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68B1 - 요실금 치료기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68B1
KR101006068B1 KR1020080092162A KR20080092162A KR101006068B1 KR 101006068 B1 KR101006068 B1 KR 101006068B1 KR 1020080092162 A KR1020080092162 A KR 1020080092162A KR 20080092162 A KR20080092162 A KR 20080092162A KR 101006068 B1 KR101006068 B1 KR 10100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stimulus
vibration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146A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09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61N1/0514Electrodes for the urin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기를 개시한다. 상기 요실금 치료기는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용이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요실금과 변비/변실금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근육의 수축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환자 또는 의사 등과 같은 사용자가 보다 인식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것이다.
요실금 치료기, 자극, 진동, 측정,

Description

요실금 치료기 {Incontinence therapy an electrode}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전도 신호를 사용하여 요실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요실금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요실금은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질병이며, 특히 많은 여성들이 출산 후유증 혹은 노화로 인해 요실금으로 고통받고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유럽의 50세 이상 여성의 약 20∼30%가 요실금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약물 요법이나 수술 요법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인 경우에는 그 치료 형태가 침습적이므로, 환자에게 거부감이 있었으며, 약물 치료인 경우에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의 문제와 완치에 대한 기대감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어, 그다지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요실금을 비침습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들이 개발되면서 요실금 치료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달라지게 되었다. 요실금을 비침습적으로 치료하는 방법 중 주요한 것으로는 질 괄약근 수축 운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질 괄약근의 수축력을 신장시키는 생체 궤환 방법과, 질 근육 부위에 전류 펄스를 인가하여 근육 및 신경 세포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신경 근육 전기 자극법이 있다.
또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상기 생체 궤환법과 전기 자극법 중 어느 하나만을 독립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는 병행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체 궤환법을 이용하여 요실금을 처리할 경우 환자는 정해진 훈련 순서에 따라 질 근육 수축 훈련을 수행하게 되는데, 질 근육 수축시 환자의 의지에 따라 질 근육이 얼마나 수축되었는지를 환자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질 근육의 수축 능력이 향상되어 가는 것을 환자가 객관적인 지표로 인지한다면 환자의 훈련의지가 더욱 강해져 치료 효과가 높아지게 되고, 또한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도 환자의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훈련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요실금 치료를 위해 이와같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이유는 근전도 신호의 크기가 질 근육의 수축 강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전도신호의 측정을 위해, 질 근육의 표피에 도전체를 접촉시키고 이 도전체에 유기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데, 인체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의 주파수성분은 20∼800㎐ 대역에 있어 다른 생체신호에 비해 고주파 성분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높은 주파수로 샘플링을 수행하려면, 치료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수반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용이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요실금과 변비/변실금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실금 치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요실금 치료기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연결되는 포트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극으로부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부; 상기 전극으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자극 신호발생부; 상기 전극으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신호발생부;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와 진동 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및 진동의 레벨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적인 동작모드 제어가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방식의 조작기능을 가지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상기 포락선 검출부, 자극 신호발생부, 진동 신호발생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는 환자의 신체부위로부터 근전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모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자극모드 및, 환자의 신체부위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진동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락선 검출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사용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신호에서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가 제거된 근전도신호를 메인제어부에 의해 처리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 제 2 증폭기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는 근전도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요인을 제거하여 메인제어부로 출력시키는 평활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자극의 제어신호를 파형 증폭시키는 제 3 증폭기; 상기 제 3 증폭기에 의해 파형 증폭되는 자극의 제어신호를 전류 증폭시키는 제 4 증폭기; 상기 제 3,4 증폭기에 의해 파형 증폭된 제어신호와 전류 증폭된 제어신호를 믹싱하는 믹서기; 및, 상기 믹서기에 의해 믹싱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극으로 전달될 특정레벨의 자극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제 5 증폭기;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신호발생부에는 메인제어부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전극에 전달될 특정레벨의 진동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제 6 증폭기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제어부에는 소정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 정보와, 전극에 가해질 자극 및 진동신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에 포함되는 평활부에 의해 평활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와 진동 신호발생부에 가해질 디지털 형태의 자극 또는 진동의 특정레벨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를 포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은 체강용 전극과 피부용 전극으로 구분되고, 상기 체강용 전극은 진동자, 자극용 전극, 그리고 자극/검출용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용 전극은 패드 형태의 제 1,2 자극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용이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요실금과 변비/변실금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요실금 치료기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근육의 수축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환자 또는 의사 등과 같은 사용자가 보다 인식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요실금 치료기의 측정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요실금 치료기의 자극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요실금 치료기의 진동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강 삽입용 전극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부 부착용의 전극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는, 본체(100)의 포트(미도시)에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포락선 검출부(10), 자극 신호발생부(20), 진동 신호발생부(30), 표시부(40), 그리고 메인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극은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진동자(101), 자극용 전극(102),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하는 체강용 전극과,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패드 형태를 가지는 제 1,2 자극(104)(105)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피부용 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락선 검출부(10)는 상기 체강용 전극의 자극/검출용 전극(103)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증폭기(11), 필터(12), 제 2 증폭기(13), 그리고 평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증폭기(11)는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50)에서 사용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12)는 상기 제 1 증폭기(11)의 출력에 포함되는 신호에서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증폭기(13)는 상기 필터(12)로부터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가 제거된 근전도신호를 메인제어부(5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평활부(14)는 상기 제 2 증폭기(13)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는 근전도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요인을 제거한 후 이를 메인제어부(5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2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체강용 전극의 자극용 전극(102)과 자극/검출용 전극(103)이나 피부용 전극의 제 1,2 자극(104)(105)으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제 3 증폭기(21), 제 4 증폭기(22), 믹서기(23), 그리고 제 5 증폭기(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증폭기(21)는 상기 메인제어부(50)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특정레벨의 자극 제어신호를 파형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증폭기(22)는 상기 제 3 증폭기(21)에 의해 파형 증폭되는 일정레벨의 자극 제어신호를 전류 증폭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믹서기(23)는 상기 제 3,4 증폭기(21)(22)에 의해 파형 증폭된 제어신호와 전류 증폭된 제어신호를 믹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5 증폭기(24)는 상기 믹서기(23)에 의해 믹싱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체강용 전극의 자극용 전극(102)이나 자극/검출용 전극(103) 또는 피부용 전극의 제 1,2 자극(104)(105)으로 전달될 특정레벨의 자극신호를 증폭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 신호발생부(3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체강용 전극의 진동자(101)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제 6 증폭기(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6 증폭기(31)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체강용 전극의 진동자(101)에 전달될 특정레벨의 진동신호를 증폭 출력하도록 구성된 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20) 및 진동 신호발생부(30)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및 진동의 레벨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적인 동작모드 제어가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방식의 조작기능을 가진다.
이때, 상기 동작모드는 환자의 신체부위로부터 근전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모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자극모드 및, 환자의 신체부위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진동모드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50)는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동작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상기 포락선 검출부(10), 자극 신호발생부(20), 진동 신호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표시부(4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메모리(51), A/D 변환기(52), 그리고 D/A 변환기(53)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51)에는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정보와, 체강용 전극의 진동자(101), 자극용 전극(102), 자극/검출용 전극(103)과 피부용 전극의 제 1,2 자극(104)(105)에 가해질 자극 또는 진동신호의 레벨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A/D 변환기(52)는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10)에 포함되는 평활부(14)에 의해 평활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고, 상기 D/A 변환기(53)는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10)와 진동 신호발생부(20)에 가해질 디지털 형태의 자극 또는 진동의 특정레벨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0)의 포트에 진동자(101)와 자극용 전극(102), 그리고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체강용 전극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40)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측정모드를 선택한 후,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체강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통해 본체(100)내에 마련되는 포락선 검출부(10)에 미세한 근전도 신호가 전달되는 바, 상기 포락선 검출부(10)는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메인제어부(50)에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메인제어부(50)는 A/D 변환기(52)를 통해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킨 후 이를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즉, 상기 포락선 검출부(10)에 포함되는 제 1 증폭기(11)는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으로부터 전달되는 미세한 근전도 신호를 사용 가능한 레벨로 1차 증폭한 후 필터(12)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12)는 상기 제 1 증폭기(11)의 출력에 포함되는 신호에서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를 제거한 후 이를 제 2 증폭기(13)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증폭기(13)는 상기 필터(12)로부터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가 제거된 근전도신호 를 메인제어부(5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레벨로 증폭한 후 이를 평활부(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평활부(14)는 상기 제 2 증폭기(13)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는 근전도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요인을 제거한 후 이를 메인제어부(5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메인제어부(50)에 포함되는 A/D 변환기(52)가 상기 아날로그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근전도 측정시 조정단계로서, 상기 표시부(40)에서 사용자 개개인의 근전도 특성에 맞도록 2차례의 조정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1차의 조정단계는 측정된 사용자의 근전도 값을 상기 메인제어부(50)내의 메모리(51)에 저장하여, 상기 메인제어부(50)가 포락선 검출부(10)에 포함되는 제 2 증폭기(13)의 증폭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2차의 조정단계는 상기 1차 조정단계에서 제어된 후의 근전도값을 다시 한번 메모리(51)에 저장하여, 상기 메인제어부(50)가 포락선 검출부(10)에 포함되는 제 2 증폭기(13)의 증폭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된 근전도값들을 상기 메인제어부(50)에서 프로그램 방식으로 측정(Calibration)하여, 개개인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표준의 근전도 값을 얻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근전도 측정은 약 1∼40 정도까지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1,2차의 조장단계 후에는 상기 표시부(40)에 실질적인 근전도 목표 파형과 검출된 근전도값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목표 파형은 상기 표시부(40)의 목표 파형창에 온/오프의 구형파로 표현되는데, 근육의 수축을 유발시 상기 목표 파형은 구형파의 하이상태(high)로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부(40)의 정보창에 근육의 수축 유발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근육의 이완을 유발시 상기 목표 파형은 구형파의 로우상태(low)로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부(40)의 정보창에 근육의 이완 유발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된 근전도 값은 메인제어부(50)의 메모리(51)에 저장된 상태로서 상기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목표파형을 따라, 상기 목표파형에 중첩되어 표현되도록 하였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목표파형과 현재 진행되는 측정의 근전도값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측정된 근전도 값은 막대 그래프 형상으로 표현되며, 측정값이 높이면 막대가 올라가고, 낮으면 막대가 내려가며 "삑"하는 음성의 소리를 내어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는 근전도의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측정된 근전도값과 목표파형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목표도달 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0)의 포트에 진동자(101)와 자극용 전극(102), 그리고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체강용 전극 또는 제 1,2 자 극(104)(105)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피부용 전극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40)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자극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메인제어부(50)는 자극의 제어신호를 자극 신호발생부(20)로 출력하게 되는 바,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2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체강용 전극의 자극용 전극(102)과 자극/검출용 전극(103) 또는 피부용 전극의 제 1,2 자극(104)(105)으로 자극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체강이나 피부에는 요실금 치료에 필요로 하는 자극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20)에 포함되는 제 3 증폭기(21)는 상기 메인제어부(50)에서 D/A 변환기(53)에 의해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특정레벨의 자극 제어신호를 파형 증폭한 후 이를 제 4 증폭기(22)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증폭기(22)는 상기 제 3 증폭기(21)에 의해 파형 증폭되는 일정레벨의 자극 제어신호를 전류 증폭시킨 후 이를 믹서기(23)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믹서기(23)는 상기 제 3,4 증폭기(21)(22)에 의해 파형 증폭된 제어신호와 전류 증폭된 제어신호를 믹싱한 후 이를 제 5 증폭기(24)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5 증폭기(24)는 상기 믹서기(23)에 의해 믹싱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체강용 전극의 자극용 전극(102)이나 자극/검출용 전극(103) 또는 피부용 전극의 제 1,2 자극(104)(105)으로 전달될 특정레벨의 자극신호를 증폭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극모드의 동작은 1∼40분 정도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자극모드의 동작에 따른 자극의 세기나 시간을 막대 또는 원형의 그래프 형식으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포트에 진동자(101)와 자극용 전극(102), 그리고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체강용 전극 또는 제 1,2 자극(104)(105)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는 피부용 전극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40)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진동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메인제어부(50)는 진동의 제어신호를 진동 신호발생부(30)로 출력하게 되는 바, 상기 진동 신호발생부(3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체강용 전극의 진동자(101)로 일정레벨의 진동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 신호발생부(30)에 포함되는 제 6 증폭기(31)는 상기 메인제어부(50)에서 D/A 변환기(53)에 의해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특정레벨의 진동 제어신호를 증폭한 후 이를 상기의 진동자(101)에 출력함으로써, 체강이나 피부에 요실금 치료를 위한 진동이 가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드의 동작은 1∼40분 정도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진동모드의 동작에 따른 진동의 세기나 시간을 그래픽 형태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에는 자극 선택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자극 선택부(6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부(40)를 통해 측정모드와 진동모드를 선택시,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전극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본체(100)의 포트에 진동자(101), 자극용 전극(102), 자극/검출용 전극(103)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체강용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측정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자극선택부(60)는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자극/검출용 전극(103)과 포락선 검출부(10)가 서로 연결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사용자가 진동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자극선택부(60)는 메인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진동자(101)와 진동신호 발생부(30)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실금 치료기 측정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실금 치료기 자극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실금 치료기 진동모드 동작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체강 삽입용 전극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피부 부착용의 전극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락선 검출부 11; 제 1 증폭기
12; 필터 13; 제 2 증폭기
14; 평활부 20; 자극 신호발생부
21; 제 3 증폭기 22; 제 4 증폭기
23; 믹서기 24; 제 5 증폭기
30; 진동 신호발생부 31; 제 6 증폭기
40; 표시부 50; 메인제어부
51; 메모리 52; A/D 변환기
53; D/A 변환기 60; 자극선택부
100; 본체 101; 진동자
102; 자극용 전극 103; 자극/검출용 전극
104,105; 제 1,2 자극

Claims (7)

  1.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연결되는 포트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부;
    상기 전극으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자극 신호발생부; 상기 전극으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신호발생부;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와 진동 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및 진동의 레벨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적인 동작모드 제어가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방식의 조작기능을 가지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상기 포락선 검출부, 자극 신호발생부, 진동 신호발생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포락선 검출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사용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신호에서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오류발생요인의 고주파가 제거된 근전도신호를 메인제어부에 의해 처리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 제 2 증폭기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는 근전도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요인을 제거하여 메인제어부로 출력시키는 평활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환자의 신체부위로부터 근전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모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자극모드 및, 환자의 신체부위로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진동모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자극의 제어신호를 파형 증폭시키는 제 3 증폭기;
    상기 제 3 증폭기에 의해 파형 증폭되는 자극의 제어신호를 전류 증폭시키는 제 4 증폭기;
    상기 제 3,4 증폭기에 의해 파형 증폭된 제어신호와 전류 증폭된 제어신호를 믹싱하는 믹서기; 및,
    상기 믹서기에 의해 믹싱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극으로 전달될 특정레벨의 자극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제 5 증폭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신호발생부에는 메인제어부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전극에 전달될 특정레벨의 진동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제 6 증폭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소정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 정보와, 전극에 가해질 자극 및 진동신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에 포함되는 평활부에 의해 평활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자극 신호발생부와 진동 신호발생부에 가해질 디지털 형태의 자극 또는 진동의 특정레벨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체강용 전극과 피부용 전극으로 구분되고, 상기 체강용 전극은 진동자, 자극용 전극, 그리고 자극/검출용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용 전극은 패드 형태의 제 1,2 자극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
KR1020080092162A 2008-09-19 2008-09-19 요실금 치료기 KR10100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62A KR101006068B1 (ko) 2008-09-19 2008-09-19 요실금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62A KR101006068B1 (ko) 2008-09-19 2008-09-19 요실금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46A KR20100033146A (ko) 2010-03-29
KR101006068B1 true KR101006068B1 (ko) 2011-01-06

Family

ID=4218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62A KR101006068B1 (ko) 2008-09-19 2008-09-19 요실금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83B1 (ko) * 1998-02-25 2002-07-12 이수열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KR100357436B1 (ko) * 1999-02-08 2002-10-18 모승기 보호 회로를 포함한 전기 치료 장치
KR20030030540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챠져 인터쿨러 디젤 엔진의 흡입공기 누출 모니터링방법
KR200330540Y1 (ko) * 2003-07-14 2003-10-17 백가실 요실금 치료기
KR100816847B1 (ko) * 2007-05-18 2008-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변실금 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83B1 (ko) * 1998-02-25 2002-07-12 이수열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KR100357436B1 (ko) * 1999-02-08 2002-10-18 모승기 보호 회로를 포함한 전기 치료 장치
KR20030030540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챠져 인터쿨러 디젤 엔진의 흡입공기 누출 모니터링방법
KR200330540Y1 (ko) * 2003-07-14 2003-10-17 백가실 요실금 치료기
KR100816847B1 (ko) * 2007-05-18 2008-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변실금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46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116B1 (en) Electrical apparatus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CN110464347B (zh) 一种盆底肌治疗方法、系统及装置
US6631297B1 (en) Electrical clinical apparatus and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using variant assignment method
US6496725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degree of restoration of diseased part
CN204543277U (zh) 生物反馈治疗装置及系统
US2008002735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lization, diagnosis, contact or activity detection of bio-electric tissue
JPH04500766A (ja) 脳波神経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その方法
CN107096127B (zh) 控制输出电流强度的方法及可智能调整阈值的电刺激治疗仪
CN106983954A (zh) 骶神经刺激器
WO2014035040A1 (ko) 다채널 임피던스 측정방법 및 측정기
KR20050046957A (ko) 실시간 피드백 제어 기법을 이용한 기능 연동 방식의 전기치료 장치
Alrofati et al. A configurable portable system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gastric bioelectrical activity and delivering electrical stimulation
KR101006068B1 (ko) 요실금 치료기
KR100357436B1 (ko) 보호 회로를 포함한 전기 치료 장치
JP2002052000A (ja) 体脂肪率計付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0316827A (ja) 筋活動測定装置
KR100328483B1 (ko)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Yassin et al. Rehabilitation Biofeedback Using EMG Signal Based on Android Platform
CN114470520A (zh) 肌电反馈电刺激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6267558A (zh) 一种阻抗测试方法、系统及具有该系统的电子设备
JP2007268016A (ja) 生体情報測定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RU24074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вегетативно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Raichur et al. A step towards home-based robotic rehabilitation: An interface circuit for EEG/SEMG actuated orthosis
CN108635669A (zh) 一种基于脑深部刺激器电极的阻抗测量装置及方法
CN116671940A (zh) 一种盆底肌功能障碍筛查与治疗系统、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