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980B1 -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980B1
KR101005980B1 KR1020040054913A KR20040054913A KR101005980B1 KR 101005980 B1 KR101005980 B1 KR 101005980B1 KR 1020040054913 A KR1020040054913 A KR 1020040054913A KR 20040054913 A KR20040054913 A KR 20040054913A KR 101005980 B1 KR101005980 B1 KR 10100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dication
screen
siz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911A (ko
Inventor
권진욱
김소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상에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구해 이를 중심점으로 하는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이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선별해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되며 그를 통해 식별된 윈도우를 활성화(enable)시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킨다.
Figure R1020040054913
윈도우, 선별, 화면, 포인팅, 활성화, 블록, 오버랩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window pointed by user among multi-wind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윈도우 선별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윈도우 선별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시 윈도우 선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 100-2, ... , 100-n : 지시신호 수신센서
110-1, 110-2, ... , 110-n : 신호레벨 검출부
130 : 지시좌표산출부 140 : 지시블록생성부
150 : 윈도우 선별부 160 : 비트맵 메모리
170 :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 180 : 비디오 프로세서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지시한 윈도우를 선별해내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 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TV를 통한 데이터 방송 시청시 화면상에 한 개의 윈도우만을 실행할 경우에는 리모콘의 방향키만으로도 충분히 해당 윈도우를 포커싱하여 그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나, 멀티-윈도우 환경에서는 그와 동일한 방법에 대한 적용이 어렵다.
즉, DTV화면상에 동시에 여러 개의 윈도우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사용자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윈도우를 선별할 수 있어야 하나 그러한 선별이 TV기반의 환경에서는 문제가 된다.
예컨대, DTV화면에 여러 개의 윈도우가 동시에 팝-온되고 특정 윈도우에 포커스를 주고자 하는 경우, 첫 번째 방법으로는 일반 PC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마우스를 이용한 포인팅 기술이 있으나 그러한 기술은 DTV환경에서 무리가 따르며, 두 번째 방법은 윈도우에 대한 포커스를 순차적으로 옮겨가는 것인데, 이러한 순차적인 방식은 포커싱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키 입력도 많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세 번째 방법은 리모콘에 새로운 키를 할당하거나 다른 키들과 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런 방식 역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멀티-윈도우 환경에서 위에서 언급한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윈도우로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개량된 장치 및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지시한 윈도우를 선별해내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화면상에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구해 이를 중심점으로 하는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이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선별해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되며 그를 통해 식별된 윈도우를 활성화(enable)시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각기 감지하는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
상기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에 각기 연결되어 해당 위치에서 감지한 윈도우 지시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하는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에서 각기 검출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 지시좌표산출부;
상기 지시좌표산출부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기설정된 M ×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는 지시블록생성부;
상기 지시블록생성부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는 윈도우선별부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그리고, 또 다른 발명으로, 화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각기 감지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 따라 화면 모서리 각각의 해당 위치에서 감지한 윈도우 지시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 따라 검출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기설정된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는, 화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각기 감지하는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100-1, 100-2, ... , 100-n)와, 상기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100-1, 100-2, ... , 100-n)에 각기 연결되어 해당 위치에서 감지한 윈도우 지시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하는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110-1, 110-2, ... , 110-n)와,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110-1, 110-2, ... , 110-n)에서 각기 검출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 지시좌표산출부(130)와, 상기 지시좌표산출부(130)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기설정된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는 지시블록생성부(140)와, 상기 지시블록생성부(140)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는 윈도우선별부(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과 연동적으로 동작하도록 윈도우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비트맵 메모리(160), 비트맵 메모리(160)에 저장된 윈도우 좌표값의 읽기/쓰기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지시 윈도우 선별부(150)에서 선별한 윈도우를 포커싱하는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170) 및 비디오 프로세서(180)가 추가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윈도우 선별장치에서, 우선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 소정의 수신센서(100-1, 100-2, ... , 100-n)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송출되어 화면의 특정 지점에 포인팅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해당되는 위치 각각에서 감지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수신센서(100-1, 100-2, ... , 100-n)에서 감지한 각각의 신호는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특정 지점과 각 수신센서(100-1, 100-2, ... , 100-n)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로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상이한 크기의 신호는 상기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100-1, 100-2, ... , 100-n)와 일대일로 각기 연결된 해당 신호레벨 검출부(110-1, 110-2, ... , 110-n)로 입력되고, 신호레벨 검출부들(110-1, 110-2, ... , 110-n) 각각은 이 입력된 신호의 크기나 세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대응되는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한다.
다음,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서 감지한 윈도우 신호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레벨 값이 검출되면, 지시좌표산출부(130)는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110-1, 110-2, ... , 110-n)에서 검출한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데, 상기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은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110-1, 110-2, ... , 110-n)에서 검출한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미리 설정된 연산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특정한 어느 하나의 값을 산출한 후, 그 특정 값에 대응되도록 레지스터 등에 기셋팅된 소정의 포인터 좌표를 독출함으로써 화면상에 포인팅된 신호의 지시좌표를 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지시블록생성부(140)는 상기 지시좌표산출부(130)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소정크기의 중심면을 설정한 후 기셋팅된 가로/세로 M ×N크 기로 스케일링시켜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윈도우선별부(150)는 상기 지시블록생성부(140)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하고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는, 화면상에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구해 이를 중심점으로 하는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이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선별해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되며 그를 통해 식별된 윈도우를 활성화(enable)시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윈도우 선별부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윈도우 선별부(150)는,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을 윈도우 비트맵을 저장하는 비트맵메모리(160)와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로(170)부터 수신하여 일시저장하는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151)와, 상기 지시블록생성부(140)로부터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받아 일시저장하는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152)와, 상기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151)에 저장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상기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152)에 저장된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연산하여 윈도우마다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153)와, 상기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153)에서 산출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오버랩 영역크기 비교부(154)와, 상기 오버랩 영역크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오버랩 영역이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택하는 윈도우 선택부(155)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윈도우 선별부에서,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151)는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을 윈도우 비트맵을 저장하는 비트맵메모리(160)와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170)로부터 수신하여 일시저장하고,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152)는 지시블록생성부로부터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받아 일시저장한다.
이런 상태에서,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153)는 상기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151)에 저장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상기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152)에 저장된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이용해 윈도우와 지시블록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해당 윈도우마다 산출하고, 오버랩 영역크기 비교부는 이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153)에서 산출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윈도우 선택부(155)는 그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에 따라 오버랩 영역이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택하여 그 결과를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170)로 전달하면,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170)는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그 선택된 윈도우를 포커싱하여 인에이블시키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랩 영역 크기 산출과 관련한 내용에 대해 도 3a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랩 영역 크기 산출양태는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 소정의 수신센서(300-1, 300-2, 300-3, 300-4)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송출되어 화면의 특정 지점(x)에 포인팅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해당되는 위치에서 각기 감지한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다수의 수신센서(300-1, 300-2, 300-3, 300-4)에서 감지한 각각의 신호는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특정 지점(x)과 각 수신센서와의 거리(D1, D2, D3, D4)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로 나타나며, 이러한 상이한 크기의 신호는 상기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300-1, 300-2, 300-3, 300-4)와 일대일로 각기 연결된 해당 신호레벨 검출부로 입력되고, 신호레벨 검출부들 각각은 이 입력된 신호의 크기나 세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대응되는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한다.
다음,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서 감지한 윈도우 신호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레벨 값이 검출되면, 검출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화면상의 좌표(x)를 산출하고,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소정크기의 중심면을 설정한 후 기셋팅된 가로/세로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지시블록을 생성한다.
그런 후, 마지막으로 멀티-윈도우(#1, #2)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상기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으로 윈도우(#1)와 지시블록의 오버랩 영역의 가로/세로 길 이를 산출하여 그 크기를 구하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모서리 좌표값으로 윈도우(#2)와 지시블록의 오버랩 영역의 가로/세로 길이를 산출하여 그 크기를 구한다음, 상호간에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오버랩 영역이 큰 윈도우(#1)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1, #2)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1)로 정확히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선별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선별방법은, 먼저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 소정의 수신센서가 윈도우 지시 리모콘 신호를 모니터링하다가(S400) 사용자 선택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송출되어 화면의 특정 지점에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되면(S401) 자신의 해당 위치에서 각기 감지한다(S402).
이 때, 상기 다수의 수신센서에서 감지한 각각의 신호는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특정 지점과 각 수신센서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로 나타나며, 이러한 상이한 크기의 신호는 그의 크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대응되는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각기 검출된다.
다음, 단계(S402)에서 화면의 모서리 각각에서 감지한 윈도우 신호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레벨 값이 검출되면, 검출된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포인팅된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데(S403), 상기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은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에서 검출한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미리 설정된 연산규칙 에 따라 조합하여 특정한 어느 하나의 값을 산출한 후, 그 특정 값에 대응되도록 레지스터 등에 기셋팅된 소정의 포인터 좌표를 독출함으로써 화면상에 포인팅된 신호의 지시좌표를 구한다.
계속해서, 단계(S403)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소정크기의 중심면을 설정한 후 기셋팅된 가로/세로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지시블록을 생성하고(S404),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윈도우의 유/무에 대해 판별한다.
단계(S405, S406)의 판별 결과, 단계(S405)에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윈도우가 있고, 또한 그것이 단일윈도우로 판별된 경우(S406)에는 단계(S411)로 진행하여 바로 그 단일윈도우가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로 설정하여 단계(S412)에 따라 설정된 윈도우를 활성화한다.
반면에, 단계(S405)에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윈도우가 있고, 또한 그러한 윈도우가 다수개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S406)에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단계(S404)에서 생성된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이용해 윈도우와 지시블록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해당 윈도우마다 산출하고(S408), 산출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여(S409) 이 중에서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해(S411) 활성화하게 된다(S4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방법은, 화면상에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구해 이를 중심점으로 하는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이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선별해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해 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은, 화면상에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구해 이를 중심점으로 하는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고 이 지시블록과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멀티-윈도우 각각의 오버랩 영역 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여 오버랩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선별해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되며 그를 통해 식별된 윈도우를 활성화(enable)시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화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각기 감지하는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
    상기 다수의 지시신호 수신센서에 각기 연결되어 해당 위치에서 감지한 윈도우 지시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하는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다수의 신호레벨 검출부에서 각기 검출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 지시좌표산출부;
    상기 지시좌표산출부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소정의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지시블록을 생성하는 지시블록생성부;
    상기 지시블록생성부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는 윈도우선별부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선별부는;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을 윈도우 비트맵을 저장하는 비트맵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수신 하여 일시저장하는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
    상기 지시블록생성부로부터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받아 일시저장하는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
    상기 윈도우 좌표값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상기 지시블록 좌표값 저장부에 저장된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연산하여 윈도우마다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
    상기 오버랩 영역크기 산출부에서 산출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오버랩 영역크기 비교부;
    상기 오버랩 영역크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오버랩 영역이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택하는 윈도우 선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3. 화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윈도우 지시신호를 각기 감지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 따라 화면 모서리 각각의 해당 위치에서 감지한 윈도우 지시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디지털신호레벨 값을 각기 검출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 따라 검출한 디지털신호레벨 값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시좌표산출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윈도우 지시신호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산출한 지시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기설정된 M ×N크기로 스케일링시켜 소정의 지시블록을 생성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에서 생성한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별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화면상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을 윈도우 비트맵을 저장하는 비트맵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일시저장하는 제5-1과정;
    상기 제5-1과정과는 별도로 지시블록생성부로부터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받아 일시저장하는 제5-2과정;
    상기 제5-1과정에서 저장한 멀티-윈도우 각각의 모서리 좌표값과 상기 제5-2과정에서 저장한 지시블록의 모서리 좌표값을 연산하여 윈도우마다 지시블록과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제5-3과정;
    상기 제5-3과정에서 산출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5-4과정;
    상기 제5-4과정의 비교 결과, 오버랩 영역이 가장 큰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된 멀티-윈도우 중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윈도우로 선택하는 제5-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방법.
KR1020040054913A 2004-07-14 2004-07-14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KR10100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13A KR101005980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13A KR101005980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11A KR20060005911A (ko) 2006-01-18
KR101005980B1 true KR101005980B1 (ko) 2011-01-05

Family

ID=3711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13A KR101005980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122A (ja) * 1990-12-12 1992-08-05 Fujitsu Ltd 表示処理装置
KR970049399A (ko) * 1995-12-29 1997-07-29 김주용 레이저 포인팅 장치
KR970049398A (ko) * 1995-12-29 1997-07-29 김주용 레이저광을 이용한 스크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5211A (ko) * 2002-01-31 2003-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입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122A (ja) * 1990-12-12 1992-08-05 Fujitsu Ltd 表示処理装置
KR970049399A (ko) * 1995-12-29 1997-07-29 김주용 레이저 포인팅 장치
KR970049398A (ko) * 1995-12-29 1997-07-29 김주용 레이저광을 이용한 스크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5211A (ko) * 2002-01-31 2003-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입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11A (ko)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7986A1 (en) Image display system
EP09981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tems in an on-screen menu
EP1681858A2 (en) Multi-scree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002452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creen
US20060007115A1 (en) Display device for presentation
US82536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icons in response to hot-key input
EP13564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 point of interest of an object in front of a computer controllable display captured by an imaging device
US20130169688A1 (en) System for enlarging buttons on the touch screen
EP0474234A2 (en) Scroll control system
WO2010116467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00598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자지시 윈도우 선별장치 및 그 방법
JP2000242257A5 (ko)
JP2009151501A (ja) 文書送信装置及び文書送信プログラム、文書受信装置及び文書受信プログラム、並びに文書表示システム
JP6876532B2 (ja) 波形表示装置
JPH05127856A (ja) マルチ画像表示装置
JP4611169B2 (ja) リモコン入力システム
US20050146515A1 (en) Object selection method and a related object selection device
CN110968210A (zh) 切换装置与切换系统及其适用的方法
KR20070028148A (ko) 컴퓨터 및 컴퓨터시스템
KR1007203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H08272526A (ja) 入力座標値修正装置
KR100697425B1 (ko) 영상표시방법 및 기기
KR100194219B1 (ko) 멀티화면분할 아이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70095119A (ko) 원격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090068B1 (ko) 회전검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디스플레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