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797B1 -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 Google Patents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97B1
KR101007797B1 KR1020100069782A KR20100069782A KR101007797B1 KR 101007797 B1 KR101007797 B1 KR 101007797B1 KR 1020100069782 A KR1020100069782 A KR 1020100069782A KR 20100069782 A KR20100069782 A KR 20100069782A KR 101007797 B1 KR101007797 B1 KR 10100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itting
book holder
ly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근
Original Assignee
오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근 filed Critical 오철근
Priority to KR102010006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97B1/ko
Priority to US13/810,674 priority patent/US20130112834A1/en
Priority to CN2011800352274A priority patent/CN103002768A/zh
Priority to PCT/KR2011/005303 priority patent/WO201201172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7Overhead reading-racks or book-res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환자나 장애우는 물론 누워서 독서를 즐기는 어린이 및 일반인 모두 침대나 요 위에 누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한편, 앉아서도 독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권치롤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한쌍의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로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환자나 장애우는 물론 누워서 독서를 즐기는 어린이 및 일반인 모두 침대나 요 위에 누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 및 일반인들의 경우 앉아서 독서를 하다가 몸이 불편하게 되면 다시 자세를 바꿔 누워서도 독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누워있거나 또는 앉아 있음으로 인해 생기는 근육 및 허리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 아파트 등의 건물 내부의 거실이나 방 또는 침실 및 병원, 요양원 등의 병실 천장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설치에 필요한 공간확보가 쉽고, 설치 후에는 미사용시 천장으로 상승시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에 방해되는 일 없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따로 보관장소를 만들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이 좋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A Reading desk for using sitting or in the lying state}
본 발명은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환자나 장애우는 물론 누워서 독서를 즐기는 어린이 및 일반인 모두 침대나 요 위에 누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한편, 앉아서도 독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업, 업무 또는 자기개발을 위하여 독서를 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독서대에 장시간 앉아있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독서대는 책을 읽기 편리하도록 지지해주기 위한 것으로 책을 거치하기 위한 책상과, 상기 책상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분리 제작되는 의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독서대에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 장시간 의자에 착석해야 하기 때문에 허리가 약하거나 또는 심신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우들은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린이 및 일반인들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 독서를 하게 되면서 몸이 비스듬해지거나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자세가 불안정해지며, 특히 척추가 심하게 휘는 등 성장기의 학생들에게는 심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가 점진적으로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독서대는 앉아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 및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대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환자나 장애우는 물론 누워서 독서를 즐기는 어린이 및 일반인 모두 침대나 요 위에 누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한편, 앉아서도 독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파트 등의 건물 내부의 거실 또는 침실이나 병원, 요양원 등의 병실 천장에 고정 설치하여 미사용시에는 천장으로 상승시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다시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권치롤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의 양 측면에 각각 상,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는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부는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벨트는 타단이 상기 다단계 폴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볼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책거치대는 조명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권치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권치롤러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롤러를 따라 각각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외면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권치롤과; 상기 권치롤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의 양 측면에 상,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는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부는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벨트는 타단이 상기 다단계 폴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책거치대는 조명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환자나 장애우는 물론 누워서 독서를 즐기는 어린이 및 일반인 모두 침대나 요 위에 누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 및 일반인들의 경우 앉아서 독서를 하다가 몸이 불편하게 되면 다시 자세를 바꿔 누워서도 독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누워있거나 또는 앉아 있음으로 인해 생기는 근육 및 허리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 아파트 등의 건물 내부의 거실이나 방 또는 침실 및 병원, 요양원 등의 병실 천장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설치에 필요한 공간확보가 쉽고, 설치 후에는 미사용시 천장으로 상승시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에 방해되는 일 없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따로 보관장소를 만들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이 좋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c는 제 1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2b 및 2c는 제 1실시예에서 접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1실시예에서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c는 제 2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c는 제 3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c는 제 1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a, 2b 및 2c는 제 1실시예에서 접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1실시예에서 책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롤(20)과, 상기 권취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20)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상기 권치롤(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3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천장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천장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권취롤(20)은 양 측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축회전 되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책거치대(50)는 뒤집어 거치되는 책을 누워서도 읽을 수 있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는 브라켓(31)과, 상기 브라켓(31)에 설치되는 기어(32)와, 상기 기어(32)를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볼체인(3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평벨트 또는 와이어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권취롤(20)은 일측이 상기 기어(32)와 축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볼체인(33)의 조절에 의해 정, 역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롤(20)이 고정,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네변은 상측으로 돌출된 거치막(51)이 형성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는 거치되는 책을 손을 삽입하여 잡기 위한 삽입홈(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거치되는 책이 상기 책거치대(50)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면서 누워서 독서를 하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52)으로 인해 누워서 독서를 하는 사용자는 거치된 책을 손을 삽입하여 잡고 다음 페이지로 넘긴 후 다시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누운 자세에서 독서를 하기 위해 상기 볼체인(33)을 조절하여 수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기어(32)가 회전되게 되면서 상기 권취롤(20)이 회전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권취롤(20)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풀리게 되면서 상기 책거치대(50)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강된 상기 책거치대(50)에 책의 표지가 천장을 향하도록 거치시키게 되면 투명으로 이루어진 상기 책거치대(50)로 인해 책의 내용이 보여지게 되면서 누운 자세에서 책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방 바닥, 또는 의자, 또는 침대에 앉은 자세에서 독서하기 위해 상기 볼체인(33)을 조절하여 상기 책거치대(50)를 신체의 가슴 또는 배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책거치대(50)에 책의 표지가 지면을 향하도록 거치시키게 되면 앉은 자세에서도 독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독서 후에는 상기 볼체인(33)을 반대방향에서 당겨 상기 책거치대(50)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10)에 인접되되록 승강시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상기 한 쌍의 벨트(40)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50)의 양 측면에 상,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60)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6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체인(33)의 조절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접이연결체(61)는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볼체인(33)의 조절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20)에 권취되며 상기 접이연결체(61)는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2a,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6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타단이 상기 다단계 폴(62)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체인(33)의 조절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다단계 폴(62)은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인출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볼체인(33)의 조절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20)에 권취되며 상기 다단계 폴(62)은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접이부(60)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등을 포함하는 조명등(5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명등(53)은 일반적인 건전지 또는 밧데리에 의해 광원이 점등되어 조명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책거치대(50)에 탈,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집게가 형성되고, 누워서 독서시에는 상기 책거치대(50)의 하부면이 조명되며 앉아서 독서시에는 상기 책거치대(50)의 상부면이 조명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집게 사이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야간에도 타인에게 방해되는 일 없이 편안하게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c는 제 2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a, 4b 및 4c를 참조하여 보면,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70)와, 상기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권치롤(20)과, 상기 권치롤(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상기 하우징(10)이 천장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천장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권취롤(20)은 양 측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양 측면에 축회전 되도록 고정,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상기 권치롤(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대(5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권취롤(20)에 감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책거치대(50)를 승,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모터(7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 및 구동이 정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책거치대(50)를 승, 하강 시키기 위한 올림버튼과 내림버튼 및 상기 모터(7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원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모터(7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내림버튼을 길게 누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가 멈춤 없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올림버튼을 길게 누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가 멈춤 없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누르고 있던 손을 상기 내림버튼 또는 올림버튼에서 띠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는 제자리에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허리가 약하거나 또는 심신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우들은 누운 자세에서도 상기 제어부의 간편한 조정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를 승, 하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누운 자세에서도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상기 한 쌍의 벨트(40)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50)의 양 측면에 상,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60)가 더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6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7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접이연결체(61)는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모터(7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20)에 권취되며 상기 접이연결체(61)는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6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상기 다단계 폴(62)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7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다단계 폴(62)은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인출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모터(7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20)에 권취되며 상기 다단계 폴(62)은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접이부(60)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c는 제 3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여 보면,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70)와, 상기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권치롤러(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80)와, 상기 권치롤러(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롤러(80)를 따라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게 되면 상기 모터(70)가 회전되게 되면서 상기 권취롤러(20')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권취롤러(20')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풀리게 되면서 상기 책거치대(50)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강된 상기 책거치대(50)에 책의 표지가 천장을 향하도록 거치시키게 되면 투명으로 이루어진 상기 책거치대(50)로 인해 책의 내용이 보여지게 되면서 누운 자세에서 책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방 바닥 또는, 의자 또는, 침대에 앉은 자세에서 독서를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여 상기 책거치대(50)를 신체의 가슴 또는 배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책거치대(50)에 책의 표지가 지면을 향하도록 거치시키게 되면 앉은 자세에서도 독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독서 후에는 상기 책거치대(50)가 승강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게 되면 상기 모터(70)가 역회전되면서 상기 권취롤러(20')에 연결된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감기게 되면서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10)에 인접하도록 승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1)는 상기 한 쌍의 벨트(40)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50)의 양 측면에 상,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60)가 더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5a,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6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7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접이연결체(61)는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모터(7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러(20')에 권취되며 상기 접이연결체(61)는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60)는 상기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6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상기 다단계 폴(62)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7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책거치대(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다단계 폴(62)은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인출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모터(7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책거치대(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벨트(40)가 상기 권취롤러(20')에 권취되며 상기 다단계 폴(62)은 상기 책거치대(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책거치대(50)는 상기 접이부(60)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0 : 하우징
20 : 권취롤 20' :권취롤러
30 : 회전부 31: 브라켓
32 : 기어 33 : 볼체인
40 : 벨트 50 : 책거치대
51 : 거치막 52 : 삽입홈
53 : 조명등 60 : 접이부
61 : 접이연결체 62 : 다단계 폴
70 : 모터 80 : 롤러

Claims (14)

  1.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롤(20)과;
    상기 권취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20)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상기 권치롤(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3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50)의 양 측면에 각각 상,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6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60)는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60)는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타단이 상기 다단계 폴(62)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는 브라켓(31)과, 상기 브라켓(31)에 설치되는 기어(32)와, 상기 기어(32)를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볼체인(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책거치대(50)는 조명등(53)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8.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70)와;
    상기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권치롤러(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80)와;
    상기 권치롤러(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롤러(80)를 따라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9.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70)와;
    상기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 축이음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권치롤(20)과;
    상기 권치롤(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40)와;
    상기 한 쌍의 벨트(40)의 타단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책거치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과 상기 책거치대(50)의 양 측면에 상,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책거치대(50)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접이부(6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60)는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접이연결체(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60)는 수직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다단계 폴(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벨트(40)는 타단이 상기 다단계 폴(62)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책거치대(50)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책거치대(50)는 조명등(53)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KR1020100069782A 2010-07-20 2010-07-20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KR10100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82A KR101007797B1 (ko) 2010-07-20 2010-07-20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US13/810,674 US20130112834A1 (en) 2010-07-20 2011-07-19 Reading desk used in sitting or lying position
CN2011800352274A CN103002768A (zh) 2010-07-20 2011-07-19 坐或躺着使用的读书台
PCT/KR2011/005303 WO2012011721A2 (ko) 2010-07-20 2011-07-19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82A KR101007797B1 (ko) 2010-07-20 2010-07-20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797B1 true KR101007797B1 (ko) 2011-01-14

Family

ID=4361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782A KR101007797B1 (ko) 2010-07-20 2010-07-20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12834A1 (ko)
KR (1) KR101007797B1 (ko)
CN (1) CN103002768A (ko)
WO (1) WO201201172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01B1 (ko) 2013-08-30 2015-02-04 이상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책 받침대
KR200480405Y1 (ko) * 2014-09-12 2016-05-25 채종현 승강구동식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P20190074A1 (ar) * 2016-10-11 2019-04-07 Enfant Terrible Design AB نظام مراقبة
CN112603060A (zh) * 2020-12-28 2021-04-06 惠州市金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式多媒体书架的家用学习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82U (ko) * 1988-06-08 1990-01-07 원정희 조명기구를 부설한 침대용 독서대
KR960000275U (ko) * 1994-06-02 1996-01-17 김공식 누워서 책을 읽을 수 있는 독서대
KR20030034516A (ko) * 2001-10-23 2003-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빔 인덱스형 음극선관의 전자총
KR200334516Y1 (ko) 2003-08-19 2003-11-28 김자형 개선된 독서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10711U (zh) * 1986-12-20 1987-07-22 张迪仁 一种悬空式多向运动夹书装置
CN2086089U (zh) * 1991-04-22 1991-10-09 袁金东 带灯看书架
CN2206575Y (zh) * 1994-06-14 1995-09-06 李全德 旋转式可调节书托
CN2286394Y (zh) * 1997-03-06 1998-07-22 陆加正 阅读托架
CN2416797Y (zh) * 1998-02-04 2001-01-31 任安煜 床上活动桌
CN2537279Y (zh) * 2002-03-15 2003-02-26 姜艺栋 卧读书架
CN2540832Y (zh) * 2002-04-10 2003-03-26 邢长生 躺视保健书架
CN201011942Y (zh) * 2006-10-25 2008-01-30 耿洪海 一种阅读书架
CN200960778Y (zh) * 2006-10-31 2007-10-17 任天飞 休闲看书夹
CN201064285Y (zh) * 2007-07-09 2008-05-28 王昊 床上书架
CN201055109Y (zh) * 2007-07-13 2008-05-07 郑旭航 助残阅读书架
CN201192186Y (zh) * 2008-02-17 2009-02-11 陈际军 一种床头书托
CN201185749Y (zh) * 2008-04-15 2009-01-28 陈显文 防近视床上书架
CN201213581Y (zh) * 2008-05-27 2009-04-01 汤世方 仰卧阅读书托
CN201439860U (zh) * 2009-05-22 2010-04-21 湖南点康科技有限公司 悬挂式电脑支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82U (ko) * 1988-06-08 1990-01-07 원정희 조명기구를 부설한 침대용 독서대
KR960000275U (ko) * 1994-06-02 1996-01-17 김공식 누워서 책을 읽을 수 있는 독서대
KR20030034516A (ko) * 2001-10-23 2003-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빔 인덱스형 음극선관의 전자총
KR200334516Y1 (ko) 2003-08-19 2003-11-28 김자형 개선된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01B1 (ko) 2013-08-30 2015-02-04 이상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책 받침대
KR200480405Y1 (ko) * 2014-09-12 2016-05-25 채종현 승강구동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721A2 (ko) 2012-01-26
US20130112834A1 (en) 2013-05-09
WO2012011721A3 (ko) 2012-03-29
CN103002768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97B1 (ko) 앉거나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JPH03202059A (ja) 医療用ベッド装置
JPH04663B2 (ko)
TWI819199B (zh) 移動要照護者的方法
US20080010740A1 (en) Motorized bathtub seat apparatus
CN110192738A (zh) 一种多功用一体化医疗床柜
JP2010172630A (ja) 電動ベッドを利用した病弱者や寝たきり老人等の移送装置
CN201987781U (zh) 一种助人自然坐姿护理床
JP2009005746A (ja) ベッド
JPH09173391A (ja) 介護用リフト
JP2004081318A (ja) 壁面収納ベッド
CN102125490A (zh) 一种助人自然坐姿护理床
JP2014200648A (ja) 自動布団掛け装置
KR100866630B1 (ko) 환자용 침대
CN218338032U (zh) 一种公寓组合式床
JP5226190B2 (ja) 回転介護ベット装置
CN213157149U (zh) 语音交互智能病床
JP2010142666A (ja) 介護用移送入浴装置
CN210581794U (zh) 辅助床
JP2000236981A (ja) 昇降型座椅子
CN217524311U (zh) 一种适用于监护病房的多功能床头柜
CN209846622U (zh) 一种多功用一体化医疗床柜
CN209827299U (zh) 一种医用护理床
CN214967966U (zh) 一种便于床板延长且具有腿部固定功能的全科护理用疗养床
CN207708272U (zh) 多功能输液架以及输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