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226B1 -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226B1
KR101007226B1 KR1020080059978A KR20080059978A KR101007226B1 KR 101007226 B1 KR101007226 B1 KR 101007226B1 KR 1020080059978 A KR1020080059978 A KR 1020080059978A KR 20080059978 A KR20080059978 A KR 20080059978A KR 101007226 B1 KR101007226 B1 KR 10100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removal
liquid
removing liquid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465A (ko
Inventor
심동수
정병호
Original Assignee
(주)명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장이엔지 filed Critical (주)명장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5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2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발파 해체시에 발생되는 분진을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로서 분진제거액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포그스크린들에 의하여 분진발생지점을 뒤덮게 하여서, 구조물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 다량으로 발생되어서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게 한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은 발파 해체 대상의 구조물(S) 주변에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배열 설치하고,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미리 준비한 추진 장약유닛(20)을 각각 투입하고 일시에 폭발할 수 있도록 세팅하며,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충분한 량의 분진제거액(30)을 각각 주입 충전시키고, 상기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기에 또는 2∼6 초 후에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 투입된 추진 장약유닛(20)의 폭발 추진력으로 일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게 하여서 된 것이다.
Figure R1020080059978
구조물 발파 해체, 분진, 분진 제거, 방사장치

Description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Removing method of dust rising in structure demolition}
본 발명은 구조물 발파 해체시에 발생되는 분진들을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로서 분진제거액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포그스크린들에 의해 분진발생지점을 뒤덮게 하여서, 구조물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 다량으로 발생되어서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게 한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공사를 진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분진은 주변의 대기환경을 오염시켜서 심각한 민원을 야기케 하는 원인이 되는바, 최근에는 건설현장마다 공사 진행 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노후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하여 진행되는 발파식 구조물 해체공사는, 해당 구조물에 화약을 적절히 분산 배치한 후 시차를 두고 발파시켜서, 구조물이 불균형 상태에서 중력으로 붕괴되어 해체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발파식 구조물 해체공사는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화약으로 구조물을 발파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일일이 분쇄시켜서 해체하는 기계식 구조물 해체공사에 비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구조물이 발파 해체될 때에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구조물의 발파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은 그 구조물이 붕괴되는 순간에 다량으로 발생되어서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분진 차단막이나 분진 제거장비로는 구조물의 발파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구조물의 발파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할 수 있었던 최선의 선택이 고압 살수장비를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고압 살수장비를 이용한 분진 제거방법은 발파 대상의 해당 구조물 주변에 고압 살수장비를 배치하고, 구조물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 분진발생지점을 향하여 고압으로 물을 살수하여, 붕괴되는 구조물에서 발생된 분진을 흡착 제거하여 주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고압 살수장비를 이용한 분진 제거방법에 따르면, 고압 살수장비에서 분진발생지점을 향하여 고압으로 살수된 물은 물방울 또는 물줄기 형태로 뭉쳐서 살수 폭과 접촉면적이 모두 작기 때문에, 구조물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순간에 다량으로 발생되어서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분진에 대한 흡 착 제거률이 극히 불량해져서, 구조물이 해체 발파된 건설현장 주변이 분진으로 오염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발파 해체 대상의 구조물 주변에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을 배열 설치하고 추진 장약유닛의 폭발 추진력으로 분진제거액을 일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들이 분진발생지점을 뒤덮을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물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 분진발생지점에서 발생된 분진에 대한 제거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은, 발파 해체 대상의 구조물(S) 주변에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배열 설치하는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의 설치단계;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미리 준비한 추진 장약유닛(20)을 각각 투입하고 일시에 폭발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 추진 장약유닛의 세팅단계;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충분한 량의 분진제거액(30)을 각각 주입 충전시키는 분진제거액 충전단계;
상기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기에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 투입된 추진 장약유닛(20)의 폭발 추진력으로 일시에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게 하는 포그스크린의 형성단계;를 수행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파 해체 대상의 구조물(S)의 주변에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배열 설치하고, 그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 마다 투입 셋팅된추진 장약유닛(20)의 폭발 추진력으로 일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을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분진발생지점에서 다량으로 발생되어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려는 분진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한 상태로 최대한 많이 접촉시켜 제거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이 해체 발파되는 건설현장 주변을 분진으로 오염시키는 일없이 청정한 대기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작업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의 설치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자체의 성능과, 발파 대상의 구조물(S)의 높이, 규모, 위치 및 풍향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S)로부터 충분한 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에 분진발생지점(P)을 향하여 방사 방향 및 방사 각도를 맞추어 배열되도록 설치한다.
이는 구조물(S)의 발파 해체시 분진발생지점(P)을 향하여 분진제거액(30)을 효율적으로 방사할 수 있게 줄 뿐만 아니라, 구조물(S)이 붕괴될 때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이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구조물(S) 주변의 어느 일측에 다수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1개조로 하여 1열 이상 배열 설치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구조물(S)의 일측에 1열 이상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포그스크린(FS)들이 1열 이상으로 분진발생지점(P)을 덮어서,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 분진발생지점(P)에서 다량으로 발생되어서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개개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은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배열간격을 설정하여서,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될 때에 분진발생지점(P)에서 다량으로 발생된 분진이 포그스크린(FS)들 사이로 빠져서 대기 중에 확산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밀실한 투입용 개폐문(11a)이 장착된 방사통(11)을 가지며, 상기 방사통(11)을 방향성 있게 지지시켜 주면서 방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사각 조정기구(12a)가 설치된 지지틀(12)을 가져서, 분진발생지점(P)을 향하여 방사통(11)의 방향과 각도를 맞춘 상태에서 그 방사통 내에 추진 장약유닛(20)을 투입 셋팅하고 분진제거액(30)을 주입 충전하여, 추진 장약유닛(20)의 폭발 추진력으로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투입용 개폐문(11a)에는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각선(22)을 외부로 인출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기밀처리된 배선통로(11b)가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추진 장약유닛의 셋팅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은 구조물(S)의 주변에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투입하고 일시에 발포될 수 있도록 세팅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셋팅된 추진 장약유닛(20)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방사통(11) 내에서 폭발 추진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분진제거액(30)이 방사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은 정해진 량의 화약(21)과 함께 각선(22)이 연결된 뇌관(23)을 연질의 케이스(24) 내에 채우고 밀봉시켜서 미리 준비하여 두고, 준비된 추진 장약유닛(20)은 구조물(S)의 주변에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이 배열 설치된 후에 개개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의 방사통(11) 내에 투입하고 일시에 발포할 수 있도록 세팅하여서 된다.
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은 폭발 소음이 작은 흑색 화약이나 저성능 화약을 주재로 사용하거나, 폭발 가스를 적게 발생시키는 무연 화약을 주재 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은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6초 후를 폭발시기로 설정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초이하일 때에는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된 분진 량이 작은 상태이고,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6초이상일 때에는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된 분진이 대기 중에 이미 흩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량의 분진이 발생되는 시점인 2~6초에 맞추어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이 폭발되게 하여, 그 화약이 폭발됨에 따라 발생된 추진력으로 일시에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적시에 덮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발파기(B)를 조작하면 설정된 시기에 기폭되는 지발식 뇌관(23)을 사용하여서,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6초 후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이 폭발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6초 후 발파기(B)를 조작하면 순간적으로 기폭되는 순발식 뇌관(23)을 사용하여서,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6초 후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이 폭발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뇌관(23)에 연결되어 있는 각선(22)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투입용 개폐문(11a)에 형성된 배선통로(11b)를 통하 여 외부로 인출시키고 발파기(B)에 통전되도록 배선하여, 발파기(B)를 조작하면 각선(22)과 연결된 뇌관(23)이 기폭되어 화약(21)이 폭발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케이스(24)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비닐팩 또는 플라스틱팩으로 만들어서, 그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화약(21)과 뇌관(23)을 포장하는 동시에 방수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직상부에 별도의 추진용 판재(C)를 배치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추진용 판재(C)는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방사통(11) 내에서 추진 장약유닛(20)에 의하여 발생된 폭발 추진력을 손실시키지 않고 분진제거액(30)에 그대로 전달시켜주므로, 상기 분진제거액(30)의 방사 효율을 증대시켜서 더욱 길고 폭넓은 포그스크린(FS)들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c는 분진제거액 충전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분진제거액(30)은 구조물(S)의 주변에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주입 충전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주입 충전된 분진제거액(30)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투입 수용된 추진 장약유닛(20)에 의해 발생되는 폭발 추진력으로 일시에 방사되며, 이때 분진제거액(30)은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분출구를 통해 순간적으로 물기둥 형태로 분출되어 상승하면서 대기 중에 미세입자 상태로 신속하고 폭넓게 분산되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방사통(11) 내에 직접 주입하여 비포장 상태로 충전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방사통(11) 내에 별도의 포장용 비닐(31)을 통해 포장 충전되게 하여서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이 수분 접촉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순수한 물을 주재로 사용하여서, 대기 중에 확산되는 분진에 대한 흡착 제거능력을 발휘하게 하면서도 대기 중에 시각적인 연출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순수한 물에 기포를 혼합하여서 된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대기 중에서 분진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순수한 물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색소를 혼합 채색하여서 된 칼라 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d는 포그스크린의 형성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포그스크린(FS)들은 상기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기에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각선(22)이 연결된 발파기(B)를 조작하여,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내에 각각 투입된 추진 장약유닛(20)의 뇌관(23)을 기폭시켜서 화약(21)이 폭발되게 하면,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내에 주입 충전된 분진 제거액(30)이 일시에 방사됨에 따라 형성되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게 된다.
이러한 포그스크린(FS)들은 분진발생지점(P)에서 다량으로 발생되어 대기 중에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확산 되려는 분진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한 상태로 최대한 많이 흡착 제거하여 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그스크린들로서 구조물(S)이 발파 붕괴될 때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된 분진을 완벽히 제거한 후에는, 구조물(S)의 주변에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회수하고 뒷정리하여 분진 제거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구조물(S)의 주변에 전,후로 1열씩 배열하되, 전방 1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과 후방 1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열 설치하여, 전방 1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1열의 포그스크린(FS)들 사이사이에, 후방 1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1열의 포그스크린(FS)들이 중첩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S)의 주변에 전,후로 1열씩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중첩되게 하여서, 구조물(S)이 붕괴될 때에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된 분진이 포그스크린(FS)들 사이로 빠져서 대기 중에 확산됨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구조물(S) 주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1개조로 하여 1열 이상 배열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S) 주변의 일측과 타측에 배열 설치되는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로부터 방사된 분진제거액(30)에 의해 일측과 타측에서 발생된 포크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의 양측에서 뒤덮게 하여, 구조물(S)이 붕괴될 때에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상태로 확실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은 구조물(S) 주변의 둘레에 다수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1개조로 하여 적어도 1열 이상 배열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S) 주변의 둘레에 배열 설치되는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로부터 방사된 분진제거액(30)에 의해 사방에 형성되는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완전히 뒤덮어서, 구조물(S)이 붕괴될 때에 분진발생지점(P)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완벽히 차단한 상태로 더욱 확실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것임
도 2는 본 발명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에 포장용 비닐을 통해 분진제거액을 주입 충전한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구조물 주변에 전,후로 1열씩 엇갈리게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로서 분진제거액을 방사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구조물 주변의 일측 및 타측에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로서 분진제거액을 방사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구조물 주변의 둘레에 배열 설치된 분진제거액 방사장치들로서 분진제거액을 방사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분진제거액 방사장치 11: 방사통
12: 지지틀 20: 추진 장약유닛
21: 화약 22: 각선
23: 뇌관 24: 케이스
30: 분진제거액 31: 포장용 비닐
B: 발파기 C: 추진용 판재
P: 분진발생지점 S: 구조물
FS: 포그스크린

Claims (11)

  1. 발파 해체 대상의 구조물(S) 주변에 발포식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구조물(S)의 주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1개조로 하여 1열 이상 전,후로 배열하되, 전방 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과 후방 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열 설치하여, 전방 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다수 열의 포그스크린(FS)들 사이사이에, 후방 열의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서 방사된 분진제거액(30)으로 형성되는 다수 열의 포그스크린(FS)들이 중첩되게 배열 설치하는 분진제거액 방사장치의 설치단계;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미리 준비한 추진 장약유닛(20)을 각각 투입하고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화약(21)은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점으로부터 2~6초 후 폭발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 추진 장약유닛의 세팅단계;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 마다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충분한 량의 분진제거액(30)을 각각 주입 충전시키는 분진제거액 충전단계;
    상기 구조물(S)이 발파되어 붕괴되는 시기에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에 투입된 추진 장약유닛(20)의 폭발 추진력으로 일시에 분진제거액(30)을 방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포그스크린(FS)들이 분진발생지점(P)을 뒤덮게 하는 포그스크린의 형성단계;를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장약유닛의 세팅단계에서, 상기 추진 장약유닛(20)의 직상부에 별도의 추진용 판재(C)를 배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액 충전단계에서,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상기 분진제거액 방사장치(10)들의 방사통(11) 내에 별도의 포장용 비닐(31)을 통해 포장 충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액 충전단계에서, 상기 분진제거액(30)은 순수한 물을 주재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액 충전단계에서 상기 분진제거 액(30)은 순수한 물에 기포를 혼합하여서 된 혼합 용액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KR1020080059978A 2008-06-25 2008-06-25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KR10100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978A KR101007226B1 (ko) 2008-06-25 2008-06-25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978A KR101007226B1 (ko) 2008-06-25 2008-06-25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65A KR20100000465A (ko) 2010-01-06
KR101007226B1 true KR101007226B1 (ko) 2011-02-16

Family

ID=4181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978A KR101007226B1 (ko) 2008-06-25 2008-06-25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2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50B1 (ko) *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KR101556105B1 (ko) * 2014-10-28 2015-10-02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공법
CN110057261A (zh) * 2019-04-23 2019-07-26 徐州工程学院 一种控制建筑物爆破粉尘的方法
KR102091074B1 (ko) 2019-09-19 2020-03-19 인영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분진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102431389B1 (ko) 2021-07-27 2022-08-10 주식회사 한라 차폐형 구조물을 활용한 친환경 노천발파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9045B2 (ja) * 2010-07-02 2015-11-18 鈴健興業株式会社 粉塵抑制装置及び粉塵抑制方法
KR101652503B1 (ko) * 2015-10-23 2016-08-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파분진제어용 워터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분진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5901A (ko) * 1972-10-28 1974-06-26
KR20040086617A (ko) * 2003-04-03 2004-10-12 원하티앤알비(주) 수압파쇄를 이용한 암발파 방법
JP2005126950A (ja) 2003-10-22 2005-05-19 Mentec:Kk 粉塵飛散防止システム
KR20090127622A (ko) * 2008-06-09 2009-12-14 (주)명장이엔지 발포식 액체 방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5901A (ko) * 1972-10-28 1974-06-26
KR20040086617A (ko) * 2003-04-03 2004-10-12 원하티앤알비(주) 수압파쇄를 이용한 암발파 방법
JP2005126950A (ja) 2003-10-22 2005-05-19 Mentec:Kk 粉塵飛散防止システム
KR20090127622A (ko) * 2008-06-09 2009-12-14 (주)명장이엔지 발포식 액체 방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50B1 (ko) *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KR101556105B1 (ko) * 2014-10-28 2015-10-02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공법
CN110057261A (zh) * 2019-04-23 2019-07-26 徐州工程学院 一种控制建筑物爆破粉尘的方法
KR102091074B1 (ko) 2019-09-19 2020-03-19 인영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분진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102431389B1 (ko) 2021-07-27 2022-08-10 주식회사 한라 차폐형 구조물을 활용한 친환경 노천발파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65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226B1 (ko) 구조물 발파 해체시 발생된 분진의 제거방법
CN110425949B (zh) 一种露天爆破烟尘治理方法
CN105874299A (zh) 设置有气隙的炸药管及利用此炸药管的岩石爆破施工法
CA2795075C (en) Surface blasting product
CN110375600B (zh) 用于高耸构筑物的垂直式原地坍塌爆破拆除方法
KR101979251B1 (ko) 암반 발파용 충전물 및 이를 이용한 혼합기폭 방식의 암반 발파방법
CN106767215A (zh) 一种基于爆炸聚能效应的水射流式爆炸装置销毁器
CN103292648A (zh) 砖混结构烟囱药包式定向爆破工艺
AU722846B1 (en) A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essure wave suppression and fly rock control in small-charge blasting
US4662289A (en) Protective wall for structures
CN103868418A (zh) 动量平衡密封装置
US20120192749A1 (en) Method for minimizing the carry off of entrained airborne materia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869579A (zh) 一种硐室销毁炸弹的系统和方法
KR100317825B1 (ko) 미진동 암반파쇄방법
KR100995359B1 (ko) 발포식 액체 방사장치
KR100396428B1 (ko) 액체튜브를 이용한 암반 균열방법
KR101730095B1 (ko) 발파폭약 장진차량
RU2305252C2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экран
CN218250932U (zh) 一种用于钻爆法施工的喷雾降尘装置
CN109373839A (zh) 一种矿山爆破中抑制扬尘的方法
CN219798113U (zh) 一种纵向爆破的扬尘处理装置
CN216954243U (zh) 一种露天矿减振降尘结构
CN214010135U (zh) 爆破同步除尘的装置及系统
KR101995692B1 (ko) 신충진 발파공법
CN214007206U (zh) 爆破同步除尘的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