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225B1 -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 Google Patents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225B1 KR101006225B1 KR1020090016900A KR20090016900A KR101006225B1 KR 101006225 B1 KR101006225 B1 KR 101006225B1 KR 1020090016900 A KR1020090016900 A KR 1020090016900A KR 20090016900 A KR20090016900 A KR 20090016900A KR 101006225 B1 KR101006225 B1 KR 101006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tructure
- window
- hanok
- assembly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3—Lint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있어서,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여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놓여진 주초석과, 이 주초석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기둥과,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창방과, 창방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고정되는 하부와 이 하부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 상부로 구성되는 철골 구조물과, 이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처마조립체와,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을 가리는 외형조립체와,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지붕조립체와, 기둥의 상측에 창방과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보아지를 포함하며, 창방과 보아지는 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홈에 삽입 설치되고, 창방과 보아지의 상면에는 철판홈이 형성되며, 철판홈에 수용되는 철판에 의해서 창방 및 보아지가 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by setting the area to be built on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work is made, the main stone is pl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area, and the insertion is installed using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main stone A steel structure consisting of a pillar to be formed, a window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pillar, a lower portion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roof shape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hanok to be installed and buil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structure. An eave assembly protruding outward, an outer assem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tructure and covering the steel structure, a roof assembl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structure, and a bo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window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It is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and the bollard,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the bore. The iron plate and grooves are formed, the modern type Hanok having a steel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bang boahji and fixed to the pole by a steel plat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iron plate groove is proposed.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은 목재보다 균질성 높은 철골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붕을 건축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because the roof is built using a steel structure having a higher homogeneity than wood.
기둥, 창방, 철골 구조물, 처마조립체, 외형조립체, 지붕조립체 Column, Window, Steel Structure, Eave Assembly, Exterior Assembly, Roof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지붕에 철골 구조물을 채용하여 안정성이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that can be stable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employing a steel structure on the roof in building the hanok. .
한옥이란 한국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말하는데, 먼저 건축하고자하는 터에 기초공사를 실시하고,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초석을 놓고, 주초석 위에 기둥을 세운 후, 기둥 위에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공간의 안쪽 바닥에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사이는 흙벽돌 또는 창문 등으로 막아 방과 마루 등을 구획하며, 서까래 또는 부연 등 위에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A hanok is a building built in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First, the foundation construction is carried out on the ground to be built, the main cornerstone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pillar is to be erected, the pillar is placed on the cornerstone, and the girders and middle beam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pillar. Intersect to form a space. In addition, a floor having an ondol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and between the pillar and the pillar is blocked with a brick or window to partition the room and the floor, and a roof is formed by placing a tile on the rafters or parapets.
한 때,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대부분 양옥으로 대체되었다. 없애야할 구시대의 잔재로 여김에 따라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한옥까지 사라졌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개성과 자연친화적 기능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게다가, 아토피나 천식 등의 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옥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어 한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At one time, Hanok was perceived as an uneven and inefficient architecture, and was mostly replaced by yangok. As it is regarded as a remnant of the old days to be removed, even Hanok, which has many historical values, disappeared. In addition, atopy and asthma and other diseases can be prevented, and the drama set-up centered on hanok is booming under the influence of historical dramas, and the demand for hanok is continuously increasing.
그러나, 한옥의 전통적 건축방식은 소수의 전문가에게만 전해지고 있고 전문가가 설계부터 자재 선정, 조립까지 책임지고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한옥이 완성되기까지는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traditional building method of hanok is handed down to only a handful of experts, and it takes long construction period and high construction cost until the hanok is completed because the expert has to take responsibility and solve from design to material selection and assembly.
또한, 한옥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대들보와 기둥을 사용하는데 목재인 대들보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취약한 약점이 있어 건축 후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다. 그에 따라 지붕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서 한옥 내부에도 기둥을 세웠는데, 이 기둥으로 인하여 내부 형태에 제한을 받고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girders and pillars are us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hanok roof, but the girder, which is a wood, is vulnerable to bending moments caused by the load, so it is weak in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wisting or splitting after constru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roof, the pillars were also set inside the hanok, and due to the pilla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form is restrict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is lowered.
그리고, 종래의 한옥은 부분적인 하자가 발생하여도 부재 간의 복잡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많은 수리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ok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repair costs due to the complicated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even if a partial defect occurs.
본 발명은 한옥의 지붕으로 철골 구조물을 채용하고, 철골 구조물 외부를 목재와 기와 등을 이용하여 덮음으로써 외형상 종래의 한옥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한옥의 안정성 확보와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한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steel structure as a roof of the hanok, and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teel structure with wood and roof tiles, etc., the modern having a steel structure that can secure the stability of the hanok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while maintaining the conventional shape of the traditional hanok It is related to brother Hano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있어서,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여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놓여진 주초석과, 이 주초석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기둥과,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창방과, 창방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고정되는 하부와 이 하부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 상부로 구성되는 철골 구조물과, 이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처마조립체와,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을 가리는 외형조립체와,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지붕조립체와, 기둥의 상측에 창방과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보아지를 포함하며, 창방과 보아지는 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홈에 삽입 설치되고, 창방과 보아지의 상면에는 철판홈이 형성되며, 철판홈에 수용되는 철판에 의해서 창방 및 보아지가 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the main cornerstone which is pl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rder of the area by setting the area to be built on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construction is made, and the upper end of the cornerstone A steel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pillar to be inserted by using a groove formed, a window chamber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pillar, a lower portion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roof shape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eave assembly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hanok to be built and constructed on the upper part, the outer assem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tructure to cover the steel structure, the roof assembl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eel structure, and orthogonal to the window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Including bores to be installed,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and the visible pilla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hangbang boahji, the iron plate groove is formed, the modern type Hanok having a steel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bang boahji and fixed to the pole by a steel plat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iron plate groove is pro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인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Preferably,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read that is inserted in parallel to the window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마조립체는,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짓점 위의 상기 철골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테두리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녀; 양단이 상기 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창방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초막이; 상기 초막이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서까래; 및 상기 초막이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서까래의 상단을 덮는 골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Preferably, the cornice assembly is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on the rim vertex of the area to be built, the chumyeo protruding diagonally outside the rim; Cottages fixed at the distal ends of the chucks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arallel to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hanok to be built at the window; One end is vertical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ttag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steel structure; And it is proposed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cottage and one end in contact with the bone cover plate covering the top of the raft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마조립체는, 상기 추녀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추녀와 평행하게 더 돌출되는 사래추녀; 양단이 상기 사래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초막이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매기; 상기 이매기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골개판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부연; 상기 부연 사이에 상기 부연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부연착고; 및 상기 이매기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부연의 상단을 덮는 부연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Preferably, the cornice assembly, the Sarajeukyeo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ugyeo further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ugyeo; Two ends ar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Sarangukyeo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arallel to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hanok to be built in the cottage; One side portion is fixed vertic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bone plate plate; A sub-arrangement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sub-sections between the sub-sections; And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de of the side contacting the one side of the sheet and cover the top of the side of the paraye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형조립체는,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보아지 윗부분에 설치되는 주두;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주두 사이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소로착고; 상기 소로착고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을 가리는 장여; 상기 장여와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주 두 위에 설치되는 보머리; 및 상기 소로착고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Preferably, the outer assembly, the head is installed on the upper bore of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tructure; Sohrok height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window between the head of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tructure; Jangyeo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narrow road; The bow head and the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is installed on the main head; And it is proposed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rnac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furnace.
바람직하게는, 지붕조립체는, 상단면이 연속된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되고, 상기 이매기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연함;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와 상기 골개판 또는 상기 부연개판 위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와걸이; 상기 연함의 부채꼴 형태의 상단면에 일부가 접하고, 상기 기와걸이에 고정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다수의 기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Preferably, the roof assembly, the top surface is cut in a continuous fan-shaped form, the softness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icking machine; Roof tile hook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arallel with the windo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structure and the bone plate or the secondary marginal plate; The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oof til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n-shaped form of softness and is fixed to the tile hook to cover the top of the steel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은 목재보다 균질성 높은 철골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붕을 건축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because the roof is built using a steel structure having a higher homogeneity than wood.
또한, 철골 구조물은 목재보다 뛰어난 내구성과 내진성을 보유하고 있고 지붕에 하중으로 인한 굽힘 모멘트에 강하기 때문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el structure has more durability and shock resistance than wood and is resistant to bending moments due to the load on the roof,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and the columns can be widened,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그리고, 철골 구조물 외부를 목재와 기와로 덮음으로써 외형상 종래의 한옥의 심미적 미와 개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재 사이에 복잡한 결합관계가 없어 특정한 부재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그 부재만 보수가 가능하여 수리비용을 점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teel structure with wood and roof tiles, the appearance can maintain the aesthetics and personality of the traditional hanok, and since there is no complicated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nly a member can be repaired if a defect occurs in a specific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repair cos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효과들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청구항 및 실시예에서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redundant additional descriptions are omitted below.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골 구조물(4)의 배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2), 창방(3) 및 보아지(8)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rn hanok having a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초석(1), 기둥(2), 창방(3), 철골 구조물(4), 처마조립체(5), 외형조립체(6), 지붕조립체(7), 보아지(8) 및 인방(9)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or 6,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corner stone (1), pillar (2), window (3), steel structure (4), cornice assembly (5), appearance assembly (6), roof assembly ( 7),
주초석(1)은 기둥(2)을 고정하여 세우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놓인다. 주초석(1)의 수에 의해서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2)의 수가 결정되므로, 지붕의 하중을 고려해서 상대적으로 무겁다면 주초석(1)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 소정 간격을 좁히고,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면 주초석(1)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소정 간격을 넓힌다.The main cornerstone (1) is a member that serves to fix the pillar (2), and sets the area to be built on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work is made, and is pl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rder of the set area. Since the number of
한편, 기둥(2)은 전술한 주초석(1)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어 세워진다. 바람직하게는, 기둥(2)의 직경과 주초석(1)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의 직경이 일치하여 기둥(2)이 주초석(1)에 완전히 고정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illar (2) is inserted and installed using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above-described cornerstone (1).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또한, 기둥(2)은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무겁다면 직경을 크게 형성시키고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면 직경을 작게 형성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이때, 기둥(2)은 전통 한옥에서 사용되는 베흘림 기둥, 민흘림 기둥, 도랑주, 사모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기둥(2)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창방(3)은 기둥(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단면에 철골 구조물(4)을 적재시키는 부재로써, 기둥(2)의 상단부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양단이 삽입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ndow (3)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2) to load the steel structure (4) on the upper surface, the groove formed along the border direction of the area to be built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2) Both ends are inserted and installed.
또한, 보아지(8)는 기둥(2)의 상단부에서 한옥의 외부로 돌출되어 한옥의 미를 나타내는 부재로써, 기둥(2)의 상단부에 상기 창방(3)과 직교하고 건설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된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방(3)과 보아지(8)는 기둥(2)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 홈(2a) 내에 삽입설치되고, 그 위에 기둥(2)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철판(10)을 위치시키고 볼트(30)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기둥(2)에 결합시킴으로써 기둥(2), 창방(3) 및 보아지(8) 간의 결합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철판(10)을 채용함으로써 철판(10)의 두께만큼 철골구조물(4)의 하부(42)와 창방(3) 사이가 이격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창방(3)과 보아지(8)의 상단면에 철판홈(3a)을 구비해 전술한 홈 안에 철판(10)을 위치시킴으로써 철골구조물(4)의 하부(42)와 창방(3)이 전체적으로 밀착하게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한편, 인방(9)은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창틀이나 문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써, 기둥(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창방(3)과 평행하게 설치된다.Meanwhile, the
바람직하게는, 인방(9)은 기둥(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인방과 기둥(2)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중인방 및 기둥(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인방을 포함하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상인방, 중인방 또는 하인방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Preferably,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4)은 하부(42)와 상부(41)로 구성되며, 하부(42)는 전술한 창방(3)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창방(3)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적재되고, 상부(41)는 하부(42)의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바람직하게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는 볼트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창방(3) 또는 기둥(2) 등에 결합하고, 상부(41)의 지붕 형태는 팔작 지붕, 맞배 지붕, 우진각 지붕 등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철골 구조물(4)로는 H빔이나 C형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접 등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4)의 형태를 형성시킨다.Preferably, the
본 발명은 굽힘 모멘트에 강한 철골 구조물(4)을 채용함으로써 기둥(2)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한옥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illars (2) by employing a steel structure (4) resistant to the bending moment can increase the internal space utilization of hano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마조립체(5)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1,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5)의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마조립체(5)는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골개판(14)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추녀(11)는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짓점 위의 철골 구조물(4)에 고정되고 테두리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추녀(11)는 볼트 등을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4)과 결합시킨다.The
또한, 초막이(12)는 양단이 추녀(11)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창방(3)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초막이(12)는 추녀(11) 양단을 연결하는 부재이고 후술할 서까래(13)를 설치할 때 기준이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서까래(13)는 추녀(11)와 함께 처마조립체(5)의 뼈대가 되는 부재로써, 초막이(12)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또한, 골개판(14)은 비나 눈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초막이(12)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서까래(13)의 상단을 덮는다.In addition, the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마조립체(5)는 전통적인 처마의 한 형태인 홑처마(단첨)를 형성한다.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5)의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마조립체(5)는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 외에 추가로 사래추녀(15), 이매기(16), 부연(17), 부연착고(18), 부연개판(19)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detailed view of the
사래추녀(15)는 추녀(11)를 더 연장하는 부재로써, 추녀(11)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추녀(11)와 평행하게 전술한 테두리의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Sarai chuck 15 is a member that further extends the ugly 11, is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ugly 11 and further protrudes in the outer diagonal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border in parallel with the ugly 11.
또한, 이매기(16)는 초막이(12)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양단이 사래추녀(15)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초막이(12)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이매기(16)는 사래추녀(15) 양단을 연결하는 부재이고 후술할 부연(17)을 설치할 때 기준이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부연(17)은 서까래(13)를 더 연장하는 부재로써, 이매기(16)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골개판(14)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또한, 부연착고(18)는 건축될 한옥 외부에서 보았을 때 부연(17) 사이의 공간을 막는 널빤지 형태의 부재로써, 부연(17)과 부연(17) 사이에, 부연(17)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연(17)의 양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부연착고(18)를 삽입하여 설치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부연개판(19)은 골개판(14)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이매기(16)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부연(17)의 상단을 덮는다.In addition, the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 외에 추가로 사래추녀(15), 이매기(16), 부연(17), 부연착고(18), 부연개판(1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마조립체(5)는 전통적인 처마의 한 형태인 겹처마를 형성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ugly 11,
한편, 외형조립체(6)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4)을 가려 전통적인 한옥의 미를 유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assembly 6 is installed on the lower 42 sid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형조립체(6)는 주두(20), 소로착고(21), 장여(22), 보머리(23) 및 소로(24)를 포함한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er assembly of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outer assembly 6 includes a head 20, a
전술한 주두(20), 소로착고(21), 장여(22), 보머리(23) 및 소로(24) 등은 전통적인 한옥 건축방식에서는 지붕을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서는 지붕을 지지하는 역할보다는 철골 구조물(4)을 가리거나 한옥의 심미적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Although the above-mentioned Odeol 20,
주두(20)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의 보아지(8) 윗부분에 설치된다. 본래 주두(20)는 상단면에 십자홈이 형성되어 대들보와 장여(22)를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들보가 없고 후술할 장여(22)도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주두(20)는 대들보와 장여(22)를 지지하지 않는다.The head 2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소로착고(21)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의 주두(20) 사이에 창방(3)과 평행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장여(22)는 널빤지 형태의 부재로써, 소로착고(21)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을 가린다. 따라서, 본래 장여(22)도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소로착고(21)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지붕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And, the
또한, 보머리(23)는 장여(22)와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주두(20) 위에 설치된다. 본래 보머리(23)는 대들보의 말단부이지만, 본 발명에는 대들보가 없으므로 단지 주두(20) 위에 보머리(23)의 형상만 설치하면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소로(24)는 소로착고(21)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래 소로(24)는 장여(22)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여(22)가 이미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소로(24)가 장여(22)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And the lane 24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외형조립체(6)의 부재들은 전통적인 한옥 건축방식과 달리 서로 복잡한 결합을 이루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지 않아서, 각 부재들의 시공 순서를 편의대로 조정가능하고 특정 부재에 하자가 발생했을 때 다른 부재들을 모두 해체할 필요없이 특정 부재만 손쉽게 정비 또는 교환가능하여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bers of the outer assembly 6 do not form a complicated coupling with each other or support other components unlike the traditional Hanok construction method, so that the construction order of each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defects may occur in a specific member. In this case, only a specific member can be easily maintained or replaced without having to disassemble all other members, thereby reducing the repair cos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조립체(7)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덮어 철골 구조물(4)을 가림으로써 전통적인 한옥의 미를 유지시키고 한옥 내부의 비 바람을 막는다.As shown in FIG. 1, the
한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붕조립체(7)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붕조립체(7)는 연함(25), 기와걸이(26), 다수의 기와(27)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연함(25)은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상단면이 연속된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되고, 이매기(16)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된 연함(25)의 상단면은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의 하단면과 접하여 기와(27)를 지지한다.
또한, 기와걸이(26)는 기와(27)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와 골개판(14) 또는 부연개판(19) 위에 창방(3)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기와걸이(26)의 소정 간격은 기와(27)의 크기와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다수의 기와(27)는 지붕조립체(7) 중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가려 비바람을 막고 한옥의 미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재로써, 연함(25)의 부채꼴 형태에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의 하단면이 접하여 지지받고, 기와걸이(26)에 고정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또한, 다수의 기와(27)는 암키와와 수키와로 구성되고 암키와가 설치된 후에 수키와로 암키와를 덮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이때,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토기와, 시멘트기와, 금속기와 등 다양한 기와(27)가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바람직하게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덮는 널빤지, 판넬 또는 금속판 등을 채용하고 그 위에 다수의 기와(27)를 설치함으로써 지붕조립체(7)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건축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odern hanok having a
먼저,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 하는 면적을 설정하고, 설정된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주초석(1)을 놓는다. 그리고, 주초석(1)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기둥(2)을 삽입하여 세운다.First, the area to be built is set on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work is made, and the
그 후, 기둥(2)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 홈에 창방(3)과 보아지(8)를 삽입 설치하고, 그 위에 기둥(2)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철판(10)을 볼트(30)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기둥(2)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가 창방(3)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철골 구조물(4)을 위치시킨 후 볼트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Thereafter, the
그리고, 추녀(11)를 건설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지점 위의 철골 구조물(4)에 고정하고, 전술한 테두리 외각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초막이(12)는 양단을 추녀(11)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서까래(13)는 양단을 초막이(12)와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서까래(13) 위를 골개판(14)으로 덮음으로써 홑처마(단첨)를 형성한다.Then, it is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4) on the rim vertex of the area to be built the
그 후, 사래추녀(15)를 추녀(11)위에 설치하여 추녀(11)와 평행하게 더 돌출시킨 후, 이매기(16)는 양단을 사래추녀(15)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부연(17)은 양단을 이매기(16)와 골개판(14)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부연(17)과 부연(17) 사이의 공간은 부연착고(18)를 이용하여 막고, 부연(17) 위를 부연개판(19)으로 덮음으로써 겹처마를 형성한다. 다만, 겹처마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reafter, after installing the Sarang ugyeo 15 on the
그리고, 주두(20)를 보아지(8) 위에 설치하고, 소로착고(21)와 장여(22)를 철골 구조물(4) 하부(42) 측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주두(20) 위에 보머리(23)를 설치하고, 소로착고(21)의 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소로(24)를 설치함으로써 외형조립체(6)를 완성한다. 다만, 외형조립체(6)의 부재들은 독립적으로 설치가능하므로 반드시 위 순서대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Then, the head 20 is installed on the
또한, 이매기(16) 상단면에 연함(25)을 설치하고,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와 골개판(14) 또는 부연개판(19) 위에 기와걸이(26)를 설치한다. 이때,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널빤지, 판넬 또는 금속판 등으로 덮을 수 있다. 그 후, 연함(25)의 부채꼴 형태의 상단면에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를 얹고, 기와걸이(26)에 다수의 기와(27)를 고정함으로써 지붕조립체(7)를 완성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 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scope of which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may further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e ru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골 구조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teel structur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 창방 및 보아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분해도이고,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illar, the window and the bore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의 상세도이고,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cornice assembly of the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의 상세도이고,5 is a detailed view of the cornice assembly of the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er assembly of a modern hanok having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붕조립체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7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the roof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주초석1: cornerstone
2: 기둥2: pillar
3: 창방3: window
4: 철골 구조물4: steel structure
5: 처마조립체5: cornice assembly
6: 외형조립체6: External assembly
7: 지붕조립체7: roof assembly
8: 보아지8: boa
9: 인방9: room
10: 철판10: iron plate
11: 추녀11: ugly
12: 초막이12: booth
13: 서까래13: rafters
14: 골개판14: bone plate
15: 사래추녀15: Saranguk
16: 이매기16: maggie
17: 부연17: More
18: 부연착고18: minor delay
19: 부연개판19: More
20: 주두20: the head
21: 소로착고21: Soro Hakgo
22: 장여22: Best offer
23: 보머리23: bow head
24: 소로24: Soro
25: 연함25: soft
26: 기와걸이26: tile hanger
27: 기와27: roof tile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en) | 2009-02-27 | 2009-02-27 |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en) | 2009-02-27 | 2009-02-27 |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979A KR20100097979A (en) | 2010-09-06 |
KR101006225B1 true KR101006225B1 (en) | 2011-01-07 |
Family
ID=4300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en) | 2009-02-27 | 2009-02-27 |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225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34B1 (en) | 2011-08-10 | 2011-10-25 | 서대수 | Korean style house support structure |
KR101350307B1 (en) * | 2013-05-30 | 2014-01-16 | (주)대청기와건설 | Yun-am for fall prevention roof tile |
CN104372854A (en) * | 2014-11-06 | 2015-02-25 |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 Patio building composite steel framework |
KR102113157B1 (en) | 2019-08-22 | 2020-05-20 | 류운형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09603A (en) | 2019-07-17 | 2021-01-27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6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4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7A (en) | 2019-08-22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5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050B1 (en) * | 2020-09-23 | 2021-08-10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서강종합 | Strucure of Korea type house having big space larger than 10m height |
CN112875161A (en) * | 2021-03-05 | 2021-06-01 | 日昌升建筑新材料设计研究院有限公司 | Totally-enclosed corridor of upturning belt conveyor |
CN114411956A (en) * | 2021-12-16 | 2022-04-29 | 杭萧钢构(安徽)有限公司 | Batter post modular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7664A (en) * | 2002-10-29 | 2004-05-07 |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KR100777084B1 (en) * | 2007-05-07 | 2007-11-28 | 최희재 | Assa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model |
KR200437664Y1 (en) * | 2007-03-22 | 2007-12-17 | 윤범진 | building-construction for using a howe-truss in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
2009
- 2009-02-27 KR KR1020090016900A patent/KR10100622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7664A (en) * | 2002-10-29 | 2004-05-07 |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KR200437664Y1 (en) * | 2007-03-22 | 2007-12-17 | 윤범진 | building-construction for using a howe-truss in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100777084B1 (en) * | 2007-05-07 | 2007-11-28 | 최희재 | Assa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model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논문*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34B1 (en) | 2011-08-10 | 2011-10-25 | 서대수 | Korean style house support structure |
KR101350307B1 (en) * | 2013-05-30 | 2014-01-16 | (주)대청기와건설 | Yun-am for fall prevention roof tile |
CN104372854A (en) * | 2014-11-06 | 2015-02-25 |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 Patio building composite steel framework |
KR20210009603A (en) | 2019-07-17 | 2021-01-27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102113157B1 (en) | 2019-08-22 | 2020-05-20 | 류운형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7A (en) | 2019-08-22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6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4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KR20210023655A (en) | 2020-02-18 | 2021-03-04 | 김종화 | Framework of multistory Korean-style building made up of steel-frame structure and having appearanc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979A (en) | 2010-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6225B1 (en) | 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 |
KR100934458B1 (en) | Traditional korean-style building by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80075B1 (en)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
CA2541653A1 (en) | Panelized log home construction | |
SK279021B6 (en) | Roofing slab for sloping roof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US20110000160A1 (en) | Alumin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 |
RU2154716C2 (en) | Structure of sheet lining based on lattice system and method of its installation | |
CN114351853A (en) | Complex antique attic steel-wood combin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46380Y1 (en) | A roof structure for a wooden building | |
KR101195098B1 (en) | Landfill bracket | |
KR102114477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Pole Plate, Comprising Column Head with Upper/Lower Combining Structure for Enhanced Durability of Column and Buildability of Pole Plate | |
KR20120011580A (en) | Roof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 |
CN110847422A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external wall panel of fabricated building | |
KR20130033848A (en) | Wall structure using the log for vertical member | |
KR20020037002A (en) | Assembly Korean-style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that Korean-style house structure of furniture building | |
KR20120098553A (en) | Tailor-made manufacturing method for furniture-style buildings and traditional korean-style structure | |
KR101076434B1 (en) | Korean style house support structure | |
KR102528642B1 (en) | Expansion method and pergola roof expansion rescus | |
JP3203267U (en) | Buildings that respond to earthquakes and global warming | |
CN216476701U (en) | Assembled concrete enclosure of full dry type connection | |
JP2020084493A (en) | Simple building | |
KR100976970B1 (en) | Construction process of the tiled roof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
CN114277965B (en) | Building frame adopting heat-insulating wall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
CN204252494U (en) | Reduce deviation building structure | |
JP3231585U (en) | Reinforcing ornaments of buildings and buildings using th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