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154B1 -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154B1
KR101006154B1 KR1020100012488A KR20100012488A KR101006154B1 KR 101006154 B1 KR101006154 B1 KR 101006154B1 KR 1020100012488 A KR1020100012488 A KR 1020100012488A KR 20100012488 A KR20100012488 A KR 20100012488A KR 101006154 B1 KR101006154 B1 KR 10100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nitrogen
phosphorus
sludge
denit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철
Original Assignee
강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철 filed Critical 강경철
Priority to KR102010001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질조, 인방출조, 생물반응조 및 여과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질소,인을 제거할 수 있는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질조 내에 설치되며, DO저감기에서 반송된 반송슬러지와 유량조정조에서 드럼스크린을 걸쳐 유입되는 유기탄소원의 혼합(mix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질반응기; 상기 인방출조 내에 설치되며, 슬러지 정체를 막고 미생물과의 접촉기회를 늘리기 위한 수중교반기; 상기 생물반응조와 상기 여과조 사이에 설치되며, 경사판과 차단벽으로 구성된 고액분리장치; 및 상기 여과조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탈질조로의 내부반송을 진행시켜 질산성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용존산소를 저감시키며, 농축효과로 고농도 미생물을 확보하여 재이용 및 외부처리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인 DO저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폐수처리공정을 고효율 접촉기 및 용존산소 저감기를 구성하여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고, 미생물과 오폐수의 반응시간 및 반응면적을 상승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이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미생물이 쉽게 접촉되고, 미생물의 생리를 활성시켜 폐수내 오염물질의 분해속도를 높임으로서 오폐수 정화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EXTRACTING NITROGEN AND PHOSPHOROUS FROM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처리 공정중 고효율 접촉기를 통하여 영양원과 미생물의 접촉 효율을 향상시켜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그에 따른 고효율 접촉기 및 D.O저감기를 고안함에 있어서 혼합된 유입수와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질소, 인등의 처리효율의 증대로 인한 소요 부지의 감소등을 위한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또는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나 공장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 등(이하 오폐수라 한다)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막분리 생물반응조(MBR:Membrane Bio-Reactor)란 오폐수의 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반응조에 분리막 기술을 결합하여 생물학적 유기물분해 및 부유성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해 완벽하게 분리시키는 공정으로 침전조의 대용으로 정밀여과(MF)막 및 한외여과막(UF)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MBF공정은 크게 순환식(Side-Stream Type)MBR과 침지식(Submerged Type)MBR공정으로 구분되는데, 200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운영중인 약 500개소의 MBR공법 중 침지식 MBR공법이 적용된 처리시설이 55%이고, 순환식 MBR공법이 적용된 처리시설이 45%로 기능적 측면 및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한 침지식 MBR공법의 적용실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침지식 MBR공법에는 주로 평막(PF: Plate Frame) 및 중공사막(HF: Hollow Fiber)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용화된 분리막으로는 Zenon사의 PSf 및 PVDF재질의 ZeeWeed계열의 중공사막, Mitsubishi Rayon사의 PE 및 PVDF재질의 HFL, SUR, SADF계열의 중공사막, KMS사의 PP, PE재질의 중공사막, 이엔이사의 PVDF재질의 중공사막, 코래드사의 PES재질의 평막, YUASA사의 Polyolefin재질의 평막, 퓨어엔비텍사의 PSf재질의 평막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달에도 불구하고, MBR의 한축인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있어서 질소 인등 의 영양물질 제거를 위한 유입수와 미생물 접촉 및 용존산소 제어에 대하여 미비한점이 많았다. 이에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접촉의 단계 구성을 통해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고, 오존과 오폐수의 반응시간 및 반응면적을 상승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이 현격하게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촉 효율 및 용존산소 제어의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화능력에 있어서 고온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미생물 분해능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미생물이 쉽게 접착되고, 미생물의 생리를 활성시켜 폐수내 오염물질의 분해속도를 높임으로서 오폐수 정화능력을 크게 높이기 위한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오폐수처리공정을 다단계의 고효율 단계로 구성하여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고, 오폐수의 반응시간 및 반응면적을 상승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이 현저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는, 탈질조(110), 인방출조(130), 생물반응조(150) 및 여과조(170)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생물학적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질소,인을 제거할 수 있는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질조(110) 내에 설치되며, DO저감기(175)에서 반송된 반송슬러지와 유량조정조에서 드럼스크린을 걸쳐 유입되는 유기탄소원의 혼합(mix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질반응기(111); 상기 인방출조(130) 내에 설치되며, 슬러지 정체를 막고 미생물과의 접촉기회를 늘리기 위한 수중교반기(131); 상기 생물반응조(150)와 상기 여과조(170) 사이에 설치되며, 경사판과 차단벽으로 구성된 고액분리장치(151); 및 상기 여과조(170)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탈질조(110)로의 내부반송을 진행시켜 질산성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용존산소를 저감시키며, 농축효과로 고농도 미생물을 확보하여 재이용 및 외부처리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인 DO저감기(1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질반응기(111)는, 수면하부로 설치되며 반송슬러지 및 원수유입시, 표면 접촉으로 인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증가를 방지하는 관; 물흐름으로 인한 DO증가를 방지하는 유도체; 하부의 혼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막; 및 반송슬러지와 유기탄소원을 혼합하여 혼합을 급속으로 진행시키는 급속 혼합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탈질조(110)는, 상기 탈질반응기(111)에서 혼합(mixing)된 슬러지 내부의 질산성질소(NO3-N)를 무산소 조건에서 질소기체(N2-GAS)로 환원시켜 대기중으로 날려보내어 질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방출조(130)는, 상기 탈질조(110)를 거친 유입원수와 반송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ortho-phosphate, poly-phosphate, 유기인)이 혐기 조건 하의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용존상태의 인(PO4 3 -)으로 방출되면, 상기 생물반응조(150) 및 상기 여과조(170)에서 수행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교반기는, 확관되어 교반 효율을 높이는 출구; 및 상기 탈질조(110)와 상기 인방출조(130) 모두를 교반하여 교반 효율을 증대시키는 분기장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DO저감기(175)는, 흡인보조탱크;와 슬러지유입구;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170)에 설치되어 자연수압에 의한 여과조 하부 침전슬러지의 수집과 상기 내부에서의 용존산소(DO) 저감 효과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170)의 미생물을 농축시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1)로 반송시키며, 시스템 내의 미생물 농도를 조정 가능케 하고 인을 포함한 미생물의 처리시 사용되는 조인 슬러지농축저류조(180); 질소, 인 제거를 위해, 폐수처리장과의 연계로 유기탄소원을 보충하거나 메탄올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BOD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예비의 탄소원 공급탱크인 탄소원보조제 공급탱크(190); 및 상기 생물반응조(150)의 농축된 미생물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180)로 인출시 고농도로 농축시킬 때 사용하며, 상기 탈질조(110)와 상기 인방출조(130)의 미생물슬러지 농도조절시 사용하는 응집보조제 공급탱크(19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는, 오폐수처리공정을 다단계의 고효율 단계로 구성하여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고, 오존과 오폐수의 반응시간 및 반응면적을 상승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이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접촉 효율 및 용존산소 제어의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는, 미생물이 쉽게 접착되고, 미생물의 생리를 활성시켜 폐수내 오염물질의 분해속도를 높임으로서 오폐수 정화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는, 정화능력에 있어서 고온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미생물 분해능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중 탈질조 및 탈질반응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중 인방출조 및 수중교반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중 생물반응조 및 고액분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중 여과조 및 DO저감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 중 탈질조(110) 및 탈질반응기(1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 중 인방출조(130) 및 수중교반기(13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 중 생물반응조(150) 및 고액분리장치(15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 중 여과조(170) 및 DO저감기(17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활성슬러지에 의한 생물학적 질소와 인의 고도처리기술과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를 완벽하게 분리함으로써 안정되고 탁월한 처리수질을 보증하기 위한 것이다.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는 고정스크린과 드럼스크린을 이용해 물리적 전처리과정을 일단 수행한 뒤, 본 발명의 핵심인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생물학적 고도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생물학적 고도처리과정은 오폐수 및 하수 등에 함유되어있는 유기물을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해 생물학적과 물리적 방법으로 처리하며, 이를 위해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는 탈질조(110), 인방출조(130), 생물반응조(150) 및 여과조(170)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질소,인을 제거할 수 있는 고도처리 공정이다.
탈질조(110)는 탈질반응기(111)를 포함한다. 탈질반응기(111)는 DO저감기(175)에서 반송된 반송슬러지와 유량조정조(1)에서 드럼스크린(2)을 걸쳐 유입되는 유기탄소원의 반응을 고조시키기 위해, 접촉기회를 최대화하는 동시에 혼합(mix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2의 (A)의 수면하부로 "관"을 설치하여 반송슬러지 및 원수유입시, 표면 접촉으로 인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증가를 방지한다.
도 2의 (B), (C), (D)의 "유도체"는 물흐름으로 인한 DO증가를 방지한다.
도 2의 (E)의 "진공막"은 진공막 하부의 혼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도 2의 (F)의 "급속 혼합기"는 반송슬러지와 유기탄소원을 혼합하여 혼합을 급속으로 진행시킨다.
탈질조(110)는 탈질반응기(111)에서 혼합(mixing)된 슬러지 내부의 질산성질소(NO3-N)를 무산소 조건에서 질소기체(N2-GAS)로 환원시켜 대기중으로 날려보냄으로써, 최종적으로 질소가 제거되는 조이다. 유량조정조(1)에서 유입되는 원수와 DO저감기(175)에서 반송되는 슬러지가 접촉하는 기회를 늘리기 위해, 탈질반응기(111)를 통과시키며, 수중교반기(131)를 이용한다.
인방출조(130)는 탈질조(110)를 거친 유입원수와 반송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ortho-phosphate, poly-phosphate, 유기인 등)이 혐기 조건 하의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용존상태의 인(PO4 3-)으로 방출되면, 후술할 생물반응조(150) 및 여과조(170)에서 수행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를 유도하는 조이다.
인방출조(130)는 탈질조(110)와 같이 슬러지 정체를 막고 미생물과의 접촉기회를 늘리기 위해 수중교반기(131)를 이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교반기(131) 이용시 탈질조(110)와 인방출조(130) 각각에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고, 인방출조(130)에만 설치하여 일정 체류시간을 유지케 하였으며 관리상의 효율을 높이게 하였다.
도 3의 (A)와 같이, 수중교반기(131)의 "출구"를 확관하여 교반 효율을 높였다.
도 3의 (B)와 같이, "분기장치"를 설치하여 인방출조(130)의 교반 효율을 증대시켰다.
탈질조(110)와 인방출조(130)의 특성상 각조 모두 교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국내에서 제작되는 수중교반기는 기본 0.75KW 이하는 보급되지 않고 있어 작은 용적에 무리하게 별도의 교반기를 설치함으로 고장 및 전력 소비량 증가의 원인이 되어, 분기장치를 설치하여 한 개의 교반기로 양쪽인 탈질조(110)와 인방출조(130) 모두를 교반한다.
인방출조(130)로부터 인방출이 유도된 원수가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인(PO4 3 -)의 사용이 축적되며, 호기성 미생물은 유입 원수의 유기물(탄소원)과 암모니아성 질소(NH4-N)를 산화 분해시켜 여과조 내에서의 미생물 슬러지와 액체를 고액분리 가능하게 한다.
생물반응조(150)와 여과조(170) 사이에는 고액분리장치(151)가 설치된다. 고액분리장치(151)는 기존의 분리막 공법에서 흔히 발생하였던 DO급변이나 MLSS급증으로 인한 여과수의 수질변화와 세정주기 등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기량과 MLSS양의 차별화를 제공한다.
특히, 생물반응조(150)에 분리막을 침적시켜 운영하다 보니 분리막의 특성상 흡인펌프가 가동시 브로워는 반응조 DO와 관계없이 포기가 되어야 하므로 전력소비량도 많고 과폭기로 인한 미생물 floc의 파괴로 분리막의 고액분리 성능 및 효율이 저감되는 악순환을 반복하였다.
이에 따른 보완점으로 생물반응조(150)에서는 적당한 산소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제거하여 미생물을 안정화시키며, 여과조(170)는 조 용적을 최소화하여 과폭기로 인한 미생물 floc의 파괴를 최소화 하고, 슬러지 폐기시 소량의 슬러지만 인출하여 유지 관리 비용을 낮추고, 생물반응조(150)와 여과조 송풍기를 별도로 분리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인다. 한편, 생물반응조(150)는 고액분리장치(151)를 포함하며, 도 4의 (A)의 경사판과 도 4의 (B)의 차단벽을 포함한다.
여과조(170)는 DO저감기(175)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DO저감기(175)는 탈질조(110)로의 내부반송을 진행시켜 질산성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용존산소를 저감시키며, 농축효과로 고농도 미생물을 확보하여 재이용 및 외부처리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이다. DO저감기(175)는 도 5의 (A)인 "흡인보조탱크"와 도 5의 (B)인 "슬러지유입구"를 포함하며, 여과조(170)에 설치되어 자연수압에 의한 여과조 하부 침전슬러지의 수집과 DO저감기(175) 내부에서의 용존산소(DO) 저감 효과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한편,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100)는 슬러지농축저류조(180), 탄소원보조제 공급탱크(190), 응집보조제 공급탱크(195)를 더 포함한다. 이하 살펴보면, 슬러지농축저류조(180)는 여과조(170)의 미생물을 농축시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1)로 반송시키며, 시스템 내의 미생물 농도를 조정 가능케 하고 인을 포함한 미생물의 처리시 사용되는 조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질소,인 제거공정인 A2O(혐기/무산소/호기), UCT(혐기/무산소/무산소/호기), 바덴포(혐기/무산소/호기/무산소/호기) 등이 유기탄소원(BOD)이 적합한 경우에는 질소, 인 제거에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대부분 하수처리장의 경우 BOD : N : P 비율이 적합하지 않아 질소, 인 제거를 위해서, 폐수처리장과의 연계로 유기탄소원을 보충하거나 메탄올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BOD 비율을 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현실을 가만해 처리수의 수질을 위해 예비의 탄소원 공급탱크를 설치하며, 이것이 탄소원보조제 공급탱크(190)이며, 메탄올 등의 약품이나 음식물처리수 등을 사용한다.
응집보조제 공급탱크(195)는 생물반응조(150)의 농축된 미생물슬러지를 슬러지농축저류조(180)로 인출시 고농도로 농축시킬 때 사용하며, 탈질조(110)와 인방출조(130)의 미생물슬러지 농도조절시 사용할 수 있다. 인방출조(130)의 후단과 생물반응조(150)에는 수거가능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탈질조 111: 탈질반응기
130: 인방출조 131: 수중교반기
150: 생물반응조 151: 고액분리장치
170: 여과조 175: DO저감기
180: 슬러지농축저류조 190: 탄소원보조제 공급탱크
195: 응집보조제 공급탱크

Claims (6)

  1. 탈질조(110), 인방출조(130), 생물반응조(150) 및 여과조(170)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생물학적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질소,인을 제거할 수 있는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질조(110) 내에 설치되며, DO저감기(175)에서 반송된 반송슬러지와 유량조정조에서 드럼스크린을 걸쳐 유입되는 유기탄소원의 혼합(mix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질반응기(111);
    상기 인방출조(130) 내에 설치되며, 슬러지 정체를 막고 미생물과의 접촉기회를 늘리기 위한 수중교반기(131);
    상기 생물반응조(150)와 상기 여과조(170) 사이에 설치되며, 경사판과 차단벽으로 구성된 고액분리장치(151); 및
    상기 여과조(170)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탈질조(110)로의 내부반송을 진행시켜 질산성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용존산소를 저감시키며, 농축효과로 고농도 미생물을 확보하여 재이용 및 외부처리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인 DO저감기(1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질반응기(111)는,
    수면하부로 설치되며 반송슬러지 및 원수유입시, 표면 접촉으로 인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증가를 방지하는 관;
    물흐름으로 인한 DO증가를 방지하는 유도체;
    하부의 혼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막; 및
    반송슬러지와 유기탄소원을 혼합하여 혼합을 급속으로 진행시키는 급속 혼합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탈질조(110)는, 상기 탈질반응기(111)에서 혼합(mixing)된 슬러지 내부의 질산성질소(NO3-N)를 무산소 조건에서 질소기체(N2-GAS)로 환원시켜 대기중으로 날려보내어 질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출조(130)는,
    상기 탈질조(110)를 거친 유입원수와 반송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ortho-phosphate, poly-phosphate, 유기인)이 혐기 조건 하의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용존상태의 인(PO4 3 -)으로 방출되면, 상기 생물반응조(150) 및 상기 여과조(170)에서 수행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교반기는,
    확관되어 교반 효율을 높이는 출구; 및
    상기 탈질조(110)와 상기 인방출조(130) 모두를 교반하여 교반 효율을 증대시키는 분기장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O저감기(175)는,
    흡인보조탱크;와 슬러지유입구;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170)에 설치되어 자연수압에 의한 여과조 하부 침전슬러지의 수집과 상기 내부에서의 용존산소(DO) 저감 효과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170)의 미생물을 농축시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1)로 반송시키며, 시스템 내의 미생물 농도를 조정 가능케 하고 인을 포함한 미생물의 처리시 사용되는 조인 슬러지농축저류조(180);
    질소, 인 제거를 위해, 폐수처리장과의 연계로 유기탄소원을 보충하거나 메탄올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BOD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예비의 탄소원 공급탱크인 탄소원보조제 공급탱크(190); 및
    상기 생물반응조(150)의 농축된 미생물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180)로 인출시 고농도로 농축시킬 때 사용하며, 상기 탈질조(110)와 상기 인방출조(130)의 미생물슬러지 농도조절시 사용하는 응집보조제 공급탱크(19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KR1020100012488A 2010-02-10 2010-02-10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KR10100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88A KR101006154B1 (ko) 2010-02-10 2010-02-10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88A KR101006154B1 (ko) 2010-02-10 2010-02-10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154B1 true KR101006154B1 (ko) 2011-01-07

Family

ID=4361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488A KR101006154B1 (ko) 2010-02-10 2010-02-10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1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11B1 (ko) * 2000-12-06 2004-03-12 대한통운 주식회사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439572B1 (ko) * 2004-03-30 2004-07-12 해동이피씨 주식회사 미생물을 이용한 질소와 인의 동시 처리방법 및 그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11B1 (ko) * 2000-12-06 2004-03-12 대한통운 주식회사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439572B1 (ko) * 2004-03-30 2004-07-12 해동이피씨 주식회사 미생물을 이용한 질소와 인의 동시 처리방법 및 그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1336B (zh) 垃圾卫生填埋场渗滤液的处理系统及方法
KR100412330B1 (ko)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WO2006083522A1 (e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4059790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CN101269903B (zh) 炼油污水的进一步深度处理工艺及装置
CN11043111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KR101341163B1 (ko)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KR102100991B1 (ko) 다공성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액비정제장치
US78200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ally contaminated waste water
KR100327151B1 (ko) 간헐폭기 막활성 슬러지 공정을 사용한 하수처리 방법
WO200803742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slurry
JP2006205155A (ja)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US7022237B2 (e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006154B1 (ko) 오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처리장치
CN212269808U (zh) 反渗透浓盐水处理系统
JPH09155391A (ja) 生物学的水処理装置
KR102208641B1 (ko) 산화전처리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RU2644904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азотно-фосфорных и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KR19990083645A (ko) 간헐폭기공정과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인의 제거방법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20040020325A (ko)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JPH09108672A (ja) 並行2段膜分離型浄化槽
CN217709158U (zh) 一种医疗废水处理设备
CN215365072U (zh) 一种垃圾渗沥液浸没式膜法预处理设备
RU2757589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и станц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