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847B1 -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 Google Patents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847B1
KR101005847B1 KR1020090065098A KR20090065098A KR101005847B1 KR 101005847 B1 KR101005847 B1 KR 101005847B1 KR 1020090065098 A KR1020090065098 A KR 1020090065098A KR 20090065098 A KR20090065098 A KR 20090065098A KR 101005847 B1 KR101005847 B1 KR 10100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sound
cap holder
pad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수 오
민 숙 정
Original Assignee
민 숙 정
현 수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숙 정, 현 수 오 filed Critical 민 숙 정
Priority to KR102009006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847B1/ko
Priority to PCT/KR2010/004639 priority patent/WO201100804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847B1/ko
Priority to US13/384,041 priority patent/US201201747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관악기의 공명을 강화하고 사운드를 창조하고 조절할 수 있는 공명 강화방법 및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통전매체를 개별물질로 또는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고체실리콘과 교반하여 단일의 혼합물로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혼합물을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목관악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울림현상 즉 공명이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목관악기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되는 혼합물은 백금,금,은,동,니켈 청동,황동,인청동 등으로 구성된 통전매체와 고체실리콘을 혼합교반한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한 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응고된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을 약 3g의 크기로 분쇄하여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하되, 상기 혼합물의 결합방식은 목관악기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패드와 결합되어지는 캡홀더의 내부에 상기 혼합물을 내장하는 방법과, 상기 캡홀더와 결합되는 패드의 일측면에 혼합물을 도포한 후 상기 패드를 캡홀더 내부에 결합하는 방법과, 상기 캡홀더의 내부면에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을 먼저 도금한 후 상기 캡홀더와 패드 사이에 혼합물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는 발생단계에서 초당 진동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줌으로써 반복적인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주어 목관악기의 공명을 우수하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연습과 연주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목관악기를 사용함으로서 선명한 음색, 풍부한 음량,다이나믹한 음고(음의 높낮이 연출-여린 음은 더욱 여리게 강한 음은 더욱 강하게),여음이 있는 음가(음의 지속시간)를 표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진동의 주기성이 높은 악기는 보다 더 아름다운 소리가 나온다.
따라서 이 기술을 통해 음질이 우수한 악기를 대량생산 가능하며 기존의 음질이 낮은 저가의 악기도 음질이 우수한 소리로 변화시켜 연출 가능한 효과가 제공되고, 상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사운드가 연출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또 명기라고 불리우는 기존 좋은 악기도 음질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 보충하여 한층 더 우수한 음질을 나오게 할 수 있다. 음질이 좋은 악기라도 공명 강화 시공이 된다면 원래보다 음질이 더 좋아질 수 있다.
또한, 기본 재질과 더불어 음질을 세밀하게 다루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기술로서 전세계 연주인과 음악인에게 희소식이며, 음악을 배우는 돈이 없는 학생들도 저렴한 돈으로 이상적 사운드가 나오는 악기를 새로 작업해서 만들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음질이 우수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한편,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진동강도를 조절하여 기존의 소리를 보다 더 아름답게 유지 강화시키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새로운 소리를 창조하거나 또 는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음질의 부분별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목관악기의 소리의 기존 증폭을 더욱 증폭할 수 있도록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더 아름다운 소리를 연출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목관악기는 색소폰,플룻,클라리넷,오보에,바순등이 포함된다.
목관악기, 캡홀더, 혼합물, 통전매체, 패드

Description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Method of wood-wind instrument having resonance strengthen and wood-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목관악기의 음질을 수준높게 만들며 공명을 강화하는 방법 및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드를 통하여 외부로 소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패드를 통하여 소리의 울림현상이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우수한 공명이 발생가능한 고음질 목관악기 제작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목관악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캡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의 내측으로 패드가 결합되어져 상기 패드를 진동시켜줌으로서 상기 목관악기의 공명이 제공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공명이 우수한 목관악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 중 캡홀더에 통전매체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통전매체에 의하여 목관악기로부터 보다 우수한 공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명이 강화되기 위하여 결합되는 통전매체는 주로 백금,금이나 은 또는 동이나 니켈,청동,황동,인청동 등으로 구성되어져 상기 소재를 개별로 또 는 둘 이상 혼합하여 캡홀더 내부에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전매체는 주로 선이나 판 또는 분말형태로 제공함으로서 상기 통전매체를 통한 우수한 공명강화가 실시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목관악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는 공기의 진동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전달을 이용하는 소리를 통한 음악은 소리의 예술이며 음악적 소리와 모든 소리는 공기의 진동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목관악기는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조절체이며 진동의 효과를 이용하여 음악적소리로 변화시키는 도구이다. 즉, 연주 음악도 공기중의 진동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연주는 악기를 이용한 진동현상을 공기라는 매질을 통해 청각기관을 통해 듣는 물리적 현상이다.
상기와 같이 진동을 소리로 변화시키고 연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음악적 소리의 근원 및 연주의 근원은 호흡에 의한 진동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상기 진동을 조절하는 기술이 음악적 도구, 악기를 조절하는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리를 내는 것은 공기압력에 변화를 주며 이런 변화가 공기밀도에 변화를 주어 공기입자들이 움직이게 되어 이러한 진동이 사람의 청각기관에 전달될 때 소리라고 하며 악기를 통해 연주되어 움직인 공기의 진동을 음악적 소리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소리는 시간적으로 보면 발생-전파-소멸의 3단계를 거치는 것으로서 목관악기 연주인의 시각에서 보면 소리 발생의 3단계 중 소리의 발생단계가 중요한 것이다.
상기 소리의 근원은 연주자 호흡이고 그래서 연주인의 호흡이 연주에서 중요하며 그 호흡을 목관악기 내부에서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발생시키고 음악적 소리로 만들어 주기 위해 음량을 증폭시키는 기술, 음가(여음시간)를 늘려주는 기술, 그 호흡을 이용해 여린음부터 높은음까지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도록 다이내믹 레인지를 넓여주는 기술 등이, 목관악기에서 음색을 아름답고 고급스럽게 만드는 기술로 음질수준을 높이는 기술이 중요한 이유이다.
색소폰, 플롯,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 목관악기, 성대, 바이올린의 현 등에 의한 진동 즉 공기 흐름의 진동은 자려진동이다. 진동체의 진동을 유지하도록 끊임없이 에너지가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나, 진동체와 그 주위 조건의 상호작용에 의해 주기나 진폭이 스스로 결정된다. 또 자연 상태에서 진동이 소멸되는 감쇠진동이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관악기 연주자의 호흡만으로는 충분한 진동을 일으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통전매체를 음향판 역할을 하는 부분에 넣어 진동의 주기성을 강화하여 사운드를 창조하고 조절하는 신기술로 음질을 수준 높게 창조하고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명(共鳴) 또는 공진(共振)이란 어떤 물체의 진동에너지가 다른 물체에 흡수되어 그 물체가 진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전달이 용이하다. 공명은 진동 에너지의 전달을 통해 진동이 옮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원래 진동 에너지의 진동수와 진동 에너지를 받는 물체의 고유 진동수가 가까우면 더 큰 공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연주자의 호흡과 악기자체만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의 부족한 점을 통전매체의 에너지를 악기 본체에 전달하여 본체 자체만의 진동에너지의 부족함을 채우고 진동을 극대화해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고 음질의 밸런스를 갖추고 수준 높은 음질이 나도록 만들며 연주자의 연주가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악기 연주는 진동을 조절하여 예술적 소리로 변화시키고 이 진동을 예술적 소리로 표현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며 소리는 진동을 강화시키면 울림이 좋아지고 이 울림을 예술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훌륭한 연주인 것이다.
즉, 진동을 보다 더 강하고 주기성이 있도록 만들면 좋은 음악적 소리를 낼 수가 있고 증폭분야에 해당하는 부분에 통전매체를 직접적 연결하여 공명효과를 일으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음향과 음량증폭에 해당하는 핵심적 부분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면 보다 더 강한 진동을 낼 수 있으며 보다 더 좋은 음악적 연주를 할 수 있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악기의 반응도를 높여 음이탈현상을 완화하고 일반 연주자가 내기 어려운 3옥타브 솔, 저음 레 등을 쉽게 낼 수 있다. 또 여음이 좋아 음과 음들의 연결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상기와 같은 좋은 음악적 연주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량을 증폭하고 음색을 변화시키며 음가(음의 잔향시간) 음고가 잘 표현될 수 있으려면 진동의 주기성이 높아야하고 진동을 증폭하는 핵심적 부분이 증폭을 담당하는 목관악기의 패드캡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에 통전매체 혼합물을 넣어 직접적 연결효과를 강화해 공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진동의 주기성을 높임으로써 음량을 키우고, 음가를 늘리고, 음고를 잘 표현할 수 있고 통전매체의 구성에 따라 음색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를 통해 마이크와 앰프를 연결한 것처럼 음량을 증폭하고 믹서의 에코리버브 기능을 통해 여음시간을 설정하는 것처럼 악기 자체내에서 에코 효과가 잘 살도록 여음시간을 늘릴 수 있고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녹음시에 연주자는 악기자체에서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앰프 믹서 마이크 등 음향전자장비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아날로그 상태의 라이브 연주음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악기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본질적으로 중요하고 이런 이유 때문에 전문연주가들이 연주회에서 음질이 좋은 고가의 명기를 사용하기를 선호하고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명기라고 말하는 좋은 악기는 음질이 좋고 음색이 좋고 음량이 풍부하며 여음, 공명이 좋은 악기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울림이 좋은 악기는 진동의 주기성이 규칙적인 악기를 말하며 즉 진동의 주기성이 규칙적이고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를 명기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악기에서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는 방법이 명기를 만드는 핵심적 원리이며 연구의 중요주제이다.
이에 더하여 음색을 창조하고 조절하는 방법이 중요한 것이다.
음색은 지금까지는 악기의 재질에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물론 악기의 재질은 기본적인 문제이지만 악기의 재질뿐만 음향판 역할을 하는 부분에 어떤 통전매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는 것이다. 보다 더 직접적으로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음색의 스타일을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시원한 음색, 진지한 음색, 시원하면서 진지한 음색, 밝은 음색, 어두운 음색 여러 가지로 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주기적인 소리는 음악적 소리이고 타악기를 제외한 비주기적 소리는 소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타악기를 제외한 악기는 소리의 음고(음의 높낮이)를 이용해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며 타악기를 제외한 음고(음의 높낮이)를 가진 악기는 주기적인 진동을 가지고 있고 이 주기적인 진동을 음악적으로 이용하여 소리를 내고 소리를 조절하여 음악적 소리와 연주로 표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공명강화를 통해 음량을 증폭할 수 있고 음색이 좋고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를 만드는 기술이며 이른바 명기의 사운드 또는 명기 이상의 가치가 나는 사운드를 만드는 기술이며 목관악기의 사운드를 창조하고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써 간단히 표현하면 진동의 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을 통전매체의 종류와 양에 따라 조절하여 음질이 좋은 목관 악기를 만드는 기술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음악의 소리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음악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부터 비롯되며, 그렇기 때문에 음향 전문가들은 음악을 공기 속에서 일어나는 진동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리를 낸다."라는 것은 그 음원과 그 주위의 공기에 압력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며, 이러한 자극은 주변 공기의 밀도에 변화를 일으켜 공기의 입자들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은 점차 그 주위의 공기를 통해 퍼져나가고 마침내 이러한 인간의 청각기관에 의한 이러한 진동이 감지되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소리"라고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언급되는 진동은 크게 음향학적 용어를 사용하자면 "주기성"(periodicity)을 가지고 있는 소리와 비주기적(aperiodic) 소리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동이 주기성을 가진다는 것은 진동이 똑같게 규칙적으로 반복된다는 뜻이다. 이런 진동에서 나오는 음을 악음이라고 표현한다. 악음과 비악음의 구별은 진동이 규칙적이고 순조롭게 나는 것이 기준이 된다. 악음은 진동의 주기성이 높을 때 악음이라고 부를 수 있는 소리가 나온다.
비주기적인 소리는 일정한 음높이를 가지지 않는다. 악음과 소음의 음향학적 구별은 진동의 주기성에 의해서만 나누어질 수 있다.
타악기는 비주기적 진동에 의한 소리이고 음고(음의 높낮이)를 갖지 않으며 현악기, 관악기 등은 주기적 진동에 의한 소리이며 음고(음의 높낮이)를 갖는다.
이때, 어떤 진동이 주기성을 갖는다는 것은 같은 형태의 진동이 계속적으로 규칙적으로 반복된다는 뜻이다.
상기와 같이 연주하는 사람이 계속적으로 완전히 똑같은 힘을 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간이 연주하는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은 주기마다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으며 연습을 거듭함으로써 변화의 폭을 줄이고 어느 정도 일정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악기나 목관악기 연주자들은 이를 위하여 수많은 연습을 한다.
그러나 진동의 주기성이 높은 악기를 만들면 연주자가 보다 더 쉽게 일정하고 안정적인 소리를 낼 수가 있어 연주자가 연습시간을 줄일 수가 있고 보다 더 빨리 수준 높은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며 진동의 주기성이 높은 악기는 연주자가 원하는대로 악기가 쉽게 반응하고 연주자의 의도대로 각 부분음(저음,중음,고음)이 잘 나오고 음질이 선명하고 음질이 우수한 악기를 제작할 수 있는 원천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이며 명기의 기본조건을 갖춘 악기라 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악기의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면 음고(음의 높낮이)는 저음부터 고음까지 잘 표현되도록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게 되며 음량은 풍부하게, 음가(음의 시간)는 여음시간이 충분하고 길게 음색은 부드럽고 선명하고 맑게 변화될 수 있으며, 진동의 주기성은 통전매체를 음향판 역할을 하는 내부에 반드시 직접적으로 긴밀하게 결합시공함으로써 공명효과를 강화하고 진동의 주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통전매체를 음향판 역할을 하는 '내부'에 '긴밀하게' 시공해야한다는 점이다. 음향판 내부(캡홀더내측)에 사용해야만 악기의 공명효과를 높이고 음질을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공명효과는 두 매체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을 때에 공명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외부에 사용하면 공명효과가 약해 악기의 여러 가지 음질(음고,음가,음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류되는 목관악기는 일반인들이 쉽게 연주하기 난해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목관악기 제작 기술은 전체적인 외형을 제작하여 전체적 소리는 만들지만 부분 부분적으로 음고(음의 높낮이) 음량(음의 강약) 음가(음의 여음 시간) 음색(음의 색채) 등 음질을 섬세하게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였다.
그로 인하여 기존 목관악기에서는 여음과 잔향이 적고 음폭이 좁고 여린 음부터 강한 음을 낼 수 있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고 음량이 적고 음이 깨끗하지 않고 탁한 단점들이 나타난 것이다.
또한,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 음역대는 잘나고 특정 음역대는 잘 안나오고 음질의 밸런스가 안맞는 단점과 음이 거칠고 부드럽지 않으며 잡소리가 있고 음량이 적으며,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부분이 소리가 잘 나오지 않아 연주자의 의도대로 빨리 반응하지 않고 소리가 정확하게 나지 않는 단점과 여음과 잔향이 부족하여 청중이 듣기에 음이 딱딱하고 연주자의 연주시 연주인이 호흡시 호흡이 답답하고 힘들고 감정표현이 힘든 것이다. 진동의 주기성과 통전매체의 성질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는 음량, 음가, 음고, 음색 4가지이다.
음고는 "높고 낮음"으로, 음량은 "크고 작음", 음가는 "길고 짧음"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반면에 음색을 측정하는 기준은 단순하지 않고 소리의 속성 중 음색은 특별히 본질적으로 "다차원적(multi-dimensional)"인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음색을 정의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이다. 밝은 소리, 어두운 소리, 밝으면서 진지한 소리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스타일의 소리가 연출가능하다.
이 기술적 방법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목관악기의 4가지 변화는 음고는 높고 낮음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잘 표현되며 음량은 풍부하고 충분하게 음가는 충분한 에코가 발생하여 여음이 나도록 음색은 깨끗하고 선명하며 아름답도록 연출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소리는 공기중의 진동이고 음악도 공기중의 진동현상이다.
진동에 의한 소리의 종류는 진동이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주기성을 가지는 소리와 진동이 불규칙한 비주기적 소리로 분류할 수 있다.
진동의 주기성이 있는 소리는 음고(음의 높낮이)가 있고 비주기적인 소리는 일정한 음고가 없습니다. 관악기 현악기 등은 진동의 주기성을 가지고 있고 타악기는 비주기성을 가지고 있다.
악기는 진동현상을 조절하여 아름다운 소리로 연주로 표현한다. 악기는 진동의 조절체이며 악기는 진동이 충분하게 일어나는 악기를 좋은 악기라고 할 수 있고 또 진동의 조절이 잘되는 악기가 좋은 악기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악기에서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진동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일어나야 합니다. 진동의 시작은 관악기는 연주자 호흡에서 악기내에서 증폭되고 현악기는 연주자의 활에서 진동이 시작된다.
관악기는 악기의 관안에서 소리가 증폭되고 현악기는 나무로 된 몸통에서 소리가 증폭됩니다. 악기는 악기의 발음체의 종류의 재질에 따라 음색이 다릅니다.
공명은 진동계가 그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外力)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를 이용하면 세기가 약한 파동을 큰 세기로 증폭시킬 수 있다.
또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수록 에너지를 교환하여 공명이 극대화되고, 또는 양쪽 진동수가 같으면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기 쉽게 된다.
관악기의 연주자의 호흡만으로 하는 진동에는 한계가 있으며 진동의 증폭을 음향판 내부(캡홀더)에 통전매체를 추가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통전매체의 에너지를 이용해 공명효과를 이용하여 연주자의 호흡뿐만 아니라 관안에서도 이중적으로 진동의 강도와 진폭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가 음고 음량을 증폭하고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중요한 내용은 악기 내부 음향판 역할을 하는 곳에 통전매체를 직접적으로 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공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통전매체의 에너지를 악기에 전달하여 공명효과에 의한 진동으로 진동의 강도를 강화하여 진폭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발음체의 재질(금속, 목재의 종류)에 따라 음색이 결정되었고 음질(음량,음고,음가)에 있어 발음체의 특정 음역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가 어려웠다.
통전매체를 부분적으로 사용해 공명을 높이는 이 기술로 악기(발음체)의 부족한 특정 음역대 뿐만 아니라 전체적 음질 수준을 조절하여 높이기도 하고 수준 높고 새로운 음질을 창조하고 조절하게 된다.
음질과 관련된 간접적인 작업방법이 아니라 악기 음향판 내부(캡홀더)에 통전매체를 직접적이고 긴밀한 연결 작업을 통해 공명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양한 통전매체를 복합적으로 시공하여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음색을 창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기존의 명기의 음질과 음색의 특징을 살릴 수도 있고 그리고 현재의 명기라고 불리는 악기의 음질보다 훨씬 더 좋은 악기의 음질과 음색도 창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목관악기는 주로 공명(소리의 울림현상)을 담당하는 패드가 사용되었으며 상기 패드는 캡홀더 내부에 아교만 넣어 단순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캡홀더 내부에 패드를 고정하기 위하여는 상기 패드의 후면에 아교와 같은 접착액을 도포하고 상기 도포되어진 접착액을 통하여 상기 패드가 캡홀더 내부에 고착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캡홀더 내부에 패드를 고착 고정하는 방법의 경우 공명이 약하고 진동악기의 음질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소리만 연출가능하기 위한 필수구성요건에 해당하는 것이다. 종래의 증폭 방법은 간접적 방법으로 공명효과가 약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악기는 원래의 소리가 부분적으로 불완전하고 음질의 4가지 요소가 불안정한 면이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되어져 사용하는 패드가 캡홀더 내부에 고착고정되면서도 우수한 음이 연출가능하도록 통전매체와 고체실리콘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상기 목관악기의 내부에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 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관악기 내부의 캡홀더에 결합되어지는 패드의 내부에 상기 혼합물을 내장하여 상기 통전매체를 통하여 우수한 음이 연출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관악기 내부의 캡홀더와 상기 패드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충진하여 상기 통전매체를 통하여 우수한 음이 연출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관악기 음향판 역할을 하는 캡홀더 내부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혼합물을 도포하여 공명효과를 강화하여 상기 통전매체를 통하여 우수한 음이 연출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통전매체의 소재를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진동강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음질의 부분별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목관악기의 소리의 기존 증폭을 더욱 증폭할 수 있도록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목관악기의 공명 강화 방법은 내측으로 캡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에 패드가 결합되어진 목관악기의 공명 강화 방법에 있어서,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전매체와 고체실리콘을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하는 혼합물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혼합물 분쇄단계와; 상기 캡홀더안에 혼합물을 도포하는 혼합물 도포단계와; 상기 혼합물 도포단계 이후 상기 캡홀더의 내부에 패드를 결합하는 패드결합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혼합물 분쇄단계로부터 상기 캡홀더 내부에 백금,금,은,동,니켈 청동,황동,인청동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첨가물을 캡홀더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도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내측으로 캡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에 패드가 결합되어진 목관악기의 공명 강화 방법에 있어서, 백금, 금,은,동,니켈 청동, 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전매체와 고체실리콘을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하는 혼합물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혼합물 분쇄단계와; 상기 혼합물 분쇄단계 이후 상기 캡홀더와 대응하는 패드의 대향영역에 혼합물을 도포하는 패드 혼합물도포단계와; 상기 캡홀더 안에 상기 혼합물이 도포된 패드를 결합하는 패드결합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관악기의 구성은 내측으로 패드가 결합되 어져 공명을 강화하는 목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목관악기는 내부에 다수의 패드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캡홀더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의 내측으로 패드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캡홀더와 패드 사이에 백금,금,은,동,니켈 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통전매체가 본체의 재질과 관계없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캡홀더와 혼합물 사이에 백금,금,은,동,니켈 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을 캡홀더 내부에 도금처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관악기의 공명을 우수하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연습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목관악기를 사용함으로서 독특하고 아름다운 다양한 음색, 풍부한 음량, 여린음은 더 여리게 강한 음은 더 강하게 다이나믹한 음고연출,다이나믹 톤의 표현이 가능하고, 여음있는 음가를 표현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소리가 발생하는 발생단계에서 진동강도를 높여줌으로써 반복적인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목관악기의 내부에 결합함으로써 처음부터 음질이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고 또 저가의 악기도 고가의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로 연출가능한 효과가 제공되고, 상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사운드가 연출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금의 경우 무겁고 진지한 소리가 연출되며, 은의 경우 시원하고 경쾌하며 부드러운 소리가 연출되며, 동의 경우 직진성이 강하여 포근한 소리가 연출되며 니켈의 경우 소리가 부드러우면서도 풍성한 소리가 각각 연출 가능한 독창적이면서도 개성적인 소리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진동강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음질의 부분별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목관악기 소리의 기존 증폭을 더욱 증폭할 수 있도록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음량, 음가, 음고, 음색을 창조하고 조절할 수 있다. 또 연주 시 여음이 좋아 음과 음들의 연결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이펙터 장비를 통해 조정한 듯이 저음,중음,고음의 밸런스가 균형감 있고 안정감 있으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음이 압축되어 포근하고 따뜻하게, 시원하면서도 진지하게 또는 밝으면서 진지하게 다양한 소리가 연출이 가능하며 맑고 깨끗하고 선명한 음의 풍부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물론 연주인의 기본기가 갖추어진다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색소폰을 예를 들면 악기의 반응도를 높여 음이탈 현상을 완화하고 일반 연주자가 내기 어려운 3옥타브 솔, 저음 레 등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진동과 음(소리)의 관계 및 작업 후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동의 폭:음량(크기-강약)-음량은 풍부하게 변화하고,
진동의 시간:음가(길이-장단)-에코가 풍부해 여음 있게 변화하며,
진동의 모양(파형):음색(색-음색의 특성,다양성)-음색은 선명하게,아름답게 하고,
진동의 빈도(주파수):음고(높이)-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게, 여린 음은 더욱 여리게, 강한 음은 더욱 강하게 표현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통전매체(121)와 고체실리콘(122)을 혼합한 혼합물(12)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12)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하는 혼합물(12)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혼합물(12)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혼합물(12)을 3g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12)을 상기 목관악기(A)의 내부에 결합하는 결합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쇄되어진 혼합물(12)을 목관악기(A)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된 혼합물(12)을 패드(11) 내부에 내장하는 혼합물(12) 내장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12)을 패드(11)와 패드(11)를 지지하는 캡홀더(10) 사이에 충진하는 혼합물(12) 충진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12)을 목관악기(A)의 내부 패드의 후면 일측면에 고르게 도포하는 방법으로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전매체(121)와 고체실리콘(122)으로 결합된 혼합물(12)이 상기 목관악기(A)에 기밀하게 결합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목관악기(A)의 내부의 캡홀더와 패드에 결합된 혼합물(12)을 통하여 목관악기(A)로부터 연출되는 소리의 공명이 우수하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키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하여 고음키와 중음키 및 저음키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색소폰은 본체(1)의 상부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넥(3)이 형성되고 상기 넥(3)의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의 하부 외측을 향하여 업턴-플레이어드벨(4)이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2)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가 상기 업턴-플레이어드벨(4)을 통하여 외부로 연출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색소폰 본체(1)의 중앙에는 다수의 메탈 튜브와 톤 홀이 각각 형성되어져 다양한 음향효과를 조율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캡홀더(10) 내부에 혼합물(12)이 도포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패드(11)는 색소폰의 일측으로 확대도시한 것과 같이 캡홀더(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패드(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드(11)를 캡홀더(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캡홀더(10)의 내부에는 통전매체(121)와 고체실리콘(122)을 혼합한 혼합물(12)을 내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전매체(121)는 백금,금,은,동,니켈 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혼합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121)를 상기 캡홀더(10)와 패드(11) 사이에 도포 및 충진함으로서 상기 마우스피스(2)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의 공명을 최대한 상승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패드(11)는 색소폰의 일측으로 확대도시한 것과 같이 캡홀더(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패드(11)와 캡홀더(10) 사이에는 먼저 캡홀더(10)의 내부에 고르게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13)을 도금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금처리를 수행한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혼합물(12)을 충진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물(12)은 상기 패드(11)와 캡홀더(10)를 종래의 아교로 부착하는 것을 대체하여 실시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금,은,동,니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13)을 도금처리한 후 혼합물(12)을 상기 캡홀더(10)와 패드(11) 사이에 충진하여줌으로서 상기 패드(11)의 고정력을 향상시켜줌은 물론 상기 혼합물(12)에 포함되어진 통전매체(121) 즉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혼합된 통전매체(121)는 상기 마우스피스(2)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의 공명을 최대한 상승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공명역할을 담당하는 패드(11)를 캡홀더(10)에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와 같이 패드(11)가 캡홀더(10)에 결합되는 영역에 혼합물(12)을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캡홀더(10)의 내부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혼합물(12)은 색소폰은 물론 목관악기(A)의 내부의 음향판 역할을 하는 부분에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서 목관악기(A)의 공명을 최대한 상승가능하여 우아하고 아름다운 소리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명강화 작업 전과 후의 사운드를 분석한 예시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에 도시된 것은 작업전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알찬소리가 부족하고 음량이 일정하지 않고 저음 중음 고음의 밸런스가 깨져있는 것이다.
또한, 여음이 적고 음폭이 좁으며 여린음부터 강한 음을 낼 수 있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 음역대는 잘 나지만 음질의 밸런스가 안맞는 단점과, 음이 거칠고 부드럽지 않으며 잡소리가 있고 음량이 적은 것이다.
이에 따라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부분이 소리가 잘 나오지 않고 연주자의 의도대로 반응하지 않으며 소리가 정확하게 나지 않는 단점과 여음이 부족하여 호흡이 힘들고 감정표현이 힘든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반하여 하측에 도시된 것은 작업 후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아주 여린 음부터 아주 강하고 파워풀한 음까지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음질의 무분별한 불규칙함에서 탈피해서 규칙적이고 안정적이며 저음 중음 고음 각 부분 음질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인 작업을 통해 목관악기 안에서 앰프가 내장된 것처럼 음량이 풍부하고 악기안에 이펙터장비를 연결한 것처럼 저음은 묵직하고 풍성하게 중음은 안정감있게 고음은 선명하고 깨끗하게 각 부분의 사운드가 균형잡힌 소리가 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의 발전경향을 보 면 알 수 있다. 텔레비전 화면에 있어 제공되는 주사선 주파수[line frequency, 走査線周波數]는 하나의 화면을 주사하는 데 필요한 주사선의 수 즉, 텔레비전에서 1초 동안에 주사되는 주사선의 수를 말합니다.
상기 주사선은 초당 화면을 몇 번 쏘는지를 뜻하는 것으로서 TV화면은 사람의 눈으로는 못 느끼지만 모니터가 미세하게 깜빡깜빡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TV의 경우 수평 주사선이 지나가면서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이며 상기 주사선 주파수가 많을수록 화면이 선명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주사선 주파수가 높을수록 화면이 선명하게 고화질로 보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악기에서도 고음질의 악기가 요구되고 있고 기술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이 필요한 것이다…
즉, TV는 주사선 주파수를 늘려 화질을 좋게 했다면 악기에서는 진동의 주기성이 높고 진동의 강도를 높여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면 음이 끊김 없이 부드럽게 이어지고 음이 보다 더 선명하고 맑고 깨끗하게 들리는 것으로서 진동의 강도를 증폭하는 방법을 통해 보다 고음질의 악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연주자는 보다 더 아름답고 고음질의 소리를 낼 수 있고 청중은 보다 더 부드럽고 감미로운 연주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 기술로 특정 음역대가 약하거나 부족한 부분이 없이 전체적으로 음의 밸런스가 맞는 악기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악기제작에 있어 악기 재질로만 음질문제를 해결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음향판의 역할을 하는 부분에 통전매체(121)를 첨가해 진동강도를 높여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는 방법을 통해 고선명 고음질의 악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캡홀더 내부에 혼합물이 도포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목관악기 1-본체
2-마우스피스 3-넥
4-업턴-플레이어드벨 10-캡홀더
11-패드 12-혼합물
13-첨가물 121-통전매체
122-고체실리콘

Claims (5)

  1. 내측으로 캡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에 패드가 결합되어진 목관악기의 공명 강화 방법에 있어서,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전매체(121)와 고체실리콘(122)을 혼합한 혼합물(12)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12)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하는 혼합물(12)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혼합물(12)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혼합물(12)을 분쇄하는 혼합물(12) 분쇄단계와;
    상기 캡홀더(10)안에 혼합물(12)을 도포하는 혼합물(12) 도포단계와;
    상기 혼합물(12) 도포단계 이후 상기 캡홀더(10)의 내부에 패드(11)를 결합하는 패드결합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12) 분쇄단계 이후 상기 캡홀더(10) 내부에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13)을 도금하는 캡홀더(10) 내부 도금단계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3. 내측으로 캡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에 패드가 결합되어진 목관악기의 공명 강화 방법에 있어서,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전매체(121)와 고체실리콘(122)을 혼합한 혼합물(12)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12)을 80℃로 10분~15분간 가열하는 혼합물(12)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혼합물(12)을 자연냉각시켜 고체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혼합물(12)을 분쇄하는 혼합물(12) 분쇄단계와;
    상기 혼합물(12) 분쇄단계로 이후 상기 캡홀더(10)와 대응하는 패드(11)의 대향영역에 혼합물(12)을 도포하는 패드(11) 혼합물(12)도포단계와;
    상기 캡홀더(10)안에 상기 혼합물(12)이 도포된 패드(11)를 결합하는 패드(11)결합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4. 내측으로 패드가 결합되어져 공명을 강화하는 목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목관악기(A)는 내부에 다수의 패드(11)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패드(11)를 지지하는 캡홀더(1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캡홀더(10)의 내측으로 패드(11)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캡홀더(10)와 패드(11) 사이에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12)로 구성된 통전매체(121)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홀더(10)와 혼합물(12) 사이에 백금,금,은,동,니켈,청동,황동,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첨가물(13)을 캡홀더 내부에 도금처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KR1020090065098A 2009-07-16 2009-07-16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KR10100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98A KR101005847B1 (ko) 2009-07-16 2009-07-16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PCT/KR2010/004639 WO2011008045A2 (ko) 2009-07-16 2010-07-16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
US13/384,041 US20120174728A1 (en) 2009-07-16 2012-01-13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98A KR101005847B1 (ko) 2009-07-16 2009-07-16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847B1 true KR101005847B1 (ko) 2011-01-05

Family

ID=4361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098A KR101005847B1 (ko) 2009-07-16 2009-07-16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38B1 (ko) 2020-07-16 2021-02-24 조명섭 목관악기 톤홀용 키패드 구조체
RU2794057C1 (ru) * 2020-07-16 2023-04-11 Мюн Соб ЧО Конструкция прокладки клапана для звуковых отверстий деревянного духо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484A (en) 1975-05-29 1976-05-25 Roberts' Products, Inc. Sealing means for wind instruments
DE4113871A1 (de) * 1991-04-27 1992-11-05 Ton Kooiman Daumenstuetze fuer ein blas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484A (en) 1975-05-29 1976-05-25 Roberts' Products, Inc. Sealing means for wind instruments
DE4113871A1 (de) * 1991-04-27 1992-11-05 Ton Kooiman Daumenstuetze fuer ein blasinstru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38B1 (ko) 2020-07-16 2021-02-24 조명섭 목관악기 톤홀용 키패드 구조체
WO2022014970A1 (ko) 2020-07-16 2022-01-20 조명섭 목관악기 톤홀용 키패드 구조체
US11380292B2 (en) 2020-07-16 2022-07-05 Myung Sub Cho Keypad structure for woodwind instrument tone holes
RU2794057C1 (ru) * 2020-07-16 2023-04-11 Мюн Соб ЧО Конструкция прокладки клапана для звуковых отверстий деревянного духо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6468B (en) Musical instrument
JP5232639B2 (ja) エレキ式とアコースティック式の複合打楽器
JP2004325908A (ja) 打楽器の集音装置
US10540949B2 (en)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producing additional vibration sound and method therefor
Winckel Optimum acoustic criteria of concert halls for the performance of classical music
US20020114481A1 (en) Speaker apparatus
JP6617366B1 (ja) 管楽器の音響改善装置
KR101005847B1 (ko) 공명 강화 기능이 구비되는 목관악기 제조 방법 및 그 목관악기
US1900489A (en) Musical instrument of the violin type
WO2002021503A1 (fr) Ensemble de batteries electroniques analogiques, piece pour ensemble de batteries electroniques analogiques, et unite a pedales
WO2011008045A2 (ko)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
JP3321792B2 (ja) プレーヤ装置
KR101057277B1 (ko)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Paquier et al. Effect of wood on the sound of oboe as simulated by the chanter of a 16-inch French bagpipe
Brereton Music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virtual acoustic spaces
JP2008175866A (ja) 楽音装置及び楽音装置の生産方法
US3474180A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of percussion
Yang et al. Subjective acoustic survey of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piri and daegeum, in a concert hall using auralisation techniques
JP7084070B1 (ja) 管楽器用リガチャーカバー
Smith et al. Recent work on musical acoustics
US3432001A (en) Sound improving devices
Fouilhé et al. String “After-Length” and the Cello Tailpiece: Acoustics and Perception
Saunders Physics and music
KR20120075699A (ko) 악기의 공명 강화방법 및 공명 강화된 악기
Roginska et al. High resolution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s of a grand piano-The effect of attack velo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