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348B1 -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348B1
KR101006348B1 KR1020100069474A KR20100069474A KR101006348B1 KR 101006348 B1 KR101006348 B1 KR 101006348B1 KR 1020100069474 A KR1020100069474 A KR 1020100069474A KR 20100069474 A KR20100069474 A KR 20100069474A KR 101006348 B1 KR101006348 B1 KR 10100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block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핀 및 접점을 가지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수직 결합하고, 리셉터클을 체결 고정하는 리셉터클 고정블록;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에 대향 배치되며,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에 플러그의 수형접촉부가 대향되게 플러그를 삽입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수단;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가압을 조절하는 전후가압조절수단;및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전후안내수단을 포함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도, 다수의 핀과 이에 대응하는 접점을 가지고 큰 힘이 필요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APPARATUS FOR COMBINING AND SEPERATING PLUG-RECEPTACLE}
본 발명은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핀 및 접점을 가지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핀과 이에 대응하는 접접을 가지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러그-리셉터클은 도전성을 가지는 다수의 핀이 형성된 플러그의 수형접촉부와 다수의 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통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은 작업자가 플러그를 직접 리셉터클에 끼우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키기거나, 플러그를 끼우고 회전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각각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푸시/풀(Push/Pull) 동작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가 내재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 및 해제시키는데 있어서는, 작업자는 내재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가압력을 플러그에 부여하여야 한다.
특히, 유도무기등에 사용되고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Umblical cable)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은 내재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크고,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에 매우 큰 가압력을 부여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유도무기등과 같이, 원형 또는 곡률지게 형성된 외면을 가지는 대상물에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크고 정밀한 가압력을 직접 부가하여 하는 부담이 있다.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위와 같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결합작업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부정확한 결합으로 플러그의 다수의 핀들이 손상될 위험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수의 핀과 이에 대응하는 접점을 가지고, 큰 힘이 필요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연결작업을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수직 결합하고, 리셉터클을 체결 고정하는 리셉터클 고정블록;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에 대향 배치되며,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에 플러그의 수형접촉부가 대향되게 플러그를 삽입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수단;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가압을 조절하는 전후가압조절수단; 및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전후안내수단을 포함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은, 전면에 취부대상물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된 접촉면이 형성되고, 천공되어 암형접촉부가 개방되게 리셉터클을 개재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천공되어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부대상물은 원형의 관형부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블록; 전면은 상기 장착블록과 결합하고, 하면은 상기 전후안내수단에 결합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블록은, 전면부에 상기 플러그가 측방향에서 슬라이딩 결합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 및 하면부에 상기 플러그와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플러그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블록은, 후면부에 측 방향에서 상기 이동블록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며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웨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은, 전면 상부 및 하부에 측방향에서 끼워지는 상기 웨지부를 안내하는 상부 웨지블록 및 하부웨지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웨지블록은,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리드스크류가 나사산결합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면에 상기 웨지부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하부몸체;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심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이격거리 변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 양측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상기 웨지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단은 회전조작이 가능한 핸들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몸체를 가압접촉하는 둥근 형태의 가압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가압접촉부가 거치되어 가압되는 안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웨지블록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의 슬라이딩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멈춤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후가압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록 후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 상면 후단에 결합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 상면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토글 레버;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 상면 전단에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이동블록 후면에 결합하는 토글 가압로드;및 상기 지지블록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토글 레버 및 토글 가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토글 레버의 회동을 상기 토글 가압로드의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 상면 전단에는 상기 토글 가압로드가 관통되어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리니어부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 상면 후단부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레버에 고정결합하는 제 1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링크부재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가압로드에 힌지결합하는 제 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고정형성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이고, 상기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상기 베이스부에 상면에 적어도 2개가 복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하부는 상기 레일위에 슬라이딩되게 결합하고, 상부는 이동블록의 하면에 결합하는 슬라이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회전조작이 용이한 전후가압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도, 다수의 핀과 이에 대응하는 접점을 가지고 큰 힘이 필요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도무기등과 같은 곡면 외형을 가지는 취부대상물에도 용이하게 밀착하여 리셉터클을 고정하거나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고가의 케이블 연결시, 부정확한 작업과정에서 플러그의 핀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손해를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장착블록에 플러그가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상부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동블록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D를 확대하여, 웨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D를 확대하여, 웨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취부대상물에 리셉터클이 부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리셉터클이 개재되도록 리셉터클 고정블록을 취부대상물에 결합시키고, 플러그가 결합된 장착블록을 이동블록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이동블록에 플러그가 결합된 장착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가압조절수단이 이동블록을 가압하여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리셉터클 고정블록(120)과 플러그 고정수단(130)과 전후가압조절수단(140)과 전후안내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베이스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부(110)는 장방향의 판상소재로 구성되어, 상면에 후술될 구성요소들이 마운트되어 지지되는 프레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부(110)가 장방향의 판상소재로 구성되는 것은, 독립된 리셉터클을 고정하고 직접 플러그를 결합시킬 때, 테이블등과 같은 지지대에 올려져 결합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후술될 구성요소들이 마운트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후술될 전후안내수단(150)과 전후가압조절수단(140)이 결합하기 위한 각종 볼트 나사공들이 형성되고, 테이블과 같은 지지대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나사공들도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10)는 본 실시예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가볍고 강도높은 소재로 구성됨이 바림직하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은 플러그와 결합시,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가 플러그를 향하며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은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상술한 베이스부(110)의 전방 선단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은,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취부대상물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된 접촉면(122)을 구비한다.
여기서, 취부대상물이란, 플러그가 결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구조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유도무기등을 그 예로 한다.
상기 접촉면(122)은, 원통형의 취부대상물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오목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내부는 직사각형태로 천공되어 절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1)는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리셉터클이 고정 또는 거치되었을 때,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크기 및 외형은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의 표준 크기 및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절개부(121) 상부 및 하부에는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홀(123)이 천공되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123)은 리셉터클의 나사공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홀(123)은 내측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체결수단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123)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블록(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티브나사(124)가 제안될 수 있으며, 상기 캡티브나사(124)는 리셉터클에 형성된 나사공에 결합하여 리셉터클을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자는 상기 캡티브나사(124)의 헤드를 회전조작하여 독립된 리셉터클을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결합 및 분리시키거나, 취부대상물에 포함되어 설치된 리셉터클을 취부대상물에 접하여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결합 및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플러그 고정수단(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플러그 고정수단(130)은 상술한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의해 고정된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에 플러그의 수형접촉부가 대향하도록 플러그를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30)은 상술한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에 대향되어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30)의 중심이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하여 전후방향 이동축을 정렬하여야 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30)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장착블록(131)과 상기 장착블록(131)과 결합하는 이동블록(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장착블록에 플러그가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장착블록(131)은 플러그가 삽입 장착되어, 고정되는 곳으로,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120) 방향으로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플러그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플러그가 측 방향에서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부(131a)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131a)는 상기 장착블록(131)의 수용공간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복열로 구성되고, 플러그(10)의 양측면이 상기 장착블록(131)의 내측 수용공간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되어 복열로 구성된 가이드홈부(131a)를 따라 플러그(10)가 끼워진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블록(13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플러그 고정홀(131c)이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고정홀(131c)의 내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수단(B)이 플러그 고정홀(131c)을 관통하여 나사산 결합한다. 상기 체결수단(B)은 플러그 고정홀(131c)을 관통하여 삽입 장착된 플러그(10)의 나사공에 결합하여, 상기 장착블록(131)과 플러그(1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장착블록(131)의 후면부에는 웨지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웨지부(131b)는 장착블록(13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측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부는 상기 장착블록(131)의 후면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장착블록(131)의 후면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장착블록(131)의 후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거나, 별도의 웨지부(131b)가 장착블록(131) 후면부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웨지부(131b)는 후술될 이동블록(132)의 전면에 측 방향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132)은 상기 장착블록(131) 및 후술될 전후안내수단(150)와 결합하여, 장착블록(131)에 고정된 플러그(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블록(132)은 도 1및 도 2에서 확인할수 있듯이, 전면에 상기 장착블록(131)이 결합하고, 하면에 후술될 전후안내수단(150)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블록(132)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ㄴ”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블록(131)이 측 방향에서 슬라이딩되어 삽입 결합되는 수직부(132a)와 후술될 전후안내수단(150)의 슬라이딩블록(152)의 상면에 결합하는 수평부(132b)로 구분된다.
전후방향 이동축 정렬을 위하여, 상기 수직부(132a)의 중심은 상술한 장착블록(131) 및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수직부(132a)의 후면 중심에는 후술될 전후가압조절수단(140)의 토글 가압로드(144)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부(132b)는 상기 수직부(132a)의 하단부에서 수평 연장형성되고, 후술될 전후안내수단(150)의 슬라이딩블록(152)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수직부(132a)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상술한 장착블록(131)의 웨지부(131b)가 측 방향에서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상부웨지블록(132c) 및 하부웨지블록(132d)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웨지블록(132c) 및 하부웨지블록(132d)은 상기 웨지부(131b)가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부(132a)의 전면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하게 각각 형성되며, 수직부(132a)의 전면이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거나, 별도의 블록으로 수직부(132a)의 전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상부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동블록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D를 확대하여, 웨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 정단면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D를 확대하여, 웨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 측단면 개념도이다.
한편, 상부웨지블록(132c)은, 도 4 및 도 5를 병행하여 확인 할수 있듯이, 상부몸체(132ca)와 하부몸체(132cb)와 탄성부(132cc)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술한 장착블록(131)의 웨지부(131b)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장착블록(131)을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제안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32ca)는 상기 수직부(132a)의 전면 상부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고,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33)가 나사산 결합한다. 여기서 리드스크류(135)는 외주연 상에 일정한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하부몸체(132cb)는 상기 상부몸체(132ca)의 하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면에 상기 웨지부(131b)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탄성부(132cc)는 상기 상부몸체(132ca)와 하부몸체(132cb)의 중심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가압력이 없을 때 형성되는 상부몸체(132ca)와 하부몸체(132cb)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도 5 및 도 6의 h)를 유지시켜주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외부 힘에 의하여 상부몸체(132ca)와 하부몸체(132cb)가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 이를 조여주는 힘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상부웨지블록(132c)에 의해 상술한 장착블록(131)의 웨지부(131b)를 고정 또는 해제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리드스크류(133)를 회전축(C) 중심으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와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조작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 상기 리드스크류(133)는 회전변위에 대응한 나사산의 리드(lead)만큼 상기 상부몸체(132c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리드스크류(133)의 끝단이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에, 하부몸체(132cb)가 상부몸체(132ca)와 벌어지면서 상하방향 이격거리(도 5 및 도 6의 h)가 커지고, 상기 하부몸체(132cb)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기 웨지부(131b)를 자연스럽게 가압하게 되어, 상술한 장착블록(131)을 이동블록(13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리드스크류(133)를 회전축(C) 중심으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와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조작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 상기 리드스크류(133)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에 부여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에, 하부몸체(132cb)가 상부몸체(132ca)의 이격거리(h)가 본래의 거리로 좁혀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몸체(132cb)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기 웨지부(131b)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장착블록(131)을 장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과정은, 상기 상부웨지블록(132c)의 양측에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장착블록(131)의 고정 및 해제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측에 설치된 리드스크류(133)가 정방향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면, 타측은 역방향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리드스크류(133) 및 상부몸체(132ca)의 나사산 및 나사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133)의 상단은 회전조작이 가능한 핸들부(133a)가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판상소재로 구성되는 핸들부(133a)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33)의 상단에 다각의 접촉면을 가지는 헤드부(13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133b)에 상기 핸들부(133a)의 연장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핸들부(133a)의 회전력을 리드스크류(133)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회전조작의 편의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33)의 하단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에 가압접촉하는 둥근 형태의 가압접촉부(133c)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안착홀(132cd)과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접촉부(133c)가 거치되어 가압되는 안착홀(132cd)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홀(132cd)은 상기 리드스크류(133)가 상기 하부몸체(132cb)의 상면을 가압할 시,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홀(132cd)의 지름(도 5의 D2)은 상기 가압접촉부(133c)의 지름(도 5의 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접촉부(133c)가 안착홀(132cd)에 거치되어 가압력을 상기 하부몸체(132cb)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부웨지블록(132d)의 단부에는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지부(131b)의 슬라이딩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멈춤블록(132f)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장착블록(131)이 장착위치를 벗어나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측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부(131a)와, 웨지부(131b)- 상.하부웨지블록(132c,132d)의 결합형태를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10) 및 장착블록(131)의 삽입방향에 따라, 플러그-장착블록, 장착블록-이동블록의 결합형태는 다양한 실시예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후가압조절수단(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후가압조절수단(140)은 상술한 플러그 고정수단(130)을 전후 방향으로 가압(전방으로 푸시(PUSH)하거나 후방으로 풀(PULL))하여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전후가압조절수단(140)은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3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술한 베이스부(110)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후가압조절수단(140)은 도 1의 (B)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 지블록(141)과 토글 레버(145)와 토글 가압로드(144)와 링크부(142,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블록(141)은 상기 베이스부(110) 상면 후방에 고정되어, 후술될 토글 레버(145)와 토글 가압로드(144)와 링크부(142,143)가 마운트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블록(141)은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가 상술한 리셉터클 고정블록(120), 플러그 고정수단(130)의 중심과 일치하는 전후방향 이동축상(도 2의 C)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지지높이를 가진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지지블록(141)의 상면에는 후술될 제 1 링크부재(142)와 힌지결합하고 리니어부시(146)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별도의 마운트 브라켓(14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글 레버(145)는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도 큰 회전력을 부여하는 바(Bar)형태의 부재로, 단부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토글 레버(145)는 상기 지지블록(141)의 상면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글 레버(145)는 일단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141a)의 후방 상면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해당 토글 레버(145)의 단부와 결합하는 제 1 링크부재(142)를 매개로하여 제 1힌지축(도 2의 H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는 상기 토글 레버(145)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토글 레버(145)에 부여한 작업자의 힘을 플러그-리셉터클의 결합 및 분리에 필요한 힘으로 상술한 플러그 고정수단(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는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141) 상면 전단에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술한 이동블록(132) 후면의 중심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141a)의 전방 상면에 리니어부시(146)가 설치되고,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는 상기 리니어부시(146)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록(132) 후면의 중심에 결합한다. 상기 리니어부시(146)는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가 전후방향 이동축상(도 2의 C)에서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크부(142,143)는 상기 토글 레버(145)의 회동을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의 전후방향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142,143)는 상기 지지블록(141) 상면에 위치한 마운트 브라켓(141a)과 토글 레버(145) 및 토글 가압로드(144)와 결합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142,143)는 제 1 링크부재(142)와 제 2링크부재(143)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링크부재(142)의 일단은 마운트 브라켓(141a)의 후방 상면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레버(145)에 고정결합하며, 상기 제 2 링크부재(143)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부재(142)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에 결합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부재(142)와 제 2 링크부재(143)는 제 2힌지축(H2)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제 2 링크부재(143)는 상기 토글 가압로드(144)와 제 3힌지축(H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리니어부시(146)에 방사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는 해당 토글 가압로드(144)를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한다.
다음으로, 전후안내수단(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후안내수단(150)은 상술한 플러그 고정수단(120)이 전후방향 이동축(도 2의 C)을 따라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후안내수단(150)은 상술한 베이스부(110)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고정형성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일 수 있다.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레일(151)과 슬라이딩블록(152)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151)은 상술한 리셉터클 고정블록(120)과 지지블록(14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부(110) 상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복열로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록(152)은 하부가 상기 레일(151)위에 슬라이딩되게 결합하고, 상부는 상술한 이동블록(132)의 수평부(132b)와 결합하여, 이동블록(132)에 결합된 장착블록(131)을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한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취부대상물에 리셉터클이 부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리셉터클이 개재되도록 리셉터클 고정블록을 취부대상물에 결합시키고, 플러그가 결합된 장착블록을 이동블록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이동블록에 플러그가 결합된 장착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가압조절수단이 이동블록을 가압하여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이 원통형 취부대상물(A)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 결합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리셉터클(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체결홀(123)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나사공(a)이 형성된 상태이다.
먼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121)를 통해 리셉터클(20)의 암형접촉부가 개방되도록, 리셉터클 고정블록(120)의 접촉면(122)을 취부대상물(A)에 밀착시키고, 상기 나사공(a) 및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본 실시예(100)는 취부대상물에 결합하여 전후방향 이동축이 리셉터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플러그(10)가 장착되어 고정된 장착블록(131)을 이동블록(132)의 측 방향으로 끼워 장착하게 된다.
도 9의 (a)는 플러그(10)가 장착되어 고정된 장착블록(131)을 이동블록(132)의 측 방향으로 끼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a)는 고정된 리셉터클(20)의 암형접촉부의 중심과 플러그(10)의 수형접촉부의 중심이 전후방향 이동축과 일치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이며, 작업자는 양측의 핸들부(133)를 각도 90도 또는 각도 180도 범위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장착블록(131)을 이동블록(132)에 고정시킨다.
도 9의 (b)는 플러그(10)가 장착되어 고정된 장착블록(13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플러그(10)를 고정된 리셉터클(20)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토글 레버(145)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이동블록(132)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장착블록(131)에 고정된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에 결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취부대상물에 전원을 인가하고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취부대상물을 점검하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분리과정은 리셉터클 고정블록을 리셉터클에서 분리하고 토글 레버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용이하게 리셉터클에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베이스부 120: 리셉터클 고정블록
121: 절개부 122: 접촉면
123: 체결홀 124: 캡티브나사
130: 플러그 고정수단 131: 장착블록
131a: 이동블록 131b: 웨지부
131c: 플러그 고정홀 132: 이동블록
132a: 수직부 132b: 수평부
132c: 상부웨지블록 132ca: 상부몸체
132cb: 하부몸체 132cc: 탄성부
132cd: 안착홀 133: 리드스크류
133a: 핸들부 133b: 헤드부
133c: 가압접촉부 140: 전후가압조절수단
141: 지지블록 142: 제 1링크부재
143: 제 2링크부재 144: 토글 가압로드
145: 토글 레버 146: 리니어부시
150: 전후안내수단 151: 레일
152: 슬라이딩블록

Claims (1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수직 결합하고, 리셉터클을 체결 고정하는 리셉터클 고정블록;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에 대향 배치되며, 리셉터클의 암형접촉부에 플러그의 수형접촉부가 대향되게 플러그를 삽입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수단;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가압을 조절하는 전후가압조절수단;및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의 전후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전후안내수단을 포함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고정블록은,
    전면에 취부대상물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된 접촉면이 형성되고, 천공되어 암형접촉부가 개방되게 리셉터클을 개재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천공되어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대상물은 원형의 관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블록;
    전면은 상기 장착블록과 결합하고, 하면은 상기 전후안내수단에 결합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블록은,
    전면부에 상기 플러그가 측방향에서 슬라이딩 결합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 및 하면부에 상기 플러그와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플러그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블록은,
    후면부에 측 방향에서 상기 이동블록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며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웨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은,
    전면 상부 및 하부에 측방향에서 끼워지는 상기 웨지부를 안내하는 상부 웨지블록 및 하부웨지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웨지블록은,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리드스크류가 나사산결합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면에 상기 웨지부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하부몸체;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심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이격거리 변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 양측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상기 웨지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단은 회전조작이 가능한 핸들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몸체를 가압접촉하는 둥근 형태의 가압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가압접촉부가 거치되어 가압되는 안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웨지블록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의 슬라이딩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멈춤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가압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록 후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 상면 후단에 결합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 상면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토글 레버;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 상면 전단에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이동블록 후면에 결합하는 토글 가압로드;및
    상기 지지블록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토글 레버 및 토글 가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토글 레버의 회동을 상기 토글 가압로드의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 상면 전단에는 상기 토글 가압로드가 관통되어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리니어부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 상면 후단부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레버에 고정결합하는 제 1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링크부재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토글 가압로드에 힌지결합하는 제 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고정형성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상기 베이스부에 상면에 적어도 2개가 복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위에 슬라이딩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KR1020100069474A 2010-07-19 2010-07-19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KR10100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74A KR101006348B1 (ko) 2010-07-19 2010-07-19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74A KR101006348B1 (ko) 2010-07-19 2010-07-19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348B1 true KR101006348B1 (ko) 2011-01-10

Family

ID=4361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74A KR101006348B1 (ko) 2010-07-19 2010-07-19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3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94B1 (ko) * 2015-06-22 2015-12-24 (주)알앤비코리아 소켓 조립장치
CN110391576A (zh) * 2019-08-22 2019-10-29 中国工程物理研究院电子工程研究所 特殊环境电缆插头插座拆装专用工具
CN113601437A (zh) * 2020-05-04 2021-11-05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快速插线模块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224A (ja) * 1997-10-30 1999-05-21 Nichifu Tanshi Kogyo:Kk 手持式圧接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224A (ja) * 1997-10-30 1999-05-21 Nichifu Tanshi Kogyo:Kk 手持式圧接工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94B1 (ko) * 2015-06-22 2015-12-24 (주)알앤비코리아 소켓 조립장치
CN110391576A (zh) * 2019-08-22 2019-10-29 中国工程物理研究院电子工程研究所 特殊环境电缆插头插座拆装专用工具
CN113601437A (zh) * 2020-05-04 2021-11-05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快速插线模块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6575C (zh) 连接器轴向压缩工具和其制造方法及连接器与电缆夹套轴向压靠方法
KR101006348B1 (ko) 플러그-리셉터클 결합 및 분리 장치
US7575462B2 (en) Electrical rail coupler assembly
US10345530B2 (en) Alignment assembly and subsea fiber optical connector
KR101870336B1 (ko) 체인 핀 분해장치
CN102957066A (zh) 连接器固定装置
US11473701B2 (en) Connecting device and pipe press-fit conn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5856159A (zh) 对中位置可调的gis筒体法兰对接装置
JP3706295B2 (ja) ゴム栓挿入装置
KR101446256B1 (ko) 공급 라인용 연결 장치
CN114865579A (zh) 一种新型电气工程线缆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US11469564B2 (en) Joint crimping apparatus
CN211182765U (zh) 一种通讯同轴电缆夹持焊接装置
JP5046896B2 (ja) 手動圧着工具
CN104934771A (zh) 连接器
CN216096890U (zh) 一种圆头航插的焊接工装夹具
US20180204654A1 (en) Gripper jaw and conductor gripper for a pair of electrical or optical conductors
EP2330273B1 (en) Stabplate connections
CN211317973U (zh) 电液伺服卧式拉力试验机的自动插拔销装置
CN216902647U (zh) 挂接装置及隔离开关
CN214979512U (zh) 一种摇臂轴铣齿定位调节装置
CN217925954U (zh) 可快速拆装的液压支架推移装置及液压支架
CN217595687U (zh) 一种铆接刀片快换装置
CN102407499A (zh) 带电更换直接式电能表绝缘钳
CN218472645U (zh) 一种线缆便捷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