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731B1 - 정경장치 - Google Patents

정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31B1
KR101007731B1 KR1020080094923A KR20080094923A KR101007731B1 KR 101007731 B1 KR101007731 B1 KR 101007731B1 KR 1020080094923 A KR1020080094923 A KR 1020080094923A KR 20080094923 A KR20080094923 A KR 20080094923A KR 101007731 B1 KR101007731 B1 KR 101007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roove
wound
fixing means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502A (ko
Inventor
권윤정
김대성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22Tensioning devices
    • D02H13/2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 D01H13/102Regulating tension by regulating delivery of yarn from supply packag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00Creels, i.e. apparatus for supplying a multiplicity of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16Reeds, combs, or other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pacing of threads
    • D02H13/18Reeds, combs, or other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pacing of threads with adjustable spac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3/00Warping machines
    • D02H3/04Sample warp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7/00Combined warping and beam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사가 감기는 빔에 원사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빔에 감기는 원사들의 장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으며 원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정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경장치, 메인 세퍼레이터, 빔, 장력

Description

정경장치{WARPING MACHINE}
본 발명은 정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사가 감기는 빔에 원사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빔에 감기는 원사들의 장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으며 원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정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경장치란 섬유원단을 제편하는 공정 중에 정경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원사나 가공사를 일정한 장력으로 빔에 감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제편공정은 원사나 가공사를 빔에 감는 정경공정(Warping)과 상기 빔을 제편기 또는 제직기에 올려 원단을 짜내는 제편(Knitting), 제직공정(Weaving)으로 구분된다.
즉, 정경공정은 제편기 또는 제직기에 원사가 감긴 빔을 공급하기 위해 빔에 원사를 감는 공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경장치에 구비된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정경장치는 정경부에 의해 빔(110)으로 안내되는 최초의 원사(120)들을 한곳으로 묶어서 매듭부분(130)을 만들어 상기 빔(110)에 감기 시작한다. 하지만 상기 빔(110)에 감겨지는 원사는 상기 매듭부분(130)으로 인 하여 중심부분이 가장자리에 비하여 볼록해진 상태(A)로 감기게 되어 원사들 간의 장력이 다른 채로 상기 빔(110)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편 시 공급되는 원사들의 장력 역시 불균일하게 되어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빔(110)에 원사를 최초로 감을 때에도 원사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정경작업을 곤란하게 하며, 제편 시 사용될 수 없는 원사들의 양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빔에 감기는 원사들의 장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직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의 원사들을 용이하게 빔에 감길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빔에 감긴 원사들을 제직 시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정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원사 보빈이 거치 되고 상기 원사 보빈들에 감긴 원사를 인출하는 크릴부; 상기 크릴부에서 인출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여 안내하는 정경부; 및 상기 정경부에 의해 안내된 원사를 감는 빔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원사가 감기는 빔; 상기 빔에 형성되며 상기 정경부에 의해 최초로 안내되는 원사가 삽입되는 홈; 및 상기 홈에 끼워져 원사를 고정하는 원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정경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사고정수단은 상기 홈에 맞게 끼워지도록 바 형태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경부는 상기 크릴부에서 인출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여 상기 빔으로 안내하는 메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 형태로 형성되되, 바닥면에는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원사고정수단은 상기 홈에 맞게 끼워지도록 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메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안내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는 보조 세페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의 양 측면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빔의 양 측면 쪽에서 걸쇠를 이용하여 상기 홈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하여 상기 원사고정수단을 상기 빔에 고정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정경장치는 빔에 감기는 원사들의 장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직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경장치는 최초의 원사들을 용이하게 빔에 감길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경장치는 빔에 감긴 원사들을 제직 시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는 크릴부(200), 정경부(300) 및 빔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릴부(200)는 다수 개의 원사 보빈(210)들이 거치 되어 정경부(300)로 원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크릴부(200)는 빔(410)에 감기는 원사들을 동시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상기 빔(410)의 폭에 따라 규모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빔부(400)의 빔(410) 폭이 넓어 한번에 400가닥의 원사 를 감아야 할 경우 400개의 원사 보빈(210)들을 거치해야 하므로 규모가 커지고, 상기 빔(410)이 폭이 좁아 한번에 40가닥의 원사를 감는 경우 40개의 원사 보빈(210)만 거치하면 되므로 규모가 10분의 1로 줄어드는 것이다.
상기 정경부(300)는 상기 크릴부(200)에서 인출된 원사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여 빔부(400)로 안내한다.
상기 정경부(300)는 집사대(310), 프론트롤러(320), 오일링장치(330), 절사감지장치(340) 및 메인 세퍼레이터(350)를 포함하며, 상기 크릴부(200)에서 인출된 원사 가닥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여 빔부(400)로 안내한다.
상기 정경부(300)가 상기 크릴부(200)의 원사를 상기 빔부(400)까지 안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인출된 원사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집사판(310)을 통해 정렬하고 다음, 프론트롤러(320)를 통해 원사가 일정한 장력을 가지게 한 후, 오일링 장치(330)에 의해 원사의 윤활성과 집속성을 높이고, 끊어진 원사를 감지하는 절사 감지장치(340)를 거친 후, 상기 메인 세퍼레이터(350)로 원사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세퍼레이터(350)는 원사를 최종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여 회전하는 상기 빔(410)에 원사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빔부(400)은 원통형으로 원사가 감기는 빔(410)과 상기 빔(410)에 최초로 감기는 원사를 고정하는 원사고정수단(420)을 포함하며, 상기 빔(41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빔(410)에는 상기 정경부(300)에 의해 최초로 안내되는 원사가 삽입되는 홈(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은 상기 홈(430)과 동 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430)에 맞게 끼워짐으로써 최초로 감기는 원사를 고정한다.
이로써 최초의 원사들을 상기 메인 세퍼레이터(350)에 의해 정렬된 형태 그대로 상기 빔(410)에 감을 수 있게 되어 원사들에 걸리는 장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빔(410)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 감기는 원사의 두께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빔에 형성된 홈(430)과 상기 홈(430)에 끼워지는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빔부(400)은 원통형으로 원사가 감기는 빔(410)과 정경부에 의해 최초로 안내되는 원사가 삽입되는 홈(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빔(410)에 최초로 감기는 원사를 고정하는 원사고정수단(4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홈(430)은 상기 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은 상기 바 형태의 홈(430)에 맞게 끼워지도록 마찬가지로 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최초의 원사들을 메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정렬된 형태 그대로 상기 빔(410)에 감을 수 있게 되어 원사들에 걸리는 장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빔(410)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 감기는 원사의 두께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430)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의 양 측면에는 구멍(4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빔(410)의 양 측면 쪽에서 걸쇠(450) 를 이용하여 상기 홈(430)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440)으로 삽입하여 상기 원사고정수단(420)을 상기 빔(4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에서 설명한 빔부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빔부(500)은 원통형으로 원사가 감기는 빔(510)과 정경부에 의해 최초로 안내되는 원사가 삽입되는 홈(5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빔(510)에 최초로 감기는 원사를 고정하는 원사고정수단(5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홈(530)은 상기 빔(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530)의 바닥면에는 상기 빔(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사고정수단(520)은 상기 바 형태의 홈(530)에 맞게 끼워지도록 마찬가지로 바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안내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는 보조 세퍼레이터(52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521)는 원사들이 끼워진 채 상기 삽입홈(531)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메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정렬된 형태로 이동하는 최초의 원사들은 정렬된 형태 그대로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521)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홈(530)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520)에 의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는 최초의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 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빔(510)에 감을 수 있어 원사들에 걸리는 장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빔(510)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 감기는 원사의 두께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530)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520)의 양 측면에는 구멍(5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걸쇠(550)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고정수단(520)을 상기 빔(5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에서 설명한 빔부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경장치에 구비된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경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크릴부 300: 정경부
400: 빔부 410: 빔
420: 원사고정수단 430: 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 개의 원사 보빈이 거치 되고 상기 원사 보빈들에 감긴 원사를 인출하는 크릴부;
    상기 크릴부에서 인출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여 상기 빔으로 안내하는 메인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정경부; 및
    상기 정경부에 의해 안내된 원사를 감는 빔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원사가 감기는 빔;
    상기 빔에 형성되며 상기 정경부에 의해 최초로 안내되는 원사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는 홈;
    상기 홈에 맞게 끼워지도록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안내된 원사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보조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원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정경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의 양 측면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빔의 양 측면 쪽에서 걸쇠를 이용하여 상기 홈의 양 측면 및 상기 원사고정수단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하여 상기 원사고정수단을 상기 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경장치.
KR1020080094923A 2008-09-26 2008-09-26 정경장치 KR10100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23A KR101007731B1 (ko) 2008-09-26 2008-09-26 정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23A KR101007731B1 (ko) 2008-09-26 2008-09-26 정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02A KR20100035502A (ko) 2010-04-05
KR101007731B1 true KR101007731B1 (ko) 2011-01-13

Family

ID=4221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23A KR101007731B1 (ko) 2008-09-26 2008-09-26 정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7B1 (ko) 2015-07-07 2017-01-02 조웅희 연속적으로 중복된 직선 영상의 단선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9273A (ko) 2015-07-16 2017-01-25 조웅희 카메라를 활용한 정경 스캔 방법
KR102514105B1 (ko) 2022-03-16 2023-03-23 박만규 정경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499B1 (ko) 2017-04-19 2018-10-18 주식회사 씨앤제이타올 정경 장치
CN111874738B (zh) * 2020-08-11 2021-12-10 岳西县长宁织绸有限责任公司 纺织机经线整平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7B1 (ko) 2015-07-07 2017-01-02 조웅희 연속적으로 중복된 직선 영상의 단선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9273A (ko) 2015-07-16 2017-01-25 조웅희 카메라를 활용한 정경 스캔 방법
KR102514105B1 (ko) 2022-03-16 2023-03-23 박만규 정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02A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31B1 (ko) 정경장치
JP4742125B2 (ja) 多糸条用ガイド
US20070190883A1 (en)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 spun yarn, composite yarn and fabric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KR100871902B1 (ko) 가변 메인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정경 장치
KR100880017B1 (ko) 정경장치
JP5664650B2 (ja) 製織機と同製織機による製織方法
CN113365933B (zh) 纤维包装
JP3960279B2 (ja) 結び目整列装置を有する整経機
JP2010043397A (ja) 整経装置
KR200428492Y1 (ko) 분사 부분 정경장치
CN211394845U (zh) 一种拉舍尔经编机的分纱针
CN110857479A (zh) 一种高效快速整经设备
CN111041646A (zh) 一种防钻绒织物及其生产方法
JP2009150025A (ja) ドラフトローラ
CN109023636A (zh) 一种减少靛蓝色织物色档的方法
US20120310404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ructure of a textile multi-filament product and method for processing a textile multi-filament product
CN212247333U (zh) 一种高效快速整经设备
JP5363553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
US20160053412A1 (en) Device for producing a beam from a rope arrangement
US20090320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ping and method of dyeing of high twisted fine count yarn
KR20000072239A (ko) 사이징방법
CZ2022434A3 (cs) Způsob vytvoření počáteční zálohy příze na dutince při navíjení příze na cívku,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a textilní stroj
CN100355639C (zh) 筒子纱及其制造方法
US1253992A (en) Loom.
CN113755980A (zh) 一种避免短纤包覆断纱和疵点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