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81B1 -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 Google Patents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81B1
KR101006081B1 KR1020090079503A KR20090079503A KR101006081B1 KR 101006081 B1 KR101006081 B1 KR 101006081B1 KR 1020090079503 A KR1020090079503 A KR 1020090079503A KR 20090079503 A KR20090079503 A KR 20090079503A KR 101006081 B1 KR101006081 B1 KR 10100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essure plate
grout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교
정의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지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지오텍
Priority to KR102009007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에 관한 것으로 천공홀의 입구를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밀폐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밀폐고정후 그라우트재의 주입시 상기 천공홀과 주입관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마개에 구비되는 배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내수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줄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배수관이 형성된 밀폐마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는 중앙에 관삽입공(110a)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배수관(111)을 수직으로 입설시켜서 된 고정판(110)과,
중앙에 관삽입공(120a)이 형성되고 배수관(111)이 삽입설치되도록 고정판(110)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120)와,
중앙에 관삽입공(130a)이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배수관(111)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어지게 삽입설치되도록 팽창부재(120) 상면에 안착되어 지는 가압판(130)과,
상기 고정판(110)과 가압판(130)에 연계설치되어 필요시 가압판(130)을 가압하여 팽창부재(120)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1)의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어 밀폐되도록 한 압착고정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The hole shutting tightly plug for the grout Injection work where the drain-pipe is had}
본 발명은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우팅시공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중에 형성된 천공홀의 입구를 밀폐하여 줄 수 있는 밀폐마개를 제조하되 그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천공홀의 입구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밀폐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밀폐고정후 그라우트재의 주입시 주입관과 천공홀 사이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지하수에 의한 내수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라우트경화재를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고 그라우트경화재에 지하수의 혼합되지 않도록 하며 천공홀 입구까지 그라우트경화재가 완벽하게 주입되었다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결과적으로 그라우팅시공작업을 매우 신속하며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수행후에는 종래의 여타한 밀폐마개를 이용하는 것보다 보다 견고하고 양호한 상태의 그라우트경화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그라우팅용 천공홀 밀폐마개에 관한 것이다.
그라우팅시공방법은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수직 또는 경사 또는 수평으로 천공홀을 형성한 후 이 천공홀에 일방향 밸브가 형성된 그라우트재주입관을 삽입하되,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 내로 패커(packer)가 선단에 구비된 그라우트재주입로드를 끝까지 삽입한 다음 서서히 후퇴시키면서 그라우트재주입관내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일방향 밸브를 통해 지중내로 분사된 그라우트재에 의해 토질을 석화시켜서 연약한 지반을 견실하게 개량강화 시켜 주는 시공방법을 말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그라우팅시공방법을 시행함에 있어서는 상기 천공홀의 입구를 밀폐마개로 견고히 막아주어 그라우트재주입관에 형성된 일방향 밸브를 통해 지중내로 분사된 그라우트재가 천공홀 입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밀폐마개의 경우에는 상기 천공홀의 입구를 막아주는 밀폐마개의 밀폐력이 많이 뒤떨어지므로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과 천공홀 사이에 지하수가 유입되게 되면 그라우트재주입로드를 이용하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 할수록 지하수에 의한 내수압이 점점 더 상승하게 되는 관계로 그라우트재가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지하수가 혼합되면서 견고하고 충실한 상태의 그라우트경화체를 얻을 수 가 없었다.
또한, 상기 내수압의 상승으로 의해 천공홀의 입구를 막고 있는 밀폐마개가 외부로 터져 나오면서 지하수와 함께 그라우트재도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이와같이 그라우트재 주입도중에 지하수와 함께 그라우트재가 외부로 유출되게 되면 그 즉시 작업을 멈추고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재차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 그리고 비용이 더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천공홀의 입구를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밀폐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밀폐고정후 그라우트재의 주입시 상기 천공홀과 주입관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마개에 구비되는 배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내수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줄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는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배수관을 수직으로 입설시켜서 된 고정판과,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배수관이 삽입설치되도록 고정판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와,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배수관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어지게 삽입설치되도록 팽창부재 상면에 안착되어 지는 가압판과,
상기 고정판과 가압판에 연계설치되어 필요시 가압판을 가압하여 팽창부재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의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 어 밀폐되도록 한 압착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는 천공홀을 견고하게 밀폐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할 뿐 만 아니라 밀폐력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그라우트재 주입시 밀폐마개가 천공홀 입구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없으며,
그라우트재주입관과 천공홀 사이에 유입된 지하수가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므로 지하수에 의한 내수압의 발생이 없어 그라우트재를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으며,
지하수의 용이한 배출로 지하수가 그라우트재에 혼합될 염려도 전혀 없는 것은 물론,
배수관을 통해 그라우트재가 배출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으로 천공홀 입구까지 그라우트재가 완벽하게 주입되었다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발휘되는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그라우팅시공작업을 매우 신속하며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수행후에는 종래의 여타한 밀폐마개를 이용하는 것보다 보다 견고하고 양호한 상태의 그라우트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는 그라우트경화체가 형성된 다음에는 천공홀 입구로 부터 분해하여 재활용 할 수 있 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는 전체적으로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배수관을 수직으로 입설시켜서 된 고정판과,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배수관이 삽입설치되도록 고정판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와,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배수관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어지게 삽입설치되도록 팽창부재 상면에 안착되어 지는 가압판과,
상기 고정판과 가압판에 연계설치되어 필요시 가압판을 가압하여 팽창부재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의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어 밀폐되도록 한 압착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착고정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의 일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1d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100a)는 전체적으로 하측의 고정판(110)과, 상측의 가압판(130), 그리고 상 기 고정판(110)과 가압판(130)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팽창부재(120) 및 상기 가압판(130)과 고정판(110)과 연계설치되어 팽창부재(120)를 상,하로 압축하여 팽창부재(120)의 외측면이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1)의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압착고정수단(140)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상기 고정판(110)에는 중앙에 관삽입공(1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 나선부(112b)가 형성된 볼트(112)의 헤드(112a)부분이 용접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배수관(111)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정판(110)에 형성된 볼트(112)와 배수관(111)의 상단은 각기 팽창부재(120)와 상측의 가압판(130)을 관통하여 가압판(130)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130) 상측으로 돌출되어진 볼트(112)의 나선부(112b)에는 너트(11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너트(113)를 조여 가압판(130)을 가압하면 팽창부재(120)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1) 입구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설명 부호 131은, 천공홀(1)의 입구에 밀폐마개(100a)를 설치할때 편리하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한 손잡이이다.
그러는 한편, 첨부도면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100b) 또한 전체적으로 하측의 고정판(110)과, 상측의 가압판(130),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과 가압판(130)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팽창부 재(120) 및 상기 가압판(130)과 고정판(110)과 연계설치되어 팽창부재(120)를 상,하로 압축하여 팽창부재(120)의 외측면이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1)의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도록 내측관(114)과 핸들(115) 그리고 외측관(132)으로 구성되는 압착고정수단(140)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상기 고정판(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삽입공(110a) 상측으로 상단부 외면에 나선부(114a)가 형성된 내측관(114)이 수직으로 용접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배수관(111)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내측관(114)과 배수관(111)의 상단은 각기 팽창부재(120)와 상측의 가압판(13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130) 상면에는 내측관(114)이 감싸지도록 외측관(132)이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이 외측관(132)은 내측관(114)의 나선부(114a)가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측관(114)의 상측 나선부(114a)에는 핸들(115)이 나사체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핸들(115)을 조여 외측관(132)을 눌러주어 외측관(132)이 고정설치된 가압판(130)을 가압하면 팽창부재(120)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천공홀(1) 입구 내면에 강제로 압착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설명 부호 116은, 내측관(114)의 측면에 결합되어 밀폐마개(100b)를 설치할때 핸들(115)을 돌리기 편리하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를 이용하여 그라우팅시공을 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a 내지 도1c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a)를 구성한 경우에는 도1c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공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수직 또는 경사 또는 수평으로 천공홀(1)을 형성한다음 상기 천공홀(1) 입구에 밀폐마개(100a)를 삽입하되, 상기 밀폐마개(100a)에 형성된 각각의 관삽입공(110a)(120a)(130a)을 통해 일방향 밸브(2a)가 형성된 그라우트재주입관(2)을 삽입하여 천공홀(1) 끝까지 전진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밀폐마개(100a)를 구성하는 가압판(130)에 고정설치된 손잡이(131)를 일측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가압판(130)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12)의 나선부(112b)에 나사체결된 너트(113)를 조여 준다.
그러면 상기 너트(113)가 체결된 볼트(112)의 헤드(112a)부분은 고정판(110)에 용접설치되어져 있으므로 너트(113)를 조일시 볼트(112)가 너트(113)와 함께 동시에 헛돌지 않고 너트(113)가 볼트(112) 내측으로 깊숙히 전진하면서 가압판(130)을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판(130)은 팽창부재(12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팽창부재(120)는 가압판(130)과 고정판(110) 사이에 설치되어져 있으므로 힘을 받는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면서 외면이 천공홀(1) 입구 내면에 강제로 압착고정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밀폐마개를 사용하여 천공홀(1)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2)내로 패커(packer)(3a)가 선단에 구비된 그라우트재주입로드(3)를 끝까지 삽입한 다음 서서히 후퇴시키면서 주입관(2)내로 소정압력으로 그 라우트재(4)를 주입하여 일방향 밸브(2a)를 통해 지중내로 그라우트재(4)를 강제 분사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a)는 밀폐력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배수관(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2)과 천공홀(1) 사이에 유입된 지하수(5)가 배수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므로 그라우트재(4)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더라도 지하수(5)에 의한 내수압의 발생이 없어 그라우트재(4)가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그라우트재(4) 주입작업을 수행하다가 밀폐마개(100a)에 형성된 배수관(111)을 통해 지하수(5)가 아닌 그라우트재(4)가 배출되게 되면 상기 천공홀(1) 입구까지 그라우트재(4)가 모두 충진된 상태이므로 그 즉시 그라우트재(4)의 주입을 멈추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a)를 사용하면 천공홀(1)을 견고하게 밀폐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할 뿐 만 아니라 그라우트재(4)의 주입시 지하수(5)에 의한 내수압의 발생이 없어 그라우트재(4)를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으며, 지하수가 그라우트재(4)에 혼합될 염려도 전혀 없는 것은 물론 배수관(111)을 그라우트재(4)가 배출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으로 천공홀(1) 입구까지 그라우트재(4)가 확실히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라우팅시공작업이 매우 신속하며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됨은 물론 수행후에는 종래의 여타한 밀폐마개를 이용하는 것보다 보다 견고하고 상태가 양호한 그라우트경화체를 얻을 수 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그라우트재(4)가 경화되어 견실한 상태의 그라우트경화체가 형성된 다음에는 상기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a)를 천공홀(1) 입구로 분해하여 재활용 할 수 있다.
즉, 밀폐마개(100a)를 구성하는 가압판(130)에 고정설치된 손잡이(131)를 일측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가압판(130)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12)의 나선부(112b)에 나사체결된 너트(113)를 풀러주면 상기 너트(113)가 체결된 볼트(112)의 헤드(112a)부분은 고정판(110)에 용접설치되어져 있으므로 너트(113)가 볼트(112) 외측으로 후퇴하면서 가압판(130)의 가압이 해지되고 이 가압판(130)에 의해 가압되어 좌,우측면이 팽창되어 있던 팽창부재(120)가 원래 형태되로 복원되면서 좌,우측면이 수축되어 밀폐가 해지된다.
따라서, 밀폐마개(100a)를 천공홀(1) 입구로 부터 떼어낸 후에 재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도2a 내지 도2b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를 구성한 경우에는 도2c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또한 천공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수직 또는 경사 또는 수평으로 천공홀(1)을 형성한다음 상기 천공홀(1) 입구에 밀폐마개(100b)를 삽입하되, 상기 밀폐마개(100b)를 구성하는 고정판(110)의 관삽입공(110a) 상측으로 형성된 내측관(114) 내부로 일방향 밸브(2a)가 형성된 그라우트재주입관(2)을 삽입하여 천공홀(1) 끝까지 전진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내측관(114)에 결합된 손잡이(116)를 일측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관(114) 상측의 나선부(114a)에 나사결합된 핸들(115)을 조여 준다.
그러면 상기 내측관(114)은 고정판(110)에 용접설치되어 있으므로 핸들(115)이 내측관(114) 내측으로 깊숙히 전진하면서 가압판(130)의 상면에 용접된 외측관(132)의 상단을 눌러 가압판(130)이 가압되어 팽창부재(12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팽창부재(120)는 가압판(130)과 고정판(110)사이에 설치되어져 있으므로 힘을 받는 방향으로는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는 수평팽창되면서 외면이 천공홀(1) 입구 내면에 강제로 압착고정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를 사용하여 천공홀(1)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2) 내로 패커(packer)(3a)가 선단에 구비된 그라우트재주입로드(3)를 끝까지 삽입한 다음 서서히 후퇴시키면서 그라우트재주입관(2)내로 소정압력으로 그라우트재(4)를 주입하여 일방향 밸브(2a)를 통해 지중내로 그라우트재(4)를 강제 분사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a)와 마찬가지로 밀폐력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배수관(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재주입관(2)과 천공홀(1) 사이에 유입된 지하수(5)가 배수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므로 그라우트재(4)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더라도 지하수(5)에 의한 내수압의 발생이 없어 그라우트재(4)가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그라우트재 주입작업을 수행하다가 밀폐마개(100b)에 형성된 배수관(111)을 통해 지하수가 아닌 그라우트재(4)가 배출되게 되면 상기 천 공홀(1) 입구까지 그라우트재(4)가 모두 충진된 상태이므로 그 즉시 그라우트재(4)의 주입을 멈추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를 사용하면 상기한 밀폐마개(100a)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천공홀(1)을 견고하게 밀폐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할 뿐 만 아니라 그라우트재(4)의 주입시 지하수(5)에 의한 내수압의 발생이 없어 그라우트재(4)를 지중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으며, 지하수(5)가 그라우트재(4)에 혼합될 염려도 전혀 없는 것은 물론 배수관(111)을 그라우트재(4)가 배출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으로 천공홀(1) 입구까지 그라우트재(4)가 확실히 주입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라우팅시공작업이 매우 신속하며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됨은 물론 수행후에는 종래의 여타한 밀폐마개를 이용하는 것보다 보다 견고하고 상태가 양호한 그라우트경화체를 얻을 수 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 또한 상기 밀폐마개(100a)와 마찬가지로 그라우트재(4)가 경화되어 견실한 상태의 그라우트경화체가 형성된 다음에는 상기 본 발명의 밀폐마개(100b)를 천공홀(1) 입구로 분해하여 재활용 할 수 있다.
즉, 내측관(114)에 결합된 손잡이(116)를 일측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관(114) 상측의 나선부(114a)에 나사결합된 핸들(115)을 풀러주면 상기 내측관(114)은 고정판(110)에 용접설치되어 있으므로 핸들(115)이 내측관(114) 외측으로 후퇴하면서 가압판(130)의 상면에 용접된 외측관(132)을 누르는 힘이 해지되어 가압판(130)의 가압이 해지되고 이 가압판(130)에 의해 가압되어 좌,우측면이 팽창되어 있던 팽창부재(120)가 원래 형태되로 복원되면서 좌,우측면이 수축되어 밀폐 가 해지된다.
따라서, 밀폐마개(100b)를 천공홀(1) 입구로 부터 떼어낸 후에 재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1a,도1b,도1c,도1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1a는 분해 사시도.
도1b는 조립 사시도.
도1c는 도1b의 A-A선 측단면도.
도1d는 사용상태도.
도2a,도2b,도2c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도2a는 조립 사시도.
도2b는 측단면도.
도2c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밀폐마개 110:고정판
110a,120a,130a:관삽입공 112:볼트
112a:헤드 112b,114a:나선부
111:배수관 113:너트
114:내측관 115:핸들
116,131:손잡이 130:가압판
132:외측관 140:압착고정수단

Claims (3)

  1. 삭제
  2. 중앙에 관삽입공(110a)이 형성된 고정판(110)과,
    중앙에 관삽입공(120a)이 형성되고 배수관(111)이 삽입설치되도록 고정판(110)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120)와,
    중앙에 관삽입공(130a)이 형성되고 팽창부재(120) 상면에 안착되어 지는 가압판(130)과,
    상기 고정판(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삽입공(110a) 외측으로 볼트(112)의 나선부(112b) 끝단을 팽창부재(120)와 가압판(130)을 관통하여 가압판(130)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나선부(112b) 끝단에 너트(113)를 나사체결하여서, 상기 너트(113)를 조여 가압판(130)을 가압하면 팽창부재(120)가 상,하로 압축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팽창되도록 구성한 압착고정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0) 중앙에 형성된 관삽입공(110a) 외측으로 배수관(111)을 수직으로 일체로 입설시키되, 배수관(111) 상부가 가압판(130) 외부로 돌출되어지게 설치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110)의 관삽입공(110a) 외측에 결합된 볼트(112)의 헤드(112a)부분을 고정판(110)에 용접설치하고 볼트(112) 끝단에 너트(113)를 나사체결하여서, 너트(113)를 조이거나 풀를시 볼트(112)가 너트(113)와 함께 동시에 헛돌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3. 삭제
KR1020090079503A 2009-08-27 2009-08-27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KR10100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03A KR101006081B1 (ko) 2009-08-27 2009-08-27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03A KR101006081B1 (ko) 2009-08-27 2009-08-27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81B1 true KR101006081B1 (ko) 2011-01-06

Family

ID=4361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03A KR101006081B1 (ko) 2009-08-27 2009-08-27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6615B2 (en) 2007-02-27 2011-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supplying power supply voltage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ing the same
KR101712324B1 (ko) * 2016-07-04 2017-03-03 김근수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방법
KR20180044525A (ko) * 2016-10-24 2018-05-03 (주)서경개발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공법
KR101977372B1 (ko) * 2018-10-26 2019-05-10 (주)지오알앤디 가압그라우팅용 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58626B1 (ko) 2020-05-29 2020-09-22 오순옥 배수관을 구비한 강관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보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127U (ja) * 1983-12-26 1985-07-20 東洋物産株式会社 土木用薬液注入装置における薬液注入管の取附装置
JPH04363499A (ja) * 1991-06-11 1992-12-16 Oyo Corp 吸水膨張性止水材及びそれを用いる止水工法
JP2002097628A (ja) * 2000-09-22 2002-04-02 Nittoc Constr Co Ltd サプライリタ−ン式孔埋めパッカ−及びボ−リング孔充填閉塞施工方法
KR20090130530A (ko) * 2008-06-16 2009-12-24 (주)다솔컨설턴트 가압 그라우팅용 이중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127U (ja) * 1983-12-26 1985-07-20 東洋物産株式会社 土木用薬液注入装置における薬液注入管の取附装置
JPH04363499A (ja) * 1991-06-11 1992-12-16 Oyo Corp 吸水膨張性止水材及びそれを用いる止水工法
JP2002097628A (ja) * 2000-09-22 2002-04-02 Nittoc Constr Co Ltd サプライリタ−ン式孔埋めパッカ−及びボ−リング孔充填閉塞施工方法
KR20090130530A (ko) * 2008-06-16 2009-12-24 (주)다솔컨설턴트 가압 그라우팅용 이중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보강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6615B2 (en) 2007-02-27 2011-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supplying power supply voltage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ing the same
KR101712324B1 (ko) * 2016-07-04 2017-03-03 김근수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방법
KR20180044525A (ko) * 2016-10-24 2018-05-03 (주)서경개발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공법
KR101924114B1 (ko) * 2016-10-24 2019-02-22 (주)서경개발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공법
KR101977372B1 (ko) * 2018-10-26 2019-05-10 (주)지오알앤디 가압그라우팅용 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58626B1 (ko) 2020-05-29 2020-09-22 오순옥 배수관을 구비한 강관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081B1 (ko) 배수관이 형성된 그라우팅작업용 천공홀 밀폐마개
US73186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ock bolting
KR101762179B1 (ko) 밀폐 주입식 그라운드 앵커
KR20180103776A (ko) 강관과 철근을 이용한 사면 보강구조 및, 그 방법
CN110300826B (zh) 管片、管片组装体及灌浆装置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0671927B1 (ko) 네일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공법
KR100896963B1 (ko) 락볼트
US10648332B2 (en) Injection tool and a method for injection
KR101934104B1 (ko) 강관 팽창을 이용한 앵커 겸용 배수관 및 그 설치방법
KR101639702B1 (ko) 락볼트
KR101029320B1 (ko) 암반 파쇄대구간 보강을 위한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대구간 보강방법
KR102079076B1 (ko) 직천공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JPH10184297A (ja) ロックボルトの施工方法
KR200414858Y1 (ko) 가압주입방식의 사면안정용 인장재 시공을 위한 충전재가압주입 구조
JP493176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KR101841048B1 (ko) 강관과 철근을 이용한 사면 보강구조 및, 그 방법
KR200386818Y1 (ko) 가압식 밀크 그라우팅을 이용한 쏘일 네일링 구조
EP1075587B1 (en) Device for a rock wall
KR200381583Y1 (ko) 소일네일링공법용 고정앵커
KR100736251B1 (ko) 입구패드 압력 고정타입 그라우팅장치세트
KR102176457B1 (ko) 소일 네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
KR102431325B1 (ko) 직천공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동시주입방법
KR20060133674A (ko) 쏘일네일링 장치의 패커 유닛
EP2561176A1 (en) Device for sealing a rock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