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902B1 -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902B1
KR101005902B1 KR1020040030155A KR20040030155A KR101005902B1 KR 101005902 B1 KR101005902 B1 KR 101005902B1 KR 1020040030155 A KR1020040030155 A KR 1020040030155A KR 20040030155 A KR20040030155 A KR 20040030155A KR 101005902 B1 KR101005902 B1 KR 10100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mma
gamma voltage
corre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757A (ko
Inventor
정병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0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감마전압을 출력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그 구동 드라이버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감마전압의 출력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버퍼 블록을 내장함으로써 구현되는데, 대형화된 패널의 급격한 화면 패턴 변화에 의한 기준전압입력단의 전력 변동이 민감하게 반응되어 감마전압이 왜곡되는 현상에 의한 수평 크로스토크를 제거하여 안정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과 아울러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구현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 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Gamm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and the driving IC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LCD 구동 감마전압 발생회로를 등가 도시한 도면
도 3은 패널의 급격한 패턴 변화에 따른 수평 크로스토크 발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감마전압조정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발생회로를 이용한 액정구동 컬럼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7의 보정감마전압의 출력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감마전압 발생회로 GMA : 감마전압
11 : 기준전압입력단 12 : 보정감마출력부
N(1)~N(n) : 감마전압출력단 R1~Rn : 분배저항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감마전압을 출력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 구동 IC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FT-LCD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TFT-LCD의 기판 위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이 게이트라인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형성되며, 이들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하나의 화소를 규정한다. 각 화소의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TFT가 형성된다.
이러한 TFT-LCD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게이트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구동하는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TFT의 소스 단에 인가될 데이터 전압을 데이 터 선을 통해 인가한다. 이때, TFT에 형성된 화소에 방향의 전계가 계속해서 인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전압을 매 프레임마다 공통 전압에 대해 극성이 반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TFT-LCD 구동 방식을 반전 구동 방식이라 한다.
도 1은 통상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액정 셀들이 두장의 투명기판들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m)에 접속되어진 게이트 드라이버(6)와, 액정패널(2)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n)에 접속되어진 데이터 드라이버(4) 및 데이터 드라이버(4)에 접속되어진 감마전압발생부(8)를 구비한다. 상기 감마전압발생부(8)는 통상 상기 데이터드라이버(4)에 포함되어 구성되기도 한다.
도 2는 전원 전압에 따라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종래의 감마전압 발생회로를 등가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감마전압 발생회로는 전원 전압(VBB)을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전압(VBB)에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R1, ... , R5)과, 상기 다수의 저항들 사이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단이 반전 입력 단자(-)로 피드백(Feedback)되어 다수의 구동 전압(GMA1, ... , GMA4)을 출력하는 다수의 OP 앰프(Operational Amplifier: OP1, ... , OP4)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2에서는 4 개의 구동 전압(GMA1, ... , GMA4)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VBB)을 8 볼트라고 가정하고, 제 1 내지 제 4 구동 전압(GMA1, ... , GMA4)을 각각 7 볼트, 5 볼트, 3 볼트, 1 볼트의 값으로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값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에서 다수의 저항(R1, ... , R5)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2 mA의 값을 가지도록 하려면, 전체 저항 RT = R1 + R2 + R3 + R4 + R5 = 8 V/2 mA = 4 ㏀의 값이 되어야 한다. 이 때, 제 1 구동 전압(GMA1)은
GMA1 =
Figure 112004018172377-pat00001
= 7 V이 된다.
상기에서, 제 1 내지 제 4 OP 앰프(OP1, ... , OP4)는 입력단의 전압을 그대로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의 역할을 한다.
이 때, R1 + R2 + R3 + R4 + R5 = 4 ㏀이기 때문에, R2 + R3 + R4 + R5 = 3.5 ㏀이 된다. 따라서, 저항 R1의 값은 4 ㏀ - 3.5 ㏀ = 0.5 ㏀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제 2 구동 전압(GMA2)은
GMA2 =
Figure 112004018172377-pat00002
= 5 V가 된다.
이 때, R1 + R2 + R3 + R4 + R5 = RT = 4 ㏀이기 때문에, R3 + R4 + R5 = 2.5 ㏀이 되고, 저항 R2의 값은 R2 = 3.5 ㏀ - 2.5 ㏀ = 1 ㏀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3 내지 제 5 저항값을 구해보면, 각각 R3 = R4 = 1 ㏀, R5 = 0.5 ㏀이 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BB)에 직렬로 연결된 각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LCD 모듈 구동 감마전압을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저항과 다수개의 버퍼로 구성되어 데이터 드라이버 내에 구성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는 고정된 저항에 의해 분배된 감마전압에 따라 비 디오 데이터의 계조를 표현하게 되며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교체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전압 발생을 위한 감마전압은 입력되는 전원전압(VBB)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전원전압의 변동에 따라 왜곡되어 출력될 가능성이 크다.
예로써 도 3의 패널 출력패턴을 보면, 데이터 드라이버의 일 채널에서 1 버티컬 구간에 급격한 패널 로드의 변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압과 전류가 고정된 파워(이하 전력)를 공급받아 감마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패널 구동 전압의 변동에 의해 전압 리플(ripple)과 함께 전류가 요동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수평 크로스토크(crosstalk)와 같은 화상변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 전력의 변동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감마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그 구동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전압의 변동에도 안정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구동 드라이버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감마전압 생성을 위한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기준전압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과; 상기 각 분배저항을 통해 생성된 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과; 상기 각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에 공급된 패널 감마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으로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다수의 보정감마출력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를 제안한다.
이울러 본 발명은, 구동 클럭을 입력받아 래치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와;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래치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래치부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감마전압 생성을 위한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기준전압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과, 상기 각 분배저항을 통해 생성된 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과, 상기 각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에 공급된 패널 감마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으로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다수의 보정감마출력부를 포함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상기 래치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따라 상기 감마전압을 선택하여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D/A변환부와; 상기 신호전압을 상기 액정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구동드라이버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 감마전압의 전압차를 구하는 전압비교부와, 상기 전압차를 판별하는 비교결과판별부와,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전압을 출력하는 보정전압출력부와, 상기 보정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을 이용해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보정감마전압출력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비교부의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 비교시간은 최소 1 수직동기 또는 1 수평동기 주기 동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특징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구동방법으로서, 기준전압입력단으로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을 이용해 기준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으로 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로 출력된 패널감마전압이 보정감마출력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로부터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을 비교하여 보정이 필요할 경우 전류량이 보정된 보정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구동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보정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단계로,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의 전압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차와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전류량이 보정된 보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이용한 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감마전압 발생회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준전압입력단(11)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최초감마전압{GMA(1), GMA(2),..., GMA(n)}의 생성을 위한 기준전압(VBB)이 입력된다.
감마전압출력단{N(1), N(2),...N(n)}은 상기 기준전압입력단(11)에 시리얼하게 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R1, R2,..., Rn)을 통해 전압 분배된 최초 감마전압{GMA(1), GMA(2),..., GMA(n)}이 출력된다.
보정감마출력부(12)는 상기 각 분배저항(R1, R2,..., Rn)을 통해 생성되어 각 감마전압출력단{N(1), N(2),...N(n)}으로 출력되는 최초감마전압{GMA(1), GMA(2),..., GMA(n)}과, 액정패널(미도시)에 인가된 패널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각각 비교하여 출력, 바람직하게는 전류량이 조정된 새로운 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보정감마출력부(12)의 내부 구성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임의의 S번째 감마전압에 대해 전압비교부(12a)는 감마전압출력단 {N(S)}로 출력된 최초감마전압{GMA(S)}과 액정패널에 인가된 패널감마전압{GMA(S)'}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전압비교부(12a)는 비교기 회로이며, 각 감마전압에 대한 비교 시간은 최소 1 수직동기시간 또는 1 수평동기시간이다.
비교결과판별부(12b)는 상기 전압비교부(12a)의 비교 결과에 따른 두 감마전압간의 전압차에 대해 감마의 출력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즉, 임의의 기준값(전압)을 설정하고 임의로 설정된 시간동안의 비교 전압차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기준전압입력단(11)으로 입력된 전원의 전압리플과 이에 따른 불안정한 전류가 공급된 것으로 판단한다.
보정전압출력부(12c)는 상기 비교결과판별부(12b)에서의 기준치 초과 판별이 있을 경우, 전류량을 변화시킨 보정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가변되는 전류량은 감마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정전압출력부(12c)의 사용 전원은 상기 기준전원입력단(11)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회로 구성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보정감마전압출력부(12d)는 상기 보정전압출력부(12c)에서 전류량이 가변되어 출력된 보정전압을 전압원으로 하여 상기 패널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보정하여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한다. 즉 종래에 기준전입입력단(11)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변동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여 감마전압을 재출력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분배저항에 의해 생성된 최초감마전압(GMA)과 액정패널에 인가된 실제 패널구동 감마전압(GMA')을 일정시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크로스 토크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전압차를 가질 때, 즉, 급격한 패널의 화면 패턴변화에 의해 기준전압입력단(11)에서 불안정한 전압과 전류가 공급될 때, 이를 감지하고 보정한 별도의 감마전압을 제공해 줌으로써 크로스토크와 같은 화상 왜곡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감마전압 발생회로(10)를 이용한 액정패널구동 컬럼 드라이버(100)의 구성을 간략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쉬프트레지스터(20)는 타이밍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클럭을 입력받으며,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래치부(30)의 래치제어를 위한 래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DAC 변환부(40)는 상기 래치부(30)로부터 저장된 디지털 비디어 신호와 본 발명의 감마전압 발생회로(10)의 출력 감마전압을 이용해 액정패널(미도시)로 출력될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선택한 후 출력버퍼(50)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 도 7의 흐름도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구성을 통해 그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고정된 전력에 의한 전류값과 기준전압(VBB)이 기준전압입력단으로 입력된다.(S1)
상기 입력된 기준전압(VBB)은 다수의 분배저항(R1,R2,..,Rn)을 통해 분배되어 각 감마전압출력단{N(1), N(2),..., N(n)}으로 최초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출력한다.(S2)
상기 감마전압출력단{N(1), N(2),..., N(n)}으로 출력된 최초 감마전압{GMA(1), GMA(2),..., GMA(n)}은 상기 래치부(3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40)에서 선택되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출력버퍼(50)를 통해 액정패널 측에 패널감마전압{GMA(1)', GMA(2)',..., GMA(n)'}으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임의의 시간(1 수평동기주기 또는 1 수직동기주기) 이후에 상기 보정감마출력부(12)는 액정패널로 출력된 비디오 신호인 패널감마전압(GMA')과 상기 감마전압출력단{N(1), N(2),..., N(n)}에서 출력된 최초감마전압(GMA)을 입력받는다.(S3)
상기 두 감마전압(GMA)(GMA')을 입력받은 보정감마출력부(12)는 두 전압을 비교하여 전압차를 구하고, 상기 도출된 전압차에 대해 보정을 수행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보정이 필요한 경우 전류량이 가변되어 보정된 감마전압(보정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생성하여 감마전압출력단{N(1), N(2),..., N(n)}으로 출력한다.(S4)
여기서 상기 단계(S4)의 상세 과정은 도 8과 같다.
상기 보정감마출력부(12)는 전압비교부(12a)로 최초감마전압(GMA)과 패널감마전압(GMA')을 입력받아 두 전압간의 차를 구한다. (S4-1)
상기 도출된 전압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비교결과판별부(12b)는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S4-2), 설정된 기준값(전압)을 넘지 않을 경우 감마전압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설정된 기준값를 초과할 경우 보정전압출력부(12c)를 통해 전류량이 가변된 보정전압을 출력하고(S4-3), 이후 보정감마전압출력부(12d)에서 상기 출력된 보정전압을 기준으로 패널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이용하여 전류량이 보정된 보정감마전압{GMA(1)", GMA(2)",..., GMA(n)"}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4-4)
여기서, 상기 보정감마출력부(12)는 액정패널로 출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패널감마전압(GMA')과 상기 감마전압출력단{N(1), N(2),..., N(n)}에서 출력된 최초 감마전압(GMA)의 비교를 액정패널 구동의 최소 1 수평동기주기 또는 1 수직동기 주기마다 수행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시간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발생회로는 대형화된 패널의 급격한 화면 패턴 변화에 의한 기준전압입력단의 전력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감마전압이 왜곡되는 현상을 보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마전압의 왜곡으로 인해 대형 패널에 주로 발생하는 수평 크로스토크를 제거할 수 있어 안정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감마전압 생성을 위한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기준전압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과;
    상기 각 분배저항을 통해 생성된 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과;
    상기 각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에 공급된 패널 감마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으로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다수의 보정감마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 감마전압의 전압차를 구하는 전압비교부와, 상기 전압차를 판별하는 비교결과판별부와,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전압을 출력하는 보정전압출력부와, 상기 보정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을 이용해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보정감마전압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
  2. 삭제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비교부의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 비교시간은 최소 1 수직동기 또는 1 수평동기 주기 동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
  5. 구동 클럭을 입력받아 래치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와;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래치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래치부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감마전압 생성을 위한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기준전압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과, 상기 각 분배저항을 통해 생성된 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과, 상기 각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에 공급된 패널 감마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으로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다수의 보정감마출력부를 포함하는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상기 래치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따라 상기 감마전압을 선택하여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D/A변환부와;
    상기 신호전압을 상기 액정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
    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 감마전압의 전압차를 구하는 전압비교부와, 상기 전압차를 판별하는 비교결과판별부와,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된 보정전압을 출력하는 보정전압출력부와, 상기 보정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을 이용해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보정감마전압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용 구동드라이버
  6. 삭제
  7. 청구항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비교부의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 비교시간은 최소 1 수직동기 또는 1 수평동기 주기 동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구동 드라이버
  8. 청구항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는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구동 드라이버
  9. 기준전압입력단으로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기준전압입력단에 직렬연결된 다수의 분배저항을 이용해 기준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감마전압출력단으로 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마전압출력단에서 출력된 감마전압과 액정패널로 출력된 패널감마전압이 보정감마출력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감마출력부로부터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을 비교하여 보정이 필요할 경우 전류량이 보정된 보정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감마전압이 출력되는 단계로,
    상기 감마전압과 패널감마전압의 전압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차와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전류량이 보정된 보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보정감마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의 구동방법
  10. 삭제
KR1020040030155A 2004-04-29 2004-04-29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KR10100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55A KR101005902B1 (ko) 2004-04-29 2004-04-29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55A KR101005902B1 (ko) 2004-04-29 2004-04-29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57A KR20050104757A (ko) 2005-11-03
KR101005902B1 true KR101005902B1 (ko) 2011-01-06

Family

ID=3728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155A KR101005902B1 (ko) 2004-04-29 2004-04-29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44B2 (en) 2014-01-06 2016-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related control method, and related controller
US11004400B2 (en) 2019-05-17 2021-05-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ensating for horizontal crosstal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2396B (zh) * 2016-03-04 2018-08-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灰阶电压校准装置、系统、方法及显示装置
CN112086047A (zh) * 2020-08-18 2020-12-15 中科泓泰电子有限公司 一种低功率液晶屏Gamma高阻抗测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73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오차 보상 기능을 갖는 계조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액정 표시 장치
JP2003044019A (ja) * 2001-04-17 2003-02-1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73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오차 보상 기능을 갖는 계조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액정 표시 장치
JP2003044019A (ja) * 2001-04-17 2003-02-1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44B2 (en) 2014-01-06 2016-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related control method, and related controller
US11004400B2 (en) 2019-05-17 2021-05-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ensating for horizontal crossta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57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0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636979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017629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98226B1 (ko)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US20050012700A1 (en) Gamma correction circuit, liquid crystal driving circuit, display and power supply circuit
US5854627A (en) TF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grayscale voltage 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resistive strings
KR20050112953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840331B1 (ko) 공통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35621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4373914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KR10100590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감마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채용한구동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
US679814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7086153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5556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공통 전압 보상방법
KR101336633B1 (ko) 감마기준전압 생성회로
KR2006011658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1509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4558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2526019B1 (ko) 표시장치
JPH0919801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113852A (ko) 프로그래머블 감마전압발생부를 내장한 소스 드라이버와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95634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2658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97512B1 (ko) 하프 감마 구동용 액정표시장치
KR10100644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