에 설치된 풍구(tuyere)를 통해 1,150℃ 이상의 열풍(hot air), 산소, 미분탄(pulverized coal)을 취입하여 상부로 장입된 철광석을 환원시켜 용선(선철)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In general, the blast furnace process is the main raw material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blast furnace, sintered ore, grain ore, pellets and auxiliary materials (limestone, silica, titanium oxide (TiO 2 ) or CBP, etc.) and fuel coke (coke) ), And hot iron, oxygen, and pulverized coal of 1,150 ° C or more are blown through a tuye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to reduce iron ore charged to the upper part to produce molten iron (pig iron). It is a process.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고로(10)의 노체(11; 爐體)에 형성된 풍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취입된 열풍과 산소는 고 로(10) 내에서 코크스와 미분탄을 연소시켜 환원가스를 발생시키고, 고온의 환원 가스는 고로(10)의 내부 공간을 상승하면서 철광석을 승열 및 환원시키고 고온의 열은 하부에서 철광석을 용융시키게 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portion of a general blast furnace, in which hot air and oxygen blown through a tuyere (not shown) formed in a furnace 11 of the blast furnace 10 are introduced into the blast furnace 10. Coke and pulverized coal is burned to generate a reducing gas. The high temperature reducing gas raises and reduces the iron ore while rai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last furnace 10,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melts the iron ore at the bottom.

고로(10)의 가동 경년이 증가함에 따라 장입물 강하에 의한 마모, 화학적 침식, 열 충격에 의한 크랙(crack) 등에 의하여 고로(10)를 구성하는 노체(11)의 연와가 마모되고 노저부(12; 爐低部)는 용융물의 유동, 화학적 침식, 열응력 발생 등으로 열화가 진행된다. As the aging of the blast furnace 10 increases, the edges of the furnace body 11 constituting the blast furnace 10 are worn out due to wear due to a drop in the charge, chemical erosion, cracks due to thermal shock, and the like. 12, the deterioration is due to the flow of the melt, chemical erosion, thermal stress generation and the like.

노체(11)는 조업 중에도 노벽 보수, 쇼트크리팅(shotcreting) 등을 통하여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지만 노저부(12)는 조업 중에 보수할 수 없다. 따라서 고로(10)의 노저부(12)의 수명이 다하면, 종풍을 실시한 후 고로를 철거하고 내화물을 새롭게 교체하며 일부 설비를 신예화하는 작업("고로 개수"라 칭함)을 실시한다.The furnace body 11 can be partially repaired through furnace wall repair, shotcreting, etc. during operation, but the bottom part 12 cannot repair during operation. Therefore, when the lifespan of the bottom part 12 of the blast furnace 10 expires, the operation | work which removes a blast furnace, replaces a refractory newly, and newly upgrades some facilities (it calls "the number of blast furnaces") after carrying out a vertical wind is performed.

고로 개수 공정은 크게 크리닝(cleaning) 조업, 감척/종풍 조업, 노저출선, 주수 냉각, 고로 해체, 건설, 화입 순서로 진행된다.The blast furnace refurbishment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cleaning operations, mitigation / braking operations, furnace exits, water cooling, blast furnace demolition, construction, and ignition.

크리닝 조업은 고로(10)의 노체(11) 및 노저부(12)를 활성화시키는 조업으로서, 노체(11)/노저부(12)의 부착물 및 점조층(salamander)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감척 종풍 조업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풍 후 해체 및 공사 물량을 경감시킨다. The clea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activating the furnace body 11 and the bottom part 12 of the blast furnace 10, and removes the deposits and the salamander of the furnace body 11 / the bottom part 12 to perform a stable pit blast operation. At the same time, it will dismantle after construction and reduce the quantity of construction.

감척 종풍 조업은 고로 개수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고로 조업을 종료시키는 최종 휴풍 조업 과정이며, 고로(10)의 해체 및 철거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고로(10)의 내부 장입물 중 철광석을 완전히 용융시켜 출선구(14)를 통하여 배출시 키고, 고로(10)의 내부를 입상의 코크스만으로 치환함과 동시에 장입물의 수위를 풍구까지 저하시킨다. Decompression bell wind operation is the final closed-air operation process that terminates the blast furnace operation before the blast furnace repair process, and completely melts iron ore among the internal charges of the blast furnace 10 so as to facilitate the dismantling and removal of the blast furnace 10. It discharges through the tap opening 14, replaces the inside of the blast furnace 10 only with granular coke, and reduces the water level of a charge to a tuyere.

감척 종풍 조업이 완료된 후, 노저 출선이 시작되며, 이 노저 출선 단계에서는 고로(10)의 종풍을 위한 감척 작업이 완료되어 출선구(14)로 배출할 수 없는 용융물(도 1의 "M"으로서, 출선구(12)와 노저부(12)의 바닥 사이에 존재하는 용융물)이 종풍이 완료된 후 노저 연와 침식선(도 1의 "L") 상에 형성된 노저 출선구(13)를 통하여 배출된다. After completion of the decompression blast operation, the deburring start is started, and in this desorption desorption step, the decompression operation for the decompression of the blast furnace 10 is completed and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4 (as "M" in FIG. 1). After the blast is completed, the molten material existing between the tap hole 12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12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tap hole 13 formed on the bottom edge of the tap and the erosion line (“L” in FIG. 1). .

이 노저 출선 단계를 통하여 고로 개수시 해체 물량을 최소화하고, 노저 출선 이후 고로(10)의 상부에서 물을 살수하여 냉각시키는 냉각 작업시 수소(H2)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노저 출선 공정은 고로의 해체 시간을 단축시켜 개수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Minimization of dismantling quantity when the blast furnace is repaired through this furnace departure step, and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hydrogen (H 2 ) ga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by sprinkling and cooling water at the upper part of the blast furnace 10 after the departure of the furnace can prevent explosion. .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open-source process is to shorten the dismantling time of the blast furnace to shorten the repair period.

노저 출선 작업은 크게 개공 공정 및 출선 공정으로 구분된다. 개공 과정에서는, 노체(11)에 고정된 노저 철피를 절단하고 임시 탕도와 고로(10)의 노체(11)를 연결하여 래밍(ramming) 및 건조를 실시한다. The opener work is divided into the opening process and the outgoing process. In the opening process, the bottom of the iron shell fixed to the furnace body 11 is cut and the furnace body 1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and the blast furnace 10 is connected to perform ramming and drying.

이후, 임시 탕도와 고로(10)를 연결이 완료한 상태에서, 노저 출선구 형성용 개공기(drill)를 이용하여 고로(10)의 노체(11)에 노저 출선구(13)를 형성하며, 이후, 노저 출선구(13)로부터 용융물이 배출되어 임시 탕도를 거쳐 래들 카(torpde ladle car)에 수선된다. Subsequently, in the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water supply and the blast furnace 10 are connected, a nosing outlet 13 is formed in the furnace 11 of the blast furnace 10 by using a drill for forming the outlet outlet. Thereafter, the melt is discharged from the furnace outlet 13 to be repaired in a torpde ladle car through a temporary water supply.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출선 작업 공정시, 일반적인 래들 카 내에 최대로 수선 가능한 용융물의 량은 약 350톤이며, 따라서 노저 출선량이 1,000톤 정도로 많을 경우 단일의 래들 카 내에 모든 용융물을 수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In the outgoing ope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amount of melt that can be repaired in a typical ladle car is about 350 tonnes, so it is not possible to repair all melts in a single ladle car when the off-road drawer is as high as 1,000 tonnes.

도 2는 고로 및 고로에 연결된 임시 탕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로(10)에서 연장된 임시 탕도(20)가 2개의 지선(21, 22)으로 분리되고, 각 지선(21, 22)에 용융물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3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st furnace and the temporary runaways connected to the blast furnace, in which the temporary runaways 20 extending from the blast furnace 10 are divided into two branch lines 21 and 22, and each branch line 21, The state in which the apparatus 30 capable of blocking the melt is provided at 22) is shown.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임시 탕도(20)는 고로(10)의 노저 출선구(13)와 대응되며, 따라서 노저 출선구(13)를 통하여 배출된 용융물은 임시 탕도(30)의 어느 한 지선, 예를 들어 제 1 지선(21)을 통하여 래들 카(C1) 내로 수선된다.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corresponds to the furnace outlet port 13 of the blast furnace 10, so that the melt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port 13 is One branch line, for example, is repaired into the ladle car C1 through the first branch line 21.

래들 카(C1) 내로의 용융물의 수선이 완료되면, 용융물 차단 장치(31)에 의하여 임시 탕도(20)의 제 1 지선(21)이 차단되며, 이후 임시 탕도(20)의 제 2 지선(21)을 통하여 새로운 래들 카(C2) 내로 용융물이 수선된다. When the repair of the melt into the ladle car C1 is completed, the first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20 is blocked by the melt shutoff device 31, and then the second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20 is closed. Through 21 the melt is repaired into a new ladle car C2.

여기서, 도 2에서의 미설명 도면 부호 "R1" 및 "R2"는 래들 카(C1 및 C2)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지시한다. Here,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 R1 " and " R2 " in FIG. 2 indicate rails for moving the ladle cars C1 and C2.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 단면도로서, 어느 하나의 용융물 차단 장치(31)를 도시하고 있다. FIG. 3 is a detailed 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2, showing any one melt blocking device 31.

일반적으로, 용융물 차단 장치(31)는 고온의 용융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물을 입힌 철판 플레이트(31-1), 플레이트(31-1)에 연결된 바(31-2; bar) 및 바(31-2)를 회전시키는 회전 로드(3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차단 장치(31)의 플레이트(31-1)를 상하 이동시켜 임시 탕도(20)의 지선(21)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한다. In general, the melt blocking device 31 is a bar plate (31-2) connected to the refractory plated iron plate (31-1), the plate (31-1) and the bar ( And a rotating rod 31-3 for rotating 31-2. The plate 31-1 of the blocking device 31 is moved up and down to be positioned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to block the flow of the melt.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용융물 차단 장치(30)는 임시 탕도(20)의 지선(21) 내에서 용융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 즉, 용융물 차단 장치(31)를 구성하는 플레이트(31-1)가 임시 탕도(20)의 지선(21) 내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임시 탕도(20)의 지선(21)의 내벽면과 치밀하게 밀착되기 어려우며, 또한 플레이트(31-1)가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임시 탕도(20)의 지선(21) 내벽면과 플레이트(31-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간격을 통하여 용융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However, the melt blocking device 30 of such a structure cannot completely block the melt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That is, since the plate 31-1 constituting the melt blocking device 31 is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20, the inside of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20 is located. It is difficult to closely adhere to the wall surface, and th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20 and the plate 31-1 by rotating the plate 31-1 left and right. Thus, melt flows out through this interval.

또한, 용융물 차단 장치(31)는 플레이트(31-1)를 위에서 누르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융물(용선) 내에서의 부력으로 인하여 플레이트(31-1)가 위로 상승할 수 있어 이 공간을 통하여 용융물이 빠져나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elt blocking device 31 does not include a means for pressing the plate 31-1 from above, the plate 31-1 may rise upward due to the buoyancy in the melt (melting line), so that the space is increased. The melt can escape through.

이러한 한 예로서, 본 출원인의 포스코 광양 2 고로에서의 노저 출선 공정시, 용융물 차단 장치(31)가 임시 탕도(20)의 지선(21) 내에서 출선된 용융물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용융물을 어느 한 래들 카(C1) 내에 수선한 후, 용융물의 흐름을 다른 래들 카(C2)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용융물 차단 장치(31)가 임시 탕도(20)의 지선(21)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작업 공간에 120톤의 용융물을 쏟았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As one such example, the melt cutoff device 31 may not completely block the melt drawn out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during the furnace unloading process in the applicant's POSCO Gwangyang 2 blast furnace. Occurred. That is, after the melt is repaired in one ladle car C1, the melt blocking device 31 breaks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flow of the melt to the other ladle car C2. It was not completely blocked, and as a result, 120 tons of melt were spilled into the work space, which required a lot of manpower and time.

본 발명은 노저 출선 작업시 임시 탕도의 지선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서의 이동 및 회전이 되지 않아 용융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용융물 흐름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blocking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flow during the tapping operation of the bottom, the movement of the melt flows 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flow water flowing flow is not effective to block the mel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lt flow blocking device.

위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노저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에 설치되어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위치하며, 리프팅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구조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스페이서 바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화되어 프레임 구조체의 하향 이동에 따라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 위치하여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1쌍의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locking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melt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flow of the melt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of the blast furnace is located abov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flow, A frame structure movable up and down by lifting means;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integrated with the spacer ba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positioned 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flow as the frame structure moves downward to block the flow of the melt. do.

여기서,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은 임시 탕도의 지선 저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턱부에 대응하며, 그로 인하여 차단 플레이트가 임시 탕도의 지선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다.Here,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s corresponds to a jaw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whereby the blocking plate does not shak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설치된 수직 포스트를 더 포함하며, 또한 프레임 구조체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은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위치하며, 이 최외측 수직 프레임은 수직 포스트에 고정된 부싱을 관통한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체 및 차단 플레이트는 흔들림 없이 수직 이동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rtical post install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of the frame structure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Penetrates the bushing fixed to the vertical post. Thu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blocking plate can move vertically without sha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설치되며, 하단부는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어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며, 상단부는 리프팅 수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슈트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슈트를 통하여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중량체를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can move up and down It further includes a suit. Therefore, the operator can inject the weight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s through the chute.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수단이 이동하는 주로를 더 포함하되, 슈트의 상부는 상기 주로 상으로 노출되고, 슈트는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부면이 주로의 상부 표면에 대응하는 웨이트를 포함한다.Along with this,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in which is installed o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and the lifting means moves, the upper part of the chute is exposed to the main phase, the chut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is mainly include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흐름 차단 장치는 고로의 노저 출선 공정시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의 지선을 따라 유동하는 용융물을 누출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 melt flow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block the melt flowing along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flow in which the melt flows during the furnace outgoing process of the blast furnace without leaking.

특히, 본 발명은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서의 차단 플레이트의 회전 억제가 가능하고, 용융물의 과도한 압력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며, 또한 임시 탕도의 지선 내로의 차단 플레이트의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여 용융물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ressing rotation of the blocking plate 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away, providing sufficient resistance to excessive pressure of the melt, and also enabling accurate movement of the blocking plate into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mpletely block the melt.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시 탕도에서 분기된 지선의 도면 부호를 도 2에 도시된 부호 "21"을 이용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 "21"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와 임시 탕도(지선)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10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슈트(110), 슈트(110)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 구조체(120) 및 프레임 구조체(120)에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를 포함한다.4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mporary water supply (branch line),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ute 110, a chute 110 of a predetermined height It includes a frame structure 120 fixed to the lower portion and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fixed in parallel to the frame structure 1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100)는 임시 탕도(도 1의 20) 상에 설치된 주로(走路; 200) 하부에 설치되며, 이 주로(200) 상에는 리프팅 수단(300; 예를 들어, 포크 리프트 또는 크레인)이 주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main road (200) installed on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in Figure 1), the lifting means 300 (for example, on the main road 200); , Fork lift or crane).

또한, 용융물 차단 장치(100)는 임시 탕도(도 1의 20)의 지선(도 1의 21 및 22) 상부에 각각 위치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느 한 지선(21) 상에 설치된 용융물 차단 장치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is located above the branch line (21 and 22 of FIG. 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in FIG. 1),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elt blocking device installed on any one branch line 21. Only the example will be explained.

이하, 용융물 차단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들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constituting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슈트(110)Suit (110)

소정 높이를 갖는 슈트(110)는 중공(中空)의 부재로써, 그 상부 일부가 주로 (200) 상에 노출된다. 슈트(100)의 상단에는 보다 넓은 면적의 투입구(111)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웨이트(112; weight)가 고정되어 있다. The chute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a hollow member,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mainly exposed on the 200. In the upper end of the chute 100, a wider opening 111 is formed, and a weight 112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웨이트(112)는 주로(200) 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슈트(110)는 웨이트(112)에 의하여 그 하향 이동이 제한된다. The weight 112 is mainly located on the 200, so that the chute 110 is limited in its downward movement by the weight 112.

프레임 구조체(120)Frame structure 120

슈트(110)의 하단부에는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체(120)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프레임 구조체(120)는 임시 탕도의 지선(21) 상부에 위치하며, 슈트(1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한다. The lower end of the chute 110 is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120 consisting of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The frame structure 120 is positioned abov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ute 110.

한편, 프레임 구조체(120)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121)은 임시 탕도의 지선(21) 외측에 위치하며, 이 최외측 수직 프레임(121)은 임시 탕도의 지선(21)의 외측에 고정된 수직 포스트(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121 of the frame structure 120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121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It can move along a fixed vertical post 400.

즉, 수직 포스트(40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싱(401; bushing)이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120)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121)은 이 부싱(40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That is, at least two bushings 401 are fixed to the vertical post 400,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121 of the frame structure 120 is installed while penetrating the bushing 401. have.

따라서, 프레임 구조체(120)는 이 부싱(401)에 의하여 최초 설정된 경로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Thus, the frame structure 120 can move up and down without departing from the path initially set by the bushing 401.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Blocking plates (131 and 132)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 치(100)를 구성하는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프레임 구조체(120)의 중앙부에는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4,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constituting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installed in a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즉, 동일한 규격 및 형상을 갖는 1쌍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스페이서 바(133; spacer bar)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화되며, 따라서 1쌍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 사이에는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공간부(130)가 형성된다. That is, the pair of blocking plates 131 and 132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re integrated in a state of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plurality of spacer bars 133 fixed therein. Between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 space 130 having open si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s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슈트(110)가 프레임 구조체(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프레임 구조체(12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 사이의 공간(130)은 슈트(110)와 연통된 상태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130 between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because the chute 110 is located above the frame structure 120 and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structure 120. )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hute 110.

한편,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의 형상은 임시 탕도의 지선(2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has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이와 같이 구성된 용융물 차단 장치(100)의 작동 및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고로(도 1의 10)의 정상적인 조업시, 즉 고로의 노저 출선구(도 1의 13)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임시 탕도(도 1의 20) 내에는 용융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10)에 고정된 웨이트(112)는 주로(200)의 개구 주변 영역 상에 위치하며, 용융물 차단 장치(100)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임시 탕도의 지선(21) 내에 위치한다.First,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blast furnace (10 in FIG. 1),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urnace outlet opening (13 in FIG. 1) is not formed, no melt exists in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in FIG. 1). In this state, the weight 112 fixed to the chute 110 is located on the area around the opening of the main 200 as shown in FIG. 4, and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of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are provided. Is located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고로 개수 공정을 위하여 고로에 노저 출선구(도 1의 13)를 형성한 후, 노저 출선구를 통하여 융용물이 배출되기 시작할 때, 작업자가 리프팅 수단(300; 도 4에서는 포크 리르트)을 이용하여 웨이트(112)를 상향 이동시킨다. After forming the furnace outlet opening (13 in FIG. 1) in the blast furnace for the blast furnace repair process, when the melt is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opening, the operator uses a lifting means 300 (fork reel in FIG. 4) To move the weight 112 upward.

웨이트(112)의 상향 이동에 따라 슈트(110), 슈트(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120) 및 프레임 구조체(120)에 설치된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상향 이동하며, 따라서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던 임시 탕도의 지선(21)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As the weight 112 moves upward, the chute 110, the frame structure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hute 110, and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provided on the frame structure 120 move upward, and thus the blocking plat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line blocked by 131 and 132 is in an open state.

노저 출선구(도 1의 13)를 통하여 배출된 용융물은 임시 탕도의 지선(21)을 따라 유동하며, 최종적으로 래들 카(도 2의 C1) 내에 수선된다.The melt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13 in FIG. 1) flows along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and is finally repaired in the ladle car (C1 in FIG. 2).

어느 한 래들 카(C1) 내로의 용융물의 수선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리프팅 수단(300)을 이용하여 웨이트(112)를 하향 이동시키며, 따라서 하향 이동하는 웨이트(112)의 하중에 의하여 슈트(110), 슈트(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 (120) 및 프레임 구조체(120)에 장착된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 역시 하향 이동한다. When the repair of the melt into one of the ladle cars C1 is completed, the worker uses the lifting means 300 to move the weight 112 downward, and thus the chute 110 by the load of the weight 112 moving downward. ), The frame structure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hute 110 and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mounted to the frame structure 120 also move downward.

따라서, 임시 탕도의 지선(21)은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에 의하여 차단되며(도 4의 상태), 용융물은 더 이상 지선(21)에 대응하는 래들 카(도 2의 C1)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Thus,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is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state of FIG. 4), and the melt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ladle car (C1 of FIG. 2) corresponding to the branch line 21. It doesn't work.

이와 같은 임시 탕도의 지선(21)을 차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100)의 기능적인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lt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lock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flow in detail as follows.

(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탕도의 지선(21)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일정한 유속을 갖고 유동하는 용융물을 2중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다수의 스페이서 바(133)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어 소정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따라서 용융물의 누출 없이 임시 탕도의 지선(21) 내의 용융물의 흐름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A) As shown in FIG. 5,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away is blocked by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lock the melt flowing at a constant flow rate in a double. In particular, the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integrated by a plurality of spacer bars 133 to withstand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the flow of the melt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l flowway without leakage of the melt can be achieved. You can block it completely.

(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임시 탕도의 지선(21) 내에 위치된 후, 작업자는 슈트(110)를 통하여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 사이의 공간(130)에 중량체(重量體; 예를 들어, 모래)를 투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200) 상부로 노출된 슈트(110)의 상부에는 넓은 면적의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슈트(110) 내에 모래를 투입하면, 모래는 차단 플레이트 (131 및 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130)에 적재된다. 따라서,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와 더불어 이 모래는 일정한 압력을 갖고 흐르는 용융물에 대한 저항력을 배가시킬 수 있어 용융물의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B) After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positioned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the worker passes through the chute 110 into the space 130 between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For example, sand). As described above, an inlet 111 having a large are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ute 110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200, and when sand is introduced into the chute 110 through the inlet 111, sand Is loaded into the space 130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Thus, together with the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this sand can double the resistance to the flowing melt with a constant pressure so that no leakage of the melt occurs.

(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프레임 구조체(1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의 특정 영역에 압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용융물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임시 탕도의 지선(21) 내에서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의 회전이 억제되어 용융물은 누출되지 않는다.(C) As described above, the two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120. In such a structure,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cannot rotate even when pressure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Therefore, in the process of blocking the melt,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is suppressed so that the melt does not leak.

(라) 프레임 구조체(120)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121)은 임시 탕도의 지선 (21) 외측에 위치하며, 이 최외측 수직 프레임(121)은 임시 탕도의 지선(21) 외측에 고정된 수직 포스트(400)에 설치된 부싱(401)을 관통한다. 따라서, 프레임 조립체(120)는 부싱(401)에 의하여 수직 포스트(400)를 따라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는 임시 탕도의 지선(21)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와 지선(21)의 내벽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용융물의 누출이 허용되지 않음은 물론이다.(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121 of the frame structure 120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121 is outsid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way. It passes through the bushing 401 installed in the fixed vertical post 400. Thus, the frame assembly 120 is moved along a path defined by the bushing 401 along the vertical post 400. As a result,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so that no gap occurs between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nd the inner wall of the branch line 21. Of course, no leakage of the melt is allowed by this structure.

(마) 작업자는 위와 같은 용융물 차단 장치(100)를 임시 탕도(도 1의 20)의 상부에 설치된 주로(200 ; 走路)에서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부재가 상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임시 탕도(도 1의 20) 주변의 협소한 작업 공간이라는 제약에서 벗어나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용융물 차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E)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melt block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main (200; road)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20 in Fig. 1), and all the members are designed to move in the upward direction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iciently carry out the melt-blocking process free from the limitation of the narrow working space around the temporary waterway (20 in FIG. 1).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는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고정된 프레임 구조체(120)가 슈트(110)의 하부에 고정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슈트를 이용하지 않고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체(120) 및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를 수직 이동시켜 임시 탕도의 지선(21)을 차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rame structure 120 in which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re fixed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1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ute 110. However, the frame structure is used by lifting means without using the chute.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ning water may be blocked by vertically moving the 120 and the blocking plates 131 and 132.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 사이의 공간(130)과 대응하는 임시 탕도의 지선(21)의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턱부(21-1)를 형성함으로써 1쌍의 차단 플레이트(131 및 132)가 좌우(즉, 임시 탕도의 지선(21)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jaw portion 2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30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s 131 and 132 and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water supply. By forming -1), the pair of blocking plates 131 and 132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nch line 21 of the temporary runaway).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shows schematically a lower part of a typical blast furnace;

도 2는 고로 및 고로에 연결된 임시 탕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st furnace and the temporary runway connected to the blast furnace.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 단면도.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와 임시 탕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t-blocking device and the temporary water f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차단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4,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wo blocking plates constituting the mel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6)

고로의 노저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물이 유동하는 임시 탕도에 설치되어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에 있어서, In the bl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water flow through which the melt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outlet of the blast furnace flows,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위치하며, 리프팅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A frame structure positioned abov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and movable up and down by a lifting means; And 프레임 구조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스페이서 바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화되어 프레임 구조체의 하향 이동에 따라 임시 탕도의 지선 내에 위치하여 용융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1쌍의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structure, is integrat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spacer bar, and includes a pair of blocking plate which is located in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water flow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structure to block the flow of the melt; , 상기 1쌍의 차단 플레이트는 내부면에 고정된 다수의 스페이서 바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그 사이에 상부, 양측부 및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The pair of blocking plates are integrated by a plurality of spacer bars fixed to an inner surface to form a space part between which the top, both sides and the bottom are opened. 차단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대응하는 임시 탕도의 지선 저면에 소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턱부를 형성하여, 그로 인하여 차단 플레이트가 임시 탕도의 지선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차단 장치. A mel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ength at the bottom of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corresponding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lates, whereby the barrier plate does not shak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Block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설치된 수직 포스트를 더 포함하되,I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post install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프레임 구조체의 최외측의 수직 프레임은 임시 탕도의 지선 외측에 위치하며, 이 최외측 수직 프레임은 수직 포스트에 고정된 부싱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차단 장치.And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of the frame structure is located outsid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away, the outermost vertical frame passing through a bushing fixed to the vertical pos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설치되며, 하단부는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어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며, 상단부는 리프팅 수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슈트를 더 포함하여 슈트를 통하여 1쌍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중량체를 투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차단 장치.It is installed abov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plate,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further includes a chute that can further move up and down one chute through the chute Melt-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an be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임시 탕도의 지선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수단이 이동하는 주로를 더 포함하되, Installed above the branch line of the temporary runway further includes a main to move the lifting means, 상기 슈트의 상부는 주로 상으로 노출되고, 슈트는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부면이 주로의 상부 표면에 대응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차단 장치.The upper portion of the chute is mainly exposed to the upper phase, the chute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comprise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the melt blocking device.
KR1020080056917A 2008-06-17 2008-06-17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KR101008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17A KR101008367B1 (en) 2008-06-17 2008-06-17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17A KR101008367B1 (en) 2008-06-17 2008-06-17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16A KR20090131116A (en) 2009-12-28
KR101008367B1 true KR101008367B1 (en) 2011-01-14

Family

ID=4169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917A KR101008367B1 (en) 2008-06-17 2008-06-17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3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707U (en) * 1977-11-15 1979-06-04
JPH05117731A (en) * 1991-10-23 1993-05-14 Kawasaki Steel Corp Device for changing over molten slag flow
JPH08100207A (en) * 1994-10-03 1996-04-16 Kawasaki Heavy Ind Ltd Stopper device for discharging residual pig of molten iron trough
KR20040034955A (en)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lag intercepting main iron through of blast furn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707U (en) * 1977-11-15 1979-06-04
JPH05117731A (en) * 1991-10-23 1993-05-14 Kawasaki Steel Corp Device for changing over molten slag flow
JPH08100207A (en) * 1994-10-03 1996-04-16 Kawasaki Heavy Ind Ltd Stopper device for discharging residual pig of molten iron trough
KR20040034955A (en)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lag intercepting main iron through of blast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16A (en)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2249B (en) A kind of tilt bed iron making transport vehicle
CN108690893A (en) The restorative procedure in blast furnace taphole stream iron duct
CN105542800B (en) Coke dry quenching furnace liner overhaul construction method
CN105177202A (en) Iron-making blast furnace overhaul method
CN109306387B (en) Method for protecting and repairing furnace shell after blast furnace cooling wall burning loss
CN105420432A (en) Replacing method for cooling wall of blast furnace
CN107699650A (en) A kind of installation method of blast furnace cooling stave
KR101008367B1 (en) Apparatus for blocking a flow of melting steel
CN101612663B (en) Sliding plate for off-line baking continuous casting ladle and molten steel outlet replacing method
CN207395489U (en) A kind of reviver melting furnace slag-discharging device
CN210796513U (en) Blast furnace foundation gas leakage plugging structure
CN205309288U (en) Indisputable transport vechicle is converted to tilt bed
KR100417628B1 (en) The multi-function repair equipment in hot condition for tundish
KR100958304B1 (en) Relining method of blast furnace
CN105033235A (en) Smelting steel ladle
CN206308387U (en) A kind of RH vacuum chambers bottom masonry construction
CN216838038U (en) High-temperature-resistant plugging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ust from overflowing in blast furnace slag discharge groove
CN212109564U (en) Device for reducing ball accumulation in water seal tank of circular cooler
CN108796157A (en) A kind of septal fossula changeable type of good heat dissipation effect taps a blast furnace tap drain
KR10157238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rsing blast furnace bucket material
KR101105910B1 (en) Stopper apparatus
CN212669728U (en) Treatment device for coal gas channeling of blast furnace taphole
CN214735869U (en) Blast furnace slag iron runner swinging runner baking device
CN201436540U (en) Iron mouth structure of fusion reduction ironmaking furnace
KR101412416B1 (en) Method for reduction of s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